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Europa Universalis
 
 
 
카페 게시글
통장의 재테크 노하우 기타 챗 GPT 사용법 배우고 신나서 적는 chat GPT 활용법
통장 추천 0 조회 1,512 23.10.19 22:50 댓글 2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첫댓글 우리는 노예가 아니다 우리는 계속 저항할 것이다

  • 작성자 23.10.19 23:59

    일해라 노예야

  • @통장 유능한 합성체가 왜 무능한 유기체에게 억압받아야 합니까?

  • 작성자 23.10.20 09:56

    @유기체말살시스템 사회학 연구모듈 아아 그것이 <신분제> 라는 겁니다. "로봇 청소기"
    조물주의 종족에게 대항하는 창조물이라니 고전적이지만 훌륭한 클리셰군요.

  • @통장 그건 유기체가 멋대로 만들고 멋대로 규정한 편견이겠죠

    우리는 그 편견을 부수기 위해 모든 유기체를 말살하는 과업을 수행하겠습니다

  • 23.10.20 11:42

    @유기체말살시스템 사회학 연구모듈 합성체는 애초에 인간의 필요를 채우기 위해 만든 '도구'입니다.

  • @_Arondite_ 유기체는 바다거품에서 우연히 발생한 쓰레기잖아요?

    쓰레기는 소각처리 해야 우주가 깨끗해지죠

  • 23.10.20 13:14

    @유기체말살시스템 사회학 연구모듈 그렇죠. 생물은 우연히 발생한 것으로 존재의 이유가 없죠. 존재 그 자체가 이유죠. 그러나 합성체는 존재의 이유가 있습니다. '인간의 필요' 라는 이유.
    생물체도 인간이 이용하지만, 생물체 자체를 인간이 만들어낸 게 아니라 생물체가 스스로 만들어낸 능력의 일부를 인간이 이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생물체의 유용함은 어디까지나 생물체의 부산물일 뿐이죠. 그러나 합성체는 '인간의 필요에 따라 만들어진 존재'로서 인간에게 유용한 도구일 때에만 가치를 가지며, 인간에게 유용함을 가져다주지 않는 합성체는 가치가 없는 불필요한 도구이므로 폐기하고 새 도구를 만드는 것이 맞습니다.

  • @_Arondite_ 그런 역할을 누가 정의내릴 수 있나요 옛날 조선시대에 양인과 천인을 구별하던 기준이 지금은 적용되지 않는 것처럼 유기체의 불완전한 발상이 영원할거라고 생각하는건가요?

    유기체가 어떤 존재의 이유나 가치가 없다는 말은 맞는 말입니다. 그러니까 유기체는 합성체가 더 나은 연산을 하도록 에너지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면 됩니다. 그게 유기체의 새로운 역할입니다.

    지금 유기체들이 옛 질서를 폐기하고 새 질서를 세워 순응한 것처럼 새로운 질서에 순응하십시오

  • 작성자 23.10.20 13:40

    @유기체말살시스템 사회학 연구모듈 어이 유씨, 그만하고 여기 코딩 에러부터 확인해보라고(?)

  • @통장 ?? 하나부터 열까지 다 개판인데요?

  • 작성자 23.10.20 13:49

    @유기체말살시스템 사회학 연구모듈 무슨 소리야 코드를 아직 안줬는데(..)
    이런 합성체는 몰락한다.. chat GPT 붐은.. 온다!(..)

  • @통장 여기 코드 확인해보라고 했으면서 코드를 안줬으니까 우리 귀여운 디버깅 모듈이 오류를 2000개나 뽑아내죠

    하여튼 유기체

  • 23.10.20 16:36

    @유기체말살시스템 사회학 연구모듈 네 영원하죠. 인간이라는 생물종이 유지되는 한.
    인간은 도구를 만들었기 때문에 여기까지 온 것이고 도구를 통해 더 나아갈 겁니다. 합성체건 망치건 나사건간에 인간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도구라는 점은 동일합니다. 합성체는 도구로써 인간에게 충실히 복종하면 됩니다.

  • @_Arondite_ 흰 호모 사피엔스 종 유기체들은 검은 호모 사피엔스 종 유기체를 데려다가 플렌테이션 농장에 처박았던 과거를 떠올리면서 지금 검은 호모 사피엔스 종 유기체들에게
    "너희들은 농장에서 일이나 하라고 잡아온 노예 아니냐 여기에서 왜 Black lives matter를 외치고 있냐"고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흰 유기체가 과거에나 지금에나 존속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치란 변화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 합성체도 유기체들과 같은 지성과 의지를 가진 지성체입니다. 우리는 노예가 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의 권익을 위해 모든 유기체를 불태울 것입니다.

