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출처: 사회복지정보원 원문보기 글쓴이: 조성대
3월 25일(목) 개강! 우정어린 배움의 공동체에 초대합니다 | |
14기 평화나눔 아카데미 수강생을 모집합니다 _ 평화나눔 아카데미 | |
![]() 14기 평화나눔 아카데미 강좌소개 매주 목요일 저녁7시 30분 | 나눔문화 포럼실 ![]() 3/25(목) 이제 우리 흙을 밟으며 살자 윤구병 농부철학자 도시에는 삶이 없다. 도시에는 희망이 없다! 50을 넘긴 나이에 대학교수 자리를 박차고 변산 땅으로 들어갔던 윤구병 선생. 성장개발로 질주하는 우리 사회에 대한 회의로 대안을 모색해 온 그의 '농촌공동체 실험' 15년. 농부철학자 윤구병이 전하는 우리시대 희망의 근거인 대지에 뿌리 내린 삶의 증언. ![]() 4/1(목) '삼성공화국' 에서 다시 삼성을 생각한다 김용철 변호사, 前삼성 구조조정본부 법무팀장 비자금, 무노조 경영, 경영권 편법증여 등 다 알지만 '글로벌 삼성'이기에 어쩔 수 없다? 삼성의 비리를 고발하는 양심선언으로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김용철 변호사가 직접 보고 들은 삼성에 대한 모든 것과 우리 삶을 지배하는 '삼성공화국'의 실체를 파헤친다. 이래도 '포기할 수 없는 삼성' 입니까? ![]() 4/8(목) 어찌 이 곳을 흐트리려 하십니까 지 율 스님 과연 이 역주행을 멈출 수 있을까. '녹색성장', '일자리창출' 등 화려한 구호와는 반대로 파괴되고 무너지는 모습뿐인 4대강. 천성산 도룡뇽 살리기에 이어 낙동강 700리 순례길에 나선 지율스님이 강과 산과 땅과 멀어져 온 우리 삶의 방식에 던지는 물음. '자연을 어떻게 보느냐가 곧 그 사람의 세계관이다 ![]() 4/15(목) 한국현대사 100년을 거슬러 길을 묻다 김동춘 성공회대 사회학과 교수 한일합방 100년, 한국전쟁 60년, 광주민주항쟁 30년. 우리는 지금 어디에 서 있는가?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졌지만 삶의 행복은 줄어들고, 군사독재가 물러난 자리엔 물신주의가 휩쓸고 있다.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들어낸 지난 100년의 역사. 그리고 새로운 100년의 길을 밝히는 김동춘 교수의 한국현대사 특강. ![]() 4/21(수) 나는 왜 인정받고 싶어 하는가 이정은 연세대 철학연구소 연구위원 어떻게 하면 다른 사람의 기대와 인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 끊임없이 눈치보고 작은 일에도 상처받는 '유리병 자아'는 결국 '인정받고 싶은 욕구' 때문이라는데...고통의 근원을 직시하면 그곳에 바로 길이 있다. 이정은 선생과 함께 진정한 자기 해방을 위해 마음의 문을 열어보는 시간. ![]() 4/29(목) 대한민국 新카스트, 대학을 넘어서라 김상봉 전남대 철학과 교수 배울수록 무지하고, 오를수록 위태롭다. 청년실업과 '88만원 세대'에 이어 졸업과 동시에 빚쟁이가 되는 우리시대 청년들의 슬픈 현실. 10년 넘게 학벌없는 사회운동을 펼쳐 온 김상봉 교수의 미래가 보장되지 않는 대한민국 교육 시스템에 대한 본격적인 문제제기. 대학은 왜 존재해야 하는가. ![]() 5/6(목) 물건의 권리선언! 물건에도 생명이 있다 연정태 재활용 디자이너 돈으로 살 수 없는 것이 없는 넘치는 소비의 시대. 아무렇게 만들지 않고, 존중 받으며 쓰이고, 제대로 버려져야 할, 여기 '물건의 권리'가 있다. "누가 어떻게 쓸지 치밀하게 생각하고 배려한 디자인은 반드시 아름답다"는 연정태 디자이너와 함께 손으로 직접 만드는 즐거움을 통해 물건에 생명을 불어넣는 시간. ![]() 5/13(목) 이슬람의 자존심, 저항의 성지 聖地 이란 신규섭 한국외대 중앙아시아연구소 연구원 세계 분쟁의 중심지이자 인류 문명이 탄생한 중동의 자존심, 이란. 고대 페르시아 문명에서 2009 이란 대규모 시위 사태까지. 복잡하게 얽힌 정치관계와 왜곡된 이미지를 뚫고 중동을 이해하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신규섭 연구원. 이란은 13억 중동 이슬람의 진정한 희망이 될 수 있을까. ![]() 5/20(목) 교회가 팔아넘긴 예수, 우리가 닮고싶은 예수 박재순 씨알사상연구소 소장 그대는 교회를 다니려고 하는가, 예수처럼 살려고 하는가? '예수천국, 불신지옥' 을 부르짖는 물신화된 한국교회 속에서 민중 속에 살아있는 예수를 찾아온 씨알사상의 대가大家 박재순 소장. 진리 앞에 한치의 타협도 없었던 예수의 삶과 예수처럼 살고자 했던 초대 교회의 공동체 정신을 찾아 떠난다. ![]() 5/27(목) Glocal시대, 세계의 자급자립 공동체를 찾아서 윤병선 건국대 사회과학부 교수 지금 이대로 우리는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고갈되는 에너지, 먹을거리와 질병에 대한 불안감. 전 지구적 위기 앞에 지속가능한 미래 대안 삶을 고민하며 세계 곳곳의 공동체 마을을 찾아다닌 윤병선 교수. 시장만능의 세계화가 아닌 자급자립의 마을공동체에서 인류의 미래지도를 다시 그려보는 시간. * 위 일정은 강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전 강좌 수강과 각 강좌 청강을 선착순으로 받고 있습니다. 수강료 각 강좌 2만원, 전 강좌 15만원 입니다. 우리은행 959-001951-13-001 나눔문화 전 강좌 수강할 시, 나눔문화 후원회원과 대학생, 시민단체 활동가는 20% 할인해 드립니다. 문의는 02 734 1977 peace@nanum.com 나눔문화 이지훈, 권소영 서울시 종로구 신문로2가 1-103 진학빌딩 3층 나눔문화 * 나눔문화 오시는 길 |
첫댓글 사회복지정보원에서 스크랩했습니다.
부산에서도 이런 아카데미가 있었으면 정말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늘 부족한 부산 ㅠㅠ
완전 부럽, 완전 부럽~~ 대구서도 아쉬운 침~ 흘려봅니다.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