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록 5장 38절 상제께서 거처하시던 방에서 물이 들어있는 흰 병과 작은 칼이 상제께서 화천하신 후에 발견되었는데 병마개로 쓰인 종이에
吉花開吉實 凶花開凶實
의 글귀와 다음과 같은 글들이 씌어 있었도다.
病有大勢
病有小勢
大病無藥 小病或有藥
然而大病之藥 安心安身
小病之藥 四物湯八十貼
祈禱
侍天主造化定永世不忘萬事知至氣今至願爲大降
大病出於無道
小病出於無道
得其有道 則大病勿藥自效 小病勿藥自效
至氣今至四月來 禮章
醫統
忘其父者無道
忘其君者無道
忘其師者無道
世無忠 世無孝 世無烈 是故天下皆病
病勢
有天下之病者 用天下之藥 厥病乃愈
聖父
聖子 元亨利貞奉天地道術藥局 在全州銅谷生死判斷
聖身
大仁大義無病
三界伏魔大帝神位遠鎭天尊關聖帝君
知天下之勢者 有天下之生氣
暗天下之勢者 有天下之死氣
孔子魯之大司寇
孟子善說齊粱之君
西有大聖人曰西學
東有大聖人曰東學 都是敎民化民
近日日本文神武神
幷務道通
朝鮮國 上計神 中計神 下計神 無依無托 不可不文字戒於人
宮商角徵羽 聖人乃作 先天下之職 先天下之業 職者醫也 業者統也
聖之職聖之業
.................................................
위의 글의 중심에는 아래 구절이 있다.
(아래)
聖父
聖子 元亨利貞奉天地道術藥局 在全州銅谷生死判斷
聖身
이 구절에는 <理 와 氣> 가 녹아 들어가 있다...
이 구절의 앞 부분은 理 에 관해 서술하고 있으며, 이 구절의 뒷 부분은 理 를 바탕으로 한 氣 를 서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 <理 와 氣>
聖父
聖子 元亨利貞奉天地道術藥局 在全州銅谷生死判斷
聖身
.....................................
'神' 은 <理 와 氣> 를 매개하고 있는 아주 중요한 개념이다....
일단 그렇다치고.....
(2) 聖父 聖子 聖身
聖父
聖子
聖身
...............
이 부분은 성서(=신약전서) 와 관련되어 있다. 동양에서는 저렇게 구체적으로 표현한 적이 없었는데 (동양에서도 그런 개념은 막연하게나마 있긴 했었다...) , 그 구체적인 개념을 성서(=신약전서) 에서 가져왔다....
어쨌든 '(眞)理' 가 그렇게 생겨먹었으니까....
(참고)
행록 1장 27절 상제께서 임인년 어느 날 김 형렬과 함께 금산사(金山寺) 부근의 마을에 가서 계셨도다. 이 부근의 오동정(梧桐亭)에 살고 있던 김 경안(金京安)이란 사람이 기독교의 신약전서를 가지고 있었던바 상제께서 어느 날 김 형렬에게 신약전서 한 권을 구하게 하시니라. 그는 이르신 대로 그로부터 책을 빌려다 상제께 드렸더니 상제께서 그것을 불사르셨도다.
행록 1장 28절 그 후 어느 날 형렬은 상제를 모시고 오동정을 찾아 음식을 대접하였도다. 이 자리에 경안이 찾아와서 빌려준 신약전서를 돌려달라고 말하기에 형렬이 우물쭈물하면서 딱한 표정만 짓고 앉아 있노라니 상제께서 가름하시면서 “곧 돌려주리라”고 말씀하시니라. 마침 이때에 그곳을 한 붓 장수가 지나가는지라. 상제께서 그를 불러들이고 음식을 권한 다음에 그 붓 상자를 열어보이라고 청하시니 그가 분부에 좇으니라. 상제께서 “그대는 예수를 믿지 아니하니 이 책은 소용이 없을 터이므로 나에게 줄 수 없느냐”고 물으시니 그는 음식 대접을 받은 터이어서 기꺼이 응하는지라. 상제께서 그 책을 경안에게 돌려주시니 거기에 있던 사람들이 모두 어리둥절하였도다.
(3) 元亨利貞奉天地道術藥局 在全州銅谷生死判斷
이 부분은 너무나 쉽다....
왜냐면? 동양의 이론에서는 너무나 쉽고 당연하기 때문이다...
왜 당연한지는 그림 하나만 그려보면 알 수 있다....
(그림)
亨
元 (中) 利
貞
위의 그림에서 무수한 이론들이 파생되어 나온 것이 동양의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동양에서 정리하지 못한 부분이 하나 있다....
그림에서 (中) 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부분이다....
