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아름다운 고향 사기리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역사 사진방 스크랩 한수면 지명 유래
창천 추천 0 조회 50 10.11.13 14:36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수몰이전 우리고장의 지명(1984년도 당시)

 

한 수 면

 

 

 

 

[위치] : 제천시의 남쪽에 위치하며 1984년 인구는 2,365(남 1223, 여 1142)명임. 면적은 96.0㎢이며 동쪽으로는 덕산면과, 서쪽은 중원군 살미면과, 남쪽은 중원군 상모면과 북쪽은 중원군 동량면과 청풍면에 접해있다. 면소재지는 황강리이다.

[연혁] : 청풍군 서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원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복평, 노탄, 역리, 한천, 서창, 덕곡, 황강, 증산, 월악의 9개리를 관할하였는데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충주군 덕산면의 송계동을 편입하는 동시에 증산, 월악 2개리를 덕산면에 넘겨주고 황강리에 있는 한수재의 이름을 따서 한수면이라 하여 제천군에 편입되어 서창, 황강, 한천, 역리, 북노, 상노, 덕곡, 탄지, 복평, 송계의 10개리로 개편 관할하였는데 1929년 10월 14일 수하면의 호운, 함암, 명오, 사기, 서운, 포탄의 6개리를 편입하여 16개 리가 되었음. 그 후 1980년 4월 제천군의 명칭 변경에 따라 제원군에 편입되었음.

[자연] : 본 면 북동부 경계에 월악 영봉이, 북서부에 주봉산이 솟아 있으며 본 면의 북부는 남한강이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흘러 북부 중앙지점에서 서류하여 달천과 합류하고 있고 남부는 산지로서 달천의 지류가 북류하나 산간계곡을 흘러 평야는 거의 발달되어 있지 않다.

[산업] : 경지면적 중 논이 301ha, 밭이 887ha 분포하고 있으며, 주요 농산물로는 미곡, 맥류, 잡곡, 두류와 연초, 양잠, 감의 생산도 성하다.

[교육문화] : 1998년 3월 1일 한수중학교와 송계초등학교가 초·중 통합하여 한송 초중학교로 통합 운영되고 있다.

[산천]

? 월악산(월형산) : 해발 1097m의 월악영봉이 있음.

? 등곡산 : 한수면 북노리, 상노리, 황강리, 서창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높이는 590m임.

[기타]

? 송계1교 : 청풍댐 건설로 새로 건설된 이설국도 중에서 신한수면 소재지 진입로 중 동달천을 건너는 다리로 길이는 215m, 폭 8.5m의 다리로 한수면의 명물로 1983년 11월 29일에서 1985년 6월 13일까지 건설되었음.

? 송계2교 : 달천을 건너는 다리로 청풍댐 건설에 따라 1983년 11월 21일부터 1985년 6월 13일까지 공사한 길이 120m, 폭 8.5m의 다리.

? 송계3교 : 1975년 새마을 사업으로 시공된 잠수교가 청풍댐 건설로 수몰됨에 따라 새 한수면 소재지로 진입하는 이설도로와 연결되는 길이 60m, 폭 8.5m의 다리

? 송계5교 : 송계 1리로 진입하는 마을 입구의 다리로 1983년 11월 29일부터 1985년 6월 13일까지 건설한 길이 50m, 폭 8.5m의 다리.

? 월악교 : 청풍댐 건설로 수몰지역 도로를 이설한 도로 중 송계리(동달천)를 건너는 높이 51m, 폭 10.5m, 길이 231.24m의 다리로 1982년 6월 3일부터 1984년 12월 3일까지 건설되었음.

 

1. 황강리(黃江, 黃剛)

[위치] 한수면 북쪽에 위치하며 1984년 인구는 63명이다.

[연혁] 청풍군 원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황강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황강리라 하고 한수면에 편입되었음.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26.4ha, 밭이 38.3ha 분포하고 있다.

[자연부락]

? 관터곡 : 황강리 동쪽에 위치하며 옛 공동묘지였으나 1972년 8월 19일 대홍수로 인하여 원황강리가 모두 유실되어 관터곡으로 이주하였으나 수몰지구가 되어 1984년 12월 31일 이주하였음.

? 구황강 : 황강 남동쪽에 있는 황강의 원 마을

? 서원말 : 황강 북동쪽에 있는 마을로 황강 서원이 있었음.

? 황강나루(황강진리) : 황강나루 옆에 있었던 마을.

