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廬山謠 寄盧侍御虛舟(여산요 기노시어허주)
〈여산의 노래 시어사 노허주에게 부치다〉
李白(이백)
나는 본래 초(楚)나라 광인(狂人)
봉새노래 불러 공자(孔子)를 비웃으며
손에는 녹색 옥 지팡이를 쥐고
아침에 황학루(黃鶴樓)를 떠났다오
오악(五嶽)의 신선을 찾아 먼 길 마다않고
평생 명산에 들어가 노니길 좋아 한다네
여산은 남두성(南斗星) 옆에 우뚝 솟아있고
병풍구첩(屛風九疊)은 구름 비단이 펼쳐있는 듯
그림자 드리운 밝은 호수엔 짙푸른 산색이 빛난다
금궐암(金闕巖) 앞에는 두 봉우리가 길게 솟아 있는데
은하수가 세 개의 돌다리에 거꾸로 매달려 있고
향로봉 폭포가 저 멀리 보이고
둘러선 절벽, 겹쳐있는 봉우리는 푸른 하늘을 찌른다
푸른 산빛, 붉은 놀, 아침 햇빛이 비치니
새도 날아 못가는 오(吳) 땅의 먼 하늘이로다
산에 올라 보니 천지간의 장관이니
큰 강물은 도도히 흘러 다시 돌아오지 않는데
누런 구름 만 리에 퍼져 하늘색을 바꾸고
흰 물결 아홉 줄기 설산(雪山)을 이루며 흐른다
즐거워 여산 노래를 부르니
흥취는 바로 여산에서 일어난다
석경(石鏡)을 조용히 들여다보니 내 마음 맑아지는데
사공(謝公)의 노닐던 곳은 푸른 이끼 속에 묻혀있다
아침에 단약(丹藥)을 먹어 세속의 마음이 사라지고
금심삼첩(琴心三疊)으로 도(道)를 처음 이루니
아득히 채색구름 속 선인이 보이는데
부용꽃 손에 들고 옥경(玉京)에 조회를 하고 있다.
먼저 구천(九天) 위에서 한만(汗漫) 만날 기약했으니
노오(盧敖)를 만나 태청(太淸)에서 노니길 바라노라.
---------------------------
我本楚狂人(아본초광인), 鳳歌笑孔丘(봉가소공구).
手持綠玉杖(수지녹옥장), 朝別黃鶴樓(조별황학루).
五岳尋仙不辭遠(오악심선불사원), 一生好入名山游(일생호입명산유).
廬山秀出南斗傍(여산수출남두방), 屛風九疊雲錦張(병풍구첩운금장)
影落明湖靑黛光(영락명호청대광).
金闕前開二峰長(금궐전개이봉장). 銀河倒挂三石梁(은하도괘삼석량).
香爐瀑布遙相望(향로폭포요상망). 回崖沓嶂凌蒼蒼(회애답장능창창).
翠影紅霞映朝日(취영홍하영조일), 鳥飛不到吳天長(조비불도오천장).
登高壯觀天地間(등고장관천지간), 大江茫茫去不還(대강망망거불환).
黃雲萬里動風色(황운만리동풍색), 白波九道流雪山(백파구도류설산).
好爲廬山謠(호위려산요), 興因廬山發(흥인려산발).
閑窺石鏡淸我心(한규석경청아심), 謝公行處蒼苔沒(사공행처창태몰).
早服還丹無世情(조복환단무세정), 琴心三疊道初成(금심삼첩도초성).
遙見仙人彩雲裏(요견선인채운리), 手把芙蓉朝玉京(수파부용조옥경).
先期汗漫九垓上(선기한만구해상), 願接盧敖游太淸(원접노오유태청).
[解題] 이 시는 #이백이 여산의 경치를 찬미한 노래로서 侍御史(시어사) 노허주(盧虛舟)에게 보낸 작품이다. 여산의 수려한 모습을 仙界의 환상적 세계로 묘사하고, 여산에서 조망한 경치를 장쾌한 필치로 그려, 장계(張戒)의 《歲寒堂詩話(세한당시화)》에는, “이것이야말로 진짜 태백의 시일 것이다.[此乃眞太白詩矣]”라고 하였다. 본문의 ‘登高壯觀天地間(등고장관천지간) 大江茫茫去不還(대강망망거불환) 黃雲萬里動風色(황운만리동풍색) 白波九道流雪山(백파구도류설산)’과 같은 시구에서 이백다운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이백이 760년(59세)에 夜郞으로 추방되었다가 도중에 사면을 받고 江夏(강하:지금의 湖北省 武漢市)로 돌아온 뒤 이듬해 여산을 유람하면서 지은 시이다. 정치적 좌절에 따른 탈속적 정취가 狂人을 표방하며 공자를 비웃고, 단약과 신선을 추구하는 도가적 색채로 드러나 있다.
