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THIS IS TOTAL WAR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정치/사회/이슈 스크랩 중국의 대만 침공은 어떻게 진행될까?: CSIS 워게임
가터벨트후작 추천 0 조회 268 24.05.29 16:34 댓글 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4.05.29 23:18

    첫댓글 저도 이 비슷한 내용을 본적이 있습니다. 중국의. 대만 공격은 중국군의 상륙 능력을 우선 고려할게 아니라 대만섬의 대규모 상륙부지가 매우 한정적이라 중국군이 대규모 상륙작전을 전개하는거 자체가 힘들고 상륙했다 해도 보급이 딸려서 효과적인 공격작전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하더군요. 그 사이 한미일 연합 함대가 중국 해군을 조지면 게임 끝난다고요.

  • 24.05.30 00:48

    나치 독일이 프랑스는 먹엇고 폴란드도 먹엇고 노르웨이까지 처들어가는 지랄을 햇지만 결국 영국을 이길순 없엇죠...유보트로 졸라게 괴롭혓지만... 마찬가지 중국이 아무리 대만과 전력차가 무지막지하지만...바다를 건너야하는건 모두 아이언맨도 아니고 대규모의 수송기와 수송함이 항구와 공항에 모여야하고 그걸 인공위성으로 보고있는데...과연 일반적인 재래식의 대규모 상륙이 가능할지 의문입니다. 2차대전때 미국 영국의 전력을 기울여서야 겨우 프랑스에 상륙햇는데 대만은 동부는 3천미터대의 고산지대...상륙포인트가 한정적이라고 봣을때 해상봉쇄 같은걸론 통하지도 않고 대규모 전면전을 할려한다면 그 준비는 안들킬수없다 봅니다.

  • 24.05.30 03:38

    시나리오람 현실은 정치적 상황에 따라 실제 대응은 얼마든지 달라질수 있는 문제죠.

    대만은 판찬님도 말했듯이 유사시 버릴수 있는 카드죠필리핀과 일본쪽 섬들이 있기 때문이죠. 미국도 이러한 상황에 대비해서 최소한의 안전장치로 반도체 공장을 미국에 세운것이고 대만을 반드시 지키겠다는 기존 방침을 반드시 고수할 생각은 없다고 보입니다.
    대만 지키겠다고할 경우 미국의 다규모 군대와 국력을 소진 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전쟁보단 중국해 봉쇄전략이 더 현실적이라 봅니다.

    그리고 양안전쟁에 한국이 참전하지 않았다고 한국마저 버린다고요ㅋ
    대만은 미국과 동맹은 아니지만 한국은 동맹인데다 중국을 직접 타격할 교두보를 버린다는건 전략적으로 크게 실패하는거죠 동맹도 아닌 대만 문제 때문에 한국이란 1급 동맹국을 버리는걸 본 일본이 과연 자신들은 버리지 않을거라 믿을거라 생각한다는건 너무 나이브한 관점이죠. 그렇게 되면 미국은 일본 컨트롤이 지금처럼은 안될겁니다. 국제 사회에서도 미국이 중국에 밀린다는 이미지를 각인시킬텐데 패권국으로써 입지가 추락할거고요. 필리핀이 말들을 보장은요? 일본이 있으면 최소한의 방어선만 유지하겠다는건데 센카쿠 열도가 그 시점에서 지켜질지도 의문입니다.

  • 24.05.30 10:01

    우선 CSIS 에서 나오는 내용들은 존나 필터해서 봐야 합니다. 애네들이 엉터리를 적는 건 아닌데, 기본 소스 자체가 미국 내 지역 이주민들이라서 소스가 엄청나게 편향되어 있어요. 예를 들면 애네들의 이라크에 대한 주요 소스는 후세인 시절에 망명하거나 도주하여 정착한 이라크 인들 위주입니다. 애네들의 성향은 당연히 편향적일 수 밖에 없는데 CSIS는 애네들을 위주로만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현실적으로 가장 정확하게 보는 집단은 국무부에요. 애네들은 필드에 나가거든요..

    그리고 2022년에 굥 시절에 나온 보고서면 이것도 필터 대상입니다. 왜냐하면 정부에서 내용과 방향성에 대해서 압력을 넣거든요.

  • 24.05.30 10:05

    탄도 / 순항 미사일이 효과 없을 거라는 무슨 개수작인지 모르겠는데 우-러 전쟁에서 러시아의 실질적인 재고량은 별로 없었고 지금도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애초에 1500말 탄도 미사일 뽑아서 북한 전역의 점표적을 제압하겠다는 한국이 이상한 나라인거고. 러시아가 맞는 거죠. 그리고 러시아와 우크라 양자 공히 탄도 미사일은 "엄청난 위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점표적을 모두 제압할 정도로 수량이 많지 않은 거지 일단 발사하면 소기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 합니다. 단 비향장 같은 경우 활주로를 파괴해도 워낙 복구 체계가 발달되어서 금방 복구합니다. 길어도 3일이면 임시 활주로 깔고 이단 이착륙이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크라이나는 자기들이 가진 그 알량한 공군력의 대다수를 지상에서 잃었습니다. (......) 러시아의 순항 미사일과 탄도 미사일로 말이죠. 지금 제공권이 완전히 넘어가서 기본적인 DCA도 못해서 전선이 쫙쫙 밀리는데 미사일은 별거 없다니???


    미국과 같은 수준의 방공망에는 미사일이 당연히 효율이 떨어지겠지만 여전히 위협적입니다.

  • 24.05.30 10:10

    양안전쟁이 벌어지면 미군이 참전한다고 했을 때 한국도 지원을 하기는 해야 할 겁니다. 단지 전투병을 투입하느냐 중국과 전면전을 벌여서 제2전선을 구축하느냐는 다른 문제긴 합니다. 아마 개인적으로는 1차로 무기 지원 및 해공군 참전이 될 거 같기는 하네요..(물론 중국 본토 타격은 하지 않고 어디까지나 대만에서의 방어전투에만 투입하겠죠.)

    지상군은 1차로 북한이 문제고 2차로는 중국이 다시 한반도로 직접 상륙할 수 있어 현실적인 내용은 아닙니다. 손가락만 빨고는 싶지만 일본은 참전할 거고..(아마 여기도 해공군만 대만에 투입하는 형태로..) 일본이 가면 한국만 안 갈 수는 없죠.. 사실 항모 반대파의 또 다른 논리는 양안 전쟁 났을 때 그 함선들이 모두 미국에 징발(.....)될 가능성입니다. 애초에 동북아의 NATO를 구축하자는 이유가 이거기도 하지요

  • 24.05.30 12:49

    @델카이저 !!!!!!!!!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