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r |
점프 등으로 지면으로부터 뛰어오르기77 |
Air-To-Fakie |
하프파이프 안에서 하는 트릭으로 forward 라이딩을 하면서 벽을 타고 올라가 회전을 하지 않고 backward로 착지하는 기술. |
Alley-Oop |
하프파이프 안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front side로 벽을 오르면서 back side로 혹은 back side로 벽을 오르면서 front side로 180도 회전, 또는 그 이상의 각도로 회전을 하는 동작. |
Alpine |
하드 부츠와 바인딩을 이용하는 보드스타일로 레이스 타입의 스노우보드 |
Alley-Oop |
하프파이프 안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front side로 벽을 오르면서 back side로 혹은 back side로 벽을 오르면서 front side로 180도 회전, 또는 그 이상의 각도로 회전을 하는 동작. |
Backside |
스노우보드의 backside는 발 뒤 굽이 놓여있는 쪽을 말한다. |
Backside Air |
하프파이프의 백사이드 벽에서 행하여지는 air를 말한다. |
Backside Rotation |
레귤러는 시계방향으로 구피는 시계반대방향으로 도는 것. |
Backside wall |
하프파이프의 벽을 타고 내려갈 때 뒤통수 쪽의 벽을 말한다. |
Baggy Pants |
큰 동작을 위해 만들어진 스노우보드용 바지 |
Banked Slalom |
눈으로 된 둑위에 기문을 만들어 그 주위를 돌아서 경주하는 레이싱 코스. 좁은 계곡을 따라 코스를 설치한 Washington Mt. Baker에서 유래. |
Base |
스노우보드의 바닥으로 일반적으로 P-TEX로 만들어짐 |
Baseless Binding |
밑판이 없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
Beanie |
일명 비니 양털로짠 모자 |
Bevel |
스노우보드의 엣지를 튜닝할 때 약간의 각도를 주어서 엣지의 옆면이나 베이스 쪽 의 엣지를 줄로 갈아내기 (예각이나 둔각으로 튜닝을 한다고 표현함) |
Binding |
부츠가 보드에 고정되도록 하는 장치로 당신의 몸과 보드를 하나로만들어 줍니다. 하이백 바인딩은 소프트부츠와 사용하는 것이고 플래이트 바인딩은 하드부츠와 사용하는 것임 |
Blind Side |
레귤러 라이더에게는 시계방향의 회전이, 구피 라이더에게는 시계반대 방향이 되는데 그것은 그쪽으로는 보기가 어렵기 때문에 블라인드 사이드라 함 |
Boarder Cross Competition |
장애물 통과 경주로 모터크로스의 스노우보딩 버전이라 볼 수 있다. 4명이나 6명을 한 무리로 해서 시합을 벌이며 다양한 점프대와 구부러진 둑 등이 코스에 있다. |
Bone |
공중에서 트릭을 구사하면서 한쪽 다리를 뻗는 동작 |
Bonk |
에어본 (공중뜨기)을 하면서 보드를 가지고 의도적으로 장애물을 치기 |
Burger Flip |
하프파이프의 백사이드 벽을 fakie로 타고 들어간 다음 air를 하며180도 회전을 하고 난 다음 백 트위스트를 하면서 하프파이프에 재진입을 한다. |
Burr |
스노우보드의 엣지가 바위등과 접촉해서 생긴 거칠게 된 부분 |
Bunnj Slooe |
매우 쉬운 초보자용 슬로프 |
Caballerial |
fakie로 시작하는 트릭으로 약 360도를 돌아 원래 자새로 착지하는 것 |
Camber |
보드의 중앙부분을 바닥으로부터 띄워 보드의 배가 활 모양을 이루는 것 |
Canadian Bacon Air |
뒤쪽의 다리를 펴고있는 동안 뒤쪽 손을 뒤쪽 다리 뒤로 뻗어 토우 엣지를 잡는 기술.뒤쪽의 다리를 펴고있는 동안 뒤쪽 손을 뒤쪽 다리 뒤로 뻗어 토우 엣지를 잡는 기술. |
Cant |
커브에서 바깥쪽 레일을 높게 하듯이 부츠 밑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므로 양 무릎의 사이를 더욱 좁게 하거나 멀게 할 수 있다. |
