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게시판은 수강생 여러분들께서 의견을 상호 주고받는 게시판입니다. 질문을 조교가 해결해 드리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4회차 일영/문학 많이 틀려서 심난한 상황인데, 11번 두번째 디렉션 답 관련 질문합니다.
두번째 디렉션
How does cheating challenge cooperative systems?
(Cheating이 C.S을 어떻게 어렵게 하는가?)
(= Cheating이 cooperative systems에 주는 부정적 영향)
모범답안에는, It challenges cooperative system by creating one-sided relationships where recipients benefit without giving back, leading to imbalances that may ultimately reduce cooperation if too common. 이렇게 써있는데요.
저는 cheating으로 인해 사람들이 cheater를 찾아내고 피하는데 집중하게 되고, 이로써 reliable partnership을 기반으로 하는 cooperative behavior만 남게 된다고 썼어요. 즉,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넓은 cooperative behavior은 cheating 의심으로 인해 줄어들게 되는거죠.
답으로, cooperative behavior가 줄어둔다고 쓰는 게 아니라 1) cheater 가려내는 것 + 2) 파트너쉽을 촉진하는 협력행동이 우세해짐 이 두 포인트를 중심으로 쓰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ㅠㅠ
자유로운 의견 부탁드립니다!!😭😭
항상 일영 디렉션에서 뭘 요구하는지 이해하기가 쉽지 않네요 ㅠㅠ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1.14 10:49
삭제된 댓글 입니다.
감사합니다. 쌤이 쓰신 글 읽었는데, 저도 cheating이 그 자체로 one-sided relationships where recipients benefit without giving back라고 생각해서 답안에 넣는건 이상하다고 생각했고, "cheating을 하니까 imbalance가 일어나서 cooperative behavior가 줄어들게 된다" 이렇게 쓰는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인것 같아요 ㅠㅠ 그런데 저는 how라고 물어봤으니까 그 행동이 줄어들게 되는 과정(cheater 가려내는 데 시간 보내고, 결국 진짜 믿을 만한 사람들간에만 협력하게된다는 내용)에 초점을 두고 쓴거구요.. 너무 어렵습니다.
질문하실때 말씀해주신 것 처럼 어떻게 cheating이 cooperative systems에 challenge하는지, 즉 ‘부정적 영향’에 초점을 두고 답하길 의도한 문제 같아요
그래서 답도 cheating이 one sided라서 결국discourage cooperation 한다는 부정적 결과를 언급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쌤이 써주신 답( cheater 가려냄->파트너쉽을 촉진하는 협력행동이 우세해짐)은 부정적결과라기보단 중립이거나, 오히려 제가볼땐 긍정적 결과에 가깝다고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