[기타]

? 권일원터 : 황강리에 있던 원집 터

? 박효자문 : 황강리에 있는 효자 박연규의 정문

? 박효자비 : 박효자문에 있는 효자 박연규의 비

? 수암구택지비 : 황강리 112번지에 있는 수암 권상하의 옛 집을 기념한 비

? 한수장 : 황강에 있었던 시장으로 2일과 7일에 섬.

? 한수재 : 서원말 북쪽 강가에 있는 재실로 조선 숙종때 학자 권상하가 황강에 살면서 세웠음

? 한수재불조정 : 황강리에 있는 한수재 권상하의 불처지위 사당.

? 황강나루(황강진) : 황강 북동쪽에 있는 나루터로 전에 상선이 닿았다 함.

? 황강서원터 : 황강에 있는 황강서원의 터로 영조 2년(1726년)에 창건하여 다음 해에 사액을 받아서 우암 송시열, 수암 권상하, 남당 한원진, 병계 윤봉구, 이조참판 권욱을 배향하였는데 고종 8년(1871년)에 헐림

? 황학사 : 황학산에 있는 절

? 베리시골절터 : 기우제를 지내던 곳

2. 서창리(西倉, 院里, 加村)

[위치] 한수면 북쪽에 위치하며 1984년 인구는 56명이다.

[연혁] 청풍군 원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조선 때 원집 논양원이 있었으므로 원리라 하다가 서창 옆이 되므로 서창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서창리라 하고 한수면에 편입되었음.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23.5ha, 밭이 106.8ha 분포하고 있다.

[자연부락]

? 덧말(가촌리) : 주막거리 북쪽에 있는 마을

? 밤나무골 : 안덧말 북쪽에 있는 마을

? 새터 : 서창 북쪽에 새로 된 마을

? 안덧말 : 덧말 안쪽에 있는 마을

? 장자골 : 밤나뭇골 북쪽에 있는 마을로 전에 장자가 살았다 함.

? 주막거리 : 새터 동쪽 길가에 있는 마을로 이조 때 관행 길 옆이어서 주막이 많았다 함.

? 황개 : 서창 북쪽에 있는 마을로 황공탄 옆이 됨

[산천]

? 명산 : 서창 서쪽에 있는 산으로 서낭당이 있는데 매우 영검하여 부정한 짓을 한 사람이 오르면 반드시 몸에 상처를 입는다 함.

? 용추거리 : 서창 북쪽에 있는 내로 근처에 용초가 있음.

[기타]

? 논양원터 : 서창에 있는 원집 터로 조선 때 논양원이 있었음.

? 배나굼치 : 서창 북서쪽에 있는 산모퉁이로 전에 배가 이곳까지 드나들었다 함

? 서창터(창집터) : 서창 북쪽 길가에 있는 창터로 옛 청풍현에 딸린 서창이 있었음. 조선말엽에 창집을 고쳐 공민학교로 썼다가 6·25사변 때 부서져 헐리었으며 그 자리에 서창 초등학교의 사택이 들어섰음.

? 숫갓재 : 서창 남쪽에서 덕산면에 월악리 숫갓으로 가는 고개.

? 아랫섬(배나굼치) : 배나굼치 위에 있는 버덩으로 물이 양쪽으로 흘러 섬처럼 되었는데 웃섬 아래가 됨

? 용소 : 서창 북쪽 강가에 있는 소로 가마솥처럼 되어 있는데 용이 하늘로 올라갔다 함. 가뭄에 기우제를 지냈음.

? 웃섬 : 서창 북쪽에 있는 버덩으로 물이 양쪽으로 흘러 섬처럼 되었는데 그 위쪽이 됨.

? 이부사비 : 서창리에 있는 청풍 부사 이휘재의 청덕 선정비.

? 잣나무댕이 : 원서창 북동쪽에 위치하며 이씨의 묘지이며 묘지 주변에 잣나무가 있음.

? 황공탄 : 서창 북쪽에 있는 여울로 윗아랫 여울로 되었는데 큰 물결이 쏜살같으며 아랫여울을 지나서 용초를 이룸. 물밑에는 반석이 깔려 있으며 기우제를 지냄.

 

3. 덕곡리(德谷, 덕실)

[위치] 한수면의 북동쪽에 위치하며 1984년 인구는 419명이다.

[연혁] 청풍군 원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유덕산 밑이 되므로 덕실 또는 덕곡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다시 덕곡리라 하여 한수면에 편입 되었음.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170ha, 밭이 94.5ha 분포하고 있다.