Cap Construction |
시트지 한 장으로 스노우보드의 맨 위 부분을 엣지까지 싸주는 제조 공법. |
Carved turn |
보드의 사이드컷을 이용해서 눈 위를 활 모양을 가르며 회전하기Centered Stance 바인딩을 스노우보드 위에 장착했을 때 보드의 정 가운데를 중심으로 대칭이 되게 장착하여 타는 것. |
Chatter |
스노우보드가 고속 활주 시나 회전할 시에 발생하는 떨림 현상. |
Chicken Salad Air |
뒤쪽 손이 앞 뒤 바인딩 사이로 들어가 힐엣지를 잡으면서 앞 무릎을 펴는 자세. |
Corduroy |
snowcat(슬로프를 평탄하게 다지는 차)이 지나간 뒤에 생기는 작은 이랑 모양의 표면. |
Crail Air |
뒤 무릎을 뻗은 상태에서 뒤쪽 손을 앞쪽 발 앞의 토우 엣지를 잡는 기술. |
Crippler air |
하프파이프의 벽을 forward 상태로 올라가 공중에 뜨게되면 90도로 돌며 플립을 하고 forworld로 타며 착지를 한다. |
Crossbone Method Air |
뒤쪽 무릎이 뻗어진 상태에서 method 하기. |
Crust |
윗부분은 딱딱한 상태이나 아래쪽은 부드러운 눈의 상태 |
Dampening |
고속에서 운전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스노우보드의 떨림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 |
Deck |
보드의 윗 부분으로 바인딩이 장착되는 자리 |
Delaminate |
스노우보드의 한 겹이 까져서 벌어지는 현상. 이러한 현상은 충격을 받거나 오래 사용하였을 때, 혹은 스노우보드에 결함이 있을 때 발생한다. |
De-Tune |
보드의 팁과 테일 부분의 엣지의 날카로운 부분을 무디게 하기 |
Directional Stance |
바인딩을 장착할 때 보드의 nose와 앞 바인딩의 거리, tail과 뒤 바인딩까지의 거리를 다르게 두어 forworlds 라이딩이 backwards 라이딩 보다 쉽게 되게 하는 것. |
Double Grab |
공중에서 트릭을 하는 동안 두 가지의 분리된 동작을 하는 것. |
Double Handed Grab |
air를 하는 동안 두손을 동시에 사용하여 보드를 잡는 기술. |
Duck Foot |
바인딩 셑팅 시에 토우 부분이 바깥쪽을 향하게 하여 오리자세처럼 보이는 다리모양. |
Edge |
보드바닥 양쪽면의 스틸로 된 날카로운 부분 |
Effective Edge |
보드의 엣지 중에서 눈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 |
Egg Plant |
앞의 손을 하프파이프의 벽 끝에 손을 대고 지탱하며 역 아치로 180도 백사이드 회전하는 것. |
Euro Carve |
슬로프에 몸이 다을 듯이 크게 그리고 깊게 카빙턴을 하는 것. 피터 바우어와 진 네브라에 의해서 대중화되었다. |
Extruded Base |
스노우보드의 밑바닥 재질로 하급의 낮은 재질이며 내구성이 없고 왁스를 잘 흡수하지 못하며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sinterded baser가 주종을 이룬다. |
Extreme |
cliff jumps 급경사 활강 사면로. |
Fakie |
뒤로 가기 스위치 스탠스라고도 함 |
Fall Line |
산꼭대기에서 공을 굴렸을 때 공이 굴러 내려오는 최단거리의 선을 말함 |
50/50 |
스노우보드 탈 때의 기본자세로 서지도 앉지도 않은 엉거주춤한 자세. |
540 Air |
공중에서 540도 회전하여 fakie로 착지하는 기술. |
Flat Bottom |
transitional wall 사이의 평평한 맨 아랫부분. |
Flat Land |
아무런 장애물이 없는 평평한 슬로프에서 수행하는 트릭을 설명하는 용어. 예 : nose slide, blunt slide, tail wheelie 등. |
Flex |
스노우보드의 탄성(휘는 정도)을 지칭하는 말. |
Flying Squirrel Air |
