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함께하는세상9630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전기 스크랩 2012년 12월 15일 오후 09:42
yeun sun 06 추천 0 조회 705 18.09.27 17:22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전기용어(V,A,W,Wh)



V






전기를 보내는 힘을 볼트라 합니다.

수압을 높일수록 수돗물이 잘 나오듯이 전기도 전압이 높을수록

잘 통하게 됩니다.   

*저압 : - 교류 600V 이하,

- 직류 750V 이하

- 100V, 220V, 380V,440V 등 

*고압 : - 600V 초과 ∼ 7000V 이하

-3,300V, 6,600V 등

*특고압 : - 7000V 초과 ∼ 22,900V,

- 154,000V, 345,000V 등



A






전기가 전선을 통하여 흐르는 양을 전류라 합니다.

물이 하천을 따라 흐르는 것과 동일합니다.   

(예시) 220V, 600W의 전기다리미는 2.7A의 전류가 흐릅니다.






W






전등이나 모터에 전기를 보내면 빛이나 힘을 내는 것처럼 전기가

일을 하는 힘을 왓트라 합니다.

W(전력)-V(전압)×A(전류), 계약전력의 단위는 1kW 입니다.

(예시)

100W 전구를 10시간 사용하면,

100W × 10h = 1,000Wh이므로 1kWh의 전력량이 소모됩니다.






WH






소비된 전력량의 단위를 왓트아우어라 합니다.

(예시)100W 전구를 10시간 사용하면,

100W ×10h = 1,000Wh이므로 1kWh의 전력량이 소모됩니다. 




전 기 란?




? 전기의 성질   

(+)전기와 (-)전기끼리는 서로 끌어당기지만 (+)전기끼리나 (-)전기끼리는 서로 밀어내는 성질이 있습니다.    

? 전기의 속도   

빛의 속도와 같아 1초에 30만 km를 갈수 있습니다.   

? 전기의 흐름   

물의 흐름이 수압이나 파이프 크기에 따라 다르듯이 전기도 전압과 도선의 굵기, 길이, 재질에 따라 흐르는 양이 다릅니다.

? 발열작용   

전등, 전기다리미, 전기히터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 자기작용   

전기가 내는 힘의 작용을 응용한 것으로 도선을 감아만든 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그속에 자계가 발생하는데 이것이 모터의 기본원리가 됩니다.   

? 화학작용   

물의 전기분해나 전기도금에서 사용되는 작용을 말합니다. 

1 전기회로란
-.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통로가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어 있는 것


2 전원 : 건전지와 같이 전류를 공급해 주는 역할




3 부하 : 전구와 같이 전류를 소모하는 것




4 전압이란(VOLTAGE)
전류를 흐르게 하는 힘 단위:VOLT 기호:V




5 전류란(CURRENT)
전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크기
단위시간(1초 동안)에 흐르는 전기의 양 단위:AMPERE 기호:A




6 저항이란(REGISTANCE)
전기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 단위:Ω(OHM) 기호:R




7 전압과 수압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물의 높이가 높을수록 물의 흐름도
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물의 흐름이 전류가 되고 물의높이(수압)가 전압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같은 저항에서 전압이 높을수록 전류가 크게 된다.



8 오옴의 법칙(Ohm’s Law)
부하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전압의 크기에 비례하고
저항의 크기에 반비례한다.



V = I x R


이식에 의하여 전류(I) , 전압(V) , 저항(R) 중에서 두개의 값을 알면 나머지 1개의 값을
계산할 수 있다.



9 전력(Electric Power)
- 전등이나 전동기에 전류를 흐르면 빛이나 힘을 내는 것
- 단위시간에 전류가 흘러 행한 일의 양(1초 동안)
- 전력이 큰 경우에는 같은 시간에 더 많은 빛이나 힘을 낸다.
- 전력의 단위는 Watt(W), 기호는 Power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난다. P=VI[W]
- 오옴의 법칙에 의해



10 전력량(Electric Energy)
- 어느 시간 동안에 전류가 흘러 행한 일의 양
- 전력량은 시간과 전력의 곱으로 나타난다.
단위는 : 와트초(Ws), 와트시(Wh), 킬로와트시(kWh) 1[kWh]=1,000[Wh]
기호는 kWh, Power



11 직류와 교류
11-1. 직류란 :
전압이나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일정하고 변화가 없는 것
- 사용처 : 휴대용기기, 자동차의 BATTERY



11-2. 교류란 :
전압이나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것
- 사용처 : 가정용전원, 산업용 전력



11-3. 교류를 주로 사용하는 이유 :
- 변압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전압으로 승압/강압이 용이하다.
- 고압으로 승압하여 장거리 송전이 가능하다.
- 대용량의 직류는 얻기가 어렵다.(반도체의 발달로 최근에는 가능)
- 3상 교류의 경우 회전자계를 형성한다.



12. 주파수(Fequency : F)
- 1초 동안에 (+),(-) 극성이 바뀌는 수 단위는 Hertz
- 우리나라는 60[Hz]를 표준으로 한다

교류발전의 이해


그림과 같이 자석의 N극과 S극에 의한 자기장이 존재하는 공간에 코일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둔다.

코일을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으로(반시계 방향) 회전 시키면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의해 가운데 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아래 그림과 같이 코일의 양 끝에 슬립링을 연결시킨다.

이때, 왼쪽의 코일 끝은 안쪽의 링에 연결하고 오른쪽 코일 끝은 바깥쪽의 링에 연결한다.

두 링은 서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이고 코일을 회전 시키면 두 링은 각기 자기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자리 에서 회전 한다. 회전하는 두 링에 각각 브러시를 접촉시키면 기전력을 얻을 수 있다.

자기장이 존재하는 공간에서 코일을 회전시키면 전류가 발생하는데, 코일은 회전하면서 자석의 N극과 S극의 자리를 서로 번갈아 지나므로 발생하는 기전력은 교류가 된다.

이 때, 코일의 위치가 수평일 때에는 자기장의 방향과 코일이 움직이는 방향이 나란한 위치에 있으므로 기전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코일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전력은 점점 증가하고 90°가 되면 기전력이 가장 크게된다. 코일이 회전을 계속하여 180°가 되면 기전력은 다시 0이 된다.

코일이 회전하여 270°의 위치가 되었을 때 기전력은 최대가 되지만 코일의 위치가 N극에서 S극으로 바뀌었으므로 전류의 방향은 바뀌게 된다. 코일이 360°의 위치가 되면 기전력은 다시 0이되고 이러한 사이클이 계속 반복되어 위와 같은 정현파 교류가 발생하게 된다.

 

용량에 따른 전선 굵기 계산법

전기/전기기초이론 2009/07/12 01:43


전선굵기 산정 220V 사용할 때와 380V 사용할 때 전선굵기 산정은 전선의 굵기를 결정하려면 허용전류, 전압강하, 기계적 강도, 차단기의 정격전류 등을 고려하여 선정해야 합니다.
전선굵기에 관해서는 대한전기협회에서 발행한 내선규정 제130절 및 부록(번호 1-2)에 규정되어 있으며 산출공식은 단상2선식(220V)일 경우 전압강하는 e = 35.6LI/1,000A 이고 전선단면적 산출공식은 A = 35.6LI/1,000e 입니다. 3상4선식(380V)일 경우 전압강하는 e' = 17.8LI/1,000A 이고 전선단면적 산출공식은 A = 17.8LI/1,000e 입니다. 주) e : 각 선간 전압(V) L : 전선 1본길이(m) e': 외측선 또는 각상의 1선과 중성선 사이의 전압강하(V) A : 전선의 단면적(㎣) I : 전류(A) 차단기 용량산출은 간단하게 오옴의법칙을 이용하여 ·전류 I [A] = 부하용량 P [W]/사용전압 E [V] 즉 부하용량의 합에 사용전압을 적용하여 계산하면 I [A]가 구해지는데 여기에 2.5배 이하 범위내(내선규정150-9)의 차단기를 선정하면 되며 380V의 경우 P/·E로 계산하면 됩니다

용량에 따른 전선굵기와 차단기설정

전기/전기기초이론 2009/07/14 22:15


용량에 따른 전선굵기와 차단기설정

참고사항1)단상2선220V 계약전력 24KW이상은 CT계량기를 설치.
참고사항2)3상4선식 380/220V 계약전력 72KW이상은 CT계량기를 설치.

 

 

 기설비(관리)전기/전기기초이론 2009/07/14 22:19


전기설비(관리)


1. 전기설비의 기초

(1) 전압(V)의 종류

종류

직류

교류

표준전압

저압

750V 이하

600V 이하

100V, 200V, 220V, 380V

고압

750V 초과

7,000V 이하

600V 초과

7,000V 이하

3,300V 6,600V

특고압

7,000볼트 초과

22,900V, 66,000V. 154,000V

(2) 저항(Ω) : 전선의 굵기에 반비례하고, 전선의 길이에 비례한다.

R = L (도선의 길이cm)

A (도선의단면적 ㎠)

(3) 오옴의 법칙

V = I?R I = V/R

(4) 역률 = cosθ = 유효전력 1. 힘을 쓰는 비율

피상전력 2. 높을수록 좋다

3. 항상 1보다 작다

4. 역률의 개선대책 : (진상용 콘덴서 설치)

(5) 전력, 전력량

1) 전력 : 단위시간당의 일의 능력(KW)

2) 전력량 : 임의 시간동안의 전력소모량(KWH)

① 직 류 : P(W) = V × I

② 단상교류 : P(W) = V × I ×역률

③ 3상교류 : P(W) = × V × I ×역률

(6) 전기설비의 설치규정

1) 당해 지역에 설치하는 간선시설은 이를 공급하는 자가 설치해야 한다

① 사업주체가 100호 이상의 집단으로 건설하는 주택

② 16,500㎡이상의 일단의 면적을 대지로 조성하고자 하는 경우

2) 주택에 설치하는 전기시설의 용량

① 각 세대별로 3KW (단, 세대당 전용면적이 60㎡ 이상인 경우에는 3KW에 60㎡을

초과하는 10㎡마다 0.5KW을 더한 값)

2. 강전설비

(1) 수.변전 설비 : 송전선의 154,000V 또는 전주의 22,900V에서 저압으로 변압시켜

공급하는 변전설비

1) 수전용량 추정

㉠ 수용률 = 최대수용전력

부하설비용량

㉡ 부등률 = 각 부하의 최대 수용 전력의 합계

합계 부하의 최대 수용 전력

㉢ 부하율 = 평균 수용 전력

최대 수용 전력

㉣ 수용률, 부등률 및 부하율의 관계

평균수용전력 = 부등률

수용설비용량의 합 수용률


2) 변전실

① 위치

㉠ 부하의 중심에 가깝고 배전에 편리한 곳일 것

㉡ 외부로부터 기기의 반출.입과 전원 인입이 편리할 것

㉢ 보일러실, 펌프실, 예비 발전실, 엘리베이터 기계실과 관련성을 고려할 것

㉣ 습기가 적고 채광 통풍(변압기에서 열이 남)이 양호할 것

㉤ 주위에 폭발, 화재 등의 위험성이 적을 것

② 구조

격벽은 내화구조로, 출입구는 방화문으로 한다

바닥두께는 케이블, 배관 등을 고려하여 20 ~ 30cm 정도로 한다

㉢ 바닥하중은 중량에 견디도록 한다(500 ~ 1,000kg/㎡)

천장 높이는 3.6m 이상으로 할 것(고압인 경우 3m(보 아래),

(특고압인 경우 4.5m 이상)

③ 변전실의 면적

필요바닥면적 = 3.3 변압기 용량(KVA)(㎡+ = 변압기 용량(KVA) (평)

필요바닥면적 = K ?(변압기 용량), K는 정수 0.4 ~ 1.3(평균 0.98)


3) 변전 설비용 기기

변압기

유입변압기 : 절연 및 냉각을 위하여 기름을 사용

㉮ 변압기유의 구비조건

절연성이 클 것

점도가 낮고, 냉각효과가 클 것

인화점은 높고, 응고점은 낮을 것

금속재료와 접해도 화학반응이 없을 것

ⓔ 변압기유로는 석유계 광유가 쓰인다

㉯ 절연유의 열화방지 : 유(油)보존기인 콘서베이터를 부착하여 절연유의 열화를

방지한다

㉰ 절연유 절연파괴 시험 : 2년에 1회 이상 절연내력시험 및 산가측정 실시

ⓐ 절연파괴 전압 : 25,000V(25kV)이상이어야 한다

ⓑ 전산가 : 0.2 mg KOH/g이하는 양호, 0.4 mg KOH/g 이상은 불량

㉡ 건식변압기

㉢ 변압기의 극성 : 감극성

② 차단기

㉠ 유입차단기(O.C.B)

㉡ 공기차단기(A.C.B)

콘덴서 : 역률개선

④ 배선반

㉠ 개방형

㉡ 큐비클형

㉢ 벤치 보드형

㉣ 보호장치

(2) 자가 발전 설비 : 수술실, 승강기, 전산실에는 예비전원을 갖추어야 한다

1) 예비전원의 종류

자가발전설비 : 정전 후 10초 이내에 기동하여 규정전압을 유지하며 30분 이상

공급가능할 것

축전지 : 정전 후 충전하지 않고 30분 이상 방전 가능할 것(소용량)

축전지와 자가발전설비 병용 : 한순간의 정전도 허용되지 않는 곳

(수술실, 전산실, 방송국)에 적합.