[교육·문화] 유덕초등학교 덕곡분교, 한수면 서창리 서창초등학교가 청풍댐 건설로 수몰됨에 따라 이주하였으나 학생이 50명 정도여서 덕산면 유덕초등학교 덕곡분교로 유치하였다.

[자연부락]

? 갈나무재이 : 지소거리 동쪽에 있는 마을로 갈나무가 많았음.

? 골안 : 지소거리 남쪽 골짜기에 위치한 마을로 골안이라함.

? 덕성 : 덕곡 남서쪽에 있는 마을로 유덕산 성터 아래가 됨.

? 딱밭골 : 음지맡 동쪽에 있는 마을

? 머우골 : 딱밭골 남동쪽에 있는 마을로 머위나무(오동나무)가 있었음.

? 양지말 : 덕곡 서쪽의 양지에 있는 마을

? 음지말 : 갈나무재이 동쪽 음달에 있는 마을

? 지소(紙所)거리 : 양지말 남동쪽 길가에 있는 마을로 조선 때 종이를 만드는 지소가 있었음.

[기타]

? 쇠시릿재 : 골안 남쪽에서 탄지리로 가는 고개로 쇠가 났으며 대장간이 있었음.

? 흠우실 : 덕곡 감나무 골에서 청풍면 용곡리로 가는 골짜기로 과거에 수로를 파는 흠을 농민들이 제작하는 골로써 흠실로 불려졌으나 변하였음.

? 봉화재길(烽火峙) : 옛날에 봉화를 올린 곳이라 하여 봉화재라 함.

? 딱밭골 : 닥이 많이 나던 마을이어서 딱밭골이라함.

 

4. 사기리(사그막, 沙器幕里)

[위치] 한수면 북쪽에 위치하며 1984년 인구는 32명이다.

[연혁] 청풍군 수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사기를 만들던 사기막이 있었으므로 사그막, 사기막, 사기막리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사기리라 하여 제천군 수하면에 편입되었다가 1929년 10월 14일 한수면에 편입되었음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9.0ha, 밭이 61.8ha 분포하고 있다.

[자연부락]

? 창내 : 사기리의 첫마을로서 남한강에서 합류하는 창냇물이 흐르고 있어 불려졌으나 청풍댐 건설로 수몰되었음.

? 사그막 : 창내 윗마을 잠실이 있었음

? 수석중 오석이 많이 나던 곳

? 도내에서 퇴비생산 연속 1위를 하던 곳이며 고 신동명씨의 눈치 고기잡이가 또한 일품이던 곳.

 

5. 명오리(鳴梧里, 매우제, 명오재)

[위치] 한수면 북쪽에 위치하여 1984년 인구는 22명이다.

[연혁] 청풍군 수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매우재 도는 명오, 명오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폐합에 따라 명오리라 하여 제천군 수하면에 편입되었다가 1929년 10월 14일 한수면에 편입되었음.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21ha, 밭이 81.6ha이며 과수원이 10ha 분포하고 있다.

[자연부락]

? 능산골 : 새터 서쪽에 있는 마을(수암 권상하 선대 3대 묘소가 있어 붙여진 마을)

? 상명오 : 명오 위쪽에 있는 마을.

? 상명오나루 : 상명오나루 부근에 있는 마을

? 새터 : 큰길가, 하명오라고도 하였으며 큰 길가 서쪽에 새로 된 마을

? 안골 : 상명오 북쪽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

? 오동골 : 큰길가 남쪽에 있는 마을로 오동나무가 많았음

? 큰길가 : 명오리 중심에 있는 마을로 옛 관행길 옆이 됨

? 풀무골 : 큰길가 북쪽에 있는 마을로 전에 풀무를 놓았었다 함

? 하명오 : 명오 아래쪽에 있는 마을

[기타]

? 배오개재 : 능상골 서쪽에서 충주로 가는 고개로 옛 관행길로써 포탄리 포탄나루터의 나룻배로 오는 손님을 이곳까지 나와 환송하였다 함.

? 상명오나루 : 상명오 앞에 있는 나루터

? 소삼재 : 안골 북쪽에서 사기리로 가는 재

? 죽방재(竹方峴) : 풀무골 북쪽에 있는 고개로 옛날 황강 역에서 청풍현과 세천현으로 질러가는 길이었는데 고개가 높고 가파라서 죽을 먹고는 넘을 수 없었다 함.

? 수위깨땅으로 밭농사의 최적지였으며, 고려시대 고려장 터가 나왔으며 선사시대 유물들이 많이 출토되었던 곳이다.