이 부분을 주역에서는 그냥 '太極' 이라고 이름붙였고, 홍범구주에서는 '황극' 이라고 이름붙였을 뿐이었다....
도가의 어떤 분이 유명한 그림 하나를 그리면서 无極 을 소개했을 뿐이었다.....
(참고)
일단 여기까지......
첫댓글 https://www.youtube.com/watch?v=ypgX2CMh4-I
PLAY
유전과 노화 분야에서 세계적인 석학 데이비드 씽클레어 교수(하버드)는 '노화의 종말'이라는 책을 썼다.
그러면서 老化도 질병이다. 라고 했다.
어쩌면 전경에서 병세문은 가장 중요한 내용중 하나일 것이다.
우당께서는 수많은 참배객들에게 숙지할 수 있도록 돌병풍으로 새겨 익히게 하셨다.
그런데 典經과 眞經의 내용이 약간 틀리다.
聖父 聖子 聖身(전경)이
聖父 聖子 聖神(진경)으로 되어 있었다.
즉, 돌병풍을 說할때
우당께서 살아 계실때 道通을 주실 것이라고 믿었고 그렇케 알렸다. 그 내용 하나로 8백만 도인이 나오는데 큰 역할을 한듯 하다.
소병지약은 四物湯八十貼이라 하셨다.
眞經에는 四聖飮으로 병을 치유시키셨다.
그러면서 運數에 맞추지 못하는 者는 內腫을 이루리라. 하셨다.
아무리 명약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네분 하느님의 진정한 제자가 아니고는 내종(癌)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가르침이다.
'癌'이라는 글자를 파자를 해도 그 속에 의미가 있다.
그러하니 運數에 맞게 네분 하느님의 가르침을 따르고 행하여 간다면~~~
病劫이나 老化로 부터 벗어나는 일이야 어렵지 않을 듯 싶다. 그러면 자연히 죽지않는 방법도 배울테고....
소병은 그렇다치고
大病之藥은 安心安身일진대~~
그리 쉬운 방법이 있건만 우째서 쉽지 않느냐? 말이다.
우리 道에서는 타종교와는 다르게 불교와 관계가 깊다.
세분 하느님께서 절에서 공부를 많이 하셨고
나반존자, 현무경에 나오는 아미타불 등의 내용에서도 알 수 있다.
불교적인 설명으로 業障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수없이 많은 번뇌와 숫한 사건들로 편할날이 없다.
安心安身할 순간이 없다는 것이다.
業이란 말, 생각, 행동으로 수없는 罪를 짓게된다.
악담을 하고 수없는 살생을 하고 남을 못되도록 살기를 품고 수십년을 살아왔는데~~
그러한 生을 수백, 수천, 수억, 수십억겁의 세월을 살아 왔는데~~
무시무시할 만큼 많고 많은 罪業의 씨앗들에서 지금 살고있는 이 생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생각을 하시나요?
평생을 수도를 하고 있는 큰스님들의 발원문을 들어보면 쉽게 이해가 간다.
요약하자면
모든 생명을 가진 중생들은 복을 받으시고....
나는 죽었다가 수만겁이라도 다시 인간으로 태어나 거룩한 스승을 만나 수없이 많은 복을 쌓아 惡業의 굴레에서 벗어나게 해서 해탈께 해주십시요~~~
惡業으로 내가 꽁꽁 묶여 있는
이 현실에서 벗어 수 있는 방법이 있으신가요?
수만겁의 복을 쌓아도 벗어나기 어려운 두껍고 두꺼운 惡業의 무게.
이제 때가 되어서
네분 하느님의 가르침으로 짧은 기간에 두껍디 두꺼운 惡業으로 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업장소멸을 할 수 있으니 그 방법이 '명부공사'이다.
조건이 있다.
낮게 임해야 한다.
절대 낮게 임해야 한다.
고개를 드는 순간 나도 모르는 사이에 간다.
그리고 배우고 익혀나가야 한다.
눈앞에 있는 醫統이, 運數가, 道通이 문제가 아니다.
이것은 지독하게 쌓여있는 나의 惡業을 해결한 다음의 문제들이다.
상제님께서 말씀 주셨다.
세상 사는데 부드러움을 귀하게 여겨라.
굳세고 강한 것은 禍의 근원이니라.
말을 할 때에는 늘상 어눌하게 하라.
매사에 임할 때에는 어리석은 듯하라.
급한 지경을 당할 때에는 완만함을
편안할 때에도 위태롭던 때를 잊지 말지어다.
평생 이러한 인생의 계략을 잘 실행해 나간다면
진실로 호남아라 하겠다.
우리가 명심하고 실천해 나가야할 처세술이다.
이것이 없으면 하느님의 말씀을 안에다 담을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