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지금바로 답이 떠오르는것만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고로 제가 알고 있는 부분이 틀릴수도 있다는 점은 이해바랍니다.
질문)
디젤기관차는 당연히 발전차를 연결해야 객차내 전기공급이 됩니다.
그런데 전기기관차 8200호대는 처음에는 4량은 발전차가 없이 운행되던데 이젠 7량운행도 발전차가 없더군요.
1. 그런데 궁금한 점은 어떤 열차는 전기기관차가 7량 여객객차를 견인하는데 발전차가 없는 열차도 있고 때론 발전차가 있는 열차도 있더군요. 왜 없애려면 다 없애든지 어느 열차는 있고 어느 열차는 없는 건가요? 제 생각인데 전기기관차가 전기 공급을 하는데 왜 구지 발전차를 돌려서 기름 낭비를 할까요? (자세히 안봐서인데 발전차 견인 전기기관차는 발전차로 전기 공급하는지 아니면 발전차를 꺼놓고 전기기관차에서 전기 공급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2. 8200호대 전기기관차가 공급할 수 있는 발전량은 여객 객차 몇량 정도 까지 가능한가요?
3. 8000호대는 대부분 양회조차등 화물열차 운행하는데 여객객차를 견인한다고 봤을때 발전차 없이 8000호대 기관차로 객차에 전기 공급 가능한가요?
4. 특대 디젤 기관차는 배기량이 어느정도 되는가요? (경유 리터당 몇 km를 갈 수 있는지...)
5. 디젤기관차는 어디에서 기름을 넣나요? 만땅 넣으면 몇리터나 들어가나요? (엄청 많이 들어갈 것 같음)
6. 발전차도 기름 엄청 들어가나요?
7. 여객객차가 빠른 속도로 8200호대 전기기관차로 대체 되고 있던데 그러면 얼마전만 해도 철길을 우렁차게 달리던 7100~7500호대 디젤 기관차는 어디로 갔나요? (다 퇴역되어가고 제일 최근에 도입된 7300호대만 남게 되는가요?)
8. 기관차가 견인시와 무견인시 연료 소비량 차이가 있는가요? (예를들면, 특대 디젤 기관차가 객차 견인하지 않고 단독으로 운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때도 총 견인력인 3000마력으로 운행하는가요 아니면 기관차만 운행할 정도의 힘으로 운행하는가요)
9. 발전차 한량이 객차 몇량까지 전기 공급이 가능한가요?
10. 대부분 발전차는 열차 제일 뒤 아니면 제일 앞에 붙어 운행하죠. 그런데 간혹 가운데에 끼여 운행하는 경우는 뭔가요?
답변 주심 감솨 감솨^^
답변)
디젤기관차는 당연히 발전차를 연결해야 객차내 전기공급이 됩니다.
그런데 전기기관차 8200호대는 처음에는 4량은 발전차가 없이 운행되던데 이젠 7량운행도 발전차가 없더군요.
1. 그런데 궁금한 점은 어떤 열차는 전기기관차가 7량 여객객차를 견인하는데 발전차가 없는 열차도 있고 때론 발전차가 있는 열차도 있더군요. 왜 없애려면 다 없애든지 어느 열차는 있고 어느 열차는 없는 건가요? 제 생각인데 전기기관차가 전기 공급을 하는데 왜 구지 발전차를 돌려서 기름 낭비를 할까요? (자세히 안봐서인데 발전차 견인 전기기관차는 발전차로 전기 공급하는지 아니면 발전차를 꺼놓고 전기기관차에서 전기 공급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 8200호대는 도입당시 별도의 발전차 없이도 객차에 냉 난방 및 조명의 전기공급이 가능하도록 설계 제작된 차량으로 객차 조성할때 굳이 발전차를 취부할 필요가 없으며 운행하는 열차의 일부에는 발전차를 취부하고 일부는 취부하지 않은것은 발전차를 취부하지 않은것이 일종의 테스트용이라고 보면 됩니다. 즉 발전차를 취부한것은 자체적으로도 가능하나 만약의 예상치 못한 문제가 8200호대 기관차에 발생하였을때를 대비해서 발전차를 취부했던것인데 초기 도입분에 이 자체 전력공급장치가 주된 기관차의 고장의 원인이 되어서 8101호와 8102호는 자제 발전시스템을 제거하였으며 현재 8200호차량들에는 모두 자체 발전시스템이 있습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발전차 없이 운행하는 시험운행을 계속하고 있으며 당분간 발전차도 계속해서 취부가 되며 발전차를 취부하지 않으면 발차전 검수때 전력공급이 되지 않거나 전력공급이 원활하지 못해서 아직은 당분간 8200호대에서 필히 발전차가 취부됩니다.