? 수석의 산지(오석, 미석, 산수경석 등)

 

6. 서운리(瑞雲里, 서론, 서룬)

[위치] 한수면 북쪽에 위치하며 1984년 인구는 223명이다.

[연혁] 청풍군 수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서론, 서룬, 서운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서운리라 하여 제천군 수하면에 편입되었다가 1929년 10월 14일 한수면에 편입되었음. 고구려 때 사열이현의 현청 소재지였다 함.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5ha, 밭이 33ha 분포하고 있다.

[교육·문화] 동량초등학교 서운분교, 한수면 함암초등학교가 청풍댐 건설로 수몰되어 서운리로 이주하였으나(1983년 12월 31일) 학생수가 적어 한수면 송계분교로 있다가 본교와의 거리가 멀어 1985년 3월 1일로 충주시 동량면 동량초등학교 분교가 되었음.

[자연부락]

? 능골(陵谷) : 서운 북쪽에 있는 마을

? 음달말 : 서운 동쪽 음달에 있는 마을

? 평지말 : 서운 복판 평지에 있는 마을

? 흑목골 : 서운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충주시 동량면 지동의 흑목동으로 가는 길 어귀가 됨.

? 동산모퉁이 : 옛날 2반의 마을

? 진대거리 : 옛날 군사가 진을 쳤던 마을

[산천]

? 동산 : 서운 북서쪽에 있는 동산

[기타]

? 까마우바우 : 웅달말 뒷산에 있는 바위로 모양이 까마귀가 앉아있는 것처럼 생겼다 함.

? 동우점골 : 서운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동우(동이)를 만드는 집이 있었다 함.

? 말모기 : 흑목골 서쪽에서 충주시 동량면 화암리로 가는 고개로 전에 이곳에서 말을 길렀다 함

? 문바우 : 새목재에 있는 바위로 길 양쪽에 서 있어서 마치 문처럼 됨

? 버섯재 : 능골 북쪽에 있는 고개로 버섯이 많음

? 벼락바우 : 벼 바웃골에 있는 바위로 전에 벼락을 맞았음

? 삼성뜰 : 서운 앞에 있는 들로 정승 세 사람이 날 명당이 있다 함

? 상선재(上仙現) : 흑목골에서 포탄리로 가는 고개로 신선말달니 밑이 됨

? 새목재 : 능골 북서쪽에서 동량면 지동으로 가는 고개로 지형이 새의 목처럼 생겼다 함.

? 서운사터 : 서운리에 있는 절 터로 고려 공양왕이 이곳에 왔었다고 기록한 바가 있음

? 수리재 : 능골 북쪽에서 동량면 지동으로 가는 고개로 임진왜란 때, 이대수가 의병을 일으켜 이곳에서 왜적을 무찌르다가 그의 아들 여수와 더불어 전사하자 그의 처 한양 조씨와 며느리 전의 이씨도 순절하였음.

? 신선말달니 : 서운 북서쪽 주봉산 중허리에 있는 버덩으로 신선이 말을 달리던 곳이라 함

? 자라바위 : 서운리 능골 뒷마을에 큰 바위가 있는데 그 모양이 자라 모양으로 생겼다 함.

? 점꼴 : 음진말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토기점이 있었다 함.

 

7. 함암리(咸岩里, 한바우)

[위치] 한수면 북서쪽에 위치하며 1984년 인구는 15명이다.

[연혁] 청풍군 수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한바우 옆이 되므로 한바우 또는 함암이라 하였는데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조추전리를 병합하여 함암리라 하였는데 1929년 10월 14일 한수면에 편입되었음.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10ha, 밭이 61.1ha 분포하고 있다.

[자연부락]

? 서낭댕이 : 안골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서낭당이 있음.

? 안골 : 한바우 북서쪽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

? 옻추앗(烏椒田里) : 한바우 복판에 있는 마을로 약 100년 전에 오씨가 터를 잡았다 함.

[기타]

? 한바우(咸岩) : 함암 앞 강가에 있는 너럭바위로 많은 바위들이 잇대어 있어서 여름에는 많은 사람들이 앉아 놈

? 함암나루터 : 한바우 동쪽에 있는 나루터로 황강리로 건넘

? 수석산지 이었음(오석, 산수경석 등)

 

8. 포탄리(浦灘里, 개여울, 가여울)

[위치] 한수면 북서쪽에 위치하며 1984년 인구는 47명이다

[연혁] 청풍군 수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개(浦) 앞에 여울이 있으므로 개여울, 가여울 또는 포탄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포탄리라 하고 제천군 수하면 지역이 되었다가 1929년 1월 14일 한수면에 편입되었음.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6ha, 밭이 23.5ha 분포하고 있다.

