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희는 1968년 강원도 춘천시에서 태어났어났습니다. 1989년 혼성 듀엣 햇빛촌 멤버로 데뷔합니다.
1989년 지구레코드에서 발매한 이정한, 고병희의 혼성 포크 듀엣 햇빛촌의 1집 앨범입니다. 타이틀곡 '유리창엔 비'가 가요톱10 5주 연속 1위 기록을 세우며 큰 히트를 기록했습니다
햇빛촌은 1980년대 서울 시내 대학생 연합 포크 동아리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서울 가톨릭회관을 근거지로 해서 만들어졌습니다. 여기에는 소리두울로 독립한 장필순과 김선희가 있었으며 이정한은 '이런 밤에'와 "야외 스케치'라는 자작곡을 만들었습니다.
이 그룹은 1987년에 남자 멤버들의 군입대로 활동 중지를 하다가 그 뒤 상명여대 학생인 고병희와 이정한이 합동해서 다시 결성한 뒤 1988년에 이정한의 솔로곡을 편곡한 '유리창엔 비'를 발매했습니다. 당시에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DJ와 라디오 선곡, 공연을 통해서 입소문을 타기 시작한 끝에 1990년에 히트를 치면서 30만장의 앨범을 판 건 물론이고 가요톱10에서 골든컵까지 수상하는 등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습니다.
이 앨범 성공 이후 이들은 독립 선언을 했는데 이정한의 말에 따르면 다소 위험이 있더라도 각자의 특성을 찾는 게 중요하며 이정한이 고병희의 솔로를 적극 권유했다는 걸 밝혔습니다. 그 이후 이정한은 2집을 발매했고 고병희는 이정한의 곡을 받아서 2장의 앨범을 발매했지만 별다른 인기를 얻지 못했는데요. 이 앨범은 1989년 LP와 카세트로만 발매했다가 1990년 CD로도 발매했답니다.
그 이후 이정한 고병희는 근황은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고병희가 가끔씩 공연으로 얼굴을 비추는 편입니다.
조용필
고병희
고독한 이 가슴에 외로움을 심어주고
초라한 내 모습에 멍울을 지게 했다
함께한 시간보다 더 많이 가슴을 태웠고
사랑한 날보다도 더 많이 아파했다
아픔 속에 지워야 할 사랑이면
고개 숙인 향기마저 데려가지
눈을 떠도 감고 있는 내 그림자
그대에게 가고 있는데
날 위해 힘들다 말해줘
내가 기다릴 수 있게 해줄래
돌아와 베어진 가슴에
눈물이 마를 수 있게
아픔 속에 지워야 할 사랑이면
고개 숙인 향기마저 데려가지
눈을 떠도 감고 있는 내 그림자
그대에게 가고 있는데
날 위해 힘들다 말해줘
내가 기다릴 수 있게 해줄래
돌아와 베어진 가슴에
눈물이 마를 수 있게
눈물이 마를 수 있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