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격잡기(취격법)와 격국표 정리
格局은 일간의 身强身弱과는 관계없이 月支를 기준으로 성립되는 것으로
대외적 입장에서 일간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抑扶(억부)는 개인적이고 내적인 기준에서 사회적이고 외적인 조건을 바라보는 것이고
격국은 사회적이고 외적인 기준에서 일간과 비교하여 개인적이며 내적인 상황을 관찰하는 것입니다.
지지에서 月을 기준으로 세력을 형성한 것을 局이라 하며
그 대표성분이 干으로 투간한 것을 格이라고 합니다.
격(格)이 사주팔자의 고유한 "값" 내지 "쓰임새(用)"를 의미한다면
국(局)은 그러한 격을 보듬고 있는 사주의 "꼴"과 "모양새 및 구조(體)"를 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국(局)은 격(格)을 담고 있는 큰 틀로서 사주의 "생김새"를 뜻한다고 볼 수 있고
다른 말로 격이 그릇의 모양새를 의미한다면 국은 그릇 자체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릇의 크기는 사주의 생김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결국 격국은 한 사람의 인물됨이 담겨 있는 용도가 확정된 그릇인 샘입니다.
처음부터 그릇의 용처가 확정되듯 운명 또한 그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결국 格이란 天干 中心의 통변을 말하는 것으로 그 관법의 중심은 성패(成敗:成破)에 있습니다.
이것은 억부의 중심이 지지에서 길흉에 집중되는 것과 비교 됩니다.
月을 기준으로 格이 성립되면 眞格으로 格의 변화가 크지 않으며 뚜렷한 특징을 드러냅니다.
하지만 他 지지에서 투간하여 格이 성립되면 假格으로,
운에 따른 格의 변화가 크며 대체적으로 발현이 늦어 집니다.
그럼에도 인간은 운명을 개척한다는 미명하에 자신을 갈고 닦음인데,
이때 자신의 그릇을 알고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훨씬 편안한 미래를 맞이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격국과 용신(用神)은 불가분의 관계로써 유용하게 활용되는 것입니다.
다만 격국과 용신은 각각의 조건에 따라 희기(喜忌)가 다르고 생극제화(生剋制化)의 적용도 상이합니다.
격국은 어떤 사람의 선천적 특성(Character,캐릭터)과 정체성을 파악하는 중요한 기제로서 천성(天性)과 성품(性品)에 관여하는 반면, 용신은 격국에 근거한 체명(體命)을 올바른 방향으로 유도하는 이정표로서 후천적 개념의 개운 수단입니다.
그러므로 격국으로 사람의 성격과 심리를 논할 수는 있어도 용신으로는 어불성설입니다.
반대로 용신으로 행운을 논할 수는 있어도 격국으로 길흉화복을 논할 수 없음입니다.
물론 십성을 사길사흉(四吉四凶)에 따라 분리할 수는 있어도 그 자체로서 성패득실을
따질 수는 없는 것과 같습니다.
보통 내(일간)가 어느 계절에 태어났는가가 격이 됩니다.
예를 들면 甲일간이 申월에 태어나면 편관격이고 庚일간이 子월에 나면 상관격입니다.
그런데 진술축미 월령의 경우 격 잡기가 조금 복잡해 집니다.
전반에 태어났는지 후반에 태어났는지 혹은 월령이 삼합을 하고 있는지에 따라 격이 달리 설정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헷갈리기 쉬운 격잡기에 대해 나름 정리하고 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격 잡는 법은 사람마다 다르고 나름대로 잡는 법이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월지를 기준으로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여기서부터 격 잡는 방법을 시작하겠습니다.
▶월지본기 취격방법
이 방법은 월지 지장간 중 본기를 취격하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이는 딱 하나 子午卯酉 왕지를 제외하고는 문제가 있습니다.
子午卯酉는 왕지이기에 본기나 여기나 모두가 왕지에 해당하는 오행의 운동을 하고 있고, 삼합을 해도, 투간자를 보아도 그 해당하는 오행의 기운이 있기에 맞지만, 辰戌丑未나 寅申巳亥의 경우는 잘 맞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월지 본기을 가지고 격을 잡는 것은 子午卯酉 뿐입니다.
