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내 전동칫솔 판매량, 최근 5년 간 연평균 21.7% 성장 -
- 소비자 선호 브랜드 TOP10 중 5개가 중국 로컬 브랜드 -
자료원:필립스
□ 상품명 및 HS Code
□ 시장 규모 및 동향
2014~2018년 중국 전동칫솔 판매액
(단위 : 억 위안)
자료원:관옌텐샤(观研天下)
ㅇ 중국 전동칫솔 시장 연 평균 21.7%의 속도로 빠르게 성장 중
- 중국에서 전동칫솔 이용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전동칫솔 브러쉬는 빠른 회전을 통하여 고주파 진동을 일으켜 치약을 작은 거품으로 빠르게 분해하여 치아 사이사이를 더욱 깊이 청소할 수 있음. 이는 일반 칫솔보다 플라크를 38%나 더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차 또는 커피 등 다른 이유로 인한 치아의 외생 착색 감소에 효과적임.
- 소비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구강 관리 의식이 보편화되고 있음. 이에 전동칫솔은 중국 내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전자제품 중 하나임.
- 꽌옌텐샤(观研天下)에서 발표한 <2019년 중국 전동칫솔 업계 분석 보고 – 산업 공급 수요현황 및 미래 사업 기회 분석> 에 의하면, 중국 전동칫솔 및 브러쉬 판매액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2014년 24억 7천만 위안이었던 판매액이 2018년에는 54억 2천만 위안으로 증가하였으며, 연 평균 증가율이 21.7%에 달함.
소비자 연령대 현황 소비자 성별 현황
자료원: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ㅇ 중국 전동칫솔 소비자 중, 21~40세가 78.7%를 차지하였으며, 성별은 여성이 남성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남.
- 화경산업연구원에서 발표한 <2019~2025년 중국 전동칫솔 업계 발전 전망 및 투자전략 연구보고>에 의하면, 전동칫솔의 소비자들은 주로 젊은 층이며, 21~30세의 소비자가 47.3%를, 31~40세 소비자들이 31.4%를 차지하고 있음. 그 중, 여성의 비율이 57.6%이며, 남성은 42.4%임.
□ 수입동향
2010~2018년 중국 전동칫솔 (HS CODE : 8509.80.90) 수입액 및 증가율
(단위 : 천 달러, %)
자료원:중국 관세청(中国海关总署)
ㅇ 2018년 중국 전동칫솔 수입액 억대 돌파
- 중국 전동칫솔 수입액은 2010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0년 약 1천만 달러에서 2011년에는 약 2천만 달러로 증가하였음. 이는 전년동기 대비 77.5% 증가한 수치임. 2018년 수입액은 1억 5천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전년 동기 대비 95.1% 증가하는 등 금액 뿐 아니라, 증가율도 최고 수치를 기록함.
중국 전동칫솔 주요 수입대상국
(단위 : 천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6년 | 2017년 | 2018년 |
수입금액 | 수입증감률 | 수입금액 | 수입증감률 | 수입금액 | 수입증감률 |
1 | 크로아티아 | 322 | 96,984.6 | 2,403 | 645.5 | 30,395 | 1,164.9 |
2 | 말레이시아 | 5,729 | 100.6 | 8,373 | 46.2 | 23,748 | 183.6 |
3 | 일본 | 7,757 | 302.5 | 6,974 | -10.1 | 15,889 | 127.8 |
4 | 대만 | 3,614 | 30.2 | 8,764 | 142.5 | 9,443 | 7.7 |
5 | 독일 | 7,429 | -25.2 | 7,463 | 0.5 | 5,674 | -24 |
6 | 미국 | 8,457 | 127.6 | 3,858 | -54.4 | 4,568 | 18.4 |
7 | 영국 | 15 | -98.9 | 2 | -86 | 4,504 | 208,594.5 |
8 | 루마니아 | 615 | 73.2 | 2,333 | 279.6 | 3,631 | 55.6 |
9 | 헝가리 | 7,599 | 12.1 | 5,858 | -22.9 | 3,308 | -43.5 |
10 | 네덜란드 | 23 | 1,395.9 | 1,138 | 4,883.4 | 3,235 | 184.2 |
11 | 홍콩 | 4,077 | -31.9 | 1,863 | -54.3 | 2,521 | 35.3 |
12 | 한국 | 1,931 | -29.6 | 1,353 | -29.9 | 2,064 | 52.5 |
| 총계 | 69,804 | 23.2 | 81,492 | 16.7 | 158,991 | 95.1 |
자료원:중국 관세청(中国海关总署)
ㅇ 2018년 기준 크로아티아, 말레이시아, 일본이 수입대상국 TOP3
- 2018년 상위 12개 수입대상국 중 크로아티아가 약 3천만 달러로 1위를 차지했으며, 2018년 수입금액은 전년 대비 1,164.9% 증가했음. 그 뒤로, 2위와 3위는 말레이시아와 일본이 차지했으며, 한국은 약 2백만 달러로 12위를 차지했음.