공중에서 배를 내밀며 몸을 활처럼 휘고 보드를 몸의 뒤로 당겨서 양손으로 스노우보드의 힐엣지를 잡는 기술. 양손이 다리의 밖으로 간다. |
Foam Core |
스노우보드의 중심소재 |
Forward Lean. |
소프트 바인딩의 앞쪽으로 기울어진 각도. 이는 우리의 발목을 앞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유지시켜준다. |
Free-Riding |
카빙이나 여러 가지 스타일을 혼합하여 산을 타고 내려오는 활강 법 |
Freestyle |
하프파이프나, 에어, 집봉크등을 하는 스타일 |
Fresh Fish Air |
스테일 피시의 반대말. |
Front Hand |
스노우보드의 nose 부분에 가까운 손. 레귤러에게는 왼손, 구피에게는 오른손이 front hand이다. |
Front Foot |
보드의 nose쪽에 가깝게 올려진 발 |
Frontside |
보드를 탄 상태에서 우리 몸의 앞부분 |
Front Side Air |
진정한 front side air는 두발사이의 토우엣지를 잡고 하프파이프의 토우사이드 벽에서 트릭을 행하는 것. |
Front Side Rotation |
front side의 힐엣지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도는 것. |
FIS |
국제스키연맹 (Federational International Ski) |
Front Side Wall |
하프파이프를 똑바로 내려갈 때 발가락 끝이 가리키는 벽. 구피에게는 왼쪽, 레귤러에게는 오른쪽이 된다. |
Garland Turns |
한 방향으로만 스키드나 커브턴을 하기 |
Goofy |
오른쪽 발을 앞으로 하고 타는 스타일 |
Grab |
한 손이나 양손으로 스노우보드의 한쪽 날을 잡기 |
Grind |
장애물 타고 미끄러져 내려오기 |
Extreme |
cliff jumps 급경사 활강 사면로. |
Gate |
슬라럼(회전), 자이안트 슬라럼(대회전)에서 턴의 표시 점으로 사용되는 2조의 폴을 지칭함.(기문이라 고도 함). |
Giant Slalom |
Gate를 통과하는 시간을 재는 경기로 슬라럼(Slalom) 시합보다는 길고 빠른 속도를 요하는 경기. |
Goofy |
오른쪽 발을 앞으로 하는 스타일. 대부분 왼손잡이가 이에 속한다. |
Half pipe |
Free style 보더를 위하여 파이프를 1/2로 잘라놓은, U자 모양의 구조로 제설을 하여 놓은 슬로프. |
Hard binding |
하드부츠(Alpine)를 스노우보드에 부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 |
Hard shell boots |
알파인(Alpine)이나 Race 보드에 사용되는 부츠. |
Heel edge |
라이더의 발뒤꿈치에서 가장 가까운 보드의 가장자리. |
Hit |
스노우보더들이 계속해서 출발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둑이나 점프대. |
Horizontal lamination |
스노우보드 중심(Core)을 만드는 공법. |
Inserts |
바인딩이 나사못에 의하여 보드에 장착될 수 있도록 보드의 내부에 삽입시키는 암나사 |
Invert |
보더가 공중에서 뒤집는 턴을 하는 프리스타일 동작. |
ISF |
국제스노우보드연맹 (Interational Snowboard federation) Jam Session Halfpipe Competition 모든 선수들이 하프파이프에 계속적으로 들어가면서 자기의 기술을 보여주는 경기로 주자 중에 제일 잘한 사람을 뽑는 경기. |
Japan Air |
앞발의 토우엣지 부분을 앞의 손으로 잡고(뮤트) 양 무릎을 구부린다. 뒷발은 뻗고 보드를 머리 수준까지 잡아당긴다. |
Jib |
Air를 하는 순간 스노우보드로 장애물을 의도적으로 치고 가는 것 |
.J-Tear |
하프파이프의 립에 한 손 혹은 두 손을 짚고 있는 동안 프론트사이드 방향으로 대략 540도 정도 돌면서 역으로 뒤집기를 병행하는 기술. |
Kevlar |
합성섬유의 일종으로 스키에서와 같이 스노우보드를 탄력 있게 강화시키기 위해 내부에 삽입하는 소재. |