▶월지사령 취격법
월 지장간 중에서 어느 기운이 강할 때 태어났는가를 보는 겁니다.
즉, 지장간 월률분야를 기준으로 사령하는 글자를 격으로 삼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본기가 더 중요한가 사령이 더 중요한가? 라는 문제에 부딪치게 됩니다.
드러나지도 않은 그 월률분야 기간에 태어났다 해서 그것을 과연 격으로 삼을 수 있을까?
그래서 나온 것이 투간자 원칙입니다.
▶월지장간 투간자 취격법
월지장간 중에서 본기나 사령자보다 투간하는 글자를 중시하여 격으로 취격하는 방법입니다. 투간하는 글자만 보면 되니까 어렵지 않습니다.
보통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기는 하지만 이것도 의문이 생깁니다.
만일, 寅중 甲목이 투간하였는데, 지지는 삼합이라는 것이 있어서 인오술 화국이 되었다면?
▶월지삼합 취격법
월지장간 중에서 중기나 정기가 삼합을 하는 경우, 그 삼합된 기로 격을 취하는 이론입니다.
자평진전에서는 격을 취할 때, "월지"와 "투간자" 그리고 "삼합자"를 중시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심효첨이란 사람은 월지 본기를 기준으로 거의 격을 잡았다고 합니다.
▶여기서는 위 네 가지 방법("월지 본기", "투간자", "삼합", "사령")을 다 아우르고 있는
창광선생님의 이론에 근거하였음을 알아 주시기 바랍니다.
◆월별 격 잡는 법
1. 子午卯酉
子 | 午 | 卯 | 酉 | |||||
투간 | 壬 투간 | 癸方 | 丙 투간 | 丁方 | 甲 투간 | 乙方 | 庚 투간 | 辛方 |
甲 | 偏印格 | 正印格 | 食神格 | 傷官格 | 建祿格 | 陽刃格 | 偏官格 | 正官格 |
乙 | 正印格 | 偏印格 | 傷官格 | 食神格 | 陽刃格 | 建祿格 | 正官格 | 偏官格 |
丙 | 偏官格 | 正官格 | 建祿格 | 陽刃格 | 偏印格 | 正印格 | 偏財格 | 正財格 |
丁 | 正官格 | 偏官格 | 陽刃格 | 建祿格 | 正印格 | 偏印格 | 正財格 | 偏財格 |
戊 | 偏財格 | 正財格 | 偏印格 | 正印格 | 偏官格 | 正官格 | 食神格 | 傷官格 |
己 | 正財格 | 偏財格 | 正印格 | 偏印格 | 正官格 | 偏官格 | 傷官格 | 食神格 |
庚 | 食神格 | 傷官格 | 偏官格 | 正官格 | 偏財格 | 正財格 | 建祿格 | 陽刃格 |
辛 | 傷官格 | 食神格 | 正官格 | 偏官格 | 正財格 | 偏財格 | 陽刃格 | 建祿格 |
壬 | 建祿格 | 陽刃格 | 偏財格 | 正財格 | 偏印格 | 正印格 | 食神格 | 傷官格 |
癸 | 陽刃格 | 建祿格 | 正財格 | 偏財格 | 正印格 | 偏印格 | 傷官格 | 食神格 |
子午卯酉 월령 1.子午卯酉월령 그대로 격이다. 2. 투간되면 투간된 것으로 격을 잡는다. 子월생 壬 투간이면 壬으로, 癸 투간이면 癸로 격을 잡는다. 庚일간 子월생이면 상관격이다. 壬 투간하면 식신격, 癸 투간하면 상관격이다. 壬사령해도 투간되지 않으면 상관격이다. 申子辰 수국은 보지 않는다. 甲일간 卯월생이면 양인격이다. |
*향(向) : 월지에서 투간된 글자
*방(方) : 투간되지 않은 글자
2. 寅申巳亥
月 | 寅 | 申 | 巳 | 亥 | ||||||||
