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두 참구하는법
무릇 수행하는 일이 적은 일이겠는가.
잘 먹고, 잘 입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성불(成佛)하여
살고 죽는 것을 면하고자 하는 것이니, 성불하려면 자기(自己)마음을참구하여 찾아보아야 하는 것이다.
자기 마음을 찾으려면 몸뚱이는 송장으로 알고
세상일이 좋으나 좋지 않으나 모두가 꿈임을 알고,
사람 죽는다는 것이 아침이슬과 같아
아침에 있다가 저녁에 가는 줄 알고, 죽으면 지옥에도 가고,
짐승도 되고, 귀신도 되며, 한없는 고통을 받는 줄 생각하여
세상만사 다 잊어버리고 항상 자기 마음을 궁구하되,
선지식으로부터 간택 받은 화두를 의심을 내어 참구하되,
읽어버린 물건 찾듯, 고양이가 쥐 잡듯이 하며, 닭이 알을 품듯 하며,
늙은 쥐가 쌀 궤짝 좇듯 하여 항상 마음을 한 군데 두어 궁구하되
행주좌와 어묵동정간에 잊어버리지 말고,
의심하여 나가되 일을 하더라도 의심을 놓지 말고,
그저 있을 때라도 의심하여 지성으로 하여가면
필경에는 내 마음인 자성(법계성품)을 몰록 깨달을 때가 있으리니
부디 신심과 분심을 내어 공부(의심) 하여야 하는 것이다.
무릇 사람되기 어렵고, 사람되어도 수행하기 어렵고, 수행을 하되 부처님의 바른 법 만나기 어려운 것임을 깊이 명심하여야 할 것이다.
옛날 권선사라는 스님같은 이는 공부를 하다가 해가 질 때면
다리를 뻗고 울며,
"오늘 해도 공연히 지내고 마음을 깨닫지 못하였다”고 탄식하였다
하는 것을 깊이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
예전에 동산스님이 글을 지어 이르기를,
"거룩하다는 이름도 구하지 말고, 재물도 구하지 말고
그럭저럭 인연을 따라 지내면서 옷은 떨어지면 거듭거듭 기워 입고,
양식은 없거든 가끔가끔 구하여 먹을지어다.
턱밑에 세 마디 기운이 끊어지면 문득 송장이요,
죽은 뒤에는 헛 이름 뿐이로다.
항상 허황한 몸이 몇 일이나 살 것인데 쓸데없는 일을 하느라고
내 마음을 캄캄하게 하여 공부하기를 잊어버리라” 하셨다.
내 마음을 깨달은 후에 항상 그 마음을 보존하여 깨끗이 하고 고요히 하여 세상에 물들지 않고 나아가면 한없이 좋은 일이 너무도 많을 것이니,부디 깊이 믿고 닦아나가면 죽을 적에도 죽음에 끄달려 가지 않고, 내 임의대로 할 것이며, 마음대로 극락세계에도 가고 가고싶은 데로 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오조 홍인대사 말씀에,
"맹세하시되 너희가 내 말을 믿지 않으면 세세생생에 호랑이에게
죽을 것이요, 내가 만약 너희를 속인다면 후세에 지옥에 떨어지리라”
하시었으니, 이런 말씀 듣고 어찌 믿지 아니하리요.
공부하는 사람이 마음 움직이지 않기를 산과 같이 하고
마음 넓게 쓰기를 허공과 같이 하고,
지혜로 불법 생각하기를 해와 달 같이 하여 다른 사람이 잘하고, 잘못하는 것을 내 마음으로 분별하여 참견말고,
좋은 일을 당하든지, 좋지 아니한 일을 당하든지 마음을 편안히 하며, 무심히 가져서 화두 들어 의심하기를 남이 볼 때 숙맥같이 지내고, 바보같이 지내며, 벙어리같이, 소경같이, 어린아이같이 지내면 마음에
절로 망상이 없어 지게 되는 것이다.
설사 세상일을 똑똑히 분별하더라도
비유컨대 똥덩이를 가지고 음식 만들려는 것과 같고,
진흙 가지고 흰옥을 만들려는 것과 같아서
성불하여 마음 닦는데 도무지 쓸데없는 것들이니,
부디 세상일을 가리려고 시비하지 말라.
다른 사람 죽는 것을 내 몸과 같이 생각하여
내 몸은 항상 튼튼할 것으로 믿지 말고, 절대로 마음 찾아 깨우치기를 놓지 말라.
한결같이 화두를 들어 의심하여 보고, 의심하여 가되,
간절히 생각하기를 배고픈 사람이 밥 생각하듯
잃어버린 물건 찾듯 하여 잊지 말고 간절히하라.
부처님이 말씀하시기를
"일체 세상일이 다 허망하다 하시고, 중생의 모든 하는 일이 다 나고,죽는 법이라 오직 제 마음을 깨달아야 진실한 법이라” 하셨다.
부처님 말씀에 “한번 진심을 내면 백만 가지 죄가 생긴다” 하셨으니
첫째 화내는 마음을 끊으라.