** 축전지설비는 충전없이 20분 이상 방전 가능해야 하며, 자가발전설비는 정전후

45초 이내에 기동해서 30분 이상 공급이 가능 할 것. **

2) 원동기 용량

원동기 출력(ps) ≥ 발전기 출력(kw)

발전기 효율 × 0.736

3) 발전기실

① 위치

㉠ 기기의 반출입 및 운전 보수가 편리한 위치일 것

㉡ 엔진 배기 배출구가 가까울 것

㉢ 급.배수가 용이한 곳일 것

㉣ 연료 보급이 용이할 것

㉤ 변전실에 가까울 것

㉥ 실내환기를 충분히 할 수 있을 곳

② 구조

㉠ 내화. 방음. 방진구조일 것

㉡ 발전기의 기초는 발전기 중량의 5배 정도의 콘크리트를 방의 바닥면과 절연시키고

방진재료를 패킹한다

㉢ 주위 온도가 5℃ 이내로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엔진 시동 곤란 및 규정출력 미달의 우려)

㉣ 비상사태 발생 후 10초 이내에 가동하여 규정전압을 유지하고,

30분 이상 전력공급이 가능해야 할 것.

③ 자가 발전기 용량 : 보통 수전설비 용량의 20% 정도

시험운전 : 주 1회무부하 운전을 한다


4) 축전지실

① 위치, 장소 및 수명

㉠ 위치 : 충전기는 가급적 부하에 가까워야 한다

㉡ 장소 : 화재경보장치, 유도등, 전기시계, 통신용 제어조작 등에 사용하며,

정전 후 충전하지 않고 30분 이상 방전할 수 있어야 한다.

수명 : 정격용량의 80%로 용량이 감소하였을 때

② 배치

축전지와 입구 사이의 간격 : 2.6m 이상

㉡ 천장높이 : 2.6m 이상

축전지와 벽면과의 간격 : 1m 이상

㉣ 축전지와 보수하지 않는 쪽의 벽면과의 간격 : 0.1m 이상

축전지와 부속 기기 사이의 간격 : 1m 이상

축전지실 설치 시 주의사항

전기 배선은 비닐선을 사용한다.

충전 중 수소가스의 발생이 있으므로 배기설비가 필요하다

실내에 급. 배수시설을 한다

내진성을 고려한다

④ 축전지의 충전방식

㉠ 부동충전

㉡ 균등충전

㉢ 세류충전

㉣ 보통충전

㉤ 급속충전

⑤ 축전지의 종류 및 특징

㉠ 연축전지 : 1개당 2V, 10Ah, 과충방전에 약하고, 충전시간이 길고, 기계적강도

약하고 싸다

㉡ 알칼리축전지 : 1개당 1.2V, 5Ah, 과충방전에 강하고, 충전시간 짧고,

기계적강도 강하고 비싸다.


(3) 배전 및 배선설비

1) 배전 : 전력을 각 수용가로 분배하는 것(배전반 → 간선 → 분전반 → 분기회로)

2) 간선의 설계순서

부하의 용량결정 → 전기방식과 배선방식결정 → 배선방법결정 → 전선의 굵기

결정

① 배선방식

㉠ 평행식

㉡ 나뭇가지식(수지상식)

㉢ 병용식


3) 분전반 : 배전반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말단 부하에 배전하는 것

(주개폐기, 분기회로용 개폐기, 자동차단기를 모아 놓은 것)

분전반 설치 시 주의사항

개폐기는 나이프스위치나 노퓨즈 브레이커(N.F.B)가 사용된다

고층건물은 가능한 한 파이프 샤프트 부근일 것

분전반은 복도나 계단 근처의 벽에 설치한다

분전반 1개의 공급면적은 1,000㎡ 이내가 되게 한다

분기 회로 1개의 길이는 30m 이내가 되게 한다

분전반 1개에는 분기회로 20개 이내로 한다

1개층에 분전반 1개 이상씩 설치한다

분전반은 3종 접지한다


4) 분기회로 : 저압 옥내 간선으로부터 분기하여 전기기기에 이르는 저압 옥내 전로

① 분기회로를 나눌 때의 주의사항

전등 및 콘센트 회로는 되도록 15A 분기회로로 한다

전등회로는 부하의 합계가 분기 개폐기 용량의 80% 정도로 억제한다
(전등수의 제한은 없다)

콘센트 회로는 한 회로에 수구수 8개 정도로 한다

분기점에서 전선의 길이가 3m 이하인 곳에 개페기 및 과전류차단기를 시설할 것

③ 허용전류가 정격전류의 35 ~ 55 % : 8m 이내 시설할 것

④ 허용전류가 정격전류의 55% 이상 인 경우에는 길이의 제한이 없다.


5) 전기방식(배선방식)

① 단상 2선식 : 100V, 200V중 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② 단상 3선식 : 100V, 200V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중성선 : 녹색과 흑색

③ 3상 3선식 : 200V, 380V

④ 3상 4선식 : 208V/120V, 460V/265V, 380V/220V

중성선 : 흰색과 회색


6) 배선 공사방법

① 애자 사용 공사 : 전개된 장소, 점검할 수 있는 은폐장소

전선 상호간 거리는 6cm, 지점 간 거리는 400V이하는 2m, 400V초과는 6m

② 목재 몰드 공사

③ 합성 수지 몰드 공사 : 내식성이 좋아 화학공장 배선에 적합

④ 경질 비닐관 공사

㉠ 절연성, 내식성이 뛰어나다

㉡ 중량이 가볍고 시공이 용이하다

㉢ 열에 약하고 기계적 강도가 낮다

㉣ 화학공장, 연구실 배선에 적합하다

⑤ 금속관 공사

㉠ 전선은 접속점이 없는 절연전선 사용

㉡ 전선관 1개의 표준길이는 3.66m, 전선 1권(롤)은 보통 300m

㉢ 전선의 총 단면적은 전선관 내부 단면적의 40% 이내가 되게 한다

㉣ 전선관 안의 전선 수는 10본 이내로 한다

㉤ 전선관은 3종 접지한다

⑥ 금속 몰드 공사 : 폭 5cm 이하, 두께 0.5 mm 이상 철재홈통에 전선을 넣고

뚜껑을 덮은 것

⑦ 가요 전선관 공사

㉠ 플렉시블 콘듀트 공사라고도 하며 굴곡이 많은 곳에 사용

㉡ 전동기 배선, 엘리베이터 배선, 기차, 전차 내의 배선 등에 적합

㉢ 습기,기름 등이 많은 곳은 방수용 가요 전선관을 사용한다

⑧ 금속 덕트 공사 : 큰 공장의 동력용으로 천장이나 바닥에 노출공사를 한다

⑨ 버스 덕트 공사 : 공장, 빌딩등 비교적 큰 전류를 통하는 간선을 시설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

⑩ 플로어 덕트 : 점검할 수 없는 은폐장소(은행, 회사등의 사무실 바닥)

⑪ 케이블 공사

⑫ 케이블 트레이 공사

7) 전동기

① 전동기 종류

㉠ 직류 전동기 : 직권, 분권, 복권 전동기 3상 교류용 전동기 : 동기 전동기

㉡ 교류 전동기 : 단상 교류용 전동기 : 유도 전동기

㉢ 전동기 회전수 : N= 120 ? f(주파수)

P (극수)

8) 감시. 제어

종류

용도

표시방법

전원표시

전원의 생.사 여부 판별

백색램프

운전표시

정상적 가동상태 판별

적색램프

정지표시

정지 상태를 표시

녹색램프

고장표시

고장의 유.무를 표시

오렌지램프

(버저나 벨이 울린다)

경보표시

경보신호

백색램프

(버저나 벨이 울린다)

9) 전선 굵기 선정

① 전선의 굵기 결정 요소 : 기계적 강도, 허용전류(안전전류), 전압강하

② 전선관의 굵기 결정 : 금속관 공사 참조

10) 접지

① 기기, 절연물이 열화 또는 손상되었을 때 흐르는 누설 전류로 인한 감전 방지

② 고.저압 혼촉사고로 인한 인축에 위험을 주는 고압전류를 대지로 흘려 감전 방지

접지종별

접지저항값

접지선의 굵기

적용장소

제 1종 접지

10Ω 이하

2.6 mm 이상

(연선 : 8㎟)

뢰기, 뢰침

고압 계기용 변성기 2차측

고압 전선로에 보호선, 보호망 접지

고압 계기용 변성기 외함

정전방전기(사용전압 ×3배)

전기집진장치

제 2종 접지

150

1선지락전류(최소:2)

2초이내: 300

1초이내: 600

고압→저압 : 2.6 mm

특고압→저압 : 4.0 mm

(연선 : 8㎟)

주상변압기 2차측

수용장소의 인입구 추가접지

특고압 또는 고압을 저압으로 변성하는

2차측

금속제 혼촉 방지

제3종 접지

100Ω 이하

1.6 mm 이상

고압계기용 변성기 2차측

지중전선로의 외함

조가용선 외함

네온변압기 외함

특별

제3종접지

10Ω 이하

1.6 mm 이상

(400V 이상)

푸울용 수중 조명등

용기외함

400V 미만

3종 접지

400V ~ 저압

특 3종 접지

고압 및 특고압

1종 접지

* 기계기구의 외함 및 철대 접지

단) 전압에 관계없이 사람이 닿을 우려가 없다 : (3종접지)


11) 배선기구

① 개폐기

㉠ 나이프 스위치 : 분전반의 주 개폐기나 각 분기 회로용 개폐기

㉡ 서킷 브레이커 : 부하상태에 의해 자동 작동한 후 원상태로 복귀 가능

② 점멸기(1개 스위치로 6등군 이하 점멸)

㉠ 텀불러 스위치 : 옥내용 소형 스위치

타임 스위치 : 호텔, 여관의 객실 입구는 1분 이내.

일반주택, 아파트는 3분 이내 소등

㉢ 리미트 스위치 : 도난방지기, 엘리베이터 등에 설치하여 경보 동작

㉣ 플로트 스위치 : 옥상 물탱크 내의 수위에 따라 작동

㉤ 마그네틱 스위치 : 전동기 제어

㉥ 로터리 스위치

조광기 : 광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

3로 스위치 : 계단의 상하에서 모두 점멸하고자 할 때 사용


3. 약전설비

(1) 전화설비

1) 교환방식

① 수동식

㉠ 자석식

㉡ 공전식

② 자동식

㉠ 스텝바이 스텝식

㉡ 크로스바식(공통제어방식) : 500대까지 설치 가능

㉢ 전자식

2) 내선 및 국선 수 산출 법

① 사용 인원수에 의한 산정 : 내선전화 = 사용 인원수 × 1.1

1.6 ~ 2.0

② 건축면적에 의한 산정 : 내선전화 = 건축 연면적(㎡)

8 ~ 15

* 전화 회선 표준 설비수

업종별

국선(10㎡당)

내선수(10㎡당)

사무실

0.4

0.8

관공서

0.4

1.0

은행. 상사

0.5

1.3

3) 유지관리사항

① 절연저항은 연 2회씩 측정 : 10MΩ 이상일 것

② 국선용 단자함 및 중간 단자함의 보안용 접지 : 100Ω 이하

③ 국선용 단자함은 월 1회, 중간단자함은 연 4회 먼지를 털어낸다

(2) 인터폰 설비

1) 접속방식에 의한 분류

① 모자식 : 병원등에 알맞으며 중앙 통제용이다(경비실과 세대간)

② 상호식 : (경비실과 관리실간)

③ 복합식 : 호텔등(모자식과 상호식을 조합)

④ 1대향식 : 특정 2개소 사이만의 통화

2) 시공 : 전화 배선과는 별도로 하며 설치 높이는 1.5m 정도

(3) T.V 안테나 설비

1) 안테나

안테나는 풍속 40m/s 에 견디도록 고정한다

강전류선으로부터 3m 이상 띄워서 설치한다

2) 정합기 : 정합기 설치 높이는 일반적인 경우 바닥 위 30cm 높이로 한다

3) 증폭기

① 약전계 이하의 난시청 구역

② 분배수가 너무 많아 수상기 입력단자에 의하여 54dB 이하로 될 때,

③ 여러개의 전용 안테나의 입력을 한 개의 케이블로 혼합될 때

4) 전송선 : 평행 2도선에서 임피던스 300Ω 의 평형 피어더를 쓴다

5) 분배기

6) 동축케이블

* 방향성 결합기나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에는 더미로드를 부착한다

7) TV전파 장해 원인

① 고스트 발생 : 전파장해로 영상이 2개 이상의 상으로 겹쳐 보임

㉠ 차폐장해

㉡ 반사장해

(4) 방송설비

1) CATV

2) HA(홈 오토메이션)시스템

(5) 차로 경보 설비

(6) 항공 장애등 설비 : 지상 또는 수면에서 60m 이상 높이의 건물에 설치(1종접지)

1) 저광도 항공장애등

① 수평면 아래 15도 상방의 모든 방향에서 식별할 수 있는 것일 것

② 점멸하지 아니하는 적색등으로서 광도가 10칸데라 이상일 것(고정된 경우에 한한다)