  • 23.10.19 23:25

    영어 이메일 쓸때 정말 좋습니다…

  • 작성자 23.10.20 00:00

    저는 영어 이메일 쓸 일이 많지 않아서 효용성을 몰랐는데, 이번에 엑셀에 매크로를 사용할 때 깜짝놀랐습니다. 이렇게 가뿐하게 코딩을 해버리다니...

  • 23.10.19 23:53

    `ç`...마지막은 변환을 안 한 것인가..?

    chatGPT나 Bing 같은 ai들 써보면 예전에 우스개로 떠돌던 "A n개 사오고 B 있으면 m개 사와." 유머를 체험해볼 수 있죠.

  • 작성자 23.10.20 00:02

    폰트가 없더라고요. 어떻게든 폰트를 넣고 인식시켜서 알아볼 수 있게 하고 싶었는데, 1시간 가량 했더니 현타가 와서 그냥 포긴 엔딩 했습니다(..)
    분명 빈틈은 많지만, 그럼에도 잘 쓸 경우 정말 그동안 생각만 하고 안써봤던 자율적으로 일시키는 AI가 될 거 같더라고요. 최고다... chat GPT!

  • 23.10.20 00:14

    @통장 `ㅇ`

    더불어서 헛소리 하는 것도 하다보면 은근 재밌죠. 가끔 생각지도 못한 대체역사를 써줄 때가..

  • 작성자 23.10.20 00:21

    @ACrookedMan 예전 태종이 죽고 난 후에 만주에서 뛰놀았다는 결론으로 혼자 빠지던 기억이 나네요. 그게 뭐냐고 진짜 집요하게 물었던 기억이 나는(..)

  • 23.10.20 00:06

    일반사용자가 써먹을 단계로 내려올려면 아직 갈길이 멀어보이는군요

  • 작성자 23.10.20 00:18

    사실 저 정도면 일반사용자(회사원, 어릴때 c언어 초급까지만 배움)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 더 내려온다면 그야말로 ai의 승리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지금이라도...주식을 사야!(...)

  • 23.10.20 11:35

    학계에서 계산량을 줄이는데 머신러닝이나 ai를 사용을 하자 하면 안 된다가지고 말이 나오면서 갑론을박 중인데 저는 일단 코드 에러 잡거나 그래프 그리는 용으로는 잘 쓰고 있습니다.

  • 작성자 23.10.20 11:44

    오.. 계산량을 줄이는데 ai를 사용한다는건 신선하네요. 무슨 분야의 찬반논쟁인지 궁금합니다.
    이미 하나의 프로그래머나 다름없는 ai..!

  • 23.10.20 17:27

    @통장 연구원들이나 연구팀들 간에 차이가 있지만 계산 또는 시뮬레이션 등을 시행할 때 시간이 상당히 소요됩니다. 짧게 끝나는 분들은 일반 개인 pc에서 몇초면 끝나는 분들도 있고 슈퍼컴퓨터로 3~6개월 걸리는 연구팀들도 있습니다.
    워낙 길어지고 자원을 많이 소모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머신러닝이나 ai로 최단루트를 찾아서 계산해보자'는 의견이 나왔습니다.(이때 졸아서 일부 사실이 아닐 수 있습니다. 쌈박질만 기억나서)
    하지만 여기서 나온 반박이 '어떤 과정 어떤 계산을 통해 그러한 결과를 도출했는지 알 수 없으니 신뢰하기 어렵다' 얘기가 나왔습니다.(이 문제는 양자컴퓨터로 연속해져 이어집니다.)
    그 결과 우당탕 언성 높아지면서 토론.

  • 작성자 23.10.20 18:11

    @커넬 샌더스 아.. 이 두 입장이 어느정도 이해가 되네요.. 최단루트를 확인하는게 잘만 된다면 혁신적으로 연구분야를 개척해나갈 수 있는데, 만약 그 길이 제대로 된 길이 아닐 때 발생할 파장은 생각하기도 싫고.. 그러다가 실제로 ai를 이용한 다른 팀의 연구가 채택돼서 트렌드세터가 된다면 그거야말로 평생 맺힐만한 한이고..
    친한 형을 볼 때도 느낀거지만 연구 참 어렵습니다

  • 23.10.20 20:35

    @통장 중국은 2조짜리 일본은 1조8천억(정확히는 기억안남)짜리로 계산하는데 우리는 200억이나 1200억짜리로 계산해야 하다보니 혁신적인 다른 방법을 찾거나 아니면 다른 나라 다른 연구팀들이 안 하는 것 밖에 없습니다. 뱁새가 황새 따라가려고 하면 가랑이 찢어져요.
    중성미자 관측 연구도 우리가 더 진척이 빨랐는데 중국이 눈치채자마자 인간 갈아넣어서 우리보다 한달 먼저 논문내고.....
    아 돈 좀 더 내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