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타실(=브릿지): '조타'는 "타를 조종한다."라는 뜻이며, '조타실'은 '조타하는 방'을 의미한다.
'조타기'는 '조타하는 기계를 의미한다. 즉, 쉽게 표현한다면, 자동차의 운전, 운전석, 운전대와
같다고 할 수 있겠다. 조타실은 순수 우리말로는 '키잡이칸'이라고 한다.
마스트: 마스트라는 단어는 선수미선(선체의 중심선)에 세우는 기둥을 의미한 단어였다. 본래,
마스트는 범선의 선수미선상의 돗을 달기 위한 기둥(돛대)에서 유래되었다. 현재 군함 등에선,
마스트를 대공레이더, 대함레이더 및 항해, 전자 기기등을 장착한 곳으로 사용되며, 때에 따라
서는 마스트 위에서 직접 관측을 하기도 한다.
※ 범선의 경우엔, Single Mast, Bipod Mast, Tripod Mast 등이 있고, 기선(기계선)의 경우엔,
앞마스트(Fore Mast), 주 마스트(Main Mast)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부마스트와 후부마스트는
예전의 기선의 형태를 현대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하고 있다.
연돌: 연돌은 순수 우리말로 '굴뚝'이라는 뜻이며 배기구와 연결되어 배기구를 통하여, 선박의
엔진이라는 내연기관에서 배출된 배출류를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경우 디
젤엔진을 사용하며, 디젤엔진의 경우 압축 점화 기관(Compression Ignition Engine)에 속하며
실린더 내부의 압축된 공기의 열을 이용하여 연료를 발화시키므로 별도의 점화 장치가 필요하
지 않다.
현호: 현호란 선박의 내파성(파도에 견디는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가적으로 장착하는
외판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사전적인 정의로는 배의 이물과 고물 사이 뱃전의 곡선각도라고
한다. 선박의 경, 항진하면서 선수의 선저부분에서는 파도를 가르기 때문에 슬래밍 현상 등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파도와 부딪히기 때문에 선박의 갑판 끝단이 물에 잠기는 것을 방지하
고 능파성(파도를 타고 넘는 성질)을 위하여 현호를 증가 시킨다. 현호의 증대는 건현의 증가
와 같은 효과를 가지므로 복원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선수현호: 선수 부분의 현호.
선미현호: 선미 부분의 현호.
선미돌출부: 선미의 선저 부분에는 키가 위치하는데 이 키를 기점으로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선미 돌출부라고 한다.
단추진기: 선박이 항행하기 위해서는 추진기를 통해 추진력을 얻어야 한다. 추진기는 우리말
로 프로펠러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 프로펠러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물을 배의 뒷
부분으로 방출하게 되는데 이를 '우회전 스크류 프로펠러(Right handed screw propeller)'라
고 하며 단추진기의 경우, 대부분 우회전 스크루 프로펠러 이다.
※ 프로펠러가 2개인 쌍추진기의 경우 추진기 한개로도 항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군함의 경우,
유사시 한쪽 추진기가 고장나거나 공격당하여도 작전 수행이 가능하며, 선회가 쉽기 때문에
보다 좋은 기동성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인원, 연료 소비가 크며, 로프등의 손상이
쉽기 때문에 선박의 구조와 기능에 따라서 단추진기와 쌍추진기가 장착되게 된다.
타(키=Rudder): 추진기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류가 추진력으로 작동하고 이 배출류가 배출되
는 방향을 조정하면 조정되는 방향으로 배출류가 방출되어 배가 움직이게 되는데 이러한 배
출류의 배출방향을 조절하는 장치를 '타'라고 한다.