[자연부락]

? 나무절 : 포탄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나무절이라는 절이 있었다 함

[산천]

? 인동산(仁洞山) : 개여울 뒤쪽에 있는 산

[기타]

? 가여울 : 포탄리에 있는 여울

? 서운고개 : 포탄 북동쪽에서 서운리로 가는 고개

? 포탄나루터 : 포탄 동쪽에서 충주시 살미면 목벌리로 건너는 나루터로 두 쌍의 나룻배가 있음.

? 수석의산지(오석, 미석) 수만평의 돌밭이 있던 곳

? 한약재로 복룡, 청출, 백출이 많이 생산되었으며 민물생선도 많이 잡히던 곳

 

9. 한천리(寒泉, 찬수께)

[위치] 한수면 북서쪽에 위치하며 1984년 인구는 22명이다.

[연혁] 청풍군 원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찬물이 나는 샘이 있었으므로 찬수께 또는 한천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한천리라 하여 한수면에 편입되었음.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146ha, 밭이 63ha 분포하고 있다.

[자연부락]

? 새말 : 한천남동쪽에 새로 된 마을

[기타]

? 샛작골 : 한천리의 동쪽에 있으며 역리의 작골보다 작은골로서 샛작골이라 함

? 쇠정거리 : 우정(牛整)거리라고도 하며 도살장이 있었던 곳으로 도살장을 중심으로 주민이 많이 모였으며 또한 주정뱅이도 많았다고 함

? 여름에도 얼음같이 찬물이 나와 땀띠도 한 번 씻으면 완치가 되고 겨울이면 더운물이 나와 동네 여인들이 맨손으로 빨래하던 곳.

? 산수의 정기가 왕성하여 지사(志士), 재사(才士)가 많이 출생된 곳

 

10. 역 리(驛里, 驛村, 黃江驛)

[위치] 한수면 북서쪽에 위치하며 1984년 인구는 20명이다.

[연혁] 청풍군 원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황강역이 있었으므로 역말, 역촌, 역리 또는 황강역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역리라 하고 한수면에 편입되었음.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137ha, 밭이 21.4ha 분포하고 있다.

[자연부락]

? 덕산골 : 역말 남쪽에 있는 마을로 덕산 밑이 됨.

? 아랫역말 : 역말의 중앙에 있으며 옛날에는 역을 상역과 하역으로 구분하였음.

? 오동골 : 역말 동쪽에 있는 마을로 오동나무가 많았음.

? 웃역말 : 역리 위쪽에 있는 마을

[산천]

? 장자봉 : 역리와 황강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전에 장자가 살았었다 함.

? 미륵불 : 부처댕이에 서 있는 부처로 높이가 약 12m 임

? 벌엣들 : 역말 서쪽 개울 옆에 있는 들

? 범바위 : 호암이라고도 하며 역리 위쪽에 있으며 바위가 호랑이처럼 생긴 것이 아니고 호랑이가 이곳에서 서식하였다 함.

? 부채댕이 : 역말 남쪽에 있는 들로 미륵불이 있음

? 소쇠바우 : 역말 동쪽 장자봉 밑에 있는 바위로 모양이 소의 혀처럼 생겼다 함.

? 여우바위 : 작골 위쪽에 있는 큰 바위로 바위틈에서 여우가 서식하였다 함.

? 작 골 : 작곡(作谷)이라고도 하며 역말 동쪽에 있는 큰 골짜기로 사람은 거주하지 않았으며 소 공동묘지가 있고 농민의 작업지라 함

? 정금사터 : 역리에 있는 정금사의 터로 오층석탑과 앉은 돌부처가 있었는데 석탑은 서울로 옮겨갔음

? 수령 600년 된 거목이 있었고 음 1. 15, 5. 4 연 2회 부락공동제사를 지냈다.

? 곡산 연씨와 정선 김씨 등이 많이 살았음

 

11. 북노리(北老里)

[위치] 한수면의 북서쪽에 위치하며 1984년 인구는 14명이다.

[연혁] 청풍군 원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중노리와 하노리를 병합하여 노탄리의 북쪽이 되므로 북노리라 하고 한수면에 편입되었음.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16ha, 밭이 26.4ha, 과수원이 2ha 분포하고 있다.

