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래픽=유재일
지난 1월 아르헨티나 연구진이 2015년 기준 전 세계에서 목격되는 #야생꿀벌 종류가 1990년보다 25%나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불과 25년 만에 야생 꿀벌이 엄청나게 사라진 거죠.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는 사실은 최근 들어 꾸준히 제기되는 문제입니다. 2017년 유엔(UN)은 전 세계 벌의 3분의 1이 #멸종위기 라고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꿀벌이 사라지는 이유는 #기후 #온난화 , #살충제 살포, #전염병 , #야생화 #서식지감소 등 때문이에요.
우리나라 #토종벌 도 가뜩이나 꿀 따는 능력이 월등한 #서양꿀벌 이 도입되면서 수가 서서히 줄어왔는데, 최근엔 ' #꿀벌의흑사병 ' 으로 불리는 ' #낭충봉아부패병 ' 등이 창궐해 멸종 직전에 몰렸다고 합니다.
전 세계 곳곳에선 벌을 보호하는 다양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어요. 네덜란드는 도시 곳곳에 벌이 둥지를 틀 수 있도록 대나무로 만든 ' #벌호텔 ' 을 설치하고, 버스 정류장 위에 식물을 심어 ' #벌정류장 ' 도 만들었죠. 고속도로 등에 야생화를 심는 ' #꿀고속도로 ' 사업도 펼친다고 해요. 이런 노력으로 벌 개체 수가 조금 회복됐다고 합니다.
이렇게 전 세계적으로 벌 감소에 우려를 표하며 관심을 갖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2019년 #런던왕립지리학회 는 벌을 '살아 있는 가장 중요한 생명체'라고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코로나 사태로 '꿀벌발 식량난 우려'
#벌 의 종류는 8000~2만종에 이르고, #꿀벌 과에 속하는 벌만 해도 5700여종에 달해요. 꿀벌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어마어마합니다. 바로 꿀벌들이 #꿀 과 #꽃가루 를 먹으려 이 꽃 저 꽃 날아다니면서 꽃의 #수분 (受粉)을 돕기 때문이에요. 수분은 꽃가루가 암술에 붙는 것이에요. 수분이 되어야 수정이 이뤄지고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다. 2006년 독일 연구진 연구에 따르면, 사과·배 등 인간이 기르는 주요 농작물 종류의 70%가 꿀벌 같은 동물이 수분 활동을 도와줘야 한다고 합니다. 이들 농작물의 생산량은 전체 #농작물생산량 의 3분의 1을 차지한다고 해요. 이때 농작물 수분 활동을 돕는 동물은 나비·새 등 다양하지만, 대다수는 꿀벌의 도움으로 수분이 이뤄진다고 합니다. 따라서 #환경단체 #그린피스 는 꿀벌이 #식량재배 에 기여하는 경제적 가치가 373조원에 이른다고 추산하기도 했어요.
최근에는 코로나 사태로 꿀벌 수급이 잘 안 되어 전 세계 #식량난 이 우려된다는 뉴스까지 들려왔어요. 꿀벌은 각 지역에 사는 토종도 있지만 외국에서 수입도 하고 #양봉업자 가 기르기도 해요. 그런데 코로나로 국경이 봉쇄되자 꿀벌을 수입하지도 못하고 해외 양봉 인력을 데려오지도 못해서 농작물 수분 일정에 차질이 생겼다고 합니다.
로열젤리 계속 먹어야 여왕벌 돼
벌은 자손의 성별을 조절할 수 있는 대표적 생물이에요. 여왕벌은 수벌과 짝짓기 중에 받은 정자를 몸 속 저정낭에 저장해두고 조금씩 꺼내어 사용해요. 이때 자신의 난자와 수벌의 정자를 결합한 #수정란 에서는 #암컷 이 나옵니다. 정자를 사용하지 않고 난자만으로 태어나는 것은 수벌이죠. 이를 처녀 생식이라고 해요. #수벌 뿐 아니라 #수개미 도 #처녀생식 으로 태어난답니다.