용신 | 甲 | 寅午戌 | 庚 | 申子辰 | 丙 | 巳酉丑 | 壬 | 亥卯未 | ||||
투간 | 丙 | 甲 | 壬 | 庚 | 庚 | 丙 | 甲 | 壬 | ||||
甲 | 건록격 | 식신격 | 건록격 | 편관격 | 편인격 | 편관격 | 식신격 | 편관격 | 식신격 | 편인격 | 건록격 | 편인격 |
乙 | 양인격 | 상관격 | 양인격 | 정관격 | 정인격 | 정관격 | 상관격 | 정관격 | 상관격 | 정인격 | 양인격 | 정인격 |
丙 | 편인격 | 건록격 | 편인격 | 편재격 | 편관격 | 편재격 | 건록격 | 편재격 | 건록격 | 편관격 | 편인격 | 편관격 |
丁 | 정인격 | 양인격 | 정인격 | 정재격 | 정관격 | 정재격 | 양인격 | 정재격 | 양인격 | 정관격 | 정인격 | 정관격 |
戊 | 편관격 | 편인격 | 편관격 | 식신격 | 편재격 | 식신격 | 편인격 | 식신격 | 편인격 | 편재격 | 편관격 | 편재격 |
己 | 정관격 | 정인격 | 정관격 | 상관격 | 정재격 | 상관격 | 정인격 | 상관격 | 정인격 | 정재격 | 정관격 | 정재격 |
庚 | 편재격 | 편관격 | 편재격 | 건록격 | 식신격 | 건록격 | 편관격 | 건록격 | 편관격 | 식신격 | 편재격 | 식신격 |
辛 | 정재격 | 정관격 | 정재격 | 양인격 | 상관격 | 양인격 | 정관격 | 양인격 | 정관격 | 상관격 | 정재격 | 상관격 |
壬 | 식신격 | 편재격 | 식신격 | 편인격 | 건록격 | 편인격 | 편재격 | 편인격 | 편재격 | 건록격 | 식신격 | 건록격 |
癸 | 상관격 | 정재격 | 상관격 | 정인격 | 양인격 | 정인격 | 정재격 | 정인격 | 정재격 | 양인격 | 상관격 | 양인격 |
寅申巳亥 월령 원 칙 1. 寅申巳亥월령 그대로 격이다. 2. 戊 분야는 격으로 잡지 않는다. 3. 삼합시에는 투간이 되고, 본기가 투간되지 않았을 경우만 격으로 인정한다. 乙일간 申월생이면 정관격이다. 壬에 사령하고 申子辰 수국하며 壬투간하고 庚 투간이 안 되면 정인격이다. 辛투간해도 정관격이다. |
<<보충설명>>
寅申巳亥월
寅申巳亥월의 초기 土는 격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건록이 격이다.
그러므로 寅月은 甲木, 巳月은 丙火, 申月은 庚金, 亥月은 壬水가 격이다.
만일 합국을 이루어도 향하지 않으면 격으로 인정 안한다.
합국없이 사령한 것이 향하여도 격 인정 안한다.
寅월
1. 甲木이 격
2, 寅午戌 합국하고 丙火투간 하면 丙火격, 투간 없으면 격 아님
3. 합국없이 丙火투간은 사령이여도 격 아님.
훗날 대운에서 丙火가 사령한 사주가 寅午戌화국을 만나면 수재가 된다. 사령은 등록마저 힘들다.
巳월
1. 丙火가 격
2. 巳酉丑 합국하고 庚金투간이면 庚金, 투간 없으면 격 아님
3. 합국없이 庚金 투간은 사령이여도 격 아님
대운에서 庚金 사령이 巳酉丑합국 만나면 승명(承命)을 이룸
申월
1. 庚金이 격
2. 申子辰 수국 하고 壬水가 향하면 격, 투간 없으면 격 아님
3. 합국 없으면 壬水가 투간 하여도 격 아님
壬水사령자가 대운에서 申子辰 삼합을 만나면 기회를 만나다.
亥월
1. 壬水가 격
2. 亥卯未 목국하고 甲木 향하면 격, 투간 없으면 격 아님
3. 합국없이 甲木 투간은 격 아님
대운에서 甲木 사령자가 목국을 만나면 인도자를 만난다.
