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금해스님의 부처님 이야기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금해스님 법문] 스크랩 지구관측 십년 그 생생한 기록을 함께한 아쿠아위성
sanyang 추천 0 조회 167 12.05.05 20:50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지구관측 십년...아쿠아 위성은 아직도 건재하다

A Decade of Earth Observations Aqua is still going strong.


2002년 5월4일 반덴버그 미 공군기지에서 발사중인 NASA 의

다목적 지구관측을 위한 아쿠아 위성의 발사장면 모습이다.


당시 미항공우주국 엔지니어들은 아쿠아 위성이 발사이후

3년에서 5년 정도를 예상하고 발사되어졌지만

발사후 10 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탑재된 과학장비들은 여전히 건재한 모습이다.

아쿠아 위성은 지난 10년간에 걸쳐 29,000,000 기가바이트의

놀라운 량의 지구관측 데이타를 수집하고있는 모습이다.

When the Aqua satellite lifted off from Vandenberg Air Force Base on May 4, 2002, it wasn’t clear how long the 2,900 kilogram (6,400 pound) spacecraft would last. There’s much that can go wrong in the unforgiving environment of space. And for a satellite that orbits more than 705 kilometers (435 miles) above the surface and cruises about 27,000 kilometers (16,800 miles) per hour, stopping for repairs is not an option when things break.

2002년 5월 4일 미국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발사중인 아쿠아 위성 발사모습

At the time, engineers expected Aqua’s mission would be between three and five years.

Ten years later, the spacecraft and the six science instruments on board are still going strong.

Aqua has collected a remarkable 29 million gigabytes of data throughout the last decade.

(For perspective, one gigabyte holds the contents of about 10 yards of books

on a shelf; 100 gigabytes would hold a floor of books in an academic library).


당시 엔지니어들은 아쿠아 위성이 3~5년 정도의 수명을 예상했지만,10 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우주선 및 탑재된 여섯 과학 장비는 아직 건제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아쿠아는 지난 10 년간에 걸쳐 29,000,000 기가바이트의 놀라운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 1기가 바이트는 선반에 책을 약 10 야드의 진열한 분량이며,

100 기가바이트는 학술 도서관에서 도서의 바닥을 채우는 분량이다.)


Project scientist Claire Parkinson expected Aqua's sensors would improve weather and climate forecasts due to their ability to precisely measure water vapor in the atmosphere, liquid water in the ocean, and the solid water in ice and snow. What she didn’t expect was how much Aqua would contribute in other ways. According to Parkinson, researchers have published more than 2,000 papers based on Aqua data over the past decade. The majority of these were based on data from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an instrument that measures both visible and infrared radiation, and monitors an array of environmental phenomena.

Aqua has had an impact beyond the scientific community. The satellite is used to monitor and forecast a broad range of natural hazards that affect all of us, ranging from severe storms to dust storms and haze to droughts and crop health. Aqua’s MODIS instrument has had a particularly dramatic impact on our ability to monitor the world’s fires, detecting more than 20 million actively burning fires to date.


아쿠아 프로젝트 과학자 클레어 파킨슨은 아쿠아에 탑재된 각종 감지 장비가

날씨와 해수 물의 수증기등을 측정하는 능력으로 기후예측을 더욱 향상시킬것으로 기대했으며,

실제 아쿠아 위성이 수집 관측한 데이타를 기반으로 연구팀은 지난 십년간 2,000 여명이 논문을

발표했으며, 이논문들의 대부분은 바로 아쿠아 위성에 탑재되어진 방사선 적외선 관측장비들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결과물들이다.



아쿠아위성은 과학공동체 이외의 분야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아쿠아위성은 강력한폭풍 모래폭풍 안개 가뭄과 작물 건강에 이르기까지,

우리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자연 재해의 넓은 범위를 모니터링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아쿠아의 MODIS 관측장비는 그동안 20,000,000 건 이상의 지구 지표상의 불타는 화재를 감지,

세계의 화재를 감시하는 능력에서 특히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아쿠아 위성이 발사이후 현재까지  관측한 영상 모습들

Reaching a height of 4 to 5 kilometers (13,000-17,000 feet), the plume of ash from Iceland’s

Eyjafjallaj?kull Volcano rises above a sea of clouds in this image.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on NASA’s Aqua satellite captured the image on May 12, 2010.


아이슬란드Eyjafjallaj?kull 화산에서 화산재연기 4-5킬로미터

(13,000-17,000 피트) 상공 높이에 도달,구름 바다 위에 솟아 오르는 모습이다.

