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치러진 대통령선거 일부 지역구의 개표 과정에서 기표용지를 자동 분류하는 투표지분류기(이하 전자개표기)오작동으로 후보자 득표수가 잘못 집계돼 검표과정에서 수정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는 일부 시민단체 등이 대선 후 전자개표기 조작이 있었다는 의혹을 끊임없이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라 향후 큰 파장이 예상된다. |  | | ▲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화면 |
29일 <뉴시스>에 따르면 ‘제18대 대통령선거 목3동 제4투표구’ 개표상황표에서 전자개표기를 통한 자동 분류 결과 전체 유효투표수 2629표 가운데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1083표, 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1530표를 각각 얻은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심사·집계부 개표를 거치자 이 집계 결과는 박근혜 후보 1169표, 문재인 후보 1445표 등으로 최종 집계됐다. 유효투표수도 2629표에서 2630표로 정정됐다. 결과적으로 박 후보가 86표 늘었고, 문 후보는 85표가 줄어들었다고 <뉴시스>는 보도했다. 근처 ‘신정7동 제1투표구’ 개표상황표에서도 똑같은 오류가 발견됐다. 전재개표기에 따르면 유효투표수 2183표 가운데 박근혜 후보가 1099표, 문재인 후보가 1073표로 기록됐지만 실제 검표에서는 박 후보가 1097표, 문 후보가 1091표를 각각 얻은 것으로 집계됐다. 강지원 후보가 얻은 6표도 4표로 수정됐다. 신정7동에서는 실제 검표 결과 박 후보는 2표 줄어든 반면, 문 후보는 18표가 늘어난 것이다. 이밖에도 목1동·신정2·3·4·6동·신월1·4·5동 등 양천구에서만 전체 107개 투표구중 14개 투표구에서 전자개표기 결과와 심사·집계부 개표결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 100여표 이상이 잘못 분류됐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대해 중앙선관위는 양천구에서의 투표지분류기 오분류 사실을 부분적으로 인정했다. 하지만 검표 절차를 거쳐 이를 바로잡았기 때문에 실제 투표결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뉴시스>에 “확인해 본 결과 양천구 9군데 투표구에서 불일치한 것으로 나왔다”며 “기계적인 오류가 아니라 운영상의 오류다. 운영사무관이 잼(종이걸림 현상) 처리 과정에서 실수를 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고 해명했다. 중앙선관위의 이같은 해명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드러난 전자개표기 파장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개표에 이은 검표 과정이 부실했을 경우 실제 득표수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대선 이후 일부 시민단체들이 전자재표기 결과 조작을 통한 부정선거를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선 한 달 전인 지난해 11월 “기계 오류로 당선인이 뒤바뀔 수 있는 위험을 감수하면서 전자개표기를 불법 사용하고 있다”는 이유로 ‘전자개표기’를 사용하지 말라는 가처분 신청이 중앙선관위를 상대로 서울중앙지법에 접수되기도 했다. 네티즌들도 “내 소중한 한 표 되돌려놔!!”(thd****) “부정선거 맞네. 개표 때 오류없었다며”(cco****), “여기저기 선거부정이 안 일어난 곳이 없네. 투표소마다 열장씩만 바뀌어도 당락이 갈린다. 부정선거가 대대적으로 이루어졌단 말인가”(dnw****), “이렇게까지 할 줄은 몰랐다. 대단하다”(son****)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