중국인의
다양한 금기(禁忌)
▣ 금기(禁忌)란:
예로부터
금기(禁忌)는 어느 나라나 있었다.
금기는 중국어로 '기휘(忌諱)'라고 한다.
'기(忌)'와 '휘(諱)'라는 두 글자는 금문에까지 나오는
말로서
모두 '금기하다'거나 '두려워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금기는 천벌을 무서워하는 인간의 공포심리에서
기인된 것으로
스스로를 단속하여 재앙을 피하려고 했던 것에서부터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1.
생존수단에서
비롯된 금기
고전 저서나 현존하는 야만부락의 일부 풍속 또는 일부 소수민족의 습속으로 볼 때
적지 않은 금기가 죽음을 두려워하여 생긴 것임을 알 수 있다.
인간이 세상에
태어나서 가장 우선적인 것은 생존의 수요이다.
이러한 생존수요의 박탈은 인생의 가장 큰 재앙이
되었다.
사람은
배고프면 먹어야 하고 음식이 없으면 굶어 죽게 된다.
그들은 오직
신령을 침범하지 않는 다면
신령은 그들을
굶어 죽지 않도록 벌을 내리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 나시족:
늪에서 여자들이나 아이들의
기저귀를 씻는 것을 금기하고 있다.
용왕신을
범할까 두려워서이다.
산에서 방목을
할 때
절대 산기슭에
있는 돌이나 불을 지폈던 자리에 소변을 보지 않는다.
돌신령을 건드릴까
두려워서이다.
* 독룡족: 집사람이 사냥하러 가거나 종자를 심으러 나가는
날에는
손님이 오는
것을 꺼려했다.
짐승을 잡지 못하거나 심은 종자가 싹이 트지 않을
걱정에서다.
* 노족: 사냥을 가서 한족 말이나 다른 민족 말을 하는
것을 금기하였다.
벼랑신이 노족
말이나 장족 말밖에 알아들을 수 없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다른 족의
말을 하면 그들에게 사냥한 짐승을 주지 않는다고 여겼다.
2.
조상숭배
장례식의 수의에는 옷깃이 없고 단추가 없어야 하는데,
중국말로 옷깃을 뜻하는
령자(領子)는 '자식을 데리고 간다.'라는 뜻으로,
단추를 뜻하는
글자는 '자식을 잡고 놓지 않는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는데,
이는 결국 죽은 사람이 산사람을 데려가는
것,
즉 죽음을
두려워한 것에서 온 것이다.
노인이 죽으면 이름이나 호와 같은 글자를 말하는
것을 금기한다.
고대에서
임금이 죽어도 이를 행했었다.
심한 경우에는
아버지의 이름에 '악(岳)'자가 있으면 평생 음악을 듣지
않거나
'고(高)'자가 있으면 떡이나 과자(발음이 같은 gao)조차도 먹지 아니하였다.
주문왕이
이른바 '이름을 말하면 직접 사람을 만나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주문왕은
고인을 생각하면 살고 싶지 않을 정도라고 했는데
그것은 고인을
생각하면 마음이 슬퍼지고
이름만 들으면
생전의 일이 생각나서 살고 싶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3.
혼인과
임신의 금기
* 약탈혼인의
발생:
혼인이라는
혼(婚)자는
'계집
녀(女)'자
변에 '어두울
혼(昏)'자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어두운 밤에 장가를 든다는 의미이다.
'초를
켜고 말에게 길을 비추다'라는
말이
『의례』에서
나오는데 이는 밤에 신부를 맞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미
약탈혼은 없어졌지만 약탈혼의 흔적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가 된다.
인류학자들에
의하면 부락사이의 접촉이 빈번하지 않았던 인류사회에서
근친상간은
거의 보편적이었다고 한다.
생물학적
관점에서의 공포는 열성인자의 양성이었고,
문화적
의미에서는 가정관념이 생기고 나서 '난륜'을
금지시켰다는 것이다.
약탈혼으로
말미암아 우수한 유전자를 취하는 것이다.
*
동성불혼설:
앞에서
알아보았듯이,
고대에서
이어져온 우성에 대한 관점 때문에 이러한 동성불혼설이 이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남녀가
동성이면 후손이 번성하지 못하노라.'
(『左傳』,「僖公23년」)
동성이면
제사를 같이 지내게 되는데 여기에는 연합의 뜻이 있다.
때문에
성씨로 묶고 가르지 않으며 먹을거리를 나누어 먹으며 똑같이 지낸다.
따라서
백 세대가 지나도 혼인은 하지 못한다.
이것이
원만한 이치라 하겠다.
(『孔子家語』)
4.
괴이한
현상과 공포
옛 사람들은
알 수 는 자연 현상에 대해 막연한 공포를 느꼈다.
세월이
나감에 따라 어느 정도 현상들을 이해 할 수 있게 되었고,
공포는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하지만,
근원을
알 수 는 금기들이 있는데,
어떠한
방법을 다하여서라도 그것과 거리를 두게 된다.
원래부터
신비한 것은 금기였고,
줄곧
금기하다 보니 더욱 신비해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알 수 없는 초월한 존재에 의해 일어난다고 생각하고
여러
신들을 만들게 된 이다.
5.
동물의
신비화
인간이 가질
수 없는 능력을 가진 존재로써,
두려움과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맹금류의
날카로운 발톱과 날 수 있는 능력,
육식동물들의
강인한 이빨,
뱀의
재생성 등은 고대인들의 두려움과 경배의 대상이 되었다.