NASA의 아쿠아 위성에 2010년 5월 12일 포착한 Spectroradiometer 보통 해상도 이미지모습이다.


캐나다 북극군도의 섬들사이로 눈과 얼음층이 밀려들어  노스 웨스트 항로를 차단해버린 모습,
2009년 8월 27일경 모습



Hurricane or tropical storm warnings extended from South Carolina to Maine as Hurricane Irene approached the U.S. East Coast on the afternoon of August 26, 2011. When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on NASA’s Aqua satellite acquired this image at 2:05 Eastern Daylight Time (18:05 UTC), Irene was a Category 2 storm with winds near 100 miles per hour (160 kilometers per hour). The storm is moving toward the North Carolina coast at 14 miles per hour (22 km/hr).


허리케인 아이린 2011년 8월 26일 오후에 미국 동부 해안으로 근접함에 따라 허리케인으로 인한

열대성 폭풍 경고가 미국 남서부해안 사우스 캐롤라이나지역에 발효되어진 모습이다.


NASA의 아쿠아 위성에서 포착한 Spectroradiometer 이미지 (MODIS) (세계표준시 18시 05분)

아이린은 중심풍속 시간 당 100 마일 (시속 160km) 바람과 함께 제 2 급 수준으로 발다라하며,

폭풍은 시속 14마일 (22km / 시간)에 노스 캐롤라이나 해안쪽으로 이동해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Atlantic Heat Source for Hurricane Irene

As Hurricane Irene rumbles through the Atlantic Ocean, it needs fuel to sustain itself. Warm water is the main fuel,

and there is plenty of it right now, as there usually is this time of year.

The map above shows sea surface temperatures (SST) in the Atlantic Ocean, Gulf of Mexico,

and the Caribbean Sea on August 23, 2011.

The measurements come from the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AMSR-E)

on NASA’s Aqua satellite and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instruments

on both the Terra and Aqua satellites. The satellites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top millimeter of the ocean.


허리케인 아이린을위한 대서양 열원

허리케인 아이린은 대서양을 통해 그세력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열대성폭풍은 따뜻한 물이 주요 연료이며, 보통 이맘때가 충분한 해수온도의 상승시기입니다.

위의지도는 2011년 8월 23일에 대서양, 멕시코 만과 카리브해의 바다 표면 온도 (SST)를 보여줍니다.

측정은 NASA의 아쿠아 위성에 고급 마이크로 웨이브 스캔 복사계 (AMSR-E)와 보통 해상도 이미지

Spectroradiometer (MODIS)

테라와 아쿠아 위성 각종 관측장비에서 수집한 데이터로 만들어진 해수표면온도 지도모습이다.

위성은 바다 수면 상단 밀리미터의 온도를 측정합니다.


해수표면의 높은 온도가 열대 폭풍우를 만드는 에너지 원이다.태풍,허리케인등이 발달하기 위한 조건은

해수온도가 섭씨 27.8도 이상이어야합니다. 빨강, 오렌지, 노랑 색상은 27.8 도 지역모습이다.


An estimated 42,000 gallons of oil per day were leaking from an oil well in the Gulf of Mexico in late April,

following an explosion at an offshore drilling rig on April 20, 2010. The rig eventually capsized and sank.

These images of the affected area were captured on April 25 by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on NASA’s Aqua satellite (top, wider view) and the Advanced Land Imager

on NASA’s Earth Observing-1 (EO-1) satellite (bottom, close up).


2010년 4월 20일에 멕시코 만에서 해상 유전사고로 인한 석유가 새어나오고있는 모습이다.

하루에 기름 추정 4만2천갤런의 양이 시추 드릴링 장비에서 폭발에 이어 4 월 하순에서

멕시코 만에서 석유에서 새고 있었다. 시추 장비는 결국  뒤집혀서 바다속으로 침몰했다.

그로인한 기름띠가 위성영상에 그대로 포착도어진 모습이다.


This image was captured by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on NASA’s Aqua satellite at 12:40 UTC (1:40 p.m. local time in Jan Mayen).

On February 24, 2009, cold northerly winds (perhaps katabatic winds from Greenland)

encountered moist air over the Greenland Sea,and their meeting generated dozens of parallel rows of clouds,

commonly called “cloud streets,” in the skies around the island of Jan Mayen.


