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우리 나라 뿐만아니라 서양에서까지도 널리 보급이 되고, 붐이 일어나서 너도 나도 참선을 하려고 하고, 또 알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지 만은 참선은 두가지 경향이 있읍니다. 하나는 - 살 활자 글귀 구자 - 활구참선(活句參禪)이고, 또 하나는 - 죽을 사자 글귀 구자 - 사구참선(死句參禪)입니다. 사구 참선은 무엇이냐?
참선을 하되,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지고,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하는 그런 참선, 공안 또는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 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런 참선, 그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활구참선은 선지식으로부터 공안 하나를 받 아서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만 알 수 없는 의심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활구참선은 당장 처음 시작할 때부터 꽉막혀서 뒤를 돌아봐도 꽉막히고, 왼쪽 오른쪽을 둘러봐도 꽉막혀서 한걸음도 나아갈래야 나아갈수 없는 상 태로 지어가되, 한걸음도 옮기지 아니하고 바로 참 나를 깨닫는 길인 것입니다.
물질문명이 차츰 발달해감에 따라서 사람들은 점점 약아져서 힘을 적게 들이고 쉽게 목적한 바에 도달하려는 생각들을 많이하 게 됩니다. 참선은 어떤 사람이라도 그런 약은 생각을 가지고는 되지않는 것입니다. 처음부터 바보가 되어가지고, 다만 목적지 에 도달하기 위해서 자기의 온갖 지식,
상식을 다 내버리고 백지 상태로부터 공부를 지어가야 하는 것입니다. 세상의 모든 공부 는 보고 듣고 생각하고 연구하고 해감에 따라서 차츰 무엇인가 얻어지는 바가 있어야만 되지만, 이 참선공부는 이미 알고 있는 모든 것을 다 놓아버리고 하는 것입니다.
일시에 다 버릴수 있다면 그 사람은 그 만큼 공부에 빨리 힘을 얻게되는 것이고, 미련 때문에 버리지를 못하고 그런 생각을 가지고 하는 사람은 그만큼 늦어지는 것입니다.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하는 것 입니다. 활구참선을 하려면 그동안에 자기가 알고 있는 모든것 - 불교에 관한 것이건, 부처님의 말씀이나 조사의 말씀까지도 - 전부를 다 놓아 버려야 합니다. 그리고 다만 바보가 되어서 하라는 대로만 해나가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