전장: 전장은 Length overall이라고도 부르며, 선수의 최전단부터 선미의 최후단까지의 거리로써,
부두 접안 및 도킹 시에 실질적인 배의 크기가 180도 이상 선회가 가능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장 길이는 부두접안, 도킹 등에 고려된다. 일반적으로 전장이 길수록 배수량도 증가하기 때문에
밀리터리 매니아들의 경우, 전장 길이로 군함의 전투력을 비교하기도 한다.
수선장: Lengh on water line이라고도 부르며, 우리말로는 수선상의 길이로 해석이 된다. 수선장은
계획 만재 흘수선상에 물에 잠긴 선체의 선수재(선수부분의 주된 기둥) 부분 부터 선미의 선미후단
까지의 수평거리로써, 선박에 작용하는 저항(유체저항)과 추진력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수선간장: Lengh beteween perpendiclulars이라고도 부르며, 'Perpendiculars'는 뱃머리라는 뜻
을 가진다. 계획만재 흘수선상의 선수재의 전면과 타주의 후면 부분의 수선의 수평거리로써, 일반
적으로 수선간장이 폭넓게 항해파트에서는 사용되지만, 밀리터리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수선간장의
경우, 언급이 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대부분 전장을 언급을 하는 편이다.
등록장: 상갑판의 보(Beam)의 선수재 전면부터 선미재(선미부분의 주된 기둥)까지의 수펑거리로써,
선박원부에 등록된다. 선박원부란, 선박의 등록을 위하여 선적항을 관할하는 해운 관청에 비치한 공
적인 장부로써, 선박의 종류와 선명, 선적항 등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흘수선: 흘수선이란 선박이 물에 잠기는 깊이를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흘수선은 크게, 만재흘수, 경화
흘수, 현실흘수 등으로 나뉘어 지는데, 만재흘수란, 선박의 양현 중앙에 위치한 흘수선까지 침하하였
을때, 즉 선박의 최대 운송량을 선적하였을떄의 흘수선이며, 경화흘수는 경화중량톤수의 흘수 이다.
현실흘수란 실질적으로 선박이 항행시에는 흘수선이 연료의 증감 밑 계절과 날씨, 기온 등의 요인에
의하여 변하게 되는데 이러한 흘수를 의미한다. 선박이 항행중일때에는 흘수를 규칙적으로 검사하여,
선박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해야 하므로 전장의 길이가 20m 이상의 선박의 경우 흘수표가 측면 외판에
표시되어 있다.
열대 담수 흘수선: 열대 지방의 밀물 지역(강, 하천 등)을 항행할 때에 확인하는 흘수선.
열대 만재 흘수선: 열대 지방에서 선박의 최대 운송량을 선적하였을 때의 흘수선으로 열대지방의 경우,
열대 만재 흘수선 이상의 운송량을 선적할 수 없다.
하기 만재 흘수선: 여름에 항행 밑 화물 선적시 확인해야 하는 만재 흘수선.
하기 담수 만재 흘수선: 여름에 밀물지역(강, 하천 등)에서의 항행 및 화물 선적시 확인해야 하는 만재
흘수선.
동기 만재 흘수선: 겨울에 항행 밑 화물 선적시 확인해야 하는 만재 흘수선
동기 북대서양 만재 흘수선: 겨울에 북대서양을 항행 밑 화물 선적시 확인해야 하는 만재 흘수선.

트림: 배가 선속(선박의 속도)를 가지게 되면 배 주변의 압력 분포가 달라져서 트림 현상이 발생한다고 한다.
선미 트림은 영어로는 'Trim by stern', 선수 트림은 영어로는 'Trim by bow', 등 흘수는 'Even keel' 이라고
부르는데, 일반적으로 선속이 증가할 수록 선미트림 경사각이 증가하고, 선속이 감속할 수록 선수트림의 경
사각이 증가된다. 트림의 경우 혼동하는 분들이 많으신데 '선수 흘수와 선미 흘수의 차'라고 정의되므로, 선
수의 흘수선이 선미 보다 더 깊으면 선수 트림, 선미의 흘수선이 선수보다 더 깊으면 선미 트림이라고 생각
하면 쉽다.

선수 트림: 선미 들림 내지 선미각 감소라고도 말한다

선미 트림: 선수 들림 내지 선수각 감소라고도 말한다

전폭: 선체의 폭이 가장 넓은 부분의 외판의 외면에서 맞은 편 외판의 외면까지의 거리로써, '전장'과
함께, 부두 접안 및 도킹 시에 실질적인 배의 크기가 180도 이상 선회가 가능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
에, 전장 길이와 함께 부두접안, 도킹 등에 고려된다
형폭: 선체의 폭이 가장 넓은 부분의 늑골의 외면에서 늑골까지의 거리. 일반적으로 전폭에서 형폭을
감산한 수치가 장갑의 두께로 보아도 하자는 없다.
늑골: 선박의 경우, 그 선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용골, 늑골, 외판 등이 하중과 외부 압력을 견디는
용도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늑골은 갈비뼈라고 생각하는 것처럼, 선박에서도 이와 유사한 개념이라
고 생각하시면 된다.
용골: 인간의 척추와 같은 개념으로써, 선박은 용골을 기준으로 쌓아올리는 식의 설계법이 사용된다.
밀리터리 매니아 사이에는 잠수함의 어뢰 공격이 배의 용골 부분을 공격하는 것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실질적으로는 용골이 아닌 선저부분의 외판에 어뢰는 공격한다.
※ 위 이미지는 KDX3의 측면도 이며, 네이버의 인조이 저팬에서 검색중에 발견하였습니다. 위 이미지
를 토대로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하였습니다. LPX는 탈레스사의 일러스트레이터를 링크하였습니다.
첫댓글 잘봤습니다^^
대단하시네여...배가 군함같네여..ㅋㅋ
마지막은 독도함 같은뎅......ㅎㅎ
천금같은 자료^^ 아주 잘 봤습니다 ㅎㅎ 영어 풀러 가야지 ㅋㅋ 이제 답만 안외워도 되겠네요 ㅎㅎ
아우~ 독도함 어제 보고 감탄을...
자료 너무 너무 감사해요 ^^
좋은 자료이네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해경배는 아닌듯...ㅎ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어이구감사요
명료하게 알 수 있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해군 독도함 맞네요 ㅎㅎ 자주 보는..ㅎ
좋은자료 감사합니다ㅋ잘봤습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굿자료 감사합니다!
굿 자료
멋쟁이입니다!!!
좋은댓글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정리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네요
와진짜 머싯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정리력 굿! 감사합니다~
공지에 떠있던걸 이제봤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