이 영상은 세계 표준시각 12시 40분 ( 얀마이엔에서 오후 1시 40분 현지 시간)

북극해 그린란드지역 NASA의 아쿠아 위성에서 포착한 영상모습이다.


2009년 2월 24일에서 차가운 북쪽 바람 (아마 그린란드에서 하강하는 바람)

그린란드 바다 위에 습한 공기가있어서, 습한 고기층이 하강하며 만들어내는

해수면위의 발달한 안개구름층 모습이다.가운데 얼음바위 주위남단으로 스트림의 처럼,

공기 카아 vortices로 알려진 특이한 나선형 소용돌이모습이보인다.


In September 2011, sea ice covering the Arctic Ocean declined to the second-lowest extent on record.

Satellite data from NASA and the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NSIDC)

showed that the summertime ice cover narrowly avoided a new record low.

The image above was made from observations collected by the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AMSR-E) on NASA’s Aqua satellite.

The map?which looks down on the North Pole?depicts sea ice extent on September 9, 2011,

the date of minimum extent for the year.

The animation (link below the image) shows the growth and decline of sea ice from September 2010 to September 2011.

Climate models have suggested that the Arctic could lose almost all of its summer ice cover by 2100,

but in recent years, ice extent has declined faster than the models predicted.


2011년 9월경 북극해를 덮고있는 바다 얼음이 북극 기록이후 두 번째로 낮은 범위로 감소했다.


위의 이미지는 NASA의 아쿠아 위성에 고급 마이크로 웨이브 스캔 복사계 (AMSR-E)에

의해 수집된 관찰기록으로 만들어진 북극얼음층 모습이다.


기후 모델은 북극알음층이 2100 경에 거의 모든 여름 얼음 표지를 잃을 수 있다고 예상 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얼음 범위는 모델 예측보다 더 빠르게 감소하고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The map above shows global maximum land surface (or skin) temperatures from 2003 to 2009,

as measured by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onboard NASA’s Terra and Aqua satellites.


The MODIS instrument has 36 different spectral bands (groups of wavelengths), including some that detect thermal radiance,

or the amount of infrared energy emitted by the land surface. Since the two MODIS instruments scan the entire surface each day,

they provide a complete picture of earthly temperatures and fill in the gaps between the world’s weather stations?particularly in extreme environments where temperatures are simply not measured. These land skin temperature measurements have helped scientists from the University of Montana pinpoint the hottest places in the world.


위의지도는 세계 최대의 육지 표면 (또는 지구 지표면) Spectroradiometer (MODIS) 온도를 나타낸 지도모습이다.

NASA의 테라와 아쿠아 위성에 의해 측정된 2003~ 2009 온도를 보여줍니다.


MODIS 관측장비는 열 발산, 또는 땅 표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에너지의 양을 감지, 

36 가지를 포함한 몇가지 스펙트럼 밴드 (파장의 그룹)이 있습니다.


두 위성의 MODIS 관측장비가 매일 전체 표면을 스캔하기 때문에, 지상의 기온분포를 완전한 모습으로 보여주며,

세계 기상 방송국 - 특히 기온이 간단하게 측정되지 않는 극한 환경지역들의 지표면 온도까지도 관측할수있습니다.

이러한 지표면 온도 측정값은 몬타나 대학 과학자에 의해 세계에서 가장 인기있는 장소를

정확히 파악할수있는 기초 자료가 되기도 합니다.



Of the 1.39 billion cubic kilometers (331 million cubic miles)of water on Earth,just a thousandth

of 1% exists as water vapor.Yet this tiny amount of water has an outsized influence on the planet:

It is a potent greenhouse gas and a major driver of weather and climate.

This map shows the distribution of water vapor in Earth’s atmosphere during August 2010.


Even the wettest regions would form a layer of water only 60 millimeters (2.4 inches) deep

if the entire column of air was condensed from the top of the atmosphere to the surface.

The map was compiled from observations by the Atmospheric Infrared Sounder (AIRS)

and the Advanced Microwave Sounding Unit (AMSU-A) on NASA’s Aqua satellite.


이지도는 2010년 8월 한달동안 지구의 대기에있는 수증기의 분포도를 보여줍니다.


 1,390,000,000 입방 킬로미터 (331,000,000 입방 마일)의 단지 1 %의 물이이

(지구상의 전체 물의 천분의 일은) 수증기로 존재합니다.

그러나 이 작은 양의 물이 지구상의 outsized 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것은 강력한 온실 가스와  기후의 주요 변수입니다.