[通釋] 나는 본래 초(楚)나라 접여(接輿)와 같은 광인(狂人), 정치에 뜻을 둔 공자(孔子)를 봉새노래 불러 비웃으며 오늘 아침 녹옥(綠玉) 지팡이를 쥐고 황학루(黃鶴樓)를 떠났다오. 오악(五嶽)의 신선을 찾아 먼 길 마다않고, 평생 명산에 들어가 노니길 좋아 한다네.
여산은 남두성(南斗星) 옆에 우뚝 솟아있고, 병풍첩(屛風疊)은 아홉 번 굽이치며 마치 구름 비단이 펼쳐있는 듯 아름다운데, 밝은 호수 파양호(鄱陽湖)엔 여산의 그림자가 드리워 짙푸른 산색이 빛난다. 산을 오르자 금궐암(金闕巖) 앞에 향로봉(香爐峰), 쌍검봉(雙劍峰) 두 봉우리가 높게 솟아 있고, 폭포는 마치 은하수가 세 개의 돌다리에 매달려 있는 듯 쏟아지는데 저 멀리 향로봉 폭포가 보인다. 둘러선 절벽, 겹쳐있는 봉우리는 푸른 하늘을 찌르고, 푸른 산 빛, 붉은 놀, 아침 햇빛이 비추니 새도 날아 못가는 오(吳) 땅의 하늘은 멀기만 하다. 산에 오르니 천지간에 장관이 펼쳐 있으니, 큰 강물은 도도히 흘러 다시 돌아오지 않는데, 누런 구름은 만 리에 퍼져 하늘색을 바꾸고, 九江의 흰 물결 아홉 줄기는 雪山처럼 하얗게 파도를 만들며 흐른다.
내 맘이 즐거워 이 여산 노래를 부르니, 흥취는 바로 여산에서 일어난 것이라네. 石鏡山에 올라 거울처럼 모습을 비춰주는 바위를 조용히 들여다보니 내 마음 맑아지는데, 사영운(謝靈運)이 옛날에 와서 노닐던 곳은 푸른 이끼 속에 묻혀있을 뿐이다. 아침에 丹藥을 먹어 세속의 마음을 지우고, 삼단전(三丹田)에 氣를 조화롭게 하여 막 仙道가 이루어져, 아득히 먼 채색구름 속에 부용꽃을 손에 들고 天帝에게 조회하는 仙人 한 사람이 보인다. 먼저 아득한 세상 밖에서 한만선(汗漫仙)과 만날 기약을 했으니, 진나라 때의 仙人 노오(盧敖)와 같은, 노허주(盧虛舟) 그대를 만나 태청(太淸)에서 노니길 바라노라.
역주
역주1> 廬山(여산) : 지금의 江西省 九江市 남쪽에 있는 산으로, ‘匡山(광산)’, ‘廬阜(여부)’ 또는 합하여 ‘匡廬(광려)’라고 부른다.
역주2> 盧侍御虛舟(노시어허주) : 노허주는 당나라 范陽人(범양인)으로 字는 幼眞(유진)이다. 肅宗(숙종) 때 殿中侍御史(전중시어사)로 있었으므로 ‘盧侍御(노시어)’라고 한 것이다.
역주3> 楚狂人(초광인) : 춘추전국시대 초나라 사람 육통(陸通)을 지칭한다. 육통(陸通)은 황보밀(黃甫謐)의 《高士傳(고사전)》에, “字가 接輿로 초나라 昭王(소왕) 때, 정치가 혼란한 것을 보고 거짓으로 미친 척하여 관직에 나가지 않았는데, 당시 사람들이 ‘楚狂’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論語》 〈微子(미자)〉편에, “초나라 광인 接輿가 노래를 부르며 공자 곁을 지나 갔는데, ‘봉새여, 봉새여. 어찌 그 덕이 쇠하였는가. 지난 과거의 일은 간(諫)할 수 없고 오는 미래의 일은 오히려 따를 수 있으니, 그만둘지어다. 그만둘지어다. 오늘날 정사에 종사하는 자들은 위험하도다.’하였다.[楚狂接與 歌而過孔子曰 鳳兮鳳兮 何德之衰 往者不可諫 來者猶可追 已而已而 今之從政者 殆而]”라고 하였다. 이백이 초광 접여에 자신을 비유한 것이다.
