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엔토마이크로바이오텍 클리너
(Entomicrobiotech cleaners)
엔토마이크로바이오텍 클리너란
미생물 공학을 통해 오염 문제를 해결하는 이들을
말합니다. 이들은 쓰레기를 치우기 위해
박테리아와 곤충을 이용합니다.
플라스틱을 비롯한 썩지 않는 쓰레기들은
이미 전 세계적인 문제가 됐죠.
미생물 음식물처리기처럼 플라스틱을
완전히 분해할 수 있는 새로운 박테리아가 발견된다면
지구를 더 깨끗한 곳으로 만들 수 있을 겁니다.
2. 홍수 조절 엔지니어
(Flood control engineer)
지난 7월 역대 처음으로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이 전무했던 반면 한달여 사이에 4개의 태풍이
한반도 주변 혹은 우리나라를 지나갔는데요.
평균 해수면이 상승하고 매년 강력한 대풍이 상륙하고 있습니다.
물 관리 전략은 이렇게 급변하는 수량 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스마트 시티에서는 홍수 조절 엔지니어들이
빗물이 가정으로 흘러가게 되는 모든 과정을 통제하고,
예기치 못한 기상 상황의 영향을 완화시킵니다.
3. 통합 생태복원 작업자
(Integrated ecology restoration worker)
자연환경을 파괴하기는 쉽지만 복원하기는 어렵죠.
통합 생태복원 작업자들은 농약, 플라스틱,
단일 작물 재배나 산업화처럼 여러 가지 이유로
파괴된 환경을 복원하는 일을 합니다.
식물과 동물의 건강한 서식지를 다시 살려 내고,
유전학자와 협력해 멸종 위기 종의
개체 수를 늘리는 것이죠.
출처 : 홈런 네이버 블로그, 학부모가 꼭 알아야 할 미래직업 가이드 : 환경직업, https://blog.naver.com/sigongedu/222089012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