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이란 부처의 설법을 담은 불교 경을 가리키는 말로 ‘법화경’ ‘화엄경’ 등과 같이 경(經)자가 붙은 경장에 들어 있는 모든 경을 말합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그 의미가 점점 확대되어 경장의 경전뿐 아니라 율장에 속하는 율서와 논장에 속하는 논서, 그 외에 후대 불교도의 저술, 불교의 역사, 전기서, 기타 불교에 관계 있는 일체의 저술 즉, 불교사상이 담긴 책들 모두를 경전이라 부릅니다.
대장경(大藏經)
대장경은 경.율.논 삼장이나 여러 고승의 저서 등을 모은 총서를 말한다. 달리 '일체경(一切經)'이라고도 한다. 오늘날 범어(산스크리트어) 원전의 대장경은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지는 않으나, 팔리어 원전과 주로 범어로부터 역출한 한역.티벳역, 다시 티벳역으로부터 중역한 몽고역.만주역 등의 대장경은 대체로 완전한 형태로 현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장경이라 함은 크게 세 종류로 나뉜다. 첫째로는 가장 먼저 이뤄진 것으로 '팔리어 삼장'을 들 수 있다. 이는 초기 불교의 성전으로 부처님이 설한 가르침(經藏)과 계율(律藏) 그리고 제자들이 교법에 대해 연구한 것(論藏)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율론 삼장은 모두 부파불교시대 및 그 이전에 성립된 것으로서 대승경전을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은 점이 특색이다. 두번째로 들 수 있는 총서가 '티벳대장경'이다. 티벳어로 번역된 불전의 집성을 뜻한다. 후기 인도불교의 경론이 거의 티벳어 번역으로만 남아 있고, 특히 충실한 직역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범어 원전의 복원은 물론 불교연구에 있어서도 필수적인 자료가 되고 있다.
현재 동국대에 달라이라마가 기증한 전질이 보관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대장경이라고 인식되어 있는 것은 '한역대장경'이다. 중국에서 번역된 경전이나 논서를 중심으로 중국 불교학자들의 저작들도 포함하여 편집한 것으로서, 대.소승의 경율론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2세기 이후 1천여 년에 걸쳐 진행된 번역에도 불구하고 원래의 형태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을 뿐 아니라, '팔리어 삼장'이나 '티벳대장경'에 없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학계에서는 불교연구의 제1자료로 삼고 있다.
또한 불교를 사상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한역의 경론을 참고하지 않을 수 없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오늘날에 있어서는 한역대장경 중 교정이 정밀하고 판목과 문자가 호화로운 것으로 우리나라의 '고려대장경(팔만대장경)'과 이를 저본으로 하면서도 독자적인 분류로써 경전을 배열한 일본의 '대정신수대장경'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한글판으로는 '한글대장경'이 동국대 역경원에 의해 2001년 이면 전체 318권이 완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