③ 1분당 60회 내지 90회 점멸하는 황색등으로서 실효광도가 40칸델라 이상일 것

2) 중광도 항공장애등

① 수평면 아래 15도 상방의 모든 방향에서 식별할 수 있는 것일 것

② 1분당 20회 내지 60회 점멸하는 적색등으로서 실효광도가 1천6백칸데라 이상일 것

3) 고광도 항공장애등

① 섬광하는 백색등일 것

② 수평면 아래 5도 상방의 모든 방향에서 식별할 수 있는 것일 것

4) 항공장애등의 설치방법

① 최상단에 설치하되 기능발휘가 곤란하면 1.5 ~ 3m 아래도 괜찮다

② 장애등 상호간격은 45m로 한다

고광도 : 2,000cd(칸데라) 이상, 저광도 : 20cd 이상


4. 조명설비

(1) 용어 및 단위

1) 광속 : F [lm]루우멘 ; 빛의

2) 광도 : I [cd]칸델라 ; 빛의 세기(입체각당 광속밀도)

3) 조도 : E [lx]럭스 ; 빛의 밝기(조도면의 단위 면적당 투하된 광속밀도)

4) 휘도 : B [nt]니트 ; 표면의 밝기(눈부심 정도)

5) 광속발산도 : R [lrx]레드럭스 ; 물체의 밝기(광원의 단위 면적당 발산 광속)

(2) 조명의 조건

1) 조도

① 일시적 작업 : 150[lx]

② 보통작업,사무실 : 750[lx]

③ 정밀한 시작업(미세한 전자제품 조립) : 7,500[lx]

④ 지하주차장 : 50[lx]

2) 연색성

크세논등 〉 백열등 〉 주광색형광등 〉 메탈할라이드등 〉 백색형광등 〉

수은등나트륨등

3) 효율

나트륨등 〉 메탈헬라이드등 〉 형광등 〉 수은등 〉 백열등

(3) 조명방식

1) 배광에 의한 분류

① 직접조명

㉠ 조명률이 좋다 * 조명률 = 작업면의 광속

㉡ 먼지에 의한 감광이 적다 광원의 총광속

㉢ 설비비가 싸다

㉣ 강한 조명이 되기 쉽다(물체에 강한 음영이 생기므로 눈이 쉽게 피로)

㉤ 기구의 선택을 잘못하면 눈부시다

② 반직접 조명 : 광선의 대부분이 직사광선, 나머지 일부분을 반사광선을 이용

③ 전반확산 조명 : 절반을 직사광선, 나머지 반을 반사광선(직접조명의 특징과 비슷)

④ 반간접 조명 : 대부분을 반사광선, 일부분을 직사광선으로 이용

간접조명 : 거의 전부 반사광선

조도가 균일하고, 음영이 유연하다

조명률이 가장 낮다

먼지에 의한 감광이 많다

천장면 마무리(재질, 색깔)에 영향을 받는다

설비비가 비싸다

2) 기구 배치 방식에 의한 분류

① 전반조명 : 작업면의 전체를 균일한 조도가 되도록 조명(사무실, 공장. 교실)

② 국부조명 : 특정 작업면에서 높은 조도를 필요로 할 때 채택 ; 명암차이가 커서

눈이 쉽게 피로

③ 전반 국부조명 ; 작업면 전체는 전반조명, 필요한 장소에만 국부조명 ;

경제성과 안정성을 취함

3) 건축화 조명 : 건축물의 일부를 발광체로 하여 균일한 조도 및 음영을 부드럽게

하는 것

① 종류

㉠ 다운라이트 : 광원을 천정 안에 매입하고 작은 구멍을 뚫어 빛은 아래로

투사시키는 방법

㉡ 루버 조명 : 쾌청한 낮과 근사한 주광상태를 재현한다, 루버가 오손되기 쉽고

보수가 어렵다

㉢ 광천장 조명 : 천장면 광원중에 조명률이 가장 높다. 보수가 용이하므로 많이 사용

㉣ 코퍼 조명(천장매입) :

㉤ 코브 조명(간접조명) : 눈부심이 없고 조도분포가 균일하며 그림자가 없다

㉥ 코니 조명(벽면조명)

㉦ 밸런스 조명 : 분위기 조성에 효과적인 방식

4) 조명설계

① 좋은 조명의 조건

㉠ 적당한 조도

㉡ 눈부시지 않을 것

㉢ 벽, 기타 주위의 휘도와 작업장소의 휘도와의 적당한 대비

㉣ 색을 식별할 필요가 있을 때 적절한 광원의 선택

② 조명설계순서

㉠ 소요 조도 설정

㉡ 광원선택

㉢ 조명방식 결정

㉣ 조명기구 선정

㉤ 조명기구 배치 결정

㉥ 실지수 결정 : 실지수가 클 수록 조명율이 높다; 단위는 없다

*실지수 = X?Y X : 방의 가로길이(m)

H(X+Y) Y : 방의 세로길이(m)

㉦ 조명률(U) 결정 H : 작업면(피조면 : 바닥 + 0.85m)으로부터 광원까지의 거리

㉧ 감광보상률 결정 : 조명기구는 사용함에 따라 작업면의 조도가 점차 떨어지는데 이를

예상하여 여유를 두며 이를 감광보상률이라 한다

직접조명 : 1.3 ~ 2.0, 간접조명 : 1.5 ~ 2.0)

또한 감광보상률의 역수를 유지율 : M(보수율)이라 한다.

㉨ 광속 결정 F : 광원 1개 광속[lm]

F = A?E?D = A?E A : 방의 면적[㎡]

N?U N?U?M E : 작업면 평균조도[lx]

D : 감광보상률(1.3 ~ 2.0)

E?A?D = F?U?N N : 광원의 개수

U : 조명률

M : 유지율(D의 역수)

㉩ 광원의 수 및 크기를 결정한다

㉪ 조도분포와 휘도 등을 재검토 한다

㉫ 점멸방법, 스위치, 콘센트 등 배치

㉬ 평면도에 배선 설계

③ 기구의 배치

㉠ 광원의 높이

직접조명 : 작업면 거리의 2/3

간접조명 : 작업면 거리의 1/5

단, 바닥면이 피조면인 경우 : 건물의 철골공장, 엘리베이터 홀 다운라이트 조명.

㉡ 광원의 간격

ⓐ 등기구 상호간 : S ≤ 1.5 H

ⓑ 벽면과 광원사이 간격 : So ≤ H/2(벽면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So ≤ H/3(벽면을 사용할 경우)

* 주요한 건축 조명용 광원의 특징

종류구분

백열전구

형광등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등

고압나트륨등

연색성

좋다

비교적 좋다

나쁘다

좋다

매우 나쁘다

효율

좋지 않다

10-20

비교적 양호하다

50-90

비교적 양호하다

40-65

양호하다

70-95

매우 양호하다

90-100

수명

짧다

1,000 -,2000

비교적 길다

7,500-10,000

길다

6,000-12,000

비교적 길다

6,000-9,000

길다

9,000-12,000

설비비

비싸다

비교적 싸다

다소 비싸다

다소 비싸다

비싸다

유지비

비교적 비싸다

비교적 싸다

비교적 싸다

싸다

용도

조명전반

조명전반

천장투광조명

도로조명

높은 천장조명

도로조명

터널조명

특징

휘도높고

열방사 많다

저휘도

열방사 적다

고휘도

점등시간소요

고휘도

연색성이 좋다

실내조명 부적합

5. 피뢰설비

(1) 피뢰침(20m 이상 건물)

1) 피뢰침의 보호각

일반 건축물 : 60도

위험물 관계 건축물 : 45도

③ 수평도체로 옥상을 보호할 경우 보호각 속에 들어가지 않은 부분은 가까운 수평도체로부터

10m 에 있으면 보호된다

2) 피뢰기 설치기준

① 피뢰기는 제1종 접지(굵기 2.6mm, 접지저항 10Ω)를 하며 습기나 가스, 산 등이 없는 장소에

② 통신선에 차폐선을 설치

③ 돌침부는 피보호물로부터 25cm 이상 높게 설치

④ 피뢰침을 지지하는 선은 풍속 40 - 60㎧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2) 피뢰침의 구조

1) 돌침부 : 동, 알루미늄 또는 용해아연도금을 한 철로서 지름 12mm 이상

2) 피뢰도선

① 동 : 단면적 30㎠ 이상

② 알루미늄 : 단면적 50㎠ 이상

③ 건물의 철골 또는 금속판(단면적 300㎠ 이상, 두께 2.0㎠ 이상)을 이용해도 됨

3) 접지전극

① 매설깊이 : 3m 정도

② 저항 : 단독 : 20Ω 이하

2개이상 : 10Ω 이하

다른 접지극과의 거리 : 2m 이상

가스관과의 거리 : 1m 이상

(3) 피뢰기 종류

1) 저항형

2) 판형

4) 관저항형

5) 방출형

6) 종이피뢰기

(4) 피뢰침의 방식

1) 돌침방식

2) 수평도체 방식

3) 케이지 방식(가장 확실함)

(5) 피뢰침의 성능

1) 충격방전 개시전압이 낮을 것

2) 제한전압이 낮을 것

3) 뇌전류의 방전능력이 클 것(2,500 - 5,000A 방전능력)

4) 반복동작이 클 것

5) 구조가 견고하고 특성이 변하지 않을 것

* 보안등 설치 거리 기준 : 50m 이내

* 22.9KV-Y 다중접지 전로 지하인입 케이블 ; CN-CV 케이블

* 단로기(DS) : 무부하(회로분리)개폐기

 

 

전기용어

전기/전기기초이론 2009/09/02 22:33


● 전기용어

① 뱅크 : 전로에 접속된 변압기 또는 콘덴서의 결선 상 단위

② 수구(受口) : 소켓, 리셉터클, 콘센트 등의 총칭

③ 한류퓨즈 : 단락전류를 신속히 차단하며 또한 흐르는 단락 전류의 값을 제한하는 성질을 가진 퓨즈

④ 접촉전압 : 지락이 발생된 전기기기 기구의 금속제 외함등에 인축이 닿을 때 인체에 가해지는 전압


● 자가발전기

① 각 극에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한다.

② 전압계 : 각 상에 설치한다.

③ 전류계 : 각 선에 설치한다.


● 발전기의 병렬운전조건(추파윙크)

①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②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③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④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 단상변압기 병렬운전조건[극정저임]

① 각 변압기의 극성이 같을 것

② 각 변압기의 권수비 및 1,2차 정격전압이 같을 것

③ 각 변압기의 저항과 누설리액턴스 비가 같을 것

④ 각 변압기의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3상인 경우 ⑤상회전방향이 같을 것⑥위상변위가 같을 것


● 피뢰기 구비조건[제충속상]

① 제한전압이 낮을 것

② 충격 방전개시 전압이 낮을 것

③ 속류차단능력이 클 것

④ 상용주파 방전개시 전압이 높을 것

※ 정격전압-속류가 차단되는 최고의 교류전압

제한전압-피뢰기 동작시 단자전압의 파고치


● 피뢰기 설치장소[가발배고]

① 가공전선과 지중전선과의 접속점

② 발 변전소의 인입구 및 인 출구

③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 측 및 특 고압 측

④ 고압 및 특 고압으로부터 수전 받는 수용가의 인입구


● 갭레스형 피뢰기의 주요특징[직속속]

① 직렬갭이 없음으로 소형화, 경량화 할 수 잇다.

② 속류가 없어 빈번한 작동에도 잘 견딘다.

③ 속류에 따른 특성요소의 변화가 적다.


● 코로나 현상 : 전선로나 애자부근에 임계전압 이상의 전압이 가해지면 공기의 절연이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낮은 소리나 엷은 빛을 내면서 방전되는 현상

㉠ 나쁜영향[코잡고오소]

① 코로나 손실로 인한 송전용량이 감소한다.

② 잡음으로 인한 전파장해가 생긴다.

③ 고주파로 인한 통신선의 유도장해가 생긴다.

④ 오존으로 인해 전선이 부식한다.

⑤ 소호리액터의 소호능력을 저하시킨다.

㉡ 방지대책 : 전선주위의 전위경도를 낮춤으로써 코로나 임계전압을 상승시켜 코로나 발생을 방지한다.

①굵은 전선을 사용한다.

② 복(다)도체 방식을 채용한다.(즉 전선의 바깥지름을 크게 한다.)

③ 가선금구를 개량한다.


● 복(다)도체 방식의 장단점

? 장점 [안전선]

① 안정도를 증대 시킬수 있다.

② 전선표면의 전위경도를 저감시켜서 코로나 개시전압이 높아지므로 코로나손실을 줄일 수 있다.

③ 선로의 인덕턴스는 감소되고, 정전용량은 증가하여 송전용량이 증가

?단점 [단풍정시]

① 단락 시 흡입력이 커지므로 충돌로 인한 전선의 표면이 손상된다.

② 풍압하중이 크므로 전선의 진동이 크다.

③ 정전용량이 커지므로 페란티 현상이 생길 우려가 높다

④ 시설비가 비싸다


● 지중전선로를 채택하는 주요 이유[수도(가)보(이)뇌]

① 수용밀도가 높은 지역에 공급하는 경우

② 도시의 미관을 중요시 하는 경우

③ 보안상의 제한 조건 등으로 가공 전선로를 시설할 수 없는 경우

④ 뇌 ? 풍수해 등에 의한 사고에 대한 높은 신뢰도가 요구 되는 경우


● 과전류차단기의 시설제한 개소 3 가지 [접다저-졌다졌더]

① 접지공사의 접지선

② 다선식 선로의 중성선

③ 저압 가공전선로의 접지측 전선


● 연축전지의 고장에 따른 현상의 추정원인?

