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도 국어 교과서에 ‘등신불(等身佛)’이 실리는 지는 잘 모르겠다.
‘등신불’은 소설가 김동리가 <사상계>(1961년 11월호)에 발표한 단편소설이다.
(* 참고로 ‘등신불’이란 사람의 몸(키)과 같은 크기로 만든 불상을 말함)
이 소설은 주인공이 1인칭 화자로 등장해 젊은 시절 자신의 목격담을 기록한 것이다.
절에 모셔진 부처님이라면 우리는 늘 금칠을 하고 미끈하게 잘 생긴 형상만 떠올려왔다.
그런데 사람의 몸으로 만든 부처님이 있다니, 그것도 불에 탄 모습으로.
비록 소설로 접한 것이지만 그 때의 충격이란 지금도 가시지 않는다.
젊은 독자들의 위해 소설 <등신불>의 줄거리를 ‘네이버 지식iN’에서 찾아 소개한다.
일제시대 학병으로 끌려간 “나”는 관동군으로 중국 남경 땅에 배치되던 날 전쟁의 참혹함을 견디지 못하고 부대를 탈출하여 어느 절(정원사)에 숨어들어 원혜대사의 구원으로 불도를 닦는다. 그 절 뒤뜰에는 금불각이란 현판이 쓰인 곳이 있는데 늘 문을 잠그고 귀한 분이 올 때만 세전을 받고 불공을 드리게 하는 것을 본 나는 호기심으로 몰래 숨어들어 그 안을 엿본 순간 공포에 질려버린다. 등신불, 오뇌와 비원이 서린 듯한 일그러진 육신은 부처라기 보다는 오히려 괴물의 형상이었기 때문이다. 그 날 밤 원혜대사로부터 등신불에 대한 얘기를 듣는다.
만적은 당나라 때 사람으로 어린 시절 부친을 여의자 재가한 어머니를 따라 진씨 집으로 온다. 그 의부에게는 여옥이라는 장성한 딸과 신이라는 전처의 아들이 있었는데 만적은 그들과 우애가 두터웠으며 여옥과 애정의 갈등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어머니가 진씨 집의 재산을 만적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남편을 독살시킨 것을 알게 되고 이를 눈치를 챈 여옥은 동생 신과 함께 집을 나가 소식이 끊긴다. 만적은 그 길로 여옥 남매를 찾아 헤매다가 인간사에 회의를 품고 불가에 입문한다. 승려가 된 만적은 우연히 길거리에서 나병환자가 된 신과 여옥을 만나게 된다. 이 비극이 어머니의 탐욕으로 인해 비롯된 것임을 알게 된 만적은 어머니의 죄를 부처님께 탕감하고자 자신을 불살라 부처님께 바치기로 결심한다.
그 이후의 상황을 조금 더 부연하면, 만적이 몸을 태우던 날 갑자기 큰 비가 내렸다.
그런데 기이하게도 만적이 불타던 주위로는 비가 내리지 않았다.
이런 소식이 알려진 후 인근 불자들의 새전(시주)가 줄을 이었고,
그 돈으로 타다 남은 만적의 몸에 금물을 입혀 절에 안치하였다.
소설 속의 등신불은 이렇게 해서 등장한 것이다.
어머니의 탐욕과 그로 인한 비극을 씻기 위해 자신의 육신을 불살랐던 만적.
그런데 만적처럼 그런 염원을 담은 ‘소신공양(燒身供養)’은 현실 속에서 더러 실존했었다.
즉, 더 큰 사회적 가치와 불의에 항거하여 자신을 불태운 스님이 실지로 있었다.
첫댓글 감동입니다~~~자신의 몸을 헌신할 수 있는 용기가 너무 위대합니다^^*
ㅎㅎ 울 할부지중에 김만적 장군님이 있지요
산소는 구지 고등핵교 바로 뒷산에요^^.
청청님 앙상불 포항연습하던날 베풀어 주신 일은 등신불에 가까운
자기 희생이셨습니다. 감사 드립니다.그리고 열심히 합시다^^
과분하고 당치않은 말씀을 ~~~
등신불.. 교과서에서 접했던 내용이지만 다시보니 새로운 감회가 밀려옵니다...
감사합니다 ~~~
언젠가 특집극으로도 본듯합니다,..
모든것이 욕심에서 비롯되는것을 ....
가끔나오는작품이랍니다 ~~~
어머그런일이 있었습니까.
영화를 보시면 눈물없이는볼수없는 작품입니다 감사합니다 아미님 ~~~
글보고 속에조금 담아갑니다 새로운것을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