[자연부락]

? 불당골 : 북노리에서 으뜸되는 마을로 불당이 있었으며 하노리와 상노리의 사이에 있음

? 필봉 : 붓뚜껑을 닮은 봉

? 옥봉 : 옥녀가 베를 짜는 모습의 봉

? 하노탄 : 노탄리 아래쪽에 있는 마을

[기타]

? 북나무골 : 북곡이라고도 하며 불당골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쇳물을 부어서 각종 농기구를 제작하던 곳이 있었으며 대장간에서 풀무를 한다고 하여 풀무골이라 부르다가 북나무가 많이 있어 북나무골로 개칭되었음.

? 질마재 : 북노리와 탄지리의 거리가 역리에서 돌아가면 20리나 되나 질마재를 넘어가면 약 10리 밖에 안됨. 질마재의 경지에 두엄을 소 위의 질마를 설치하여 운반하였다 하여 붙여졌으며 주로 농사길로 이용되어 소가 많이 다녔음.

? 김세균 판서 고가 : 약 200년전 고와가 있었음.

? 연안 이씨가 많이 살았으며 선조의 묘소가 많음

 

12. 상노리(上老里)

[위치] 한수면이 중앙부에 위치하며 1984년 인구는 53명이다.

[연혁] 청풍군 원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노탄리 위쪽이 되므로 상노, 상노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다시 상노리라 하고 한수면에 편입되었음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11.0ha, 밭이 30.6ha 분포하고 있다.

[자연부락]

? 노촌 : 안골이라고도 하며 늙은 소나무가 많은 마을임

? 배나무배기 : 상노 동쪽에 있는 마을로 배나무가 있었다 함.

? 승주골(聖圭谷) : 상노 남동쪽에 있는 마을

? 노탄리 : 노탄옆에 있는 마을

[기타]

? 곰너미골 : 상노리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옛날에 상탄지로 넘어가는 고개로 가는데 저녁에는 곰이 나타나 행인을 괴롭혔다고 함

 

13. 탄지리(炭枝里)

[위치] 한수면 중앙에 위치하며 1984년 인구는 246명이다.

[연혁] 청풍군 원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숫갓 또는 탄지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하탄지리와 상탄지리를 병합하여 탄지리라 하고 한수면에 편입되었는데 고려 때 탄지부곡이 있었음.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18ha, 밭이 60.8ha 분포하고 있다.

[자연부락]

? 상탄지 : 탄지 위쪽에 있는 마을

? 뒷번득 : 하탄지 뒷동산에 옹기공장이 있었는데 옹기그릇을 만들어서 햇볕에 내 놓으면 번득거렸다 함. 지금은 청풍댐 건설에 따라 수몰지역인 하탄과 복평 주민이 이주하였음.

? 웃말 : 상탄지 위쪽에 있는 마을

? 하탄지 : 탄지 아래쪽에 있는 마을

[기타]

? 소고개 : 하탄지에서 뒷번득을 지나 상노리로 가는 고개

? 중치재길(中峙峙) : 탄지에서 상노로가는 길의 중간에 위치한다하여 중치재라함.

? 탄지교 : 탄지와 충주를 연결하는 하나의 다리로 길이는 91.8m, 폭은 10m이며 1982년 8월 29일부터 1983년 12월 31일까지 공사하였다.

? 상탄안길 : 상탄지 마을안에 위치한다하여 상탄안길이라함.

? 큰덕골길(大德谷) : 옛날부터 대덕골이라 하였으며 집터를 잡으면 큰 덕을 쌓는다 하여 큰덕골이라함.

 

14. 복평리(洑坪里, 봇두들기)

[위치] 한수면 중앙에 위치하며 1984년 인구는 148명이다.

[연혁] 충주군 덕산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두둑에 보를 막았으므로 봇두들기 또는 복평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복평리라 하고 한수면에 편입되었음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13ha, 밭이 34.8ha 분포하고 있다.

[자연부락]

? 새터 : 복평 남쪽에 새로 된 마을

? 봇두들기 : 안말 언덕이 적다하여 두들기

[기타]

? 옥병바위 : 새터 남서쪽 냇가에 있는 바위로 큰 바위 위에 구슬처럼 둥근 바위가 얹혀 있음.

? 복평초등학교 : 1958년 3월 1일 3학급계교 24회 졸업생을 배출

? 정월대보름 날 낙화라는 불놀이 경기가 있었음(탄지리와 승패싸움)

? 미끌바위, 약수물(옻샘물)

? 탕감바위, 자라바위, 용바위

? 서낭당

 

15. 송계리(松界里)

[위치] 한수면 남쪽에 위치하며 1984년 인구는 983명이다.