1) 초기 고장 :

① 전 셀의 전압 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낮다

→사용개시시의 충전 부족

2) 우발 고장 :

① 전(全)셀의 전압 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낫다

→충전부족으로 장시간 방치 한 경우

② 전 셀의 비중이 높다

→증류수가 부족한 경우(액면저하로 극판이 노출된다)

③ 전해액의 감소가 빠르다.

→충전전압이 높고 실온이 높을 경우

④ 전해액의 변색, 충전하지 않고 방치 중에도 다량의 가스가 발생→불순물 혼입


● 축전지의 충전방식

① 보통충전

② 급속충전

③ 부동충전 :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도록 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하게 하는 방식

④ 세류충전

⑤ 균등충전 : 부동충전방식에 의하여 사용할 때 각 전해조에서 일어나는 전위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1~3개월 마다 1회씩 정전압으로 10~12시간 충전하여 각 전해조의 용량을 균일화하기 위한 방식

● 알칼리축전지의 장단점?

? 장 점 ① 방전 시 전압변동이 적다

② 사용온도 범위가 넓다

③ 충 ? 방전 특성이 양호하다.

④ 진동과 충격에 강하다

⑤ 수명이 길다( 연 축전지의 3~4배)

? 단 점 ① 연축전지보다 공칭전압이 낮다.

② 가격이 비싸다


● 축전지 설비의 구성요소[축제보충]

: 축전지, 제어장치, 보안장치, 충전장치


● MCC의 기기 구성 장치[기차제보]

: 기동장치, 차단장치, 제어장치, 보호장치


● 옥내저압배선 간선의 전선굵기를 결정하는 3요소

: 허용전류, 전압강하, 기계적강도

cf)) 허용전류의 종류 : 단락 시 허용전류, 순시 허용전류,

연속 사용 시 허용전류,


● 불평형 부하의 제한

① 저압, 고압 및 특별고압수전의 3상3선식 또는 3상4선식에 서 불평형 부하의 한도는 단상접속부하로 계산하여 설비불평형율이 30[%]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에는 이 제한에 따르지 아니 할 수 있다

㉠ 저압수전에서 전용변압기 등으로 수전하는 경우

㉡ 고압 및 특별고압수전에서는 100[KVA]이하의 단상부하인 경우

㉢ 특별고압 및 고압수전에서는 단상부하 용량의 최대와 최소의 차가 100[KVA]이하인 경우

㉣ 특별고압수전에서는 100[KVA]이하의 단상변압기 2대로 역V결선하는 경우

② 계약전력 5[KW]정도 이하의 설비에서 소수의 전열기구류를 사용할 경우 등 완전한 평형을 얻을 수 없을 경우에는 단상 3선식의 한도인 40[%]를 초과 할 수 있다


● 전력퓨즈(Power fuse) : 6.6[KV]이상에 사용

가) 전력퓨즈의 역할 2가지[어부]

① 어떤 일정한 값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를 보호

② 부하 전류를 안전하게 통전시킨다.


나) 전력퓨즈 장점 [변소보차]

① 변성기나 릴레이가 필요 없다.

② 소형, 경량이고 가격이 싸다.

③ 보수가 간단하다.

④ 차단 용량이 크고 고속 차단한다.


다) 전력 퓨즈의 단점 [과재차비-과재를 풀면 차비를 준다]

① 과도전류에 용단되기 쉽고 결상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

재투입이 불가능하다.(가장 큰 단점)

③ 차단 시 과전압이 발생한다.

④ 비보호 영역이 있으며 사용 중 열화 하여 결상되기 쉽다.


라) 전력퓨즈의 단점 [과재차비-과재를 풀면 차비를 준다]

① 정격전압

② 전류-시간 특성

③ 사용장소

④ 정격전류

⑤ 정격(차단)용량

⑥ 최소차단 전류


마) 전력퓨즈의 성능(특성) 3가지[전단용]

① 전 차단 특성

② 단시간 허용특성

③ 용단 특성


바) 한류형 전력퓨즈의 특성

① 허용특성 : 어느 시간 통전하여도 용단 특성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전류의 한계와 시간의 관계

② 용단 특성 : 과전류가 흐르기 시작할 때부터 강체가 용단하여 아크가 발생 하기까지의 시간과 전류의 관계

③ 한류특성 : 단락 전류가 흐르게 될 때 그 단락 전류를 어느 정도까지 적게 억제하는가를 나타낸 것부터 아크가 소멸 하기까지의 시간과 전류의 관계

④ 차단 특성 : 퓨즈에 과전류가 흐르기 시작 할 때부터 아크가 소멸하기까지의 시간과 전류의 관계


● 자가용전기설비 중요검사(시험)

① 절연저항시험

② 절연내력시험

③ 절연유 내압시험 및 산가측정

④ 계전기동작시험

⑤ 계측장치 설치상태검사

⑥ 외관검사

⑦ 접지저항시험


● 단상유도전동기 기동방식 4가지 : 반발기동형, 반발유도형, 콘덴서기동형, 분상기동형, 세이딩코일형

▶분상기동형 회전방향을 바꾸려면 : 기동권선의 접속을 반대로 한다.


● 리액터 기동방식대한 설명

리액터를 전동기 권선에 직렬로 접속하고 시동후 리액터를 단락시키는 방식으로 리액터의 전압강하에 의해 전동기에 걸리는 전압을 감소시켜 감 전압을 시동하는 방식


● 전력계통의 리액터 종류

① 병렬(분로)리액터 : 페란티 현상방지

② 한류리액터 : 단락전류를 제한하여 차단기 용량을 줄인다.

③ 직렬리액터 : 제5고조파를 제거하여 전압의 파형을 개선

④ 소호리액터 : 아아크를 소명하고 이상 전압발생 방지


● 전력용콘덴서에 직렬리액터를 사용하는 이유와 직렬리액터의 용량?

① 이 유 : 제 5 고조파를 제거하여 전압의 파형개선

② 용량결정기준 : 이론상-콘덴서 용량의 4[%]

실제상-콘덴서 용량의 6[%](2%여유)

※ 진상용콘덴서는 본선에 직접 접속하고 전용의 개폐기,

퓨즈 등을 시설하지 말것


● 전력용콘덴서(목적-역률개선)와 함께 설치되는 방전코일과 직렬리액터의 용도?


? 방전코일 : 개폐기 개방 시 잔류 전하를 방전시켜 잔류전하로 인한 인체의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재투입시 콘덴서에 걸리는 과전압을 방지한다.

? 직렬리액터 : 제 5고조파를 제거하여 전압의 파형 개선


● 차단기의 트립 전원방식을 4가지 간단히 설명[과부직콘]

① 과전류 트립방식 : 변류기 2 차 전류를 전자 솔레노이드에 흘러서 트립시키는 방식 (상시여자방식, 순시여자방식)

② 부족전압 트립방식 : 트립 장치의 전자솔레노이드에 인가되고 있는 전압의 저하로 트립되는 방식

③ 직류전압 트립방식 : 전자솔레노이드로 트립시키는 것으로, 축전지 전원에 의한 트립 방식

④ 콘덴서 트립방식 : 축전지 전원이 없는 주회로에서 보조 변압기와 정류기를 종합해서 충전하고 그 에너지로 전자솔레노이드를 여자시켜 트립시키는 방식


● 단락비가 큰 교류발전기는 일반적으로 기기의 치수가 (크고), 가격은 (높고), 철손 및 기계손이 (많고), 안정도가 (높고), 전압 변동률은 (낮고), 효율은 (낮다)


● 교류용 적산 전력계에 대한 물음?

① 잠동 현상?

계기의 원판이 무부하 상태에서 회전하는 현상

② 잠동현상을 막기 위한 유효한 방법은?

ⓐ 원판에 작은 구멍을 뚫는다.

ⓑ 원판에 작은 철편을 붙인다.

적산전력계가 구비해야 할 특성[과부온기내](과부가안기네)

ⓐ 과부하 내량이 클 것

ⓑ 부하특성이 좋을 것

ⓒ 온도 및 주파수 보상이 있을 것

ⓓ 기계적 강도가 클 것

ⓔ 내부 손실이 적을 것


● 저항측정방법이나 측정계기[케콜(라)휘(트)메(니)스]

① 캘빈더블브리지 : 굵은 나전선의 저항

② 코올라시브리지 : 전해액의 저항

③ 휘트니스톤브리지 : 수천옴의 가는전선의 저항

④ 메거 : 옥내전등선의 절연저항


● 접지저항 측정방법? 코올아시 브리지법과 접지저항계


● 여자돌입전류에 대한 오동작방지법(변압기)[비고감]

① 비대칭피저지법

② 고조파억제법

③ 감도저하법


● 부등율이 크다는 의미는

: 최대전력을 소비하는 기기의 사용시간대가 서로 다르다


● 부하율이 적다는 의미는

부하율이란 전력소비기기를 유효하게 사용하는 정도

① 공급 설비를 유용하게 사용하지 못한다.

② 설비이용률이 낮고 부하전력변동이 심하다


● 플로어덕트 : 플로어 덕트는 통신선 혹은 전력선로용 전선(혹은 케이블)을바닥에 배선하는 경우 바닥에 포설되는 관로로서 600[㎜]간격마다 인출구(혹은 인선트)를 갖는 강판제를 갖는 덕트이고, 중/대규모의 사무실, 백화점, 실험실 등에서 통신선 혹은 전력선의 배선용


● 배전선전압을 조정하는 방법 [승주유]

① 승압기설치

② 주상변압기 탭조정

③ 유도전압 조정기 사용


● 전력계통의 단락용량의 경감대책[고모직고한계]

① 고 임피던스계를 채택한다

② 모선계통을 분리 운용한다

③ 직류연계

④ 고장전류제한기 사용

⑤ 한류리액터를 설치한다.

⑥ 계통전압의 격상


● 고조파 억제대책 [교변기계]

① 교류 필터설치

② 변환기의 다펄스화

③ 기기의 고조파 내량증가

④ 계통 구성고려


● 부하의 역률 개선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역률을 개선하는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부하나 변압기에 전력용 콘덴서를 병렬로 접속하면 진상 전류가 공급되어 지상전류를 작게 하여 역률을 개선한다.

(무효전력)

나. 부하설비의 역률이 저하하는 경우 수용가가 볼 수 있는 손해를 두 가지만 쓰시오.

① 전압강하가 크다

② 전력손실이 증가

③ 전기요금이 증가


● 역률 과 보상 시 어떻게 되는가?

① 앞선 역률에 의한 전력손실이 생긴다.

② 모선 단자 전압의 과 상승(페란티현상)

③ 설비용량이 감소하여 과부하가 될 수 있다.

④ 변안기 온도상승

⑥ 계전기 오동작

⑦ 과보상에 의한 고조파 증폭되어 소음이 커진다.


● 전자릴레이의 장단점?

? 장점[개과 온전(할)가]

① 개폐 부하용량이 크다.

② 과부하 내량이 크다.

③ 온도 특성이 양호하다.

④ 전기적 노이즈에 강하다

⑤ 가격이 싸다.

? 단점[소동 접(하면) 기소]

① 소비전력이 크다

② 동작 속도가 늦다

③ 접점이 소모되어 수명이 짧다.

④ 기계적 충격, 진동에 약하다.

⑤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 전력계통의 절연협조에 대하여 그 의미를 상세히 설명하고 관련기기에 대한 기준충격절연강도를 비교하여 절연협조가어떻게 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하시오. (단, 관련 기기는 선로 애자, 결합콘덴서, 피뢰기, 변압기에 대하여 비교하도록 한다.)

? 설명 : 송전계통에는 많은 기계기구등이 있는데 이들의 절연강도는 서로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절연설계에 있어서 발생하는 이상전압 기기의 절연강도, 피뢰기의 3자 사이의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즉 보호기와 피보호기의 상호 절연의 협조 관계를 말한다.

? 기준충격절연강도 비고 : 선로애자(920㎸), 결합콘덴서(900㎸), 변압기(750㎸), 피뢰기(625㎸)


● 계기용 변압기 1차측 및 2차측 퓨즈 부착여부 및 이유?

① 1차 측 - 부착 한다

PT의 고장이 선로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며 고압이상의 경우에는 COS 또는 PF로써 0.5[A] 또는 1[A]를 사용한다.

② 2차 측 - 부착 한다

부하의 고장 등으로 인한 2차 측의 단락 발생시 1차 측으로 사고파급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며 정격부담에 적합한 전류치를 사용 한다(3[A], 5[A], 10[A] 등)


● 변압기 절연유 구비조건

① 냉각효과가 클 것

② 졀연내역이 클 것

③ 인화점이 높을 것

④ 응고점이 낮을 것

⑤ 점도가 낮을 것


● 단권변압기를 보통의 변압기와 비교한 장단점?

용도-① 승압 및 강압용 변압기 ② 초고압용 전력용 변압기

? 장점

① 권선량이 감소하여 중량이 감소한다.

② 동손이 감소하여 효율이 좋아진다.

③ 부하용량이 등가용량에 비하여 커져 경제적이다.

④ 전압변동이 적어진다.

? 단점

① 누설임피던스가 적어 단락전류가 크다

② 1차측에 이상전압이 발생시 2차 계통에 영향을 미친다.


● H종 건식 변압기를 유입젼압기와 비교한 장점?

① 난연성 자기소화성으로 화재 및 연소에 대한 안정성이 크다.