Dust plumes continued blowing out of the Gobi Desert, and dust spread over large swaths of eastern China on April 27, 2012.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on NASA’s Aqua satellite captured this natural-color image the same day.

Dust plumes arose along the border between China and southeastern Mongolia, sweeping in a counter-clockwise motion around

a cloudbank. Farther south, a veil of dust hung over eastern China, with a fairly thick plume stretching across Bo Hai.


황사모래먼지는 고비 사막 밖으로 부는 지속적으로, 그리고 2012년 4월 27일

중국동부지역으로 매우강한 황사먼지 구름을 확산시킨다.


NASA의 아쿠아 위성에서 포착한 자연컬러 이미지를 캡처한영상모습이다.


몽골의 경계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휘감기는 저기압 기단 남단쪽으로 황사먼지 구름층이

함께 소용돌이치며 중국 남동부지역과 발해만 한반도 북한상공까지

짙은 황사가 밀려 퍼지는 모습이 보인다.





2012년 5월 첫 주말을 향해가는 5월4일 한낮의 한반도 상공의 맑고 깨끗한 모습.

2012년5월4일 정오경 한반도 상공 아쿠아 위성 컬러 영상모습.



On January 23, 2012, Tropical Cyclone Funso raged over the Mozambique Channel, packing sustained winds of 100 knots (185 kilometers per hour) and gusts up to 125 knots (230 kilometers per hour). The U.S. Navy’s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JTWC) reported that Funso was located roughly 590 nautical miles (1,095 kilometers) northeast of Mozambique’s capital city of Maputo


2012년 1월23일경 미항공우주국 NASA 의 다목적지구관측위성에서 포착한 사이클론 'FUNSO'모습.

최대풍속 185 km/h 순간최대풍속 230 km/h 정도의 매우강력한 세력으로

발달한 상태에서 모잠비크 동부해안을 이동중인모습다.


2012년 북서태평양 지역에 해수온도가 상승하면서 첫번째 태풍을 만들어내며

북반구에 겨울이 막을내리고 여름절기의 시작을 알리려는 듯

제 1호태풍으로 당당히 이름을 올리며발달중인 '파카르' 모습이다.


미항공우주국 NASA 의 아쿠아위성과 함께 활동중인 다목적 지구관측위성 TERRA가 포착한

제1호태풍 'PAKHAR'모습이다 2012년3월30일 12시 정각 모습 지상 500m 상공 영상이미지

제1호태풍 파카르는 베트남 남동부 지역으로 상륙하며 인도지나 반도 남부지을 향해 소멸해갔다...!




2012년5월5일 어린이날 주말 낮 한반도상공 테라위성 영상모습

테라위성은 NASA 의 아쿠아위성과 함께 쏘아올려진 다목적 지구관측 위성이다.


5월의 첫 주말을 맞은 한반도 상공의모습은 대체로 맑은 전형적인 오월의 날씨를 보여주고있다.


같은시각 구름강조영상모습이다.


2012년14시45분경 천리안 기상위성 구름영상모습이다.


우리에겐 천리안 기상위성이 있어 그나마 다른나라의 위성자료에 의지하지않고

한반도 상공의 기상관측을 실시간 독자적으로 관측할수있는 토대가 마련되었습니다.


하지만 NASA 의 아쿠아,테라 위성에서 보듯이

좀더 고해상도의 지구 관측이 가능한 장비를 탑재한

성능이 우수한 위성을 하루빨리 독자적인 기술로 쏘아올리는 날이

하루빨리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비록 위성체를 괘도에 올리는데는 실패했지만

2012년 가을 3차 나로호발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올 가을 3차 발사때는 반듯히 성공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나로호 2차 발사 장면



두번의 실패를 거울삼아

올가을 나로호 3차발사를 반듯히 성공시키고

이를 발판으로 독자적인 로켓발사체와 이미 수준급에 있는

인공위성설계능력을 더욱 향상시켜 NASA의 아쿠아,테라 관측위성에

부럽지 않을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지구 관측 위성이

하루빨리 우주를 향해 쏘아올려지길 간절히 바라는 마음으로

이 글을 올려봅니다.....!


아울러 우주 항공기술에 분야에 관한 정부와 과학계 그리고

대기업들이 좀더 적극적인 기술투자와 힘을 합하여

21세기 우주항공분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한민국 우주강국의 꿈을 향한 온 국민의 기대와 염원을

저버리지 않을 그날이 반듯이 이루어지길 기원해봅니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