역주4> 綠玉杖(녹옥장) : 仙人의 지팡이이다.
역주5> 黃鶴樓(황학루) : 호북성(湖北省) 무창현(武昌縣) 서쪽에 있는 누대이다.
역주6> 五岳(오악) : 동서남북과 중앙에 위치한 중국의 名山으로, 東의 태산(泰山), 南의 형산(衡山), 西의 화산(華山), 北의 항산(恒山), 中央의 숭산(嵩山)을 지칭한다.
역주7> 廬山秀出南斗傍(여산수출남두방) : 여산은 남두성(南斗星) 옆에 우뚝 솟아있다. ‘南斗(남두)’은 별자리 이름으로, 二十八宿(28숙주) 중의 ‘斗宿(두숙)’을 지칭한다. 옛사람들은 여산(廬山)이 있는 심양(潯陽)이 남두성 자리의 분야(分野)에 속한다고 여겼다.
역주8> 屛風九疊雲錦張(병풍구첩운금장) : ‘屛風九疊(병풍구첩)’은 여산의 ‘屛風疊(병풍첩)’을 지칭한다. 《一統志(일통지)》에, “병풍첩은 여산에 있는데, 五老峰으로부터 아래로 내려가며 아홉 번 겹쳐진 것이 마치 병풍과 같다.[屛風疊 在廬山 自五老峰而下 九疊如屛]”라고 하였다. ‘雲錦(운금)’은 구름문양을 수놓은 비단으로, 병풍첩의 모습을 비단에 비유한 것이다.
역주9> 明湖(명호) : 파양호(鄱陽湖)를 지칭한다. 중국 최대의 담수호로서 ‘彭蠡澤(팽려택)’, ‘彭澤(팽택)’ 또는 ‘彭湖(팽호)’라고도 부른다. 江西省 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강(贛江), 수수(修水), 파강(鄱江), 신강(信江), 무강(撫江) 등의 강이 이 호수를 거쳐 長江으로 들어간다.
역주10> 金闕前開二峰長(금궐전개이봉장) : 金闕(금궐)은 여산에 있는 金闕巖(금궐령)으로 石門山(석문산)이라고도 한다. 慧遠法師(혜원법사)의 〈廬山記(여산기)〉에, “서남쪽에 석문산이 있는데, 그 모습이 한 쌍의 궁궐과 같다.[西南有石門山 其形似雙闕]”라고 하였다. 두 봉우리는 향로봉(香爐峰)과 쌍검봉(雙劍峰)이다.
역주11> 銀河倒掛三石梁(은하도괘삼석량) : ‘은하’는 폭포를 비유한 것으로, 병풍첩 부근의 삼첩천(三疊泉)을 지칭한다. 청대(淸代) 양종희(楊鍾羲)의 《雪橋詩話(설교시화)》에, “현재 삼첩천은 구첩병의 왼쪽에 있는데, 물의 흐름이 세 번 꺾여서 떨어지는 것이 마치 은하수가 돌다리에 걸려있는 듯하여 이태백의 시구와 그대로 합치한다. 그러나 이곳에 따로 세 개의 돌다리가 있는 것은 아니다. 후대의 사람들이 반드시 그 곳에 가서 실증해보고자 한다면 천착에 빠지는 것이다.[今三疊泉在九疊屛之左 水勢三折而下 如銀河之掛石粱 與太白詩句正相脗合 非此別有三石梁也 後人必欲求其地以實之 失之鑿矣]”라고 하였다.
역주12> 廻(회) : ‘逈’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역주13> 吳天(오천) : 여산이 춘추시대와 삼국시대에 吳나라 지역에 있었기 때문에 이 일대를 ‘吳天’이라 한 것이다.