3. 辰戌丑未
월 | 구분 | 용신 | 투간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辰 | 申 子 辰 | 癸 | 癸 | 정인격 | 편인격 | 정관격 | 편관격 | 정재격 | 편재격 | 상관격 | 식신격 | 상관격 | 식신격 |
壬 | 편인격 | 정인격 | 편관격 | 정관격 | 편재격 | 정재격 | 식신격 | 상관격 | |||||
淸明 이후 12일 | 乙 | 乙 | 편재격 | 정재격 | 정인격 | 편인격 | 정관격 | 편관격 | 정재격 | 편재격 | 상관격 | 식신격 | |
甲 | 편인격 | 정인격 | 편관격 | 정관격 | 편재격 | 정재격 | 식신격 | 상관격 | |||||
淸明 이후 18일 | 戊 | 戊 | 편재격 | 정재격 | 식신격 | 상관격 | 정관격 | 편관격 | 편인격 | 정인격 | 편관격 | 정관격 | |
己 | 정재격 | 편재격 | 상관격 | 식신격 | 정인격 | 편인격 | 정관격 | 편관격 | |||||
戌 | 寅 午 戌 | 丁 | 丁 | 상관격 | 식신격 | 정재격 | 편재격 | 정인격 | 편인격 | 정관격 | 편관격 | 정재격 | 편재격 |
丙 | 식신격 | 상관격 | 편인격 | 정인격 | 편관격 | 정관격 | 편재격 | 정재격 | |||||
寒露 이후 12일 | 辛 | 辛 | 정관격 | 편관격 | 정재격 | 편재격 | 상관격 | 식신격 | 편인격 | 정인격 | 정인격 | 편인격 | |
庚 | 편관격 | 정관격 | 편재격 | 정재격 | 식신격 | 상관격 | 편인격 | 정인격 | |||||
寒露 이후 18일 | 戊 | 戊 | 편재격 | 정재격 | 식신격 | 상관격 | 상관격 | 식신격 | 편인격 | 정인격 | 편관격 | 정관격 | |
己 | 정재격 | 편재격 | 상관격 | 식신격 | 정인격 | 편인격 | 정관격 | 편관격 | |||||
丑 | 巳 酉 丑 | 辛 | 辛 | 정관격 | 편관격 | 정재격 | 편재격 | 상관격 | 식신격 | 상관격 | 식신격 | 정인격 | 편인격 |
庚 | 편관격 | 정관격 | 편재격 | 정재격 | 식신격 | 상관격 | 편인격 | 정인격 | |||||
小寒 이후 12일 | 癸 | 癸 | 정인격 | 편인격 | 정관격 | 편관격 | 정재격 | 편재격 | 상관격 | 식신격 | 정관격 | 편관격 | |
壬 | 편인격 | 정인격 | 편관격 | 정관격 | 편재격 | 정재격 | 식시격 | 상관격 | |||||
小寒 이후 18일 | 己 | 己 | 정재격 | 편재격 | 상관격 | 식신격 | 정재격 | 편재격 | 정인격 | 편인격 | 정관격 | 편관격 | |
戊 | 편재격 | 정재격 | 식신격 | 상관격 | 편인격 | 정인격 | 편관격 | 정관격 | |||||
未 | 亥 卯 未 | 乙 | 乙 | 상관격 | 식신격 | 정인격 | 편인격 | 정관격 | 편관격 | 정재격 | 편재격 | 상관격 | 식신격 |
甲 | 편인격 | 정인격 | 편관격 | 정관격 | 편재격 | 정재격 | 식신격 | 상관격 | |||||
小暑 이후 12일 | 丁 | 丁 | 상관격 | 식신격 | 상관격 | 식신격 | 정인격 | 편인격 | 정관격 | 편관격 | 정재격 | 편재격 | |
丙 | 식신격 | 상관격 | 편인격 | 정인격 | 편관격 | 정관격 | 편재격 | 정재격 | |||||
