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혈증 증상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질환은 다양한 형태로 혈관 내로 침투를 한 세균이 증식하여 온몸에 심각한 염증 일으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체온이 38도 넘게 오르거나 36도 이하로 떨어지는 현상이 반복되어 생기고 호흡수는 분당 24회 이상으로 늘어나고 백혈구 수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등의 2가지 이상 증세일 때 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증후군이 미생물,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이라면 패혈증 이라고 진단을 내리게 됩니다

* 패혈증 원인
주 요인은 우리 인체 모든 장기에 의한 대장균, 그람음성균, 녹농균, 클렙시엘라균 등에 의한 감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폐렴 비롯하여 신우신염, 담낭염, 담도염, 복막염 등의 질병이 생긴 경우 혈액 내로 미생물 침투하는 작용 기전도 주된 요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패혈증 증상
문제가 나타나게 되면 신체는 독소 의해 여러 가지 방어 기전이 생기게 됩니다.
이때 발생하는 주요 현상은 심박동이 빨라지고 이와 함께 호흡 기능이 급격하게 떨어져 숨을 쉬는 것이 곤란해질 수 있습니다.
저산소증으로 인해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이 생겨날 수 있습니다.
또 구토와 장 마비, 설사 등의 소화 관련 문제가 발현될 수 있고 극심한 스트레스가 겹친다면 소화기 출혈도 생길 수 있습니다
증세가 더욱 악화되면 혈압 저하 때문에 소변량이 감소하고 혈당 저하로 인하여 급격한 대사 변화, 출혈, 발진, 신체 말단으로 공급되는 피의 양이 감소해 피부가 퍼렇게 보이거나 부분적인 괴사 때문에 피부병변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뿐 아니라 정신착란 등의 신경학적인 장애도 패혈증 있을 때 생겨나는 것 중 하나에 속합니다
패혈증 증상 초기는 감기와 유사하여 헷갈리기 쉬운데 질환 심각도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여 조치 시기가 늦어질 때가 많습니다.
늦어진다면 원인균, 염증 반응이 피를 통하여 모든 장기로 퍼지게 됩니다.
이때 빨리 제거하지 못한다면 전신으로 확산되고 혈류 장애로 인하여 주요 부위에 손상을 가할 수 있습니다
쇼크 발생 위험률이 커지고 목숨을 위협할 만큼 치명적인 결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자가 치료는 힘들고 발병하고 나서 짧은 기간 내에 목숨을 잃을 위험이 높으니 조금이라도 의심되는 신호가 있다면 신속하게 병원에 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패혈증 치료
혈액, 소변, 배양 검사를 실시하여 정확하게 확인을 합니다.
진단된 결과 따라 항생제, 항진균제 사용을 합니다.
균의 종류, 뇌막염 유무 따라 보통 1~3주 정도 기간을 둡니다.
내성균에 의한 것이라면 격리를 고려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숨을 쉴 때 불안정하다거나 다발성 장기 부전 악화되었다면 중환자실에서 집중 치료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혈압 상태 따라 수액 요법, 폐 기능이 손상되었다면 인공호흡기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콩팥 피해 정도에 따라 혈액 투석도 시행합니다
초기에 적절한 보존적인 처리 받는다면 완치될 확률이 높지만 화농성 관절염이 합병증으로 생긴 경우 뼈, 관절 성장 트러블 나타날 수 있고 뇌막염 같은 합병증이 생겼을 때는 신경학적 후유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패혈증 원인 관련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궁금했던 사항이었다면 이번 기회를 통해 잘 알아두도록 합시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도록 하고 이만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https://blog.naver.com/holy0426/223015233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