2. 8200호대 전기기관차가 공급할 수 있는 발전량은 여객 객차 몇량 정도 까지 가능한가요?
- 경부선 기준 기관차 + 디젤전기객차 7량 + 발전차 이렇게 조성됩니다. 전기기관차도 동일하게 조성이 가능하며 그 이상 조성시에는 중련을 합니다.
3. 8000호대는 대부분 양회조차등 화물열차 운행하는데 여객객차를 견인한다고 봤을때 발전차 없이 8000호대 기관차로 객차에 전기 공급 가능한가요?
- 8000호대는 반드시 발전차를 취부해야 하는것으로 알고 있네요...현재는 화물열차만 견인하죠~
4. 특대 디젤 기관차는 배기량이 어느정도 되는가요? (경유 리터당 몇 km를 갈 수 있는지...)
- 특대기관차(GT26CW , GT26CW-2 기준)의 배기량은 166,000cc 정도 됩니다. 16기통 피스톤 실린더 라이너가 16기가 들어가죠~
5. 디젤기관차는 어디에서 기름을 넣나요? 만땅 넣으면 몇리터나 들어가나요? (엄청 많이 들어갈 것 같음)
- 수색 서울기관차승무사업소 부산기관차승무사업소등 각 지역 기관차승무사업소 내에 별도의 주유시스템이 갖춰져 있어서 별도로 주유를 합니다. 가득 넣으면 50드럼이 들어갑니다.(1드럼에 200L임) 서울<->부산 왕복 후 편도로 갈수 있는 량의 기름이 들어갑니다.
6. 발전차도 기름 엄청 들어가나요?
- 발전차도 디젤전기기관차 못지 않게 기름을 엄청 먹는다고 하죠~단 운행중에는 일정하게 소비가되며 동력이 걸려있지 않다가 발전차를 가동시킬때는 연료가 많이 소비되겠죠~
7. 여객객차가 빠른 속도로 8200호대 전기기관차로 대체 되고 있던데 그러면 얼마전만 해도 철길을 우렁차게 달리던 7100~7500호대 디젤 기관차는 어디로 갔나요? (다 퇴역되어가고 제일 최근에 도입된 7300호대만 남게 되는가요?)
- 여객객차가 아니라 디젤전기기관차를 말씀하시는 거겠죠?ㅎㅎ 현재 7300호대와 7400호대를 제외한 7100호대 7200호대 7500호대 기관차들은 단계적으로 폐차 혹은 원형그대로 수출되어 나가고 있습니다. 7000호대는 현재까지 15량 모두 운용중에 있습니다.
8. 기관차가 견인시와 무견인시 연료 소비량 차이가 있는가요? (예를들면, 특대 디젤 기관차가 객차 견인하지 않고 단독으로 운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때도 총 견인력인 3000마력으로 운행하는가요 아니면 기관차만 운행할 정도의 힘으로 운행하는가요)
- 당연히 기관차 단행으로 운행할때는 굳이 3000마력 풀가동 할 필요는 없겠죠? 물론 객차나 화물열차를 견인할때와 단행 운행할때 소모되는 기름의 양도 틀립니다.
