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전에 공지한 구조물 타입을 소개합니다.
A타입 업그레이드 형인 B타입이 동현의 욕심때문에(?) 여러번 설계변경과 기타 변수들로 제작이 늦어져
지난 토요일에야 구조물 조립에 들어갔습니다.
어찌보면 단순한 변화이지만 그 결과물은 엄청난 차이를 만들어 냈습니다.


시공중인 두 곳 현장의 가변 구조물 사진을 올립니다.
가격면에서의 조금의 차이가 있지만 구조검토(40m/sec 필)상의 결과 값은 같습니다.

변화의 큰 틀은 거더(세로 지지대)를 일반적인 사각관(100*100*3.2T)을 쓰지 않고,
H빔 타입의 포스맥 C형강540(150*50*2.1*1C-A타입 OR 100*50*2.1T*2C-B타입)을 사용한다는 것과,
가변작동이 단순하면서도 가변 중심점과 무게 중심을 최대한 낮추어 더 튼튼하고 안전해 졌다는 겁니다.
특히 가변중심점을 최대로 낮추는 방법은
고객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한 결과이고 발전주 분들의 만족도도 대단히 높습니다.
사진으로 비교 된 자료를 올립니다.
이전에 소개 한 동현 시공현장의 기존 가변형태와 새로이 도입된 제작방법의 가변형태를 비교해 보십시오.
쉽게 이해 될 겁니다.





안전성 면이나 가격면에서도 새로운 방식의 가변 구조물이 경쟁력이 매우 큽니다.
이 타입의 구조물은 가변형 뿐만이 아니라 고정형에도 설치 가능합니다.
동현ENC 최계용상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