② 소형, 경량화 할 수 있다.

③ 절연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

④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 변압기의 결선방식에서 △-△ 결선방식의 장단점?

? 장점

① 제 3 고조파 전류가 △결선내를 순환함으로 정현파교류 전압을 유기하여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② 1대가 고장이 나면 나머지 2대로 V결선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③ 각 변압기의 선전류가 상전류의 배가 되어 대전류에 적당하다.

? 단점

① 중성점을 접지할 수 없으므로 지락사고의 검출이 곤란하다.

②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를 결선하면 순환전류가 흐른다.

③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부하전류는 불평형이 된다.


● 변압기의 결선 방식 중 Y - △ 결선방식(발전소용 승압 변압기)의 장단점?

? 장점

① 출력 측에 Y결선이므로 중성점을 접지할 수 있다

② 입력 측에 △결선이므로 여자전류에 의한 제3고조파의 장해가 적어 기전력의 파형이 찌그러지지 않는다.

? 단점

① 1차와 2차의 선간전압사이에 위상변위가 30° 생긴다.

② 1상에 고장이 생기면 송전할 수 없다.


● 접지극

① 동판 : 두께 0.7[㎜]이상 면적 900[㎠]이상

② 동봉 : 지름 8[㎜]이상 길이 0.9[m]이상

③ 철판 : 외경 25[㎜]이상 길이 0.9[m]이상의 아연도금 가스철관 또는 후강 전선관

④ 철봉 : 지름 12[㎜]이상 길이 0.9[m]이상

⑤ 등복강판 : 두께 1.6[㎜]이상 길이 0.9[m]이상

⑥ 탄소피복강봉 : 지름 8[㎜]이상의 강심이고 길이 0.9[m] 이상


● 접지공사 방법

① 접지극은 지하 75[㎝]이상의 깊이에 매설할 것

② 접지선을 철주 기타금속체를 따라서 시설하는 경우, 접지극을 철주의 밑면으로부터 30[㎝]이상의 깊이에 매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접지극을 지중에서 금속체로부터 1[m]이상 떼어 매설할 것

③ 접지선에는 연전선(OW 제외), 캡타이어케이블 또는 통신용 케이블 이외의 케이블을 사용, 다만 접지선 을 철주 기타 금속체를 따라서 시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접지선의 지표상 60[㎝]를 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④ 접지선의 지하 75[㎝]로부터 지표상 2[m]까지의 부분은 합성수지관(두께 2[㎜]미만제외) 또는 이것과 동등 이상의 절연효력 및 강도를 가지는 몰드로 덮을 것


● 비접지 3상 3선식 배전 방식에 대한 3상 4선식 다중접지 배전 방식의 장단점?

? 장점

① 고저압 혼촉 사고 시 이상전압이 적다

② 지락사고시 건전상의 이상전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③ 변압기 절연을 단절연 할 수 있으므로 가격이 저렴하다.

④ 이중고장이 일어날 가능성이 적다.

? 단점

① 지락전류가 분류되므로 지락전류 검출이 어려워져 고감도 지락계전기가 필요하다.

② 지락전류가 커져서 통신선에 유도장해를 주게 한다.

③ 지락전류가 커서 안정도가 감소된다.

④ 지락전류가 단락전류보다 커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차단기 용량이 증대된다.


● 중성점 직접접지계통에 인접한 통신선의 전자유도장애 경감에 관한 대책을 경제성이 높은 것부터 설명하시오

가. 근본 대책 : 전자유도 전압의 감소

① 기유도전류의 감소

② 통신선과 전력 선간의 상호인덕턴스 감소

③ 선로병행 길리 감소


나. 전력선측 대책(5가지)[전-송중 연 고차]

① 송전선로를 될 수 있는 대로 통신 선로로부터 멀리 떨어져 건설한다.

② 중성점을 접지할 경우에는 저항값을 가능한 한 큰값으로 한다.

③ 고속도 지락 보호 계전방식을 채용한다.

④ 차폐선을 설치한다.

⑤ 지중전선로 방색을 채용한다.


다. 통신선측 대책(5가지)[절 배전 연통]

① 절연변압기를 설치하여 구간을 분할한다.

② 연피케이블을 사용한다.

③ 통신선에 성능이 우수한 피뢰기를 설치한다.

④ 배류코일을 설치하고 절연변압기를 채용한다.

⑤ 전력선과 교차시 수직교차한다.


● 플리커 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한 전원측과 수용가측 대책

? 전원측 :

① 전용설비에서 공급

② 공급선의 굵기를 굴게 한다.

③ 저압뱅킹방식 적용

? 수용가측 :

① 부스터 설치

② 전동기의 시동전류제한

③ 직렬콘덴서 설치


● 조명용어의 정의 및 단위

① 광속 : F 빛의 양[lm]

② 광도 : I 광원의 밝기(빛의 세기)[cd]

③ 조도 : E 피조연의 발기[lx]

④ 휘도 : B 눈부심 정도(표면의 밝기)[sb][nt]

⑤ 광속발산도 : R 물체표면의 밝기[rlx]


● HID램프(고휘도 방전램프)종류 : 고압수은등, 고압나트륨등, 초고압수은등, 고압크세논방전등, 메탈 할라이드등


● 도로조명 설계 시 고려사항[조광조운보도]

① 조명시설이 도로나 그 주변의 경관을 해치지 않을 것

② 광원색이 환경에 적합한 것이며, 그 연색성이 양호 할 것

③ 조명기구의 눈부심이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할 것

④ 운전자의 방향에서 보는 노면의 휘도가 높고, 조도 균제도가 일정할 것

⑤ 보행자가 보는 노면의 휘도가 충분히 높고, 조도 균제도가 일정할 것

⑥ 도로상의 연적면 조도가 충분히 발고, 서로간의 보행자를 알아 볼 수 있을 것

⑦ 조명기구의 배치 및 배열이 전방도로 선모양의 변화, 교차점, 합류점, 분류점, 특수한 곳의 유무와 차선구조 등을 운전자가 착오 없이 전달하는 것 일것


● 조명설비에서 에너지 절약방안[전등고등슬적고고재창]

① 전반조명과 국부조명의 적절한 병용(TAL조명)

② 등기구의 격등제어 회로구성

③ 고효율 등기구 채용

④ 등기구의 보수 및 유지관리

⑤ 슬립라인 형광등 및 전구식 형광등 채용

⑥ 적절한 조광제어실시

⑦ 고조도 저휘도 반사갓 채용

⑧ 고역율 등기구채용

⑨ 재실감지기 및 카드키채용

⑩ 창측 조명기구 개별점등


● 얼음극 형광등과 비교한 슬립라인 형광등의 장점과 단점

? 장점 [필순점전관]

① 필라멘트를 예열할 필요가 없어 점등관등 기동장치가 필요 없다

② 순시기동으로 점등에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③ 점등불량으로 인한 고장이 없다.

④ 전압변동에 의한 수명단축이 없다.

⑤ 관이 길어 양광주가 길고 효율이 좋다.

? 단점 [점전전]

① 점등장치가 비싸다.

② 전압이 높아 위험하다.

③ 전압이 높아 기동 시에는 음극이 손상되기 쉽다.


● 조명설비의 깜박임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방법

① 백열등 : 직류를 사용하여 점등한다.

② 3상전원 : 3상접속을 바꾸어준다.

③ 전구가 2개씩인 방전등 : 하나는 쵸크형 안정기에 접속 하여 지상역률로 하고 또 하나는 콘덴서형 안정기에 접속하여 진상역률로 한다.


● 조명설비의 전력 절약방법

① 자연채광

② 고효율을 조명채택

③ 조명설비의 적절한 배치

④ 실내 주요 반사

⑤ 균일한 전압유지

⑥ 고역률 방식 채택

⑦ 조명기구 보수관리 설치

⑧ 불필요한 조명 소등


● 조명계측기의 4가지를 측정 목적에 따라 쓰시오 :

광도계, 조도계, 휘도계, 광속계


● 조명설비의 조도가 시설 당시보다 점차 떨어지는 이유?

① 램프의 동정특성

② 조명기구의 오손특성

③ 실내 주요 반사면의 오손특성 및 변퇴색 특성


● 단락시험 및 무부하시험(개방시험) 회로

① 임피던스전압 : 시험용변압기의 2차측을 단락한 상태에서 슬라이닥스를 조정하여 1차측 단락전류가 1차정격전류와 같게 흐를때 (전류계의 지시값이 정격전류값이 되었을때) 1차측 단자전압을 임피던스전압이라 한다.

② %임피던스=임피던스전압(교류전압계의시값)/1차정격전압

×100[%]

③ 동손 : 교류전력계의 지시값을 기준온도 75[℃]로 환산한 값이 된다 (임피던스와트)

④ 철손 : 시험용 변압기의 2차측(고압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슬라이닥스를 조정하여 교류전압계의 지시값이 1차(저압측) 정격 전압값일 때의 전력계의 지시값[W]이다.


● 전류형 인버터와 전압형 인버터 회로의 비교

? 전류형인버터

① DC LINK 양단에 평활용 콘덴서 대신에 리액터 사용

② 인버터부에 SCR사용

? 전압형 인버터

① 출력의 맥동을 줄이기 위해 LC필터 사용

② 컨버터부에 3상 다이오드 모듈사용


● 접지극

① 동판 : 두께 0.7[㎜]이상 면적 900[㎠] 이상

② 동봉 : 지름 8[㎜]이상 길이 0.9[m]이상

③ 철관 : 외경 25[㎜]이상 길이 0.9[m]이상의 아연도금 가스철관 또는 후강 전선관

④ 철봉 : 지름 12[㎜]이상 길이 0.9[m]이상

⑤ 동복강판 : 두께 1.6[㎜]이상 길이 0.9[m]이상

⑥ 탄소피복강봉 : 지름 8[㎜]이상의 강심이고 길이 0.9[m] 이상


● 접지공사 방법

① 접지극은 지하 75[㎝]이상의 깊이에 매설할 것

② 접지선을 철주 기타금속체를 따라서 시설하는 경우, 접지극을 철주의 밑면으로부터 30[㎝]이상의 깊이에 매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접지극을 지중에서 금속체로부터 1[m]이상 떼어 매설할 것

③ 접지선에는 연전선(OW 제외), 캡타이어케이블 또는 통신 용 케이블 이외의 케이블을 사용, 다만 접지선 을 철주 기타금속체를 따라서 시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접지선의 지표상 60[㎝]를 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④ 접지선의 지하 75[㎝]로부터 지표상 2[m]까지의 부분은 합성수지관(두께 2[㎜]미만제외)또는 이것과 동등 이상의 절연효력 및 강도를 가지는 몰드로 덮을 것


● 배전용 변전소의 접지목적 및 중요 접지개소

가) 접지목적

① 지표면의 국부적인 전위경도에서 공중 및 운전원을 감전에서 보호한다.

② 지락 및 단락전류등 고장전류나 뇌격전류 유입에다른 기기 외함, 철구, 저압제어회로등의 접지부분 및 대지면의 전위 변동에 대해서 기기를 보호한다.

③ 계통에서의 회로전압, 보호계전기 동작의 안정과 정전차폐 효과를 유지한다.

나) 중요접지 개소

① 일반기기 및 제어반

② 피뢰기

③ 피뢰침

④ 옥외철구

⑤ 케이블 실드선


● 접지구성방식

① 연접접지 : 각기기의 접지를 공통 접지선에 연결함과 동시에 소 내 각 장소의 전위 분포가 균일하게 되도록 접지선과 접지극을 매설하는 방식

② 망상접지 : 대 계통에서는 고장전류가 특히 커서 그에 대응하는 소요접지 저항치나 소 내의 보폭전압, 접촉전압이 문제가 되는 경우나 변전소 구외를 통과하는 일반통행인에 대해 위험한 전압이 걸리지 않게끔 접지선을 망상으로 부설하고 구내외에 극단적인 전위경도가 생기지 않게 하는 방식

③ 단독방식 : 접지를 필요로 하는 개개에 단독으로 접지를 실시하는 것.


● 접지공사

? 제1종 접지공사

① CB 외함

② PT(특고)

③ MOF(특고압인 경우)외함

(고압 몰드식형 MOF는 접지안해도 됨)

④ 유입개폐기 외함

⑤ 전력용콘덴서 외함

? 제2종 접지공사

① 변압기 2차측 1단자

? 제3종 접지공사

① CT 2차측

② PT(고압)

③ MOF(고압인 경우)외함

④ 방식조치를 하지 않은 지중전선의 피복 금속체


● 경부하시 콘덴서가 과대삽입되는 경우 결점?

① 고조파 왜곡의 증대

② 모선 전압의 과 상승

③ 앞선 역률에 의한 전력손실이 생긴다.

④ 설비용량이 감소하여 과부하가 될 수 있다.


● 전기재해를 분류하고 재해종류?

① 억측판단 : 주관적인 판단이나 희망적인 관측에 기인해서 안이한 기준을 가질때(빨리 일을 끝내려거 할때, 과거의 경험에 따른 선입견이 있을 때)

② 착오 : 좌와우를 틀리게 조작한다던지, 전기공사에서 활선과 사선을 잘못 인식한 경우

③ 방심 : 일을 완료해 놓고 끝났다는 기분이 들때, 작업중에 일단락 되었다는 기분이 들 때

④ 부주의 : 다른 관심이나 고민 등으로 신경이 많이 쓰일 때


① 누 전 - 기계적, 전기적인 열화나 노화로 인한 절연파괴

② 감 전 - 기계기구의 접속 및 충전부분의 노출로 인함

③ 정전기 - 마찰전기나 정전유도로 인함


● 단로기의 차단전류 종류?

