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fmkorea.com/8235172355
최근 AI 커뮤가 발칵 뒤집히고 한바탕 난리 난리가 났는데
그건 최근 구글이 발표한 제미나이 2.5 pro의 성능이 어마무시하기 때문임.
2.5pro는 현재 추론 능력에서 1위를 달리고 있고
딥 리서치 (Deep Research) 기능에서는 오픈 AI (챗gpt)의 딥리서치 기능을 크게 앞질렀음.
근데 사실 이런 벤치마킹 그래프만 봐서는
일반인들 입장에서는 "그냥 뭔가 개쩌는 게 나왔나보다" 정도로 생각하지
이게 어느정도인지, 나랑 무슨 상관이 있는지 감이 안오고 체감되는 것도 없음.
그래서 제미나이 2.5 pro의 딥리서치 기능을 이용해서 펨코 댓글 하나를 보여주고 분석시켜봄.
현재 제미나이 2.5 pro의 딥리서치 기능은 20달러 유료 사용자들부터 이용가능한 듯 하니 참고바람.
(무료로도 딥리서치 기능을 이용할수 있으나 최신 2.5가 아닌 구형 2.0 모델을 이용해서 딥리서치 기능을 함)
※ 참고
제미나이 링크 : http://gemini.google.com/?hl=ko
<주제> 몬헌하다가 두꺼비집 내려갔다는 펨코인
첫번째 글은 어느순간 두꺼비집이 계속 내려가서 원인을 찼다가 챗GPT와 문답을 나누며 추론한 결과 몬헌으로 인해 PL2값이 4000w를 넘겨 계속 두꺼비집이 넘어갔다는 글임. 원 댓글을 보니 당시 문답을 나누었던 해당 모델은 GPT-4o였다고 함.
이 글을 한번 제미나이 2.5 Pro에게 줘보고 왜 저런 현상이 발생했는지 물어봄.
1) 일반 제미나이 2.5 Pro에게 질문
질문은 이렇게 대충 쉽게 던지면 답변이 시작되는데 추론 기능이 탑재된 최신 모델들은 GPT-4o처럼
바로 답변을 하는게 아니라 생각하는(Chain of Thought, CoT)과정을 거지며 어느정도 딜레이가 발생함.
그 AI가 생각(추론)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데 이게 하단 내용과 같음
(중략)
그리고 답변이 시작됨.
<2.5 Pro 답변>
아주 깔끔하고 이해하기 쉽게 추론을 통해 원인과 시나리오를 말끔히 뽑아냄. 이 정도의 답변만 얻어도 일반인은 매우 만족하고 쓸 수 있음. 여기서 좀 더 깊고 심도 있는 분석을 얻고 싶다? 딥 리서치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사이트 상단에서 <Deep Research with 2.5 Pro> 선택 후 아까 요청글을 복붙해서 물어보면 된다.
그럼 아까랑은 다르게 다음과 같은 <연구 계획 초안>이 나옴.
제미나이 2.5 pro가 알아서 조사 및 연구 계획을 수립하고 보고서 작성 방향 및 순서까지 다 지정해서 보여준다.
여기서 수정하고 싶으면 <계획 수정> 버튼을 누르고 별 문제가 없다면 <연구 시작>을 클릭한다.
연구가 시작되면 좌측에는 다음과 같은 창이 뜨고
우측에는 현재 어떤 조사와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엿볼 수 있음.
딥리서치 기능은 굉장히 심도높은 작업이기 때문에 바로 답변받는건 거의 불가능하고 몇분정도 기다려야함
그래서 그동안은 딴 거 하면서 기다리면 됨. 작성완료 되면 구글에서 알림까지 보내줌.
작성이 완료되면 우측에 다음과 같이 표시됨. 이걸 구글 Docs로 문서화까지 시킬 수 있음
(중략)
사전에 일반인이 이해 가능하게 쉽게 작성해달라고 했으니 전문적인 보고서인데도 이렇게 쉽게 작성해줌
PL1, PL2의 개념에 대해 마라톤 / 단거리 전력 질주로 비유함으로서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고
이렇게 표도 만들어서 요약까지 해준다.
정신나간 분석능력..
(중략)
몬헌 켰을때 컴퓨터 전력 소모 분석..
결론까지 완벽
출처 표기까지 해줌..