역주14> 黃雲萬里動風色(황운만리동풍색) : ‘風色(풍색)’은 天色(천색) 또는 天氣(천기)를 뜻한다. 어두운 구름이 만 리 하늘에 펼쳐지며 하늘의 빛이 변하는 모습을 형용한 것이다.
역주15> 白波九道流雪山(백파구도류설산) : 九道는 구강(九江)을 지칭한다. 《尙書(상서)》 〈禹貢(우공)〉의 공안국주(孔安國注)에, “江이 이 州에서 경계가 나뉘어 九道가 된다.[江於此州 界分爲九道]”라고 하였다. 雪山은 강물이 흰 포말을 일으키며 용솟음치는 것을 눈 덮인 산이 솟아 있는 것에 비유한 것이다.
역주16> 石鏡(석경) : 거울같은 바위라는 뜻이다. 장승요(張僧繇)의 〈潯陽記(심양기)〉에, “石鏡山 동쪽에 둥근 바위 하나가 절벽에 붙어있는데, 밝고 깨끗하여 사람을 비추면 미세한 것도 살펴볼 수 있다.[石鏡山東一圓石懸崖 明净照人 微細必察]”라고 하였다.
역주17> 謝公(사공) : 사영운(謝靈運)을 지칭한다. 사영운의 시 중에는 〈登廬山絶頂望諸嶠(등여산절정망제교)〉라는 시가 있고, 〈入彭蠡湖口(입팽려호구)〉에서는, “절벽을 더위잡고 올라가 석경을 비춰 보네.[攀崖照石鏡]”라는 시구가 있는 것으로 보아, 사영운이 여산을 유람하며 석경에 오른 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역주18> 還丹(환단) : 丹藥(단약)을 지칭한다. 《廣宏明集(광굉명집)》에, “丹砂(단사)를 태워 水銀을 만들고, 수은을 되돌려 丹砂(단사)를 만들기 때문에 還丹(환단)이라고 한다.[燒丹成水銀 還水銀成丹 故曰還丹]”라고 하였다.
역주19> 琴心三疊(금심삼첩) : 道家의 수련법으로, 氣를 和하게 하여 축적(蓄積)하는 것을 뜻한다. 《黃庭內景經(황정내경경)》에, “琴은 和이고, 疊은 積이다. 三丹田을 보존하여 和하게 하여 축적하기를 한결같게 하는 것이다.[琴 和也 疊 積也 存三丹田 使和積如一]”라고 하였다. 三丹田은 도가에서 말하는 세 곳의 단전으로, 두 눈썹 사이의 上丹田, 심장의 中丹田, 배꼽 아래의 下丹田이다.
역주20> 玉京(옥경) : 天宮(천궁)을 뜻한다. 도교의 전설에 天帝가 거처하는 곳이라 한다.
역주21> 先期汗漫九垓上(선기한만구해상) : 《淮南子(회남자)》 〈道應訓(도응훈)〉편에, 盧敖(노오)가 북해(北海)를 유람하다가 용모가 고괴(古怪)한 선비를 만나 같이 북양(北陽)을 유람하자고 청하니 그 선비가 “나는 구해지외(九垓之外)에서 한만(汗漫)과 만나기로 기약했으니 오래 머물 수 없다.”고 말하며 구름 속으로 솟아올랐다는 이야기가 있다. 고유(高誘)의 注에, “한만(汗漫)은 알 수 없는 것이다.[汗漫 不可知之也]”라고 하였듯이 汗漫의 의미는 분명하지 않으나, 전설 속 신선을 지칭한 것으로 보기도 하고 광대하여 무궁무진함을 뜻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九垓(구해)’는 ‘九重之天(구중지천)’을 뜻한다. 《文選》에서 九垓에 대한 李善의 注에, “垓는 重(겹)의 뜻이다.[垓 重也]”라고 하였다.
역주22> 願接盧敖游太淸(원접노오유태청) : 盧敖(노오)는 전국시대 연(燕)나라 사람으로 진시황제가 신선을 찾도록 보냈으므로, 후대에 신선으로 칭하기도 하였다. 여기서는 《淮南子(회남자)》의 典故를 反用하여 古怪한 선비를 이백 자신에 비유하고, 盧敖를 盧虛舟(노허주)에 비유했다. 太淸(태청)은 가장 높은 하늘을 뜻한다. 道家에서는 하늘을 세 곳으로 나눠 玉淸, 上淸, 太淸이라 하는데, 이 중에 太淸이 가장 높은 곳이라고 한다.