① 여자전류(충전된 전로를 개폐)

② 무부하 전류(기기를 점검 시 전로의 차단기 동작 후 개방 할 때 또는 모선접속 변경 시)

● 참고1(수변전설비 기계기구의 약호 및 용도 또는 역활)

? DS(단로기) : 고장 수리 및 점검 시 전로 분리(용도)

? LA(피뢰기) : 이상전압을 대지로 방류시키고 그 속류를 차단한다.

? PT(계기용변압기) :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 전압계 등의 전원 사용

? CT(계기용 변류기) : 큰부하 전류를 5[A]이하로 변류하여 전류계 및 과전류 계전기에 공급하여 전류계 측정

? CB(차단기) : 부하전류의 개폐 및 고장전류를 차단한다.

? TC(트립 코일) : 단락, 과부하, 지락등 전로고장시 여자되어 차단기 개로

? OCR(과전류 계전기) : 단락, 과전류등 전로고장시 동작하여 차단기 개로

? GR(지락 계전기) : 지락 고장 시 동작하여 차단기 개로

? MOF(계기용 변성기) : 전력량계를 위한 PT와 CT를 하나의 함에 넣은 것

? COS(컷아웃스위치) : 고장전류 차단 및 무부하시 전로개폐

? PF(전력퓨즈) : 설비의 단락사고 또는 과부하시 사고전류 차단(즉 이상전류로부터 기기보호)

? ASS(자동고장구분개폐기) : 과부하시 단락전류를 자동으로 구분할 수 있고 돌입전류 억제 기능을 가지고 있다.

? INT S/W : 과부하시 단락전류를 자동으로 구분할 수 없고 수동조작만 가능하며 돌입전류 억제 기능을 갖고 있지 않으며, 용량 300[kVA]이하에서 ASS 대신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

? 개폐기 : 전동기의 기동정지

? ZCT(영상변류기) : 지락사고 시 지락전류 검출


● 참고 2(계전기기구 번호)

27 UVR (부족전압계전기) - 상시전원 정전 시 동작

47 OPR (결상계전기)

49 THR (열동계전기)

50 SGR (선택지락계전기)

51 OCR (과전류차단기) (51G OCGR)

52 CB (교류차단기)

59 OVR (과전압차단기)

64 OVGR (지락과전압차단기) (+GPT가 한세트다)

67 DGR (방향지락계전기)

87 RDF (비율차동계전기)-내부고장 검출보호

(87T 주변압 보호용 87G 주 발전기 보호용)


● 참고3

정상시

사고시

무부하시

부하시

과부하시

단락

DS

PF

KS(개폐기)

CB(차단기)

전자접촉기(MC)

전자개폐기

(MC+THR)


● 참고4

① 전력퓨즈는 6.6[kV]이상에 사용

② 특고수전설비결선도에서 PF대신 자동고장구분개폐기(7,000[kVA]초과시에는 Sectionaliz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66[kV]이상은 LS를 사용하여야 한다

③ 특고수전설비결선도에서 차단기의 트립전원은 직류(DC) 또는 콘덴서방식(CTD)이 바람직하며 66[kV]이상의 수전설비에는 직류(DC)이어야 한다

④ 22.9(KV-Y) 1000[KVA]이하인 경우에 간이수전설비결선도에 의할 수 있다.

⑤ 특고간이수전설비결선도에서 300[KVA]이하의 경우에는 자동고장구분개폐기 대신 INT SW를 사용할 수 있다

⑥ 특고간이수전설비결선도에서 300[KVA]이하인 경우 PF 대신 COS 비대칭 차단전류 10[kA]를 사용할 수 잇다.

 

 

 

차단기 용량에 대한 표기

전기/전기기초이론 2009/09/02 22:38


차단기 용량에 대한 표기
AF Ampere Frame의 initial

1.AF Ampere Frame의 initial입니다. Frame의 사전적 의미는 뼈대, 구조, 틀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Frame용량은 일반적으로 30,50,60,100,225,400,600,800,1000,1200등으로 생산됩니다. Trip치에 관계없이 이들 각각 규격의 size는 동일합니다.(Ex : 100AF/100AT와 100AF/75AT의 외형크기는 동일)

2.ATAmpere Trip의 initial로서 규격은 일반적으로 15,20,30,40,50,60,75,80,100,125,150,175,200,225,250,300........등입니다.

3.그리고 AF값과 AT값은 1번의 예와 같이 각각 별도로 표기됩니다.

4.차단기의 용량에서 AT는 트립용량 즉 안전하게 통전 시킬 수 있는 최대용량의 전류다.

5.AF는 프레임 용량으로 단락 등의 사고시 화재,폭발 등이 발행하지 않고 흘릴 수(견댈 수 있는)있는 최대 용량의 전류입니다. 물론 이때 차단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전제로 함.

 

누전차단기(ELB)와 배선용차단기(MCCB)의 작동 원리

전기/전기기초이론 2009/09/02 22:39


* 누전 차단기를 ELB 라고 표기 하며 , 배선용 차단기는 NFB 또는 MCCB 라고 표기 한다.

* ELB는 누전, 합선 , 과부하시 모두 차단 되며 , NFB는 합선 , 과부하시 차단 된다.

** ELB 와 NFB 의 차이점.

ELB - 과부하 차단도 목적이 되지만 주 목적은 누전 차단이 목적 이다.

누전 차단 만을 목적으로 하는 누전차단기도 있다.

시험버튼이 청색 혹은 녹색이면 그 ELB는 누전만을 차단하고 과부하시에는 차단되지 않음.

NFB - 과부하 차단 보호가 목적 이다.

누전시 흐르는 누설 전류가 NFB의 정격전류를 넘어서도 NFB 는 OFF 된다.

과부하란 합선에 의한 과대전류, 부하 ( 기기, 기계) 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전류

과다한 흐름, 그리고 누전에 의한 과전류를 말한다.

*** 동작 원리 ***


1) 누전 차단기 동작원리 (ELB)


누전차단기는 부하측의 누전에 의하여 지락 전류가 발생 시에 이를 검출하여 회로를 차단하는 방식의

전류 동작형 누전 차단기로서 검출 기구로써 영상변류기 ( ZCT )를 사용 한다.


* 정상 상태

▶ (IN) : ZCT에 들어가는 전류 ø1(IN) ⇒ 자속

▶ (OUT) : ZCT에 들어가는 전류 ø2(OUT) ⇒ 자속

ø1(IN)과 ø2(OUT)이 같기 때문에 ZCT 2차에 출력이 발생되지 않아 정상 사용가능


* 지락 발생상태

lg : 지락, 누전전류

지락전류(lg)에 의해서 들어가는 전류와 나가는 전류의 차이가 발생 되어 Z.C.T 2차에 출력을

발생시켜서 출력이 누전차단기의 (지락발생상태) 전자회로부에 전달되어 회로를 차단시킴 .

* 누전검출 FLOW - CHART


● 누전차단기의 ZCT에서 검출되는 신호는 미약하므로 반도체의 증폭부에서 증폭시켜 트립코일에

전압을 인가하여 회로를 차단 한다.


● 테스트 버튼 장치는 누전차단기의 동작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 ZCT를 통과하는 전류를

인위적으로 불평형 상태를 만들어 주는 회로 입니다.

그러므로 테스트시에는 반드시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하여야 합니다.


누전 트립 동작특성

전로의 지락, 부하기기의 누전이 발생하여, 정격감도전류이상의 지락전류가 동작하면 차단 된다.


2) 배선용차단기 동작원리 ( NFB)

시정 트립

과전류가 흐르면 PLUNGER가 자화 되어 자화된 전자력이 제동 SPRING 힘 보다 커짐에 따라

PLUG 흡인 자화되어 ARMATURE를 흡인시킴으로써 TRIP BAR를 동작시켜 개폐기구를 폐로시킨다.

시정트립은 SILICON OIL의 점도저항에 의해 사정성을 갖게 된다.


순시 트립

발생된 전류가 크기 때문에 PLUG에 생성된 자력의 힘으로 ARMATURE를 흡인하여

TRIP BAR를 동작시킨다

● 핸들에 의한 동작표시

- 트립표시 :

사고전류에 의해 자동차단 하였을 경우 핸들이 on(켜짐) OFF(꺼짐)중간 위치 에 표시 된다.


- 리셋트 :

사고전류에 의해 자동 차단 되었을 경우

핸들을 OFF(꺼짐)위치로 완전히 리셋트 시킨 후 on(켜짐) 위치로 재 투입 해야 한다.

● 배선용 차단기 ( NFB) 의 구조

● 누전 차단기 ( NFB) 의 구조 및 원리


 

 

전기도면 약어

전기/전기기초이론 2009/09/02 22:40


1) PROM K.E.P CO 12) D.S

3?4W 22.9KV― 60HZ 7.2KV 1600A

24KV CNCV 3―1/C―60° (?125)*2 단로기:수전설비 점검 고장시 회로를

답:한전인입에수 귀사 수용가 수전전압 분리하는 역활 무부하시 개폐

은 22.9KV 60HZ 수전 가능한것으로 부하전류는

케이블은 CNCV 60mm굵기로 1600A 정격전류를 흘릴수 있음

사용회선 1회선

예비 1회선 있다는 의미임

====================================================================

2) A.L.B.S. 13) L.A*3EA

24KV 4.5KV 2.5KA

630A(F200A) W/DISCONNECTOR TYPE

수전실 인입에 설치 피뢰기는 R S T 상 3EA 사용)

휴즈는 한류휴즈 630A 사용 VCB차단기를 사용한것으로 보임

휴즈를 지지하는 프레임은 200A SA (4.5KV 2.5KA) <==개폐서지억제용 변압기

보호

=======================================================================

3) M.O.F 14) G.P.T

P.T:13.2KV/110V 3.3KV/110V/(190/루트3)V

CC.T: 150/5A

계기용 변성기 GPT 접지 변압기로 비접지 계통에서

특고압기기를 변성하여 보호계전기 동작용으로 사용됨

계측하는 장치 LCR (한류저항) 30~50옴 정도 사용

=================================================================

4) L.A*3EA 15) ZCT 75/1A

18KV*5KA 영상변류기 :대지로 흐르는 영상전류를 검출

DISC.TYPE 보호계전기 동작 지락보호

피뢰기 지락시 회로분리용

디스콘넥터 S/W 사용

========================================================

5) COS*1EA 16) O.C.B

25KV―100A 7.2KV 600A 16KA

변압기 보호휴즈 유입차단기 : 단락 지락시 차단기내의

(과부하 단락 지락) Oill이 급속히 냉각되어 고장전류 차단

정격 600A 단락전류 16KA 가능

=================================================================

6) P.T―3 17) P.F―3EA

13.2KV/110V 7.2KV 400A

파워트랜스 포머로 파워 퓨즈 정격 400A R S T 상 3개 연결

보호계전기 전압부분을

담당 과전압 저전압 결상시

차단기(CB)트립하는 것으로

검출부에 속함

==================================================================


7) V.C.B 18) A.C.B

25.8KV 600A 3P 3,200AF

520MVA W/OCT

25KA UVT

진공차단기 :단락 지락고장시 기중차단기 ==> 600V 이하 저압에서

공기의 급속한 확산을 이용 사용되는 것으로 3상 3200A까지 외부구조

아크를 소호하는 방식으로 견디는 구조로 UVT기능을 가지고 있슴

변압기 용량 10MVA까지 UVT(저전압 검출시 트립)

차단 가능함

=====================================================================

8) TR 19) CU BUS BAR

1? 10KVA 3?3W 3,200A(10*12OT*3)*3

P:22.9KV/110V 동 부스바 두께 10mm 넓이 120 3개로 구성

변압기 1차 22.9KV

2차 110V

====================================================================

9) MCCB

2P 50/50AT

배선용 차단기

2극으로 50A 트립

외함 50A 까지 견디는 구조


10) POWER FUSE

25.8KV 200AF*3EA

변압기 보호용으로 비한류 파워휴즈 3개사용


11) MAIN TR

1? 1,750KVA*3EA

1? 22.9KV / 3.3KV OIL TYPE

메인변압기 1750KVA 3대

로 오일변압기를 사용

1차 22.9KV

2차 3.3KV임

 

공칭전압, 정격전압

전기/전기기초이론 2009/09/02 22:41


공칭전압(nominal voltage)
공칭하고 있는 전압.
실제의 전압과는 꼭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주어진 전압계급의 계통을 부르는 전압값. 전압의 종류를 표현하는데 편의상의 목적으로 회로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압이며, 실제의 전압과는 꼭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공칭전압은 그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을 말하며 그 선로의 명칭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100, 200, 3,300, 6,600, 22,000, 66,000, 154,000, 220,000, 345,000, 765,000 V 등이 있다.



공칭정격(nominal rating) : 규정의 시험 조건하에서 규정 온도를 넘는 일없이 운전할 수 있는 최대 부하.
이것을 넘어서 일정량(보통 25~50%) 부하를 증가시켜도 2시간까지는 어느 한도 넘어서 온도 상승을 발생하지 않는 것이 보증되는 것.


정격(rating)
그 기기에 대하여 제조자가 보증하는 사용한도를 말한다.
이것은 출력 또는 용량으로 표시하며 명판에 기재한다.

