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 믿다 망한 동네’서 독립정신 기리는 사적, 기념관, 기념공원
제암교회 강신범 원로목사가 3.1운동 순국 기념탑 앞에서 제암리 교회 사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1919년 4월 15일 경기 화성 향남면 제암리에 일본 육군 보병 제79연대 아리타 중위는 보병 11명과 순사 1명을 인솔해 들어왔다. 그는 마을의 15세 이상 성인 남성들은 제암리 감리교회로 모이라고 지시했다. 미리 명단을 파악한 듯 모이지 않는 사람은 찾아가 불러왔다. 남성 21명이 모이자 교회를 둘러싸고 있던 일본군은 일제히 창문을 통해 사격을 시작했다. 문으로 탈출하는 이들에게도 총탄세례를 퍼부었다. 총성에 놀라 교회로 달려온 부녀자 2명도 변을 당했다. 사격 후 일본군은 짚더미에 석유를 끼얹고 불을 질렀다. 일본군은 이어 건너편 고주리로 가서 천도교인 6명을 총살했다. 1919년 3월 31일 화성 발안장날 시위 등 만세운동이 벌어지자 일본군이 벌인 만행, ‘제암리 사건’이다.
제암리 학살 사건 때 희생된 교인들의 무덤이 있는 언덕으로 향하는 길엔 '지금 바로 독립을 외칠 때요' '태극기를 들어올리라!'라는 글귀가 적혀 있다.
‘제암리 학살’ 이후 수원지역의 만세시위는 급격히 줄었다. 그러나 일제는 세계 여론 악화라는 더 큰 문제를 직면하게 됐다. 교회에서 교인들이 학살당하는 사건은 선교사들에 의해 세계에 알려지게 됐다. ‘석호필 박사’로 잘 알려진 스코필드 선교사는 사건 후 현장을 찾았고, 폐허가 된 현장 사진까지 직접 촬영해 ‘제암리/수촌리에서의 잔학행위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해 세계에 알렸다. 외국인 선교사들이 일제히 움직이자 부담을 느낀 조선 총독은 4월 20일 제암리 현장을 찾아 복구비로 1500원을 내놓기도 했다고 한다.
경기 화성 제암교회 앞 기념공원에 있는 석호필 선교사 동상. 자전거를 타고 와서 카메라를 든 모습이다. 석호필 선교사는 제암리 학살의 진상을 세계에 알렸다.
제암리 사건 직후 참상을 세계에 알린 이가 석호필 선교사였다면, 현대에 와서 사건이 잊혀지지 않고 기억될 수 있도록 노력한 이는 제암교회 강신범(81) 원로 목사이다. 1980년 담임목사로 부임해 2021년 정년퇴임한 강 목사는 유해 발굴과 기념관·기념공원 조성 등에 앞장섰다.
지난 5일 찾았을 때 제암교회 일대는 ‘잘 정리된 공원 같다’는 인상을 주었다. 강 목사가 담임목사를 맡던 시절 이 일대를 선조들의 독립정신을 체험할 수 있는 곳으로 만든 덕분이었다.
“1980년 담임목사로 부임해서 제가 31대 담임이라는 것을 알게 됐어요. 3,1이란 숫자가 3·1운동과 운명처럼 묶였다는 무거운 책임감을 느꼈지요.”
그가 부임할 당시 교인은 할머니와 할아버지 등 6명. 제암리 일대에선 학살 사건 때문에 “예수 믿다 망한 동네”라는 소문이 수십년째 돌고 있었고 교회는 겨우 명맥을 잇고 있었다. 교인 가운데 전동례 할머니는 당시 이 교회에서 남편을 잃은 분. 그는 순국한 이들이 묻힌 자리를 기억하고 있었다. 강 목사는 막연히 “이건 나라가 나서야 할 일”이란 생각에 서울 문화재관리국(현 문화재청)을 찾았다. 그의 첫 마디는 “여기 작은 애국자가 왔습니다”였다고 한다
제암교회 뒷동산에 함께 안장된 희생자 23인의 묘지.
정부 지원을 받고 할머니 증언에 따라 1982년 유해발굴이 이뤄졌고 ‘예수 믿다 망한 마을 교회’는 사적으로 지정됐다. 한꺼번에 엉켜 매장된 유해 23구가 발굴됐다. 수습된 유해는 63년만에 제대로 장례를 치르고 대형관에 모셔서 교회 뒷동산에 함께 안장됐다. 23명이 매장된 봉분 앞엔 당시 이현종 국사편찬위원장이 글을 쓰고, 서예가 여초 김충현이 글씨를 쓴 비석이 서있다. 무덤으로 오르는 길 아스팔트 바닥엔 ‘지금 바로 독립을 외칠 때요’ ‘태극기를 들어올리라!’는 글귀가 스프레이로 쓰여있었다. 봉분 아래엔 길다란 검은 돌 23개가 서있었다. 당시 희생자들을 기리는 의미다. 강 목사는 “돌의 높낮이가 다른 것은 사망 당시 나이를 나타낸 것이며 큰 돌 가운데에 구멍이 뚫린 것은 미래를 향하는 눈을 상징한다”고 말했다. 기념 공원에는 스코필드 박사 동상도 있다. 타고온 자전거 앞에서 카메라를 꺼내들고 현장을 기록하는 모습이다.
강 원로 목사는 담임목사로 지내던 시절 일본에도 여러 차례 초청받아 강연을 다녀왔다. “일본에서 강연하면서 저는 ‘지금부터 할 이야기는 유쾌한 내용이 아니다. 거북하면 나가도 좋다’고 미리 이야기합니다. 강연이 끝나면 ‘대학까지 듣지도 배우지도 못한 역사’ ‘어떻게 그렇게 잔학할 수 있나?’며 울먹이고 무릎 꿇는 이들도 많습니다. 노인들은 고개 숙이고 가만히 듣기만 하고 질문을 하지 않습니다.”
강 목사는 “국내외 강연을 다니면서 ‘제암리 사건에 대해 제대로 알려야 할 책임이 있구나’라는 걸 절실히 느낀다”며 “우리 모두 ‘옛날을 기억하라. 네 아버지에게 물으라’는 신명기 말씀과 ‘다시는 종의 멍에를 매지 말라’는 갈라디아서 말씀을 새기며 살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www.chosun.com/culture-life/relion-academia/2022/10/16/UTQBL276WFFYVN67KNWZKIBG3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