- 12개 국가 중 독일과 헝가리로부터의 수입액이 전년 동기대비 감소하였으나, 나머지 10개 국은 전년 동기대비 증가함.
2014~2015년 중국의 한국 전동칫솔(HS CODE : 8509.80.90) 수입액 및 증가율
(단위 : 천 달러, %)
자료원:중국관세청(中国海关总署)
ㅇ 2018년 중국의 한국 전동칫솔 수입액 증가
- 한국산 전동칫솔 수입액은 2014년 146만 달러에서 2015년 274만 달러로 증가하였음. 이는 전년 동기대비 88% 증가한 수치임. 이 후,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매년 조금씩 감소하였으나 2018년에는 다시 증가함. 수입액은 206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52.5% 상승한 수치임.
□ 경쟁동향
ㅇ 선호브랜드 1~3위는 해외 브랜드, 중국 브랜드는 상위 10개 중 5개
- 중국 10대 브랜드망에서 발표한 2019년 가장 큰 인기를 얻은 전동칫솔 상위 브랜드 3개는 필립스, 오랄B, 파나소닉임. 중국 브랜드는 상위 10개 브랜드 중 5개 브랜드가 진입하였음.
순위 | 브랜드 | 국가 및 홈페이지 | 제품사진 | 상품정보 |
1 | 필립스/PHILIPS
| 네덜란드 www.philips.com.cn |
| 모델번호 : HX3226HX37 가격:249元 |
2 | 오랄B/ORAL-B | 미국 www.oralb.com.cn |
| 모델번호 : D16.523 가격:339元 |
3 | 파나소닉/PANASONIC
| 일본 |
| 모델번호: EW-DM71 가격:299元 |
4 | 콜게이트/Colgate | 미국 www.colgate.com.cn |
| 모델번호:PROCLINICAL B150 가격:129元 |
5 | LEBOND
| 중국 www.lebondsonic.com |
| 모델번호:V2 가격:199元 |
6 | 시스테마/SYSTEMA | 일본 www.systema.com.cn |
| 모델번호: 声波振动牙刷电动 가격:307元 |
7 | KKC
| 중국 www.kkccare.com |
| 모델명: KL-590 가격:189元 |
8 | SAKY | 중국 www.weimeizi.com |
| 모델번호:G23 가격:269元 |
9 | SOOCAS | 중국 www.soocastech.com |
| 모델번호: X3 가격:309元 |
10 | PROORAL | 중국 www.prooral.com.cn |
| 모델번호:2032A 가격:299元 |
자료원:중국 10대 브랜드망, 티엔마오, 각 브랜드 홈페이지
(中国十大品牌网, 天猫, 各品牌网站)
2019년 3월 전동칫솔 온라인 매출 TOP10 및 시장 점유율
자료원: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ㅇ 2019년 3월 기준 전동칫솔 온라인 매출에서 외국브랜드가 시장을 주도
- 중상산업연구원에서 발표한 데이터에 의하면, 2019년 3월 기준 전동칫솔 온라인 매출 TOP10 브랜드로는 필립스(네덜란드), 오랄B(미국), SAKY(중국), USMILE(중국), JIDENG(중국), WORMS(중국). M-teeth(중국), BAIR(독일), SOOCAS(중국), SHENQIYASHUA(중국)가 있음. 그 중, 필립스의 전동칫솔이 온라인 시장 점유율 1위였으며, 이는 전체 온라인 매출의 3분의 1에 해당되는 수치임. 그 외에도, 오랄B의 전동칫솔이 2위를 차지하였으며, 시장 점유율 13.2%를 차지함. 중국브랜드는 7개가 있었으며, 7개를 합친 점유율은 22%였음.
