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팔장은 파장 흐느끼는 뽕짝 무대라야 장터 마당 우리는 들뜨지 학교에선 기죽던 강둑 아래 녀석도 나방처럼 설치지 노란 등 꺼지고 영사기 소리 밤하늘 긁으면 어김없이 죽죽 장대비 내리지 매가리 없는 삶 눈물처럼 때도 없이 내리지 사랑해선 안 될 사람 통통배는 서울로 가는데 소나무에 기대 바라만 보는 여인아, 문희, 눈물도 예쁜 저런 여자라면 삶이 한두 번 속여야지 그래도 지금 여자 갸름한 목덜미는 꼭 닮았다네
촌구석에 극장이라니 거무죽죽 지붕 사이 우뚝한 국제극장 김일 박치기를 단체로 볼 줄이야 허장강도 도금봉도 막걸리 안주 희갑이는 애들도 만만하게 보는데 장돌뱅이로 돌고 돈 필름은 장꾼들 셈처럼 자꾸만 끊어져 하필 두 입술이 닿을 찰나에 건달들 ‘도끼’고함에 다시 이어져도 꼴도 보기 싫은 놈 자르고픈 컷, 컷, 정말 도끼로 뭉툭 도려내고 사는 맛도 있어야지 ‘한 떨기 장미 꽃잎이 젖을 때’라나 아직도 콩닥거리네
범일동 시궁창 강구 군단도 촌놈 부산 구경 못 막았지 가무잡잡 삼화고무 앳된 처자들 삼일극장이 비좁네 뽕도 딸 겸 들어서면 분내 땀내 찐득거려 삼성극장으로 건너가면 지린내가 폴폴 따라붙지 헛헛하지 액션으로 한 방 멜로로 또 한 방 동시에 달래주곤 남진까지 불러다 구장집 봉순이 봉긋한 가슴에 바람 넣더니 바람과 함께 사라진 봉순인 태화고무 고무신처럼 어디서 질기게 살아갈 테지 그 보림극장도 문을 닫았다네
내려진 그 극장 간판 헛바람 안 빠진 물컹한 가슴에나 달아야겠네
출처: 부산일보(www.busan.com)
2023년 부산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이상록 시인의 <극장의 추억>입니다. '극장'이라는 말 자체가 이미 사라진 말이 아닐까요? 영화관이라는 말이 극장을 대신하죠. 그런 부분에서 시인의 연륜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기억의 성채도 언젠간 무너지지만 내 인생극장은 막을 내릴 수 없다네
시작이 늘 중요하잖아요. 시선을 확 끄는 행입니다. 기억이란 세월이 가면 잊히거나 왜곡됩니다. 특별한 기억이 잘 기억되기는 해도 나중에 친구들을 만나 얘기해 보면, '어? 그때 있었지 않아? 분명 너였는데' 이런 기억들 있으시지요. 기억은 잘 변절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우리는 그 인생 속에 있었죠. 시인의 인생극장은 끝나지 않습니다.
삼팔장은 파장 흐느끼는 뽕짝 무대라야 장터 마당 우리는 들뜨지 학교에선 기죽던 강둑 아래 녀석도 나방처럼 설치지 노란 등 꺼지고 영사기 소리 밤하늘 긁으면 어김없이 죽죽 장대비 내리지 매가리 없는 삶 눈물처럼 때도 없이 내리지 사랑해선 안 될 사람 통통배는 서울로 가는데 소나무에 기대 바라만 보는 여인아, 문희, 눈물도 예쁜 저런 여자라면 삶이 한두 번 속여야지 그래도 지금 여자 갸름한 목덜미는 꼭 닮았다네
자, 지금부터는 시인이 천막 극장에서 본 풍경을 이야기합니다. 장날 파장이 되고 나면 천막을 치고 이동식 극장이 열립니다. 저는 외가가 시골이어서 천막극장에 두어 번 가 본 기억이 있습니다. 돈이 없어서 외삼촌 퇴근할 때까지 기다렸죠. 그러면 외삼촌은 무슨 힘이 있었는지 우리(외사촌들)를 그 천막으로 들여보내 주었습니다. '문희' 라는 여배우는 가끔 추억의 배우라는 이름으로 TV에 한 번씩 나오곤 해서 알고 있습니다. 눈물도 예쁜 문희는 여러 번 사랑에 속고 삶에 속는군요. 푸시킨의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라는 구절이 생각납니다. 그때 문희를 이상향으로 삼았는지 지금 시인의 아내가 갸름한 목덜미를 닮았나 봐요. 아내를 슬며시 끼워놓았습니다.