암컷 꿀벌 애벌레 대다수는 생식력이 없는 #일벌 이 되지만, 일부는 #생식력 을 갖춘 #여왕벌 로 자라요. 흥미로운 점은 그들의 운명을 가르는 요인이 먹이 차이라는 것이에요. 갓 태어난 애벌레는 모두 첫 3일은 로열젤리를 먹고 자라요. 로열젤리는 #번데기 에서 깨어난 지 5~15일 된 일벌 머리에서 분비되는 물질이에요. 그런데 이 로열젤리는 3일 이후엔 특정 애벌레에게만 공급되는데 이 애벌레가 여왕벌이 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로열젤리 속 #로열락틴 이란 성분이 일벌과 여왕벌을 가르는 핵심이었다고 해요. 하지만 지난해 연구에선 로열젤리 성분보다 양이 더 중요하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어요.
일 덜 하는 겨울에 태어나면 더 오래 살아
꿀벌의 일생은 '효율성'이란 슬로건 아래 꽉 짜여 있는 듯한 모습입니다. 일벌은 6일간 짧은 애벌레 생활을 마치고 12일 동안 번데기로 지내다 일벌이 되어 벌집 속 자기가 머물던 육각형 방에서 나옵니다. 이후 며칠 동안은 벌집 안에 머물며 청소하고 쓰레기를 치우고 관리하고, 몸속에 독액을 축적하기도 합니다. 5~15일까지는 머리에서 로열젤리를 분비해 동생 애벌레들을 먹이죠. 그러다 #로열젤리 #분비선 이 막히면 그제야 집 밖으로 나가 주변을 날아다니며 경계를 서요. 집 안팎을 순찰하며 부서진 곳이 있으면 밀랍을 분비해 수선하거나 새로운 방을 만들죠. 생후 18~21일 즈음 본격적인 바깥일을 시작합니다.
일벌이 한 번 일하러 나가면 평균 꽃 50~200송이에 날아들어 꿀 0.02~0.04g을 따서 돌아와요. 날씨가 좋고 꽃이 많이 피는 계절엔 하루에 8~16회까지 꿀을 따러 나간다고 해요. 노동 강도가 높은 한여름에 태어난 일벌은 겨우 두 달밖에 못 살지만, 겨울에 태어난 벌은 6개월까지 수명이 늘어납니다.
벌은 여름에는 날개를 부채처럼 이용해 벌집 안 온도를 낮추고, 겨울에는 가슴 근육을 떨어 열을 내서 벌집 안을 따뜻하게 유지합니다. 벌은 최고 50도까지 열을 낼 수 있어서 겨울에도 벌집 내부 온도가 32도 이하로 안 내려간다고 해요.
이런 효율적이고 최적화된 벌의 일생은 주변 자연과 교류하며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진화되어 왔어요. 그런데 최근 #산업화 와 #기후변화 등으로 벌을 둘러싼 환경이 지나치게 급변해 벌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꿀벌이 사라지면 꿀벌에게 의존하며 살아가는 인류의 삶 역시 큰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앞다리에 숨어 있는 특별한 기능
꿀벌 머리에는 #눈 과 #더듬이 가 한 쌍씩 있어요. 커다란 겹눈 사이에 자그마한 #홑눈 3개가 있는 게 특징이에요. 홑눈은 빛을 감지하고, #겹눈 은 사물을 구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리 세 쌍은 역할이 달라요. 앞다리와 가운뎃다리는 꽃가루를 모아 #뒷다리 에 달린 #꽃가루수집통 에 모으는 역할을 해요. #앞다리 에는 ' #더듬이청소기 ' 가 있어요. 반달 모양 홈에 잔털이 나 있는데 여기에 더듬이를 집어넣어 이물질을 털어냅니다. 더듬이에는 여러 #감각수용체 가 있기 때문에 수시로 털어줘서 깨끗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출처: 프리미엄조선|[이은희]과학저술가.
기획·구성=김연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