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자연꿀동호회
카페 가입하기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꿀벌아저씨
    2. 성주(대구)
    3. 성거산
    4. 산바람
    5. 일벌
    1. 청담
    2. 온주
    3. 곰티(합천)
    4. 즐거운
    5. 송정원( 충남홍성..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상엽태림
    2. 임수동
    3. 하리케인
    4. 땡칠이
    5. 다온
    1. ds이상옥
    2. 삶의 향기
    3. 김형호s
    4. 장승익s
    5. 하나양봉원 최부장
 
카페 게시글
질문 있어요 숙성꿀 생산량은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요?
beebaritone(비바리톤) 추천 0 조회 228 24.06.10 16:29 댓글 1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4.06.10 17:12

    첫댓글 이정도 숙성꿀은
    3대 보약에 들어갑니다
    계속 올리세요
    밤꽃 끝나고 한 번
    채밀하세요 8만원이
    기본입니다 ,
    사회에 공헌 하신다고
    생각하시고 사명감을 가지고 하시기 바랍니다

  • 작성자 24.06.11 11:14

    저는 꾸준한 홍보로 1.2kg 5만원에 내놓고 있습니다.

  • 24.06.11 05:08

    저는 토종꿀과 석청 목청 맛을 보았습니다.
    꿀벌의 효소가 꿀의 신비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고부터
    벌통 속에서 꿀벌에게 오래 맡긴 꿀이 신비롭다는 걸 신념처럼 갖고 있습니다.
    꿀샘식물이 많으연 생산도 많게 됩니다.

  • 작성자 24.06.11 11:14

    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 24.06.11 05:16

    저도 숙성꿀을 고집합니다 가격을 따지자면 말할수 없지만 2.4k 1병에 10만원은 받아야 하는데 사람들은 모르지요

  • 24.06.11 08:43

    윤사장님은 2.4Kg 한병에 얼마 받으시는지요?
    저는 아름으로만 8만원 받다가 올해는 9만원으로 올렸습니다.

  • 작성자 24.06.11 11:13

    일단 1.2kg 5만원 2.4kg 10만원이 일반적 추세인거 같군요
    사실 저는 그보다 더한 값어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24.06.12 04:02

    저도
    아카시아 숙성꿀
    채밀 하느라 애 먹었고
    꿀을 많이 남겨 놓았더니
    산란 잘 하고 있습니다.
    야생화는 안 뜨고
    밤꿀 마지막에 한번만 뜨려구요.

  • 24.07.01 04:43

    꿀 어릴적 할머니 토종꿀을 먹어보고 귀향 후
    우연히 2014년 토봉값이 치솟는 상황
    지인의 권유로 양봉공부 시작 벌통에 온도계를
    넣고 3년간 주변과 온라인 서핑 자료를 취합
    일주~10일 단위 관리 기법을 홀로 터득
    벌 생태,환경과 기후,밀원식물,방제자료 수집
    꿀,화분,프로폴리스,로얄제리,밀랍 효용성 공부 후 첫해 두군으로 5월말,6월중순,7월초순 밤꿀을 채취해 경제성 판단 병당 2.4kg 5만원 판매 022년 부터 병당 7만원 1.2kg 4만원 봉개 3/1정도 되고 수분 중앙봉판 밀개 안된부분 18%수분 채밀하면 아까시 찔레 등 1회 보름 후 잡화 1회 6월 말 밤+헛개 채밀 후 분봉 문제는
    사양꿀 3만원 내외 판매와 5만원대 대부분 꿀 판매 물량이 농축으로 나오니 보름이상 숙성꿀
    7만원~10만원 꿀의 내용 즉 진가를 모르면
    이상한 사람 취급을 받습니다
    저는 지인과 신의로 맺어진 인맥 그리고
    공부한 지식으로 설명하여 포도당화 된 꿀까지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값 인상 후 주춤하든 매출이 5만원대 판매수량 70%까지 회복세
    사실은 보름 정도면 저의 사견으로 숙성이 어느정도 되었지 않나 사료됨니다, 몇군을 7월 초까지 둔것보다 보름~20일 벌통 숙성이 사견임.

  • 24.07.01 05:05

    저 개인적 으로 일의 효율,품질,경제성 측면에서
    적당하지 않나 싶습니다, 그리고 양봉장 생태 환경관리, 위생관리, 밀원수 식재, 방제 효율성
    새삼 외부 소비자들이 보는 관점을 잘 생각하고
    벌과 꿀에대한 생태적 설명을 충분히 소비자님들께 어필할수있는 지식과 위생적 환경을 갖추는 양봉인으로 거듭나야 양봉의 미래가 보장되지않나 싶습니다._((()))_

  • 24.07.01 05:18

    저가 양봉 기초자료 수집차 둘러본 봉장의
    위생적 주변환경 채밀기 관리 등,방제방법과 약제사용 2014년~3년정도 초보가 본 실태는
    저가 소비자 라면 눈뜨고는 볼수없는 광경
    특히 주변환경과 약제방제 기본이 제일 문제점으로 저 자신 그점에 주력하다 보니 이제는
    365일 꽃이 피고, 겨울도 꽃이피는 봉장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양봉인의 미래를 위하여~~~^^♡입니다._((()))_

  • 24.07.01 05:23

    동지,섣달에 피는 꽃
    臘梅(납매) 12월 개화시작 오래가면 2월 말 까지 피죠~^^♡

  • 24.07.01 05:55

    섣달에 피는 꽃 복수초
    양력 1월 20일 전,후 개화
    첫 봉오리 개화기에 봄벌 시작합니다 자연의 시계 정확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