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Rail+ 철도동호회
 
 
 
카페 게시글
철도게시판 (정보, 잡담) 경부선 복선전철화?
0294 추천 0 조회 596 07.02.27 21:23 댓글 11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7.02.27 21:58

    첫댓글 님두 잘못 올리신것 같네여 복선전철화는 최근에 계통되었습니다. 1920년에 글 올리신것 복선전철화가 아닌 복선철도가 아닌가여 ㅋㅋ 수정좀 하셔야 할듯 하네여 경부선 복선전철화는 2006년 12월 15일날 개통되었습니다.

  • 작성자 07.02.27 22:14

    경부선이 전철화가 된건 최근의 일입니다만 경부선 복선화가 완료된 1945년 이후로는 그냥 '전철화' 라고 했어야 정상입니다.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작성자 07.02.28 09:50

    중앙선은 단선전철이지만 선로 하나를 더 깔고 그 선로를 전철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철화라고 표현한 것으로 사료됩니다. 참고로 FRDB에서는 '중앙선 복선화' 라고밖에 나와있지 않습니다.

  • 07.02.28 10:05

    복선전철화하는 목적 중에 광역전철 운행도 있지 않을까요 ?? 현재는 아니라도 몇년 후면 전국이 광역전철화 될걸로 사료됩니다

  • 작성자 07.02.28 10:51

    문제는 그것보다, 광역전철 운행을 무조건 복선전철화라고 하지 말자는 것입니다. '경부선 복선전철화' 참 -_-;

  • 07.02.28 16:54

    전철화라는 용어 자체가 철로 위에 전차선을 깔아서 전기차량들이 다닐수 있도록 하는것인 만큼 호남선 복선전철화라는 용어는 문제 없어보입니다. 더욱이 호남선은 최종적으로 복선화가 완료된 시점이 2003년 말이였고 그로부터 4개월쯤 뒤에 전철화개통까지 이루어졌기 떄문에 궂이 복선전철화라고 불러도 무방한 상황이었다고 보고 있죠.. 다만 님 말씀대로 전철화=광역전철 운행이라고 단정짓는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이런 상황은 전기철도의 활성화로 다양한 전기차량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우선 빨리 통근형 전기동차가 나오기를 기다려야죠...

  • 작성자 07.02.28 21:33

    물론 호남선도 2003년 12월까지는 일부 구간이 단선 비전철이어서, '복선전철화' 를 했었습니다. 근데 문제는 복전화 완료 이후에도 광역전철 운행이랍시고 복선전철화라는 말을 남발하는 데 있죠.

  • 07.02.28 23:05

    확실히 그렇다면 언론에 문제가 있다고 봐야겠군요.. 하지만 그보다도 지금까지 한국철도가 얼마나 전기철도 운행에 투자를 소홀히 해왔는지에 대한 한탄이 나오기도 합니다. 전철화=광역전철이라는 편견을 갖게 만드는데 큰 일조를 하게 된게 바로 전철화의 소홀이 큰 원인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죠... 애초에 경부선만이라도 전철화를 시켜서 EEC같은 전기동차를 적극적으로 투입시키고 했어도 전철화가 무조건 수도권 전동차를 굴리는것이라는 편견을 깨게 만들수도 있었을 텐데.....

  • 07.02.28 22:41

    제 말은 전철화는 전기로 움직이는 열차라고 생각이 드는데여 다른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07.03.01 12:24

    중앙선 복선전철화의 경우 용문~원주구간은 2020년에 전동차 들어갑니다.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되면 2014년에도 원주에 전동차가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데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