9. 발전차 한량이 객차 몇량까지 전기 공급이 가능한가요?
- 발전차의 사용용량 한도내에서는 얼마던지 조성가능합니다.
10. 대부분 발전차는 열차 제일 뒤 아니면 제일 앞에 붙어 운행하죠. 그런데 간혹 가운데에 끼여 운행하는 경우는 뭔가요?
- 발전차가 조성되는 위치를 보면 경부선 부산<->서울 기준으로 볼때 서울방면 상행열차는 제일 뒤에 발전차가 취부되며 부산방면 하행 열차는 기관차 바로 뒤에 발전차가 조성이 됩니다. 기존의 제일 앞 혹은 제일 뒤쪽에 발전차가 취부되어 있고 기존의 객차 중간에 발전차가 취부되어 있다면 해당 발전차는 회송일 확율이 높습니다. 물론 제일 앞쪽이나 제일 뒤쪽에 발전차가 취부되어 있다고 해도 7량의 객차에 발전차가 두대가 취부되어 있다면 한대는 회송일 확율이 높습니다. 그러나 상업운행중인 무궁화열차에 발전차가 제일 앞쪽 혹은 제일 뒤쪽이 아닌 객차와 객차 사이에 취부되어 상업운행하는 경우는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첫댓글 취부 라는 말이 좀 남용되고 어색하게 쓰인것 같네요 그리고 급유시설은 기관차승무사업소에 있는것이 아니고 차량사업소에 있습니다 기관차승무사업소는 말그대로 기관사들과 관리자들이 출근하여 출무 및 도착, 각종 교육 및 보다나은 운전기술 연구 등 을 하는 곳입니다. 흔히들 기관차승무사업소와 차량사업소(기관차)를 혼동하시는데 승무사업소와 차량사업소가 지난 1999년 분리되고 나서 반드시 같이 붙어있지는 않게 되어있습니다.
두분 다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와! 기름 엄청 먹는군요. 4만 리터를 1,200km정도 달릴수 있다니... 놀랍군요. 뭐가 잘못된것 아닌가요? 200드럼이 아닌 20드럼 아닐까요? 4만리터라 하면 대형 유조차 한대이상인데...
200드럼이 맞습니다. 그리고 잘 아는 현직 기관사분에게 직접 전화통화로 확인까지 해보았습니다. 참고로 보통 주유소에 기름을 공급하는 대형 유조차의 평균은 26000L 유조차들입니다.
서울부산 3편도 1200km이라 치면 0.03kpl=> 1리터당 30미터의 연비군요. ㄷㄷㄷ 배기량 166리터라니. 대단합니다.
정정합니다. 본인이 잠시 착각했다고 하는데 연료 용량은 50드럼 이라고 합니다.
제가 보기에도 200드럼 이라는것이 무척이나 믿겨지지않는군요...군대있을떄 봤지만 1드럼 200리터짜리가 그래도 굉장히 큰편인데 그걸 200개를쌓아둔 것과같다고해야하는데 그걸 200개를 쌓는다면 기관차전체크기보다 훨씬커질텐데..기름통에 한계가있을텐데 암튼 조금이상하다 생각이드네요..^^
GT26CW(GT26CW-2)특대기관차의 가득넣었을때의 연료량은 예전에 부산철도정비창 및 부산 가야차량사업소에 방문했을때도 주유하시는분 및 관계자에도 들었고 이 답변을 달기전에 제차 아는 현직기관사분께 직접 전화를 해서 답변을 들은것이기 때문에 200드럼이 맞다고 봐야 할겁니다. 특대기관차의 연료통에 보기보다 많은 연료가 들어가며 연료통이 작은 연료통이 아닙니다.
정정합니다. 본인이 잠시 착각했다고 하는데 연료 용량은 50드럼 이라고 합니다.
정정합니다. 본인이 잠시 착각했다고 하는데 연료 용량은 50드럼 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