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 고기의 발암물질-중성지방 배출... 혈관질환 예방에 기여
상추는 철분이 많아 혈액의 양을 늘리고 맑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상추는 국화과에 해당하는 식물이다.
원산지는 유럽이고 우리나라에선 삼국시대부터 재배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이익(1681~1763)의 '성호사설'을 보면 깻입쌈, 호박잎쌈, 배추쌈, 곰취쌈, 피마자잎쌈 가운데 상추쌈이 제일이라고 언급한 기록이 남아 있다.
식용 뿐만 아니라 약으로도 사용했다. 상추의 건강효과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
◆ 고기 구이에 역시 상추... 유해물질 배출, 혈액-혈관에 좋아
육류, 특히 삼겹살 등 구이고기 옆에 상추를 놓는 것은 지혜가 숨어 있다.
상추가 맛을 낼 뿐 아니라 고기의 유해물질-중성지방을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고기나 생선, 소시지-베이컨 등을 자주 구워 먹으면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1군 발암물질로 분류한 벤조피렌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추는 양파보다 몸속에 들어온 발암 성분이 퍼지는 것을 억제하고, 고기 비계 등에 많은 포화지방을 줄여 혈액-혈관 건강에 도움을 준다.
◆ 철분 많아 혈액 늘리고 맑게... 장 청소, 변비 예방
상추는 일반 채소에 비해 수분(약 90%)이 많고 칼슘과 무기질, 비타민의 함량도 상당히 높다.
특히 철분이 많아 혈액의 양을 늘리고 맑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빈혈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풍부한 식이섬유(섬유질)는 콜레스테롤을 직접 낮추고 장 청소에 좋아 변비 예방-완화에 효과가 있다.
쌍추쌈이나 무침, 샐러드를 많이 먹으면 식사 후 혈당이 급속히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 락투카리움 성분... 신경안정, 숙면에 도움
상추의 잎 줄기에는 쓴 맛을 내는 우유 색깔의 흰 액체가 들어 있다.
이는 락투카리움(Lactucarium) 성분으로 신경안정 작용을 하여 숙면에 도움을 준다. 잠을 못 이룰 때 저녁에 상추를 먹으면 일부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다.
상추 전체의 품질도 흰 액체가 나오는 것이 좋다.
잎이 부드럽고 깨끗하며 잎의 크기가 고른 것을 골라야 한다.
◆ 울퉁불퉁한 뒷면 꼼꼼하게... 식초 넣은 물에 헹구면 좋아
상추는 대부분 생으로 먹기 때문에 세척이 중요하다.
잔털과 주름이 많아 농약이 잔류할 가능성도 있어 물에 5분 정도 담근 후 5~6회 가볍게 비비면서 흐르는 물에 씻는 것이 좋다.
울퉁불퉁한 뒷면까지 꼼꼼하게 씻는다.
식초를 넣은 물에 다시 헹구면 더욱 좋다.
물에 씻어서 보관하면 금방 물러진다.
먹는 양을 잘 살펴서 씻지 않고 신문지에 싸서 냉장고에 보관하면 도움이 된다.
첫댓글 요즘에는 스마트팜에서 영양성분이 들어간 수경재배로 24시간 빛을 비춰서 키우니까,
옛날 밭에서 키운 쌉쌀한 맛이 나는 상추는 맛보기가 힘들어진것 같네요.아~옛날이여ㅎ
부전시장가서 야채만 한보따리ㅡ
상추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시간 되세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