참고

지정의 단자 또는 공급전압과 속도로서 이용할 수 있는 전력 또는 동력(정격출력이라한다) 이밖에 정격전압, 정격전류, 정격주파수, 정격역율 등이 있다. 발전기나 전동기에서는 정격출력을 kw 로 표시하고 동시에 회전수도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①연속정격 : 메이커 지정 조건하에서 장시간 안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출력.
②단시간정격 : 메이커 지정조건하에서 단시간 안전하게 낼 수 있는 출력.
③공칭정격 : 전차용 전동기에 한해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규정의 운전조건하에서 정격전압과 정격속도로 1시간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는 출력.

배선기구에 정격전압과 정? 전류는 그 전압이나 전류를 넘어서는 안된다는 표시입니다.
배선기구는 전압이 너무 높으면 절연이 나빠지거나 절연이 파괴되어 감전될 우려성이 생기게 되며
전류가 너무 높으면 배선기구의 접촉부위는 저항성분을 가지고 있어서
그부분의 열이 높아지게 되어 화재가날 우려성이 생깁니다.
그래서 배선기구엔 정격전압과 정격전류를 표시하여 그이상을 넘지말아야
안전하다는것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정격전압 : 각종 기기의 사용전압을 전격전압이라고 합니다.
가정용 가전제품의 정격전압은 220볼트가 되겠지요?
그리고 공장에서 사용되는 모터같은 것들은 정격전압이 380볼트가 됩니다.

정격전류 : 각종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을때의 소모되는 선전류를 정격전류라고 합니다. 전류측정 방법은 후크온미터라고도 하고 클램프미터라고도 하는 계기로 전류를 측정합니다.

정격용량 : 각종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될때에 소모되는 전력을 정격용량이라고 하여 정격소모전력 아라고도 하고 정격소비전력 이라고도 합니다.

전력과 전압과 전류의 관계식은
단상일때는 P=EIcosθ 이고
3상일때는 P=√3EIcosθ 입니다.
여기서 P 는 전력이고 E 는 전압이고 I 는 전류이고 cosθ는 역율입니다.

정격이라는 것은 릴레이 접접이 감당할수 있는 전력의 한계치를 표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전력은 전압 곱하기 전류 이므로 250V 에 10A 라면 2.5KW 의 소비전력용 기기를 온 오프 할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죠., 릴레이 접점에 이렇게 표시를 하는 이유는 전력을 온 오프 하기 위해 조작했을때 떨어져 있던 접접이 닿는 순간 불꽃이 발생하게 되며 순간적이지만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며 접점이 감당할수 있는 정격 이상의 전력이 흐를경우 이것으로 인해 접접이 손상되거나 서로 용착(녹으면서 붙어버림) 되어 전력 개폐용 접접으로서 기능상실이 되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조사에서는 자기들이 채용한 접점의 재질이나 크기 등을 감안하여 넘어서는 곤란한 최대 전력의 용량을 표시하고 있는 것이지요., 보다 높은 전압조건 즉 380V 에서 사용할수도 있으며 이때 전력량을 계산하여 2.5KW 가 넘지 않는다면 얼마든지 사용해도 됩니다., 요는 접점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문제가 아니라 전류의 크기가 문제라고 보시면 되구요..그렇다고 수천볼트의 전압을 개패 하려고 하면 곤란하겠죠? 접점의 간격으로 볼때 1mm 당 2KV 의 전압만 형성되어도 (공기중에서) 전극간 방전이 일어나므로 그만큼 높은 전압을 콘트롤 하고 싶다면 간격이 더 벌어진 제품을 사용하든지 해야 하겠지요., 끝으로 접접의 용량을 보호하는 방법은 다른 릴레이즉 보조 릴레이를 구동하여 콘트롤 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행여 접접의 용량을 보강한답시고 동일한 릴레이를 두개 병렬 구동하지는 마시기 바랍니다..이유는 릴레이마다 접점이 접촉되기 까지 형성되는 시간이 달라 도움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먼저 달라붙는 쪽으로 전류가 흘러버린뒤 제 2의 릴레이가 뒤늦게( 극히 찰라적인 미세한 시간차이 일지라도) 붙는다 할지라도 의미가 없기 때문이죠 파워 릴레이라 하여 몇천원대 로 구할수 있는 제품이 있으며 최대 용량이 25A 라고 되어 있는 제품이 있습니다.,단 덩치는 제법 크죠(마우스 보다 훨씬 큼) 보다 소형 타입으로 SSR 을 사용할수도 있겠지만 반도체 형식이므로 발열이 뒤따르게 되며 방열판을 적절히 선택하지 않으면 수명보장이 안되는데다 가격대가 만원이 넘을테니 사용자가 선택해야 할 사항이라고 봅니다,다만 방열상태나 다루는 정격등이 제대로 설정되면 수명은 반영구적이라 봐도 되죠

 

 

허용전류에 따른 전선의 굵기

전기/전기기초이론 2009/09/02 22:42


허용전류에 따른 전선의 굵기

전선(㎟)

공 사 방 법

단열벽 내부의

절연전선(HIV)일 때

단열벽 내부의

케이블(CV)일 때

비 고

단 상

삼 상

단 상

삼 상

1.5

19

17

18

16

2.5

26

23

25

22

4

35

31

33

30

6

45

40

42

38

10

61

54

57

51

16

81

73

76

68

25

106

95

99

89

35

131

117

121

109

50

158

141

145

130

70

200

179

183

164

95

241

216

220

197

120

278

249

253

227

150

318

285

290

259

185

362

324

329

295

240

424

380

386

346

 

 

3로 스위치와 4로 스위치의 결선

전기/전기기초이론 2009/09/02 22:43


3로 스위치와 4로 스위치의 결선
단로 및 3로 스위치와 4로 스위치의 결선에 대해서..


3로 스위치 2개와 4로 스위치 1개가 있어 3개 지점에서 불을켜고 끌 수가 있다..
3로 스위치의 연결은 가운데 4로 스위치를 빼면 3로 스위치가 된다.
4로 스위치의 작동은 1번과 4번의 연결, 2번과 3번의 연결이 하나의 접점 역할이며, 1번과 2번, 3번과 4번의 연결이 또 하나의 접점 역할을 하여 불을 끄고 켜게 된다.."X"로 연결이 되거나 "="으로 연결된다.
즉, 3로 스위치의 연락선을 중간에서 잘라 위와 같이 연결하여 사용한다.

 

전기점검요령(누전)

전기/전기기초이론 2009/09/04 23:03


★ 전기점검자의 자세.

- 전기에 한해서는 의사와 똑 같다.

- 전기기사보다 사용하는 사람이 더 잘 안다. 항상 물어보자.

- 5감(촉,시,후,청,미)을 전부 이용하라.

- 서둘지 말자. 섣부른 판단은 오진의 첫단추이다.

- 때론 장기전을 각오해야 한다. (실제 한달이상 점검한 사례도 있음)

★ 누전의뢰가 들어왔을 때 점검요령.

- 분전반 카바를 분리하여 누전체크를 하여 누전여부를 파악한다.

- 누전차단기가 떨어지기 전에 사용했던 제품이 무엇인지, 주로 어떠할 때 떨어지는지 각 증상에 대해 물어본다.

- 일차적으로 가장 누전이 잘 될 것 같은 제품부터 점검을 한다. (세탁기,냉장고,가스오븐,어항 등)

- 분전반에서 나뉘어지는 라인을 기준으로 분리하여 누전이 된 라인을 점검한다.(전등,에어콘,전열1,전열2)

- 누전된 곳이 전열이라면 라인에 꼽혀있는 기기를 누전체크한다.

- 전등 혹은 전열라인에서 계속해서 누전이 된다면 라인의 중간부분에 있는 콘센트를 분리하여 라인 양단을 분리하여 앞뒤라인 중 누전되는 라인을 체크한다.(체크된 누전된 라인을 다시 분리하여 체크한다)



★ 누전점검할 때 주의사항.

- 메가 테스트할 때는 반드시 누전차단기를 내린 후에 테스트한다.

- 누전차단기가 올려져 있으면 메가테스팅에 오류가 생길 수 있다.

- 작업후 차단기 올리기전에 반드시 점검했던 곳의 복구가 완벽한가 확인 후에 올린다.

★ 누전점검할 때 숙지사항.

1. 누전체크용 임시 접지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

- 수도꼭지, 철배관, 샷시창틀 등..

2. 설비기준에 나와있는 절연저항 기준치

- 110V : 0.1MΩ이상

- 220V : 0.2MΩ이상

- 380V : 0.4MΩ이상

3. 점검할 때 절연저항 기준? (이 정도는 해줘야?)

- 신축 : 15~50MΩ 이상은 잡아줘야 한다.

- 일반적으로 : 2MΩ이상은 기본으로 잡아줘야 한다.

- 전기제품 : 최소한 1MΩ이상은 잡아줘야 한다. (1MΩ이하면 A/S받으라 권고해준다)

4. 누전차단기에 명시된 규격설명

- 부하용량 30A : 정상적인 부하를 30A까지는 흘릴수 있다.

- 정격감도전류 30mA : 누전되는 전류가 0.03A이상 흘리면 차단된다.

- 정격부동작전류 15mA : 누전되는 전류가 15mA이하에서는 차단되지 않는다.

- 동작시간 0.03초이내 : 누설전류가 생겼을 때 동작되는 시간.

- 정격차단전류 1.5KA : 단락(숏트)이 발생했을 때 순간적으로 엄청난 전류가 흐르는데 1.5KA까지는 차단기에 손상이 없이 차단능력이 있다는 말. (정격차단전류 이상 흘렀을 때 차단기가 손상을 입거나 때론 화재가 발생할 수 있음) 참고 : 노래방의 경우 2.5KA이상을 사용함.

★ 누전되는 유형.

1. 전기제품에서의 누전

- 세탁기, 냉장고, 가스오븐, 어항등... 기기 내에 분진과 습기로 인한 누전

2. 결빙현상에 의한 누전

- 겨울철 외기온도와의 차에 의해 발생하는 습기로 인한 누전.

3. 스위치, 콘센트 불량에 의한 누전

- 노후로 인한 절연불량(분진, 이물질)

- 습기로 인한 콘센트 절연불량

- 나사못 조일 때 전선손상

- 기구 부착시 전선 눌림

- 조립상태 불량으로 인한 접불성 누전

- 자가조립설치한 멀티콘센트 전선 눌림에 의한 누전

4. 누수로 인한 등기구 침수

5. 전선 손상으로 인한 누전(눈에 보이지 않는 손상이 대부분임)

6. 누전아닌 누전 : 누전차단기 병령연결 혹은 다른 누전차단기와 교차시켜 연결할 때 누전으로 인식되어 차단됨.

 

형광등 소등후 불이 희미하게 남아있는 현상(잔광현상)

전기/전기기초이론 2009/09/04 23:08

형광등을 소등한 상태에서 불을 켠 것처럼 희미하게 되는 경우는 220V 지역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불이 희미하게 남아있는 현상을 잔광현상이라 하며,

형광등의 스위치 선이 -선(중성선-N상)에 연결되어 있을 때 발 생됩니다.

잔광현상은 스위치를 +선으로 바꾸어 연결하면 제거할 수 있습니다.

 

전선의 접속 (분기접속,종단접속)

전기/전기기초이론 2009/09/09 23:07


 

 

 

 

 

차단기 용량에 대한 표기 AF&AT

전기/전기기초이론 2009/09/14 23:46


차단기 용량에 대한 표기
AF Ampere Frame의 initial

1.AF Ampere Frame의 initial입니다. Frame의 사전적 의미는 뼈대, 구조, 틀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Frame용량은 일반적으로 30,50,60,100,225,400,600,800,1000,1200등으로 생산됩니다. Trip치에 관계없이 이들 각각 규격의 size는 동일합니다.(Ex : 100AF/100AT와 100AF/75AT의 외형크기는 동일)

2.ATAmpere Trip의 initial로서 규격은 일반적으로 15,20,30,40,50,60,75,80,100,125,150,175,200,225,250,300........등입니다.

3.그리고 AF값과 AT값은 1번의 예와 같이 각각 별도로 표기됩니다.

4.차단기의 용량에서 AT는 트립용량 즉 안전하게 통전 시킬 수 있는 최대용량의 전류다.

5.AF는 프레임 용량으로 단락 등의 사고시 화재,폭발 등이 발행하지 않고 흘릴 수(견댈 수 있는)있는 최대 용량의 전류입니다. 물론 이때 차단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전제로 함.

 

 

전기기초이론(공식)

전기/전기기초이론 2009/09/22 23:01


1.전기 기초 이론 ―Ⅰ

1.여러 가지 공식

1)전력(Electric Power) 기호: P 단위: W(와트)

■단상 P = VㆍI

■단상 I = P/V

■3상 P = √3VㆍI(√3=1.732)에서 허용전류 I = P/√3V

■예제) 10Kw 3상 380v일 때 각 상의 허용전류와 차단기의 용량, 전선의 두께를 구하라.

※각 상의 허용전류 I = 10,000/1.732×380 = 약15A

※전선의 굵기 = 3.5SQ

※차단기 용량 = 20A

(참고: 전류의 2.5배이하 범위 내에서 차단기를 선정한다. 내선규정150-9)

※SQ(스키아) = 단면적으로 전선의 면적(제곱 미터)를 나타낸다.