[연혁] 울창한 소나무 사이로 내가 흐르므르 송계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송계리라 하여 한수면에 편입되었다. 1985년 5월 23일 청풍댐 건설로 수몰되어 이주하였다.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45.3ha, 밭이 159.2ha 분포하고 있다.

[자연부락]

? 골미(東山) : 동창에서 6km지점에 긴골짝기가 있어 골미라하고 또는 동산천이라는 내가 흐른다해서 골미라함.

? 벌들 : 벌판 가운데에 위치한다하여 벌들이라고함.

? 사장(寺場) : 덕주골 남쪽에 있는 마을로 사자빈신사(獅子頻迅寺)터가 있음.

? 삼신당 : 현재 공원관리사무소가 있는 곳으로 옛날에 삼신(천신, 지신, 수신)을 모시는 신당이 있던 곳이라 삼신당이라함.

? 새터(新村) : 새로터를 잡아 옮긴 마을이라하여 샛터라고함.

? 재돈지 : 벌뜰 북동쪽 높은 지대에 있는 마을로 재똥이라고도 불리어짐. 재말에서 유래되었음.

? 절골(寺洞) : 골미 남쪽에 있는 마을로 절이 있었음

? 창말(東倉) : 재똥재 북쪽에 있는 마을로 군량미를 저장하던 창고가 있던 곳이라 창말이라함.

? 흑벼루(土峴) : 새말 남동쪽에 있는 벼랑

? 송월로 : 송계와 월악산이 있는 중앙 마을이라 송월이라함

? 동달천 : 동달천변에 위치하여 동달천이라함.

? 덕주골 : 옛부터 덕주사절이 있어 덕주골이라고함.

[기타]

? 계립암 : 송계리에 있는 바위(하늘재)

? 구려골 : 송계리에 있는 골짜기로 임진왜란 때 구씨와 여씨가 피난하였음

? 닷돈재 : 황강나루에서 짐을 지고 재를 넘겨주며 돈을 받던 고개

? 몽챙이 : 송계1리 구터

? 국수골 : 화전민이 많이 살던 곳

? 꼬부랑재 : 골미에서 수안보로 가는 지름길

? 소복길(笑福) : 옛날부터 웃으면 복이 온다고하여 소복길로 함.

? 감나무길 : 감나무가 많다 하여 감나무골이라 함

? 구용소(九龍沼) : 사자빈신사(獅子頻迅寺)터 앞에 있는 소로 아홉 마리 용이 등천하였다 함.

? 남문 : 사장 남쪽에 있는 덕주산성(德周山城)의 남문 높이는 6m, 너비 7.5m의 두 돌기둥이 문처럼 양쪽에서 있음.

? 덕주사(德周寺) : 동문 북서쪽 월악산에 있는 절로 법주사(法住寺)의 말사로서 옛날 덕주부인(德周夫人)이 세웠다 하는데 6·25 사변 때 불에 타버려 1964년에 다시 세움.

? 덕주산성터 : 덕주골에 있는 옛 석성 터로 둘레는 33.670척이며 고종 29년(1892년)에 다시 성을 쌓았다가 갑오 동학란으로 그만두었다 하는데 그 때 쌓은 것으로 보이는 동문, 북문, 남문들이 남아 있음.

? 동문(東門) : 덕주골 동쪽에 있는 덕주산성의 동문으로 높이는 6m, 너비 7.5m의 돌기둥이 문처럼 양쪽에서 있음.

? 동창터(東倉) : 창말에 있는 터로 옛 충주군에 딸린 동창이 있었음.

? 마애불상(?崖佛像) : 덕주사 뒤에 있는 돌부처로 큰 바위에 새겼는데 높이는 14m, 너비 5.45m로 얼굴 길이는 3.7m, 귀길이 1.85m이며, 보물 제 406호로 지정 보호함. 덕주사를 세운 덕주부인이 새긴 것이라 전함.

? 망폭대(望瀑台) : 남문 앞에 위치하며 금강산이라 칭하는 곳으로 바위와 고무서리 계곡을 굽이도는 맑은 물과 남문의 경치가 수려함.

? 사자빈신사(獅子瀕迅寺)터 : 덕주골 남서쪽에 있는 사자빈신사의 터로 법화경의 제불사자구신지력이라는 글귀를 따서 사자빈신사라 하였다하는데 세운 해는 사기가 없어서 알 수 없으나 고려 현종때 세운 사자빈신사석탑이 남아 있음.