Kicker |
라이더가 하늘로 좀더 높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가파르게 점프하는 것. |
Late |
air 기술 중 spin tric에서 하는 기술이다. 180도의 경우 베이직 에어를 하며 날아가면서 몸을 회전한 후에도 보드를 돌리지 않다가 착지 직전에 180도를 돌려 기술을 완성한다. 이 기술은 big air에서 180도만 회전 할 경우 유리하다. |
Leash |
스노우보드가 탈착 되어 슬로프를 미끄러져 다른 사람을 다치지 않게 보드와 라이더를 묶어주는 안전 끈. |
Lien Air |
앞쪽의 손으로 힐엣지를 잡고 몸은 보드의 nose 쪽으로 몸을 기울인다. |
Lifts |
스키어나 보더를 슬로프의 정상까지 올려주는 기계장치. |
Lip |
하프파이프나 둑(Bank)의 가장자리. |
Lip Trick |
하프파이프의 벽 가장자리에서 하는 트릭. |
Mc Twist |
주자가 하프파이프 벽을 forward 스타일로 타고 들어가서 공중에서 뜨게되면 백사이드 방향으로 540도 돌면서 프론트 플립을 하고 착지한다. |
Melonchollie Air |
앞의 발을 뻗고 있는 동안 앞 손을 바인딩 사이의 앞발 뒤쪽 엣지를 잡는 기술. |
Method Air |
두 무릎을 공중에서 구부린 상태에서 앞 손으로 힐엣지를 잡는 기술. 이때 보드를 잡아 당겨 거의 머리 수준까지 오게 한다. |
Millev Flip |
forworld로 라이딩을 하면서 하프파이프 벽이 가까워지면 몸을 뒤집어 앞쪽의 손을 받쳐서 360도 프론트 사이드 회전을 만들고 차지를 fakie 로 하는 기술. |
Mitts |
손가락 없는 장갑. |
Mogul |
슬로프 위에 혹이나 무덤처럼 눈이 모여 융기된 모양. |
Mono block |
보드를 만드는 공법 중에 한 장으로 보드의 위 부분과 옆부분을 감싸주는 공법. |
Mosquito Air |
앞쪽의 손을 두발 사이로 넣어 뒷발 쪽 힐엣지를 잡는 기술. |
Mute Air |
air를 하면서 앞 쪽 손으로 앞발의 토우 엣지 부분을 잡는 기술. |
Nollie |
올리와 같이 꼬리 부분대신 코 부분을 이용하여 튀어 오르기. |
Nose |
스노우보드의 앞쪽 끝 |
Nose Bonk |
스노우보드의 nose를 이용하여 장애물 건드리기. |
Nose Grab Air |
앞의 손으로 스노우보드의 코를 잡는 기술. |
Nose Poke Air |
앞다리를 뻗으며 몸에서 먼 방향의 스노우보드 nose를 잡으며 누르는 기술. |
Nose Slide |
보드의 nose를 이용하여 장애물이나 슬로프를 따라 내려오기. |
Nuclear Air |
뒤쪽의 손을 몸의 앞으로 가로질러 앞쪽 발의 뒤쪽 엣지를 잡는 기술.. |
Off ramp |
리프트의 맨 위쪽에서 나가는 지점. |
Ollie |
점프동작 없이 공중에 뜨는 기술로 앞발을 들면서 뒤 발을 따라들어 보드의 nose에서tail까지 들리도록 하는 기술. 스케이트 렁딩을 하는 "알란 게판드"의 별명을 따서 붙였다. |
180 Air |
보더가 180도를 공중에서 돌아 fakie 자세로 착지하는 기술. |
Palmer Air |
일조의 메소드로 보드를 잡아당겨 몸의 앞을 가로지르게 하고 보드의 nose를 아래로 향하도록 하는 기술. |
Park |
스노우보더를 위한 전용 슬로프. 1/4파이프, 키커(kicker) rail slides등이 있는 장소. |
Phillips 66 |
하프파이프 벽을 fakie로 타고 들어가 거꾸로 서서 뒤손을 벽의 lip을 짚고 프론트 플맆을 하며 forward 자세로 트렌지션에 착지한다. |
Pipe Dragon |
하프파이프 벽의 모양을 만드는 기계. |
Plate binding |
하드부츠를 알파인 보드에 부착하는 바인딩 |
Polyurethane Injection Construction |
저 가격대의 스노우보드에 일반적인 보드 소재로 보드코어의 틀에 우레탄 폼을 주사해 넣어 굳히는 중심소재 제조공법. |
Pro Jump |
레이스 코스에 2∼4 피트 높이로 건설된 점프대. |
Powder |