□ 유통구조
ㅇ 중국 전동칫솔은 온라인이 주요 유통경로
- 중국 내 전동칫솔의 주요 온라인 판매 경로는 타오바오(淘宝), 티엔마오(天猫), 징동(京东), 쑤닝(苏宁), 핀둬둬(拼多多) 등임. 연예인 추천, 왕홍 방송, 위챗 공식계정 등 여러 신매체를 결합해서 진행하는 온라인 마케팅 방식이 전동칫솔 업계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음.
- 전동칫솔의 오프라인 경로는 주로 치과와 같은 구강 서비스 기관, 전동칫솔 대리점, 일반 판매점, 그리고 마트가 있음.
전동칫솔 산업체인 개황
자료원: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 관세율
ㅇ 2019년 전동칫솔(HS CODE : 8509.80.9010, 중국기준)의 MFN세율은 8%임. 한중FTA세율은 없음. 보통세율은 100%임.
2019 MFN | 2019 한중FTA | 2020 한중 FTA | 2021 한중 FTA | 보통세율 |
8% | - | - | - | 100% |
자료원:중국자유무역구서비스(中国自由贸易区服务)
□ 시사점
미국, 유럽 국가 및 중국의 전동칫솔 보급률 비교
(단위 : %)
자료원:관옌텐샤(观研天下)
ㅇ 중국의 전동칫솔 보급률은 저조하나, 향후 전망은 밝을 것으로 예상
- 전동칫솔이 미국과 유럽 국가에서는 일찍이 보편화 되었지만, 중국에서는 그렇지 않았음. 이는 중국인들의 전동칫솔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고, 구강 관리 의식이 다소 낮은데 기인함. 또한 전동칫솔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것 또한 중국 내 전동칫솔 보급률이 낮은 이유임. 하지만, 소득이 점차 증가하고, 구강 청결 의식이 대중화 되면서 전동칫솔의 보급률이 점차 상승하고 있는 추세임.
ㅇ 계속해서 개선되는 산업혁신 트렌드와 소비자 수요를 충족해야
- 소비자들이 전동칫솔의 사용 쾌적도, 조작 간편성 및 디자인 등에 대해서 높은 수준의 요구를 꾸준히 제기하면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 및 다양한 신소재가 더욱 폭넓게 사용되고 있음. 시장의 수요는 전동칫솔의 혁신을 부추겨 기술과 디자인 면에서 낙후된 제품은 시장에서 도태될 것으로 예상됨.
- KOTRA 상하이무역관에서 진행한 관옌텐샤(观研天下) 연구원과의 인터뷰에 의하면, 중국 내 판매되는 전동칫솔이 향후 제품별로 큰 차이가 없는 청결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면, 전동칫솔의 스마트화 및 개성있는 부가기능이 미래의 중국 전동칫솔 시장 경쟁에서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됨. 또한 그는 “전동칫솔은 매일 치아에 접촉되는 제품으로 인체의 치아와 구강 상태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미래에는 다양한 응용기술들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를 닦는 과정에서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여 양치 과정 및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치아와 구강문제 발견 및 조치가 필요할 때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양치 습관을 치과에 원격전송하여 기록함으로써 맞춤형 구강보건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함.
- 중국 시장 진출을 원하는 한국 기업들은 중국에서 전동칫솔 시장규모가 빠르게 발전하는 만큼 스마트한 기능을 갖춘 고품질로 개인 건강 관리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 관옌텐샤(观研天下),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중국 관세청(中国海关总署), 중국10대 브랜드망(中国十大品牌网), 티엔마오(天猫), 각 브랜드 홈페이지,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중국자유무역구서비스(中国自由贸易区服务), KOTRA 상하이무역관 자료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