촌구석에 극장이라니 거무죽죽 지붕 사이 우뚝한 국제극장 김일 박치기를 단체로 볼 줄이야 허장강도 도금봉도 막걸리 안주 희갑이는 애들도 만만하게 보는데 장돌뱅이로 돌고 돈 필름은 장꾼들 셈처럼 자꾸만 끊어져 하필 두 입술이 닿을 찰나에 건달들 ‘도끼’고함에 다시 이어져도 꼴도 보기 싫은 놈 자르고픈 컷, 컷, 정말 도끼로 뭉툭 도려내고 사는 맛도 있어야지 ‘한 떨기 장미 꽃잎이 젖을 때’라나 아직도 콩닥거리네
자, 이제는 천막극장 시대를 벗어나 시골 변두리 극장으로 옮겨갑니다. 우리 인생도 발전? 하잖아요. 천막극장에서 시골 극장으로 그리고 영화관으로 변하듯 말이죠. 결정적인 장면에서 요즘은 광고가 나오는데요, 옛날엔 필름이 끊어져서 암전이 되죠. 그러면 사람들의 야유 소리, 탄식 소리가 절로 나옵니다. '아직도 가슴이 콩닥거리네' 시인의 성장이 시작됩니다. 순수한 시절입니다.
범일동 시궁창 강구 군단도 촌놈 부산 구경 못 막았지 가무잡잡 삼화고무 앳된 처자들 삼일극장이 비좁네 뽕도 딸 겸 들어서면 분내 땀내 찐득거려 삼성극장으로 건너가면 지린내가 폴폴 따라붙지 헛헛하지 액션으로 한 방 멜로로 또 한 방 동시에 달래주곤 남진까지 불러다 구장집 봉순이 봉긋한 가슴에 바람 넣더니 바람과 함께 사라진 봉순인 태화고무 고무신처럼 어디서 질기게 살아갈 테지 그 보림극장도 문을 닫았다네
이제 극장은 제대로 된 극장이군요. 7~80년대 경제개발 붐이 일던 시절입니다. 삼화고무에서 일하는 처자들이 주말을 맞아 삼일극장이 만원입니다. 님도 보고 뽕도 딴다고 처자들이 있는 곳에는 떠꺼머리총각들이 꼬이기 마련이죠.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묘사입니다. 삼성극장에서는 두 프로를 상영했나 봐요. 홍콩 영화 한 편과 끈적한 멜로 영화 한 편이었겠죠. 봉순이는 영화를 보고서는 가슴이 바람이 들어 서울로 갔을까요? 태화 고무는 아직도 고무신을 만들까요? 이제 보림극장도 문을 닫았습니다. 안정효 소설가의 '할리우드 키즈의 인생'처럼 '극장'에 얽힌 부산의 서사가 잘 그려져 있습니다.
내려진 그 극장 간판 헛바람 안 빠진 물컹한 가슴에나 달아야겠네
극장 간판은 다 내려졌습니다. 아이맥스 영화관이 대세죠. 시인은 아직도 헛바람이 가슴에 가득합니다. 옛 추억을 그리워합니다. 내려진 극장 간판을 옛날을 추억하는 가슴에나 달고 싶어 합니다. 그립다는 것은 나이가 들어서 그렇지 않을까요? 미래를 바라보느라 과거를 보지 못할 때는 조조영화나 한 편 보는 걸 어떨까요? 영화 같은 시입니다. 연륜이나 사색과 통찰이 가득 담긴 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