해당 보고서 전문인데 총 분량이 14p 정도 됨. 궁금한 사람은 링크들어가면 전문 볼 수 있음
https://docs.google.com/document/d/e/2PACX-1vSHFe_eZFOO3sIuY9AFRn3aG7QfBUJZB2J6nJyEMD2rpdn0-8aGIZNUYP27XsLwvAg-frdTTMScLamT/pub
커뮤에서 툭하면 논쟁이 벌어지는 탕수육 부먹 vs 찍먹 논쟁
어떻게 먹는게 더 맛있는지 분석해서 보고서 써달라고 시키면 마찬가지로 분석해서 보고서 써줌
탕수육 부먹 vs 찍먹: 요리과학적 관점에서 본 최적의 섭취 방식 분석 보고서
https://docs.google.com/document/d/e/2PACX-1vR87PUF_aRFgBkgQM1dKo5GmOh471Z0rwWwdJR3xfe3D6gQfGvUNcMEaeEK6_-mlUbmZ7OaALg_e1NV/pub
심지어 서브컬쳐 게임 <원신>의 캐릭터 [라이덴 쇼군]이 인게임 스토리에서 실시한
쇄국정책 / 안수령의 원인, 배경, 여파 및 정책 타당성도 써달라고 요구하면 분석해줌 (미친 ㅋㅋㅋㅋ)
원신 라이덴 쇼군의 쇄국령 및 안수령: 원인, 배경, 여파 및 타당성 종합 분석 보고서
https://docs.google.com/document/d/e/2PACX-1vSjDcY4gCe7dX_da-U9ivRiA7KAzwE46n55xycLpOK8zpaI8PtYlmSYyfB1uPhwiMbo89mgVNO3WKOp/pub
생각난 김에 게임인물 평가 더 해봄. 이번엔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캐리건]의 행적과 종합 평가 시켜봄
사라 케리건: 칼날 여왕, 구원자, 그리고 스타크래프트의 심장 - 종합 분석 보고서
https://docs.google.com/document/d/e/2PACX-1vQvsXg7Mtw1Y46gt7Hmni0lT2D-0xJomAp_zHamwSuzC26zBNLzMH14EmfOiNTukFxoWNQe-1opF_Zv/pub
생각해보니 이런식이면 영화 / 드라마 / 애니 / 게임에 대해서도 줄거리나 특정 캐릭터에 집중해서 심도 깊은 평론이나 예측도 쓸 수 있겠다.
여하튼 한 달에 20달러만 내면
분야 막론 (문학/사학/철학/사회과학/경제/경영/외교/정치/수학/과학/공학/의학/기술/식단/운동/음악/미술/건축/영화/애니/게임/공예/자동차/각종 취미류/ 수많은 일상문제 해결 등)
고퀼리티 보고서들을 하루에 최대 20개씩 X 30일 = 600개 찍어낼 수 있음
모든 분야에 대해 질문이 가능하기에 굳이 본인의 직업이 연구원이나 사무직이 아니더라도
밑에 링크와 같이 활용하는 방식도 가능.
(참고) https://www.fmkorea.com/8227095495
최근 AI 발전 속도를 보면 정말 특이점이 얼마 안남은게 느껴짐
첫댓글 굳
최근에야 쳇gpt를 경험하고 개쩐다고 느꼈는데.. ㄷㄷ
퍼플렉시티나 무료버전 제미나이에서 딥리서치만 이용해도 엄청 쩔던데...
도서관에서 사서 뒤지던 시절이 없어지는건가
미쳤다
구글docs로 바로 연동되는거 좋다!!
챗gpt는 워드로 만들어준대서 보면, 글꼴이 없어서 그런지 맨날 ㅁ만 만들어주는데;;
인간 시대의 종말일지 아님 너무나도 편리한 자비스 같은 비서의 전인류보급일지 무서운 세상이다
진짜 무섭네 ㄷㄷㄷㄷ
요즘 퍼플렉시티 프로 1년 이용권 받아서 쓰고 있는데 확실히 이제는 Ai 없으면 안되는 시대가 온듯
@JUVENTUS FC 검색 엔진을 구글 제미나이 2.5 프로나 GPT 4.1로도 사용이 가능해서 잘 쓰고 있어요. 그리고 애초에 무료로 받은거라서 ㅎ
ai ㄷㄷㄷ
Gpt pro 200달러 쓰는데 개만족중
난 이제 AI 없으면 안됨ㅠㅠㅋㅋㅋㅋ 마치 건조기나 식기세척기 같다고 해야할까 쓰기전엔 몰랐는데 쓰고나니 안쓰던 때로 못돌아가겠음ㅋㅋㅋㅋ
grok3 도 해보새오 무료임걸 감안하면 매우 좋습니다
ㄷㄱ
ㄷㄷ
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