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추석 4일전 어머니께서 만 91세로 考終命(고종명) 하셨습니다.
9월 17일~19일 어미니 內艱喪(내간상) 때 먼 곳인데도 직접 조문하시거나 명복을 빌어주고 향전, 조위, 위로 하여준 모든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ᆢ ᆢᆢᆢ ᆢ
사람의 죽음
死(죽을 사) 歹 歺 1. 앙상한(부서진) 뼈 알 2. 나쁠 대 3. 죽을 사변
1. 기독교 : 召天(소천): 하느님의 부르심
2. 불교 : 涅槃(열반,nirvana), 入涅槃(입열반), 入寂(입적), 寂滅(적멸), 滅度(멸도), 歸寂(귀적), 示寂(시적), 入滅(입멸), 遷化(천화), 攜擧(携擧. 휴거)
3. 천주교 : 善生福終(선생복종): 착하게 살다 복되게 죽음(善終<선종>은 줄임말)
4. 천도교 : 還元(환원)
5. 원불교 : 薦度(천도), 薦魂(천혼), 薦靈(천령)
6. 일반인
높임말 : 作故(작고). 他界(타계). 逝去(서거). 逝世(逝世). 隱化(은화). 卒(졸)
別世(별세). 死亡(사망). 臨終(임종). 終身(종신). 亡終(망종). 臨死(임사). 最後(최후). 殞命(운명). 下直(하직). 永眠(영면). 永逝(영서). 潛寐(잠매). 長逝(장서). 死去(사거). 瞑目(명목). 絶命(절명). 卒逝(졸서). 盡命(진명). 死(사). 沒(歿.몰) 등
考終命(고종명) 五:福(오복. 壽. 富. 康寧. 攸好德. 考終命)의 하나. 제 명대로 살다가 편히 죽음. 令終(영종). 終天命(종천명). 臥席終身(와석종신).
7. 왕조시대의 死:之五等(사지오등)
신분에 따라 다리 이르는 죽음의 다섯 가지.
천자(天子): 崩(붕)(崩御(붕어), 昇遐(승하), 登遐(등하), 仙馭(선어), 晏駕(안가, 宮車晏駕), 蒼梧之望(창오지망), 龍馭(용어), 殂落(徂落, 조락) 賓天(빈천). 上賓(상빈), 上遷(상천), 陟方(척방), 崩殂(붕조), 晩駕(만가), 禮陟(예척). 奄棄(엄기). 白雲至馭(백운지어).
제후(諸侯): 薨(훙)(薨去, 薨逝, 薨御)
대부(大夫): 卒(졸)
士(선비) : 不祿(불록)
평민: 死(사)
역적: 斃(폐)
8. 夭折(요절), 玉折(옥절), 殤(상), 享年(향년)과 壽(수)
夭折(요절), 早死(조사), | 弱冠(약관, 20세 안팎)안에 사망 | 夭死(요사), 夭殤(夭傷, 요상), 夭逝(요서), 夭枉(요왕), 夭札(요찰), 早夭(蚤夭, 조요), 橫夭(횡요) 夭昏(요혼) 태어나서 이름을 짓기 전에 죽음 |
殤(상) | 無服殤(무복상) | 7세 이하 死亡 |
下殤(하상) | 8~11세 死亡 |
中殤(중상) | 12~115세 死亡 |
長殤(장상) | 16~19세 死亡 |
享年(향년) | 70歲 이전 死亡 |
|
壽(수) | 70歲 이후 死亡 |
|
丁艱(정간). 丁憂(정우). 當故(당고). 當喪(당상). 遭艱(조간). 遭故(조고). 見背(견배). 苫塊(점괴). 棄背(기배. 尊屬의 죽음). 閔凶(민흉. 부모의 상). 大憂(대우). 親喪(친상): 부모[조부모]를 상을 당함
外艱(외간), 外艱喪(외간상), 外憂(외우) : 아버지의 상사(喪事) 또는 승중(承重)으로서 당하는 할아버지의 상사(喪事).
內艱(내간), 內艱喪(내간상), 內憂(내우) : 어머니의 상사(喪事) 또는 승중(承重)으로서 당하는 할머니의 상사(喪事).
承重喪(승중상) : 아버지를 여윈 맏아들이 당하는 조부모의 초상
慘慽(참척), 變喪(변상) : 자손이 부모나 조부모보다 먼저 죽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