최고의 라이딩이 될 수 있는 낮은 습도의 신설, 깊고 가벼운 눈을 지칭하는 용어. |
P-tex |
대부분의 스노우보드 바닥을 만들 때 쓰이는 플라스틱 종류. |
Quarter pipe |
프리스타일 트릭을 위해 자연적으로 혹은 사람이 만들어 놓은 하프 파이프 의 1/2, 원을 1/4로 잘라놓은 모양. |
Rail slide |
스노우보드를 가지고 위에서 타고 내려 갈 수 있는 쓰러진 나무, 혹은 나무 또는 쇠로 만든 긴 봉(bar). |
Regular |
왼쪽 발을 앞으로 내밀고 타는 스타일. |
Shovel |
스노우보드 nose의 삽 모양을 지칭함. |
Side cut |
스노우보드의 옆 날의 곡면. |
Side slip |
보드의 한쪽 엣지만을 사용해서 슬로프의 fall-line을 따라 내려오는 방법. #Fall-line (수직낙하선) |
Skate |
앞쪽 발은 보드에 고정시켜놓고 뒤쪽발로 밀어서 보드와 몸을 앞으로 진행시켜 미끄러지기. |
Slalom |
턴의 표시 점을 set으로 된 폴로 만들어 놓고 그 공간을 가까이 지나가면서 시간을 측정하는 경기. |
Slope style |
점프, 1/4파이프, 테일슬라이드 등을 일컬음. |
Soft boots |
주로 프리스타일이나 프리라이딩을 위해 사용되는 가볍고 부드러운 부츠. |
Stalefish Air |
그랩을 이용한 기술이며 다른 기술과 마찬가지로 원메이크 점프와 하프파이프에서 자주사용하며 라이더에 따라 스타일이 다르게 나타난다. 처음 도약기술은 베이직에어, 인디그랩, 메소드 등과 동일하며, 하프파이프 옆벽의 상단(Lip)에 왔을 때 알리를 한다. 알리를 한 후에는 두다리를 동시에 구부림과 함께 테일 방향 쪽으로 힐엣지의 가운데 부분을 잡고 노우즈 쪽의 손은 머리위로 뻗어 중심을 유지한다. |
Stance |
보드 위에 발을 올려놓은 위치. |
Steel edges |
스노우보드의 날카로운 금속 부분을 말하며 얼음이나 딱딱하게 굳은 눈 위에서 턴을 용이하게 해준다. |
Step in |
버클이나 스트랩없이 간단하게 부츠를 보드와 연결시켜주는 타입의 바인딩. |
Stomp pad |
보드 위의 두 발 사이에 놓는 미끄럼 방지용 고무판. |
Switch stance |
보드를 타고 내려오면서 앞 뒷발을 바꿔 방향 바꾸기. |
Tail |
스노우보드의 맨 뒤 끝 부분. |
Tail kick |
보드 뒤 부분의 구부러져 올라간 부분. |
Toe edge |
라이더 부츠의 발가락 부분에서 제일 가까운 엣지. |
Transition |
하프 파이프에서 수평의 밑바닥 부분과 수직의 파이프 위 부분을 연결하는 곡면 부분. |
Traverse |
보드의 한 쪽 엣지만을 가지고 슬로프를 가로지르며 왔다 갔다 하면서 서서히 아래로 내려가기. |
Twin tip |
동일한 nose와 tail 디자인을 가진 스노우보드 타입. |
Upper body |
상체를 말하며 힙 이상. 팔, 어깨, 머리. |
Vert |
하프파이프나 hit의 가장 가파른 부분으로 트랜지션(transition)위의 부분을 지칭함. |
Wax |
보드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미끄러짐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드의 바닥에 발라 주는 제품. |
Wood core |
스노우보드의 중심 구조. |
배울수록 더 많은 이론이 필요해용
악 ㅠㅠㅠ 어렵다 중간까지는 일단 읽었는데...
알고만 넘어가시면 다른분깨 배울때 편합니당
인터넷으로 읽다 보니 정신도 없고 무슨 말인지 몰라서 인쇄 합니다. 시간 날때 마다 볼려구요 ^^ 조금 이해하고 나중에 강습 받을 때 도움이 될 것 같아서요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너무 어려운것같아요 ㅜ ㅜ
음,,,그래서,,,내가 턴이 잘 안된거구나,,,,ㅋ;;;
무게중심이 뒤에있어서 안돌아 간거였어,,,쩝!!!
본문에 이미지가 오류인지 사진이 안보이네요 ㅠㅠ
저만 안보이는게 아니네요 ㅠㅠ 본문에 사진이 안보여요 ㅠㅠ
헐 어렵당ㅠ
엑박떠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