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GtwUcGNwG_A
《정토종개론》(32) 제6장 기행, 제3절 오종정행 - 정전스님 법문《淨土宗概論》第6起行
🌐 실시간 방송분: 실방 일시 - 2023. 07. 23
제6장 기행起行
제3절 오종정행五種正行
1. 독송정행讀誦正行
정토삼경을 독송하는 것이다. 타인으로부터 정토삼경 및 정토종 조사들의 상승논석을 독송․강설하는 것을 듣는 것도 모두 독송정행에 속한다.
2. 관찰정행觀察正行
극락의 의정이보依正二報의 장엄을 관찰하는 것이다. ‘의정이보’란 곧 의보와 정보이다. ‘정보正報’란 불보살의 오음五陰의 몸(身)을 말하는데 정과正果라고도 부른다. ‘의보依報’란 극락세계의 국토를 말하는데, 예컨대 보배로 된 땅․보배로 된 연못․보배로 된 나무․보배로 된 누각․궁전 등이 모두 불보살의 정보인 몸과 마음이 의지하는 경계이므로 의보라 부르기도 하고 의과依果라 부르기도 한다.
마음으로 어떤 일을 반연하는 것을 ‘관’이라 하고, 관하는 마음이 분명함을 ‘찰’이라 한다. 관찰은 정선과 산선에 다 통한다. 예컨대 집중된 마음(定心)으로 십삼정관十三定觀을 닦는 것과 산란한 마음으로 극락의 장엄을 사유․상상․흠모․억념하는 것은 모두 관찰정행에 속한다. 범부는 근기가 하열하여 대부분 산란한 마음으로 관을 한다.
3. 예배정행禮拜正行
아미타불께 예배하는 것이다.
4. 칭명정행稱名正行
‘나무아미타불’의 명호를 칭념하는 것이다.
5. 찬탄공양정행讚歎供養正行
아미타불을 찬탄 공양하는 것이다. ‘찬讚’은 그 공덕을 찬하는 것인데, ‘찬’만으로는 부족하여 다시 칭양을 덧붙여서 ‘탄歎’을 하는 것이다. 아랫사람이 윗사람께 올리는 것이 ‘공供’이고, 낮은 사람이 높은 사람을 받드는 것이 ‘양養’이다.
찬탄은 구업口業에 국한되지만, 공양은 신․구․의 삼업에 두루 통한다. 예컨대 향기로운 꽃과 밝은 등불 등을 올리는 것은 신업身業의 공양이고, 입으로 “손에 향화를 들고 항상 공양합니다.”라고 글을 외우는 것은 구업의 공양이며, 마음속으로 향과 꽃을 올리는 것은 의업意業의 공양이다. 만약 찬탄과 공양을 두 가지로 열면 곧 육종정행六種正行이 된다. 그러나 보통은 모두 찬탄과 공양을 하나로 합쳐서 오종정행이라 부른다.
제4절 조정이업助正二業
앞의 오종정행은 펼치면 다섯 종류이고, 묶으면 ‘정조이업正助二業’이 된다. 그중에 네 번째인 칭명정행은 정업正業이고, 앞의 셋과 뒤의 하나인 네 종류의 정행은 조업助業이 된다.
정업의 완전한 명칭은 ‘정정업正定業’인데, 종조(宗祖: 선도대사)의 《관경소․산선의》에서 나온 것이다.
일심으로 오로지 아미타불의 명호를 부르되,
행주좌와에 시간의 길고 짧음을 따지지 않고 염념마다 (명호를) 버리지 않는 것을 정정의 업이라 부르나니,
저 부처님의 본원에 순응하는 까닭이다.
一心專念彌陀名號,
行住坐臥, 不問時節久近, 念念不舍者,
是名正定之業, 順彼佛願故.
‘정正’은 ‘조助’와 상대되는 개념이다.
‘정’에는 ‘선정選定’과 ‘결정決定’이라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선정’이란, 옛날에 아미타불께서 인지因地에 법장보살이셨을 때, 210억에 달하는 제불의 서원 바다 가운데서 오로지 칭명일행稱名一行만을 선택하시어 범부왕생의 정인正因으로 삼으시고 염불왕생원인 제18원을 세우셨기 때문에 칭명은 아미타불께서 선정하신 왕생의 행인 것이다.
‘결정’이란, 칭명이 이미 아미타불의 본원에서 선정된 행인 까닭에 결정코 왕생한다는 것이다. 부처님의 입장에서는 선정을 하신 것이고, 중생의 측면에서는 결정이 된 것이다. 본원에서 선정한 행인 까닭에 결정코 왕생하는 것이고, 결정코 왕생하는 업인 까닭에 본원에서 선정한 것이니, 두 가지 의미가 결국 한 가지 의미로 귀결된다.
👼 법사 소개 -정전淨傳스님
정전스님은 강원도 건봉사로 출가하여 송광사 강원을 졸업했습니다.
그 후 대만에서 정토염불을 두루 공부하였는데,
대만에서 순수정토법문을 널리 선양하고 있는
혜정법사로부터 선도대사님 법맥의 정토종의 종지를 배웠습니다.
귀국하여 건봉사 만일염불회 지도법사를 역임했으며,
인터넷 염불도량 정토종(홍원염불회)를 운영하며 정토염불 법문과 법회를 하는 한편,
정토서적인 순수한 정토법문, 조념법요집, 정토수행의 나침반, 고향으로 돌아가자, 정토종 개론, 아미타경핵심강기, 정선염불감응록, 제18원 강기 등을 번역 출판하면서 정토종 개창자인 선도대사의 칭명염불 수행전통을 이 땅에 되살리고 있습니다.
🌺#정토종개론#선도대사#정종법사#정전스님#홍원염불회
첫댓글
아미타불께서 선정하신 왕생의 행
칭명 정정업
일향전수칭명
감사합니다 🙏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스님 감사합니다
원왕생연우님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입니다
고맙습니다 지심귀명 아미타불 _()_
감사드립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정토종개론' 수희공덕 수희찬탄합니다!
스님 감사드립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감사드립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_()_
법문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