본 자료의 원문 및 번역은 전통문화연구회의 동양고전종합DB(http://db.juntong.or.kr)에서
인용된 내용입니다.
--------------------
<여산폭포>
廬山(여산) : 중국 장시성 주장시에 있는 명산이다. 루산자연공원으로서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어 있다. 정식 명칭은 《루산국가급풍경명승구》(중국어: 庐山国家风景名胜区)이다. 1982년 국무원에 의해 국가중점풍경명승구로 지정되었고, 1996년에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자연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루 산은 장강과 포양 호에 이어지고,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뻗은 산맥 중 최고봉은 1,474m의 한양 봉(汉阳峰)이다. 산의 면적은 282㎢이며, 전체 풍경구는 302㎢에 이른다. 동쪽으로 포양호 있고, 남쪽은 등왕각을 바라보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양자강에 닿는다.
루 산은 모간 산(莫干山), 베이다이허(北戴河), 지궁 산(鸡公山)과 더불어 중국 사대 피서명승지로 손꼽히기도 한다.
예부터 명승으로서 알려져 동진의 전원시인으로 구강 사람인 도연명의 「음주 20수」 5장에 "국화를 채집하는 동리 아래에서 너그러이 남산을 본다."라고 묘사된 것을 비롯해 이백, 백거이 등 수많은 시인묵객들에게 소재가 되고 있다.
불교의 성산으로 예부터 유명하고, 옛날에는 후한의 안세고가 거주한 것으로 알려졌고, 동진의 혜원이 거주한 동림사도 유명하다. 혜원은 384년 태원 9년에 이곳으로 와서 일생 동안 산 밖으로 나오지 않겠다고 맹세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것과 관련된 《호계삼소》의 설화의 무대도 이 산이다. 또 혜원은 백련을 키워, 그 백련과 관련된 《백련사》라고 불리는 염불 결사를 결성하여 중국의 정토종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다.<위키백과>
------------------
五岳(오악) : 동서남북과 중앙에 위치한 중국의 名山으로, 東의 태산(泰山), 南의 형산(衡山), 西의 화산(華山), 北의 항산(恒山), 中央의 숭산(嵩山)을 지칭한다.
다섯 방위에 따라 다음 산이 있다.
동쪽 — 동악태산(東岳泰山, 산둥 성, 1545 m)
서쪽 — 서악화산(西岳華山, 산시 성 (섬서성), 1997 m)
남쪽 — 남악형산(南岳衡山, 후난 성, 1290 m)
북쪽 — 북악항산(北岳恒山, 산시 성 (산서성), 2017 m)
중앙 — 중악숭산(中岳嵩山, 허난 성, 1494 m)
<위키백과>
<형산>
---------------------------
<참고 : 고문진보 및 당시삼백수 여산(廬山) 관련 시>
고문진보 150.여산(驪山) - 蘇軾(소식:소동파)
고문진보 181.여산고(廬山高) - 歐陽修(구양수)
당시삼백수 53.여산요 기노시어허주(廬山謠 寄盧侍御虛舟) - 李白(이백)
전당시(全唐詩) 卷180 망여산폭포수2수(望廬山瀑布水二首) - 李白(이백)
[원문]
廬山謠寄盧侍御虛舟
我本楚狂人,鳳歌笑孔丘。
手持綠玉杖,朝別黃鶴樓。
五嶽尋仙不辭遠,一生好入名山遊。
廬山秀出南斗傍,屏風九疊雲錦張,影落明湖青黛光。
金闕前開二峰長,銀河倒挂三石梁。
香爐瀑布遙相望,迴厓沓嶂凌蒼蒼。
翠影紅霞映朝日,鳥飛不到吳天長。
登高壯觀天地間,大江茫茫去不還。
黃雲萬里動風色,白波九道流雪山。
好爲廬山謠,興因廬山發。
閑窺石鏡清我心,謝公行處蒼苔沒。
早服還丹無世情,琴心三疊道初成。
遙見仙人綵雲裏,手把芙蓉朝玉京。
先期汗漫九垓上,願接盧敖遊太清。
<維基文庫,自由的圖書館>
----------------------------
[출처] [당시삼백수]여산요 기노시어허주(廬山謠 寄盧侍御虛舟)-이백(李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