예전 스님네 말씀에 “화내는 마음은 호랑이와 뱀과 벌과 같이
독한 것이 되고 가벼운 마음은 나비와 새가 되고,
좀스러운 마음은 개미와 모기 같은 것이 되고,
탐심 내는 마음은 배고파 우는 귀신이 되고,
탐심과 화내는 마음이 많고 크면 지옥으로 가고,
일체 마음이 모든 여러 가지 것이 되어가나,
일체 여러 가지 마음이 일지 않으면 부처가 되리라” 하셨다.
착한 마음도 어리석으면 지옥이나 축생이 되는 것이니,
일체 마음(분별심)을 없애면 다른 데로 갈 것 없고,
마음이 깨끗하여 혼곤하지 아니하면 캄캄한 데로 가지 아니하니,
고요하고 깨끗한 마음이 부처님이 되어 가는 길이다.
내 마음을 항상 의심하여 궁구하면 자연히
고요하고 깨끗하여 지는 것이다.
화두의심이 간절하여 일체가 끊어질 때 고요하고 깨끗하여
절로 마음을 보아 깨달아서(證悟) 부처를 이룸에
돌아가지 아니하고 곧게 가는 길이니 이렇게 하여 가도록하라.
이 법문을 가끔 보고, 읽어 남에게 일러주면
팔만대장경을 본 덕과 같고, 그대로 공부하면 일생에 성불할 것이다.
산은 깊고 물은 흐르고,
각색초목은 휘어져 있어 이상한 새소리는 사면에 울고 적적하여
세상사람은 오지 않는데 고요히 앉아 내 마음을 궁구하니
내게 있는 내 마음이 부처가 아니면 무엇인가?
공부를 지어감에 마음을 너무 급히 쓰면
신병(상기병)이 날수 있으므로,
마음을 가라앉혀 편안히 간절하게 참구하여 가도록 하라.
오로지 간절하게360골절(骨節)과 84,000모공(毛空)의 전신으로
의문을 일으켜 사량분별과 악지악각(惡知惡覺)의 번뇌 망상을
던져 버리고 평생의 기력(氣力)을 다해 오로지 공안을 잡아야 한다.
화두 하나를 의심하여 부처가 오면 부처를 치고, 보살이 오면 보살을 치며, 밝음이 오면 밝음으로 치고, 어둠이 오면 어둠으로 쳐 의문을 일으키되 의심하는 나와 의심되어지는 화두가 둘이 아닌 큰 의문 덩어리(大疑団)가 현전(現前)하게 되면, 나와 우주 전체가 의문의 덩어리가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의심하는 나와 의심되어지는 화두가 온전히 하나 되어,
하나 되었다는 것마저 없어지는 가운데서 화두 공부의 묘미와 비결이 있는 것이다.
절대 공(空)한 것까지 훌쩍 뛰어넘어 버릴 때
대아(大我: 眞我)의 세계가 열리는 것이니,
마치 죽간(竹間)에 들어간 쥐가 앞으로 나아갈 수도
물러설 수도 없는 곳에 이르는 것같이
화두의단 가운데 은산철벽에 이르러 한번 크게 죽고
다시 크게 되살아나야 하는 것이다.
화두를 들고 의심하되 좌선(坐禪)할 때뿐만 아니라
행주좌와 어느곳 어느 때나 잊어버린 귀한 물건을 찾듯
끊임없이 집중하여 의심하되,
능동적(能動的)에서 수동적(受動的) 경지가 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사량분별의 사고(思考)의 세계를 벗어나야 하는 것이다.
화두를 의심하는 가운데 번뇌 망상이 생기면 그것을 쫓으려 하면
그것 또한 망상이 되는 것이다.
세간의 법뿐 아니라 마음을 궁구하는 일 이외에는
불법 안의 온갖 좋은 일 부처님의 말씀 까지도 모두가
딴 생각(別念, 잡념, 망념)이기 때문이다.
參學에는 화두말 가운데서 의심할뿐 어떤 현란한 말씀도 진리도
불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장황한 설명으로 법리를 내세울것도 없는 것이다.
불법은 참으로 간단명료하다는 것을 명심하고
아는것들로써 대비 대입하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그저 아무것도 모르는 가운데
화두의 뜻을 알려고 의심을 깊이 하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화두의 뜻을 알려고 간절하게 의심하는 思惟(一心으로 그것만을
알려고 의심하면 선定으로 들게됨)가 참선 參究요,
思量 計較(巧)는
아는것으로 맞춰 들어가는것의 차이임을 알기 바란다.
이렇게 사량하는 공부는 병든 공부요,
잘못하는 轉到된 공부라 하는것이다.
오로지 화두를 들어 반성하고 한가지로 깊이 의심하여
회광반조(廻光返照, 한 생각 일어난 곳을 돌이켜 살피는 것)하면
통발의 밑통이 빠지듯 하는 것이다,
이때가 오도(悟道)하는 찰나이며 일컬어 大悟見性이라 한다.
공부를 하다보면 여러가지 경계를 보게 되기도 하는데,
이는 어디까지나 선(禪)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환희경계(歡喜境界)의 증세이다.
경에 이르기를 변마(辯魔;幻魔)라 했으니
이에 집착하거나
이를 일대사(一大事)를 마친 결과로 착각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