小暑 이후 18일 | 己 | 己 | 정재격 | 편재격 | 상관격 | 식신격 | 정인격 | 편인격 | 정인격 | 편인격 | 정관격 | 편관격 | |
戊 | 편재격 | 정재격 | 식신격 | 상관격 | 편인격 | 정인격 | 편관격 | 정관격 | |||||
辰戌丑未 월령 원 칙 1. 전반 12일, 후반 18일로 나누어 격을 취한다. 辰월이면 전반 12일 즉 乙, 癸 사령시에는 乙로, 戊분야 출생시에는 戊로 격을 잡는다. 2. 격이 삼합이 되어 있으면 삼합으로 격을 잡는다. 辰월 癸사령이어도 삼합이 아니면 격으로 잡지 않고 전반 12일에 포함시킨다. 庚일간 辰월생이 전반 12일에 나고, 甲 투간하면 편재격이다. 乙로 투간 되거나 투간 되지 않으면 정재격이다. 戊, 己토가 투간되어도 정재격이다. 戊분야(후반 18일)에 나면 편인격이다. 己가 투간되면 정인격이다. 甲, 乙목이 투간되고 土가 투간되지 않아도 편인격이다. 申子辰 수국을 이루면 상관격이다. 癸 투간 상관격, 壬 투간 식신격이다. 甲일간 辰월생이 전반 12일에 나면 乙이 겁재에 해당하는데 비견 겁재는 격으로 잡지 않으니 戊로 격을 잡아 편재격이다. 己 투간하면 정재격이다. 申子辰 수국하면 정인격, 壬 투간하면 편인격이다. 庚일간 戌월생이 전반 12일에 나면 辛이 겁재이므로 격을 잡지 않고 戊로 격을 잡아 편인격이다. 후반 18일 즉 戊분야에 나면 편인격, 己투간하면 정인격으로 잡는다. 寅午戌 화국하면 정관격, 丙 투간하면 편관격이다. 丁 일간 戌월생 전반 12일에 나면 편재격, 庚이 투간되면 정재격이다. 후반 18일 즉 戊분야에 나면 상관격, 己투간되면 식신격이다. 寅午戌 화국하면 격으로 잡지 않고 사령에 따라, 편재격 혹은 상관격이다. 己일간 辰월생 전반 12일에 나면 편관격이고, 甲 투간하면 정관격이다. 申子辰 수국하면 편재격이고, 壬투간하면 정재격이다. 戊분야에 출생하면 겁재이므로 격을 잡을 수 없다. 계절성을 우선하여 甲, 乙 투간시 정관격, 편관격으로 잡기도 하고, 투간된 것이 없으면 겁재월령으로 본다. |
<<보충설명>>
-辰戌丑未 월령
四時의 格이니 合局을 먼저 격으로 잡는다.
합국의 용법이 먼저이고 합국이 안되었을 때는 체(體)로 본다.
대운에서의 합은 격을 인정 하지는 않으나 쓰임이 있고, 세운에서의 합은 인정 하지 않는다.
삼합 우선이고, 투간 우선이다.
고지 월령이 삼합일 때 격을 잡는 방법
원칙1
1. 반드시 사령에서 격을 취한다.
2. 월비, 월겁은 격이 될 수 없다.
3. 회합이 된다면, 용사가 된 것을 격으로 취한다.
4. 투간 된 것을 격으로 한다.
원칙2 -삼합의 정의-
1. 반합도 삼합 가능
2. 떨어져 있어도 삼합 가능
3. 충 있어도 삼합 가능
4. 왕지 없어도 삼합 가능
이렇게 삼합이 되면, 고지의 중기 (가운데 지장간)이 격으로 잡습니다.
예를 들면 삼합이 되어도 위의 원칙을 지켜야 합니다.
계수 일간이 진월에 신진삼합이 되어 계수를 격으로 취하면, 격이 비견이 되게 됩니다.
이 경우에는 원칙 2에 걸리기 때문에 계수를 격으로 취하지 않고 사령에 맞춰 격을 잡아야 합니다.
또 다른 예로는
정화일간이 미월에 태어나 해미합이 되었습니다. 이 경우 을목을 격으로 취해야 하기 때문에 편인격이 됩니다.