? 상시골 : 송계리에 있는 골짜기로 임진왜란 때 홍씨가 이곳으로 피난하였다 함.

? 와룡대(臥龍台) : 현 물레방아 앞에 있으며 용이 승천하였다 함.

? 월광사(月光寺)터 : 사장(寺場) 남서쪽에 있는 월광사의 터로 신라 헌강왕(憲康王)때 주지였던 원랑선사(圓朗禪師)의 탑비가 있었음.

? 원랑선사탑비(圓朗禪師塔碑)터 : 월광사 터에 있던 월랑선사탑비의 터로 신라 진성여왕 4년(890년)에 중 도통에게 원랑선사의 시호를 내리고 그의 공덕을 치하하여 비를 세움.

높이는 3.95m, 빗몸 높이는 2.26m, 너비 0.97m로 거북형상의 받침돌은 화강암으로 되었고, 빗몸의 대석에는 운문, 안상을 새겼으며 비의 머리에 용이 서린 형상을 새겼음. 비에 새긴 글은 김영(金穎)이 짓고, 순몽(淳蒙)이 씀.

오래 되어 비의 머리가 깨어지고 빗돌이 헐어진 것을 1922년 3월 서울 경복궁으로 옮겼음

? 월악궁(月岳宮)터 : 송계리 759번지에 있는 월악궁의 터로 월악산 아래가 되는 명성황후의 별궁으로 고종 29년(1892)에 짓기 시작하여 31년 (1894)에 완성하였음.

1920년 10월에 헐었다가 한수보통학교를 짓는데 쓰고 나머지는 1944년 송계초등학교를 세우기 위하여 모두 헐어가고 사대문(四大門)만 남아 있음.

? 월악신사(月岳神祠)터 : 송계동 동쪽 월악산의 밑에 있는 사당 터로 신라 때부터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 함. 고려 23대 고종 14년 (1254년) 몽고 군사가 월악산성에 침입하였을 때 별안간 천둥 번개가 치며 비바람이 쏟아지니 적병들이 놀라 월악산신의 영험이라 해서 도망갔으며 임진왜란 때도 이곳은 안전하였다 함.

? 자연대(自然台) : 송계 3리 입구에 있으며 현재 야영장으로 이용됨.

? 정번데기골 : 송계리에 있는 골짜기로 임진왜란 때 정씨가 이곳으로 피난하였다 함.

? 팔랑소(八娘沼) : 월악산에서 수안보로 가는 길에 공주가 목욕을 하였다 함.

? 학소대(鶴巢台) : 덕주산성 동문과 망폭대와 어울려 월악산을 오가는 학이 이곳에서 머물던 곳임.

? 한훤치(寒暄峙) : 덕주사 남쪽에 있는 고개

 

? 황강영당(黃江靈堂)

황강에 있던 한수재를 송계1리로 이주시켰음.

16. 호운리(好雲里)

[위치] 한수면 북쪽에 위치한다.

[연혁] 청풍군 수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호운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호운리라 하여 제천군 수하면에 편입되었다가 1929년 10월 14일 한수면에 편입되었음.

[자연부락]

? 뒷동터 : 호운리에서 북서쪽 강건너에 있는 마을로 뒤늦게 해가 뜬다고 하여 불려진 지명임.

[기타]

? 능글고개 : 호운 남서쪽에서 서운리 능골로 가는 고개

? 만지고개 : 호운 북쪽에서 중원군 동량면 만지로 가는 고개

? 미역골 : 호운리의 남쪽에 있는 골짜기

? 방아골 : 호운리의 입구에 있는 골짜기로 방앗간이 있었음.

? 안골 : 호운리의 마을 뒤쪽에 위치하는 골짜기

? 오줌바위 : 호운리 진입로에 100평 정도의 바락 바위가 있으며 삼천갑자 동방석이가 소변을 본 자리라 하며 지금도 그 흔적이 있으나 청풍댐 건설로 수몰되었음.

? 용소 : 한강변 용트림을 하는 듯한 바위가 있고 수심이 실 한꾸러미가 풀린다고 함.

? 진목재 : 호운 동쪽에서 청풍면 진목리로 가는 고개

? 호운들 : 호운 동쪽에 있는 들

? 돌고개 : 칼날 같은 돌이 많이 있었던 고개

? 갈골 

 

 
다음검색
댓글
  • 10.11.18 21:09

    첫댓글 바빠서여기 갇다놓은것두몰랏네 미얀 이번모임에 참석해줘서 넘넘고마워요 다음에두꼭참석해줘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