이로
말미암아,
고대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의 모습에는
수성과
인성의 합일화된 모습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후
많은 자연현상들의 이해와 동물들을 제압할 능력을 갖게 됨으로써,
이러한
동물들의 신비화는 점차 희석되어 버리고 만다ㅇㅇ
6.
금기로
인해 생겨난 문학
문학작품에서
비판의 힘은 기성 질서에 대한 파괴로부터 나온다.
사회
규제를 위해서는 수많은 금기들이 필요했는데,
작가들은
필연적으로 이런 금기들을 범하는 능력을 지니게 된다.
『금병매』에서
나오는 결말은
현실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점을 문학작품에서 이룸이었는데,
이는
인간의 욕망을 문학에서 이루어 만족시키려는 것이 된다.
7.
금기와
숭배의 관계
두려움이
금기를 생성하였고,
두려움에
대한 경외심과 여러 가지 측면들이 숭배를 낳게 되었다.
금기는
언제나 넘어서지 못할 미지의 세계인 동시에,
넘어가보고
싶은 욕망의 한계선이 된 것이다.
숭배는
알 수 없는 현상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려는 의지의 반영이 된 셈이다.
현대에서는
수많은 알 수 없는 현상들을 과학적인 근거 하에 규명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 역시 두려움을 없애려는 행위로 이해 할 수 있다.
8.
해음
(諧音)
중국인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준수하는 금기나 길상(吉祥)을
추구하는
선호(選好)의
풍속은
종류가 너무 많아 일일이 다 거론할 수는 없다.
같은
내용의 풍속들이라 해도,
지역과
민족에 따라 서로 다른 모습들을 띠고 있다.
일단
불행과 관련된 의미를 갖고 있는 단어는
최대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국인들의 기본 금기 사항이며,
여기에서
한발 더 나아가 이들 단어들과 발음이 같아서 불행한 의미가 연상되는
각종
사물이나 행위도 금기시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해음이란
간단히 말하자면,
A와
B
두
글자가 서로 다르지만 같거나
유사한
발음을 갖고 있기 때문에,
A를
이야기 하지만 동시에 B의
이미지를 연상하게 하는 것이다.
*
음식문화에서의
해음:
중국은
고대로부터 농경생활을 해왔으며,
오곡의
풍성함은 모든 이들의 바람이었다.
숭상하는
길상물 중에는 풍성함을 기원하는 바람과 깊은 연관성이 있는데,
용이
이러한 존재들 중의 하나이다.
물고기
또한 물과 비를 관장하는 영적인 존재로 여겨왔다.
『산해경』에서는
물고기를 홍수를 일으키고
가뭄을
가져오는 신비로운 존재로 묘사하고 있다.
물고기는
곧 오곡의 풍성함으로 직결되는 존재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말미암아 생선은'魚,yu'라고
하는데,
이
발음은 '여유
있다'
혹은
'풍족히
남다'는
'餘,yu'의
발음과 같다.
중국인들이
생선을 특별히 선호하는 것은
항상 풍족함을
기원한다는 의미가 담겨져 있는 것이다.
식사뿐만
아니라 제사를 지낼 때 혹은 명절날이나 축하연에서
생선은
빠지지 않는 단골 메뉴가 되었다.
춘절(설날)에
생선요리를 먹는 것은 필수코스로,
이날은
특별이 잉어를 먹는다고 한다.
'이(鯉)'의
발음이 '이익이
되다'는
이(利,li)'와
같아서
새해에도
좋은 일이 있으라는 의미 때문이다.
고대인들은
복숭아를 먹음으로써 장수할 수 있다고 믿었는데,
이는
오늘날까지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서,
노인들의
생일잔치에는 장수면(長壽麵)
이외에
복숭아가 필수적으로 등장하게 된다.
이날
등장하는 복숭아는 장수한다는 수(壽)를
붙여서 특히 '수도(壽桃)'라고
부른다.
계절적
영향으로 복숭아가 나지 않을 때에는
밀가루나
쌀가루로 만든 복숭아 모양을 한 '수도'를
준비한다.
중국의
남방에서는 귤(橘,ju)과
여지(枝,li
zhi)라는
과일을 함께 베갯맡에 두었다가
춘절날
일어나서 먹는 풍속도 있는데,
두
과일의 발음이 '길이(吉利)(ji
li)'와
유사하기 때문에,
새해에
좋은 일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
각종기피
음식들:
호북(湖北)지역에서는
제사를 지낼 때
일반적으로
닭고기를 사용하지 않는 금기가 있다.
기아(飢餓)가
연상되는 기(飢,ji)와
닭 계(鷄,ji)의
발음이 같아서
신령에게
불경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장쑤성
일대에는 제사 때에는 콩을 쓰지 않는데,
'콩
두(豆,dou)'는
'싸우다'
'투쟁하다'라는
뜻의 투(鬪,dou)'와
같은 발음이기 때문이다.
이는
집안 자손들 사이에 싸움이 일어나기 때문에 쓰지 않는다고 한다.
다만
콩으로 만든 음식 중에는 두부는 종종 쓰이는데,
두부(豆腐)'
부(腐,fu)'의
발음이 '부(富,fu)'혹은
'복(福,fu)'과
발음이 같아서
재운을
상징하는 음식이기 때문에 사용되기도 한다.
중국 인터넷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