1) 辰月 (청명 : 4월 4일,5일 곡우: 19일 20 일)
申子辰 水局 : 癸水가 격이다. 壬水가 향하면 壬水가 격
청명후 12일: 乙木이 용신. 만약 甲목이 투간되면 甲木이 격
이후 18일: 戊土가 용신. 만약 己土가 향하여도 己土가 격
乙木 용신자가 대운에서 申子辰 삼합을 만나면 癸水와 함께 할 수 있다. 세운은 이도일 뿐이다.
戊土 용신자가 대운에서 申子辰 삼합을 만나면 존경받을 수 있다. 세운은 빈축을 살 뿐이다.
2) 戌月 ( 한로 10월 8일,9일 상강 10월 23일24일)
1. 寅午戌 火局 : 丁火가 격이다. 丙火가 향하면 丙火격
2. 한로이후 12일 : 辛金이 격, 庚金이 향하면 庚金 격
3. 이후 18일 : 戊土가 격. 己土가 향하여도 격
辛金 용신자가 대운에서 합국을 이루면 사령을 받을 수 있다.
세운은 진퇴만 있다.
戊土 용신자가 대운에서 합국을 이루면 가업을 조성한다.
세운은 불편을 빚을 뿐이다.
3) 丑月 (소한 1월 6일 7일 대한 1월 20일 21일)
1. 巳酉丑 金局 : 辛金으로 격, 庚金이 향하면 庚金이 격
2. 소한이후 12일 : 癸水가 격. 壬水가 향하면 壬水가 격
3. 이후 18일 : 己土가 격. 戊土가 향하여도 격
癸水 용신자가 대운에서 합국을 이루면 승차는 가능하다.
세운은 번복일 뿐이다.
己土 용신자가 대운에서 합국이면 발령받다.
4) 未月(소서 7월 7일 8일 대서 7월 22일 23일)
1. 亥卯未 木局 : 乙木이 격, 甲木이 향하면 甲木이격
2. 소서이후 12일 : 丁火가 격, 丙火가 향하면 丙火가 격
3. 이후 18일 : 己土가 격, 戊土가 향하여도 격
丁火 용신자가 대운에서 합국을 이루면 재주는 된다.
己土 용신자가 대운에서 합국을 이루면 문전 성시를 이룬다.
망설이다 올립니다. 또 격잡기냐? 할 수 있어서
그렇지만 격은 사주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한 번 더 올립니다.
그리고 표작성시 잘못 기입한 것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설명을 넣었으니 참고하며 보시기 바랍니다.
<<格 한자 변환은 하지 않았습니다. 하다가 너무 힘들고 변명하자면 시간이 없어서ㅋㅋ>>
|
첫댓글 정성 담긴 소중한 글 감사합니다.
선우선생님~🥰 진술축미 격잡기가 쉽지 않았었는데, 격잡기에 대한 쌤의 엄청난 분량의 완벽정리노트 공유보시덕으로, 제가 취격뿐만이 아니라 모든 격을 다 잡을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아닌 생각이 듭니다^^ 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쌤~👍
꼼꼼하게 여러 번 읽겠습니다
진술축미에서 깨갱 중이예요
어휴ㅠ
감사히 공부합니다
합도 되고 투간도 되었는데 충이 된 경우는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쉽지 않은 공부글 올려 주심에 깊이 감사 드립니다 건강하십시오
격잡기가 하루아침에 되는게 아닌거 같습니다. 반복 학습함으로써 기본이 다져지는것 같아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우와....대단하십니다. 모든 케이스를 다 정리하신 것 같네요.
운에서 만난 것 까지 모두... 감사합니다~
자료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보충설명까지 해서 올려주시심에 너무 감사합니다. 반복 학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이제 정리가 됩니다.
戊토 일간이 寅월에 丙화 사령에 丙화가 투간되면 예전 글들은 편인격이라고 했는데 삼합이 되어야 편인격이 되고, 삼합이 없으면 편관격이 되는 것이 정리되었습니다.
하나 궁금한 것은 甲 일간이 戊토 사령에 己토 투간이면 정재격인데 지지가 신자진 삼합이 되었다면 정인격일까요?
잘 읽고 궁금하던 점을 알게 되어 님의 보시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