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懲毖錄)
懲 : 징계할 징, 毖 : 삼가할 비
‘역사의 연구’를 집필해서
순식간에 세계의 지식인으로 평가받은 ‘아놀드 토인비’는
역사를 연구해 보면
민족의 유형이 크게 세 가지 있다고 주장했다.
▶민족(民族)의 유형(類型)
- 첫 번째는 재난(災難)을 당하고도 대비하지 않는 민족,
- 두 번째는 재난을 당해야만 준비(準備)하는 민족,
- 세 번째는 재난을 당하지 않고도 미리 대비(對備)하는 민족들이라 했다.
☆☆☆
징비록(懲毖錄)은 임진왜란이 끝난 후
조선 선조 때 영의정과 전쟁 수행의 총 책임자를 지낸
유성룡(柳成龍)(1542~ 1607)이 집필한 임진왜란 전란사(戰亂史)로서,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7년에 걸친
전란의 원인, 전황 등을 기록한 책이다.
☆☆☆
징비록(懲毖錄)은 저자인 유성룡이
자리에서 물러나 낙향(落鄕)해서 집필한 것으로,
제목인 '징비'는 시경(詩經) 소비편(小毖篇)의
여기징이비후환(予其懲而毖後患), 즉 '미리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한다.'는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징비록’에서 유성룡은 수많은 인명(人命)을 앗아가고
비옥한 강토(疆土)를 피폐하게 만든 참혹했던 전화(戰禍)를 회고하면서,
다시는 같은 전란을 겪지 않도록
지난날 있었던 조정의 여러 실책들을 반성하고
앞날을 대비하기 위해
‘징비록’을 저술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온 산천(山川)이 피로 물들고,
계곡마다 하얀 시체가 산더미처럼 쌓였고,
시체 썩은 물과 피물이 계곡을 흐르고,
사람이 사람을 잡아먹는 그 참혹한 전란이
다시는 조선에서 반복해 일어나지 않도록
경계하라고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썼다.
이렇게 목적의식을 가지고
전쟁의 최고 책임자가 집필하여 썼지만,
이 책은 조선에서 편찬되지 못하고,
1695년(숙종 21) 침략국 일본(日本)에서 편찬되었다는 것
또한 슬픈 일 중의 하나다.
17세기에 대마도(對馬島)에서
먼저 읽히고 있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
어느 역사학자가 조선의 역사가 5,000년이라고 하나
그동안 조선이 외침(外侵)을 받은 횟수는 무려 931번이라고 한다.
평균으로 5.3년마다
한 번씩 외침을 받았다는 결론이다.
조선은 왜 이렇게 외침을 많이 받았을까?
참으로 불행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토인비가 말한 첫 번째 민족유형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