2)전력량 W〔KWh 키로 와워〕

■측정: 적산적력량계(Wh)

■W = Pㆍt = VㆍIㆍt

※우리가 가정에서 쓰는 전기는 결국 전력(P)을 얼마만큼의 시간(t)동안 썼는가를 의미한다.

■단위 환산

※1(HP)=746(W) ※1(Ps)=735(W)

3)전압강하

전압은 전력을 소비하는 수용지점의 거리가 멀수록 떨어지게 되는데, 이런 현상을 전압강하라 한다.

■공식: 전압강하 ‘e’ 는

※단상2선식 : 35.6LI/1000S {L=길이, S=단면적(SQ)}

※3상3선식 : 30.8LI/1000S

※3상4선식 : 17.8LI/1000S

■예제) 100M떨어진 곳에 3상4선식 380v/1Kw판넬을 설치했다면 예상되는 전압강하는?

(단, 전선의 굵기는 2.0mm)

P = √3VㆍI에서 I = P/√3V = 1000/1.732×380 = 1.52A

전압강하 e = 17.8×100×1.52/1000×2 = 약1.35V

※가까운 거리는 상관없지만 몇 백 미터 되는 거리의 케이블을 풀링하게 될 때는

전압강하가 많으므로보상법으로 케이블의 굵기를 높여주어야 한다.

2.알아두면 편리한 상식

1)저압선로의 절연저항

■400V미만에서

※대지전압이 150v이하 --------- 0.1(㏁ 메가 오옴)

※대지전압이 150-300이하 ------ 0.2(㏁ 메가 오옴)

■상간 절연저항 측정법

※차단기 1,2차에 물린 전선을 분리하고 차단기를 내린다. → 메가의 2가닥 을 각각 다른 상에

접촉하고 측정되는 값을 읽는다.

■누설전류 측정법

외함이 접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지선이 후크메타(클램프메타)로 관통하도록 해서

측정값을 읽는다.

■400V이하는 제3종 접지공사이다.

2)전선이나 케이블의 약어

■ IV : 600v 비닐절연전선

■ HIV : 내열용 비닐절연전선

■ CV :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비닐 외장케이블

■ DV : 인입용 비닐절연전선

■ EV : 폴리에틸렌 절연비닐 외장케이블

■ OW : 옥외용 비닐절연전선

■ VCTF : 비닐 캡타이어코드

3)UPS(Uniterrup Table Power Supply)

무정전 전원장치라고 한다.

관공서나 은행같은 곳은 갑자기 정전되면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자동차 배터리처럼 별도의 배터리를 두고, 여기에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바꾸어

항시 충전을 하게 된다. 만약 정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순식간에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바꾸어 동작하는데 아무런 이상이 없게 하는 것이다.

4)부하분담(상 발란스)

3상4선식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만약 R상, S상, T상에 걸린 소비전력이 각각 10㎾, 40㎾, 10㎾라면

어떻게 될까?

■총 소비전력 60㎾의 전선 굵기를 계산할 때 3상이기 때문에 적당히 20㎾ 정도의 굵기를

선정할 것이다. 즉, R상에 20㎾, S상에 20㎾, T상에 20㎾ 식으로 말이다.

■그런데 S상의 케이블에 40㎾의 부하가 집중되었으니 케이블이 견디지 못 할 게 틀림없다.

■결국 전기공사를 할 때 전등이나 전열기구의 용량 등을 세세히 체크해서 R상, S상, T상에

최대한 균등하게 부하를 걸어주어야 안전한 것이다.

5) 3상4선식에서 중성선(N상: 뉴트랄 Neutral Conductor)의 올바른 이해

■3상4선식의 전압 체크

※중성선 기준 전압

NㆍR---220v, NㆍS---220v, NㆍT---220v

※상간 전압

RㆍS---380v, RㆍT---380v, SㆍT---380v

※중성선과 결합하여 전류를 보내는 또다른 상(R, S, T)을 하트 라인(Hot Line)이라고 한다.

■중성선은 접지가 아니라는 사실을 항상 잊지 말아야 한다.

■접지선과 중성선의 차이

※접지선: 정상적인 상태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리고 지중의 접지극 (대지)과

같은 전위를 만들거나 이상 전압 발생 시 대지로 방전하기도 한다.

※중성선: 일반적으로 상시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 즉, 전기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다른 상과 결합하여 전등이나 전열의 부하에 전류를 공급함)

보통은 접지선과 같다고 혼동하고 있으나, 내선규정에는 분명히 전압선 으로 분류되어 있다.

■예제) RㆍN 과 SㆍN에 부하가 걸려 있는데, 전원측의 N상 단자가 접촉불량에 의해 단선되었다면?

※그저 전원 공급이 끊겼다고 말한다면 짧은 생각이다. 중성선이 단선되면 누전차단기의 파손이나

중성선과 전압측에 연결된 엘리베이터 약전기기 등의 부하가 손상되는 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전원을 물릴 때는 중성선을 먼저 물리고 풀 때에는 반대로 나중에 푼다.

6)단상2선식 220v의 중성선의 이해

■사람의 손으로 중성선을 만져도 감전되지 않는다.

■중성선을 어스시켜도 누전차단기는 작동하지 않는다.

■누전점검 시, 중성선을 어스시키고 절연상태를 체크하면 정확한 누전수치를 알 수가 있다.

■부하가 많이 걸린 상태에서 결선 시 주의 점

※중성선과 하트 선을 결선할 때 뺀찌로 전선을 단번에 돌려 감아야 한다.

이유는, 두 상 중 먼저 결선한 상은 상관없으나, 나중에 결선하는 상의 전선은 살짝 닿기만해도

전선이 절반 정도 녹아버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중성선이라도 손으로 만지면 감전된다.

※일단 결선이 마무리된 뒤에는 중성선을 만져도 감전되지 않는다.

7)전선의 최대 허용전류 및 차단기 용량

전선의 최소

굵기

6

10

16

25

40

60

100

최대부하전류

(A)

40

50

60

75

125

175

250

배선용차단기

(AT)

40

30

50

40

60

50

75

125

100

175

150

250

200

(전선관 3가닥이하 배선을 기준으로 함)

8)도면에 표기되는 전기배선의 표기방법

HIV 2.5SQ×2 2.0(E) (ST16)-1

? ? ? ? ? ?

?전선의 종류

?전선의 굵기

?전선의 가닥 수

?접지선의 굵기

?전선관 종류 및 굵기

?전선관의 수

5.전기 기초 이론 ―Ⅲ

1.직렬과 병렬의 이해

1)직렬

아래 그림은 정수장에서 각 가정집으로 수돗물이 공급되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정수장의 물이 수도관을 통해 각각 A, B, C의 가정집까지 공급되고 있다고 가정하자.

가)만약 가정집 A에서 수도꼭지를 잠그게 되면 B와 C의 집에도 수돗물이 끊길 것이다.

1개의 수도관이 모두 일직선으로 연결된 탓이다.

이번에는 B의 집에서 잠그면 A는 공급되지만, 역시 C는 공급이 되지 않는다.

<직렬 연결법>

나)직렬 법이 사용되는 경우

감지기는 DC24V가 공급되기 때문에 직렬 연결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와(-) 2가닥이 각 감지기를 직렬로 거쳐 수신반으로 다시 돌아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어느 지점의 감지기가 단선이나 쇼트 등 이상이 생기거나, 화재가 발생하면 수신반에 신호가 오게 된다.

2)병렬

이번에는 굵기가 굵은 수도관(간선 수도관)에서 각 가정집마다 별도의 수도관

(분기 수도관)을 따서 공급해 보자.

가)A에서 수도꼭지를 잠가도 B와 C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간선 수도관을 통해

여전히 수돗물이 공급되기 때문이다.

<병렬 연결법>

나)이제 수도관을 전선이고, 수돗물을 전기라고 생각해 보자. 우리가 접하고 있는

교류는 모두 병렬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니까 간선 수도관을 변전소에서 전주를 통해 변압기까지 오는 구간으로,

변압기에서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구간을 분기 수도관으로 보면 된다.

다)일반 사무실이나 공장도 마찬가지다. 건물에 설치된 전기실에서 각 층에 있는 분전함의 1차까지를

간선 수도관으로, 분전함의 메인차단기를 거쳐 설치된 누전차단기들을 분기 수도관으로 보면 된다.

라)예를 들면, 누전차단기 1개를 작동시키면 해당 범위만 전기가 차단될 뿐이다.

3.회로도 보는 법

자동제어에 대해 어느 정도 정리가 되었다면, 이제 회로도 보는 법에 익숙해져 보기로 하자.

1)단로 회로

아래 그림에서,

적색, 청색, 검은색이 전선이라고 생각하십시오.

그리고 (FL)은 형광등의 코일, 즉 전원단자입니다.

분전함의 차단기를 올리면 R과 N에 220V가 흐르게 됩니다.

가. 먼저 등공통인 N상을 볼까요. (2)번의 화살표를 따라가 형광등(FL)의 코일까지

아무 방해 없이 흐르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나. 이제 스위치 공통인 R상을 보겠습니다. (1)의 화실표를 따라 흐르다가

스위치의 접점까지 왔습니다.

근런데 불행히도 스위치가 꺼져 있기 때문에 더이상 흐르지 못하고 맙니다.

형광등이 켜질 수가 없지요.

다. 누군가 사무실 문을 열고 스위치를 켜면? R은 적색의 스위치 공통을 지나고,

다른 출력접점인 (3)번의 청색선을 지나 드디어 코일까지지 도착합니다.

그러면서 형광등이 켜지는 것이지요.

<단로 스위치 회로도>

<단로(가)와 3로(나)의 회로도>

2) 3로 회로

머리속에 다음 상황을 그려보자. 대학교 강의실 복도의 출입문이 왼쪽(S/W1)과

오른쪽에 (S/W2)가 있고, 복도에 형광등이 있다. 학생 한 명이 왼쪽으로 들어 오면서

S/W1 을 눌러 형광등을 켠 뒤, 오른쪽으로 나가면서 S/W2를 눌러 형광등을 끄는 것이다.

가) 3로 S/W의 원리

위 그림 <나>는 3로 S/W 2개를 이용해서 위의 상황을 회로도로 나타낸 것이다.

3로 S/W는 공통(Com)과 접점 2개 (A1,B1)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전기가 공통을 통해 A1이나 B1 어느 한곳으로 흐르는 구조이다.

나) 동작

■차단기를 올리면 N상은 곧바로 램프에 투입 된다. R상은 3로 S/W1 의 공통과 A1,

그리고 S/W2의 A2까지 밖에 흐르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형광등이 켜지 않는다.

■이제 학생이 왼쪽 출입문으로 들어서면 S/W1 를 누르면 접점이 A1 → B1 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전기는 공통에서 S/W1의 B1과 S/W2의 B2로 연결되어 형광등이 켜지게 된다.

■오른쪽의 출입문으로 나가면서 S/W2를 누르면 접점이 B2 → A2로 이동하 면서 전기가 끊기게

되므로 형광등이 꺼지게 된다.

1)릴레이의 구조

< 8핀 짜리 릴레이랍니다. 용량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가 있죠.

이 녀석은 소형입니다. 코일하고 핀이 보이죠?

일단 코일에 220V가 흐르면 접점이 붙는답니다. 사진에 동편이 보이죠.

동편이 처음에는 상단에 붙어(b접점) 있습니다. 그러다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석의 힘에 의해 동편이 아래로 붙는(a접점) 답니다.

그리고 전원이 끊기면 스프링에 의해 접점은 원상복귀... 접점은 푸시버튼과

같은 요령이란 걸 아실거라 믿습니다.

단지 버튼은 손으로 눌러서 a, b접점이 바뀌는 것이고,

릴레이는 코일에 전류가 흘러 생기는 전자석의 힘에 의한 차이죠.>

<위에서 본 모습. 코일에 전류가 흘러 릴레이가 작동하면 적색의 LED가 켜집니다.

왼쪽 케이스에 그려진 것은 8핀에 대한 회로도입니다.

전원이 필요한 2개의 코일은 몇 번 핀이다. 접점의 공통과 a, b접점의 번호는

몇 번이다...하는 식의 회로도죠.>

<릴레이를 꽂는 소켓입니다. 릴레이의 핀에 직접 전선을 물릴수가 없기 때문이죠.

릴레이를 꽂으면 8개의 핀이 속에서 연결되어 각각 번호가 쓰여진 단자와 연결됩니다.

#사진에서는 하단 위의 2개가 전원입니다.

##그리고 하단 밑의 좌우측이 접점의 공통이구요.

###상단의 위의 좌우측이 b접점, 밑의 좌우측이 a접점이랍니다.

####그러니까 a접점2개, b접점2개이니까 2a 2b라고 합니다.>

#####아래 사진은 릴레이의 전원 및 접접 상태를 그려놓은 것입니다.

번호가 써 있죠? 소켓의 단자에도 해당 번호가 써 있답니다.

예를 들면, 전원은 13, 14번이죠.

제가 위의 설명에서 전원은 소켓의 하단 위의 2개라고 했는데,

바로 회로에 써 있는 13, 14번이 그곳에 써 있기 때문에 안 거랍니다.

2)릴레이를 이용한 회로도(1)--ON 스위만 사용하기

가.회로도를 볼 때 주의할 점

#아래 그림에서 적색을 살펴보기로 합니다.

차단기의 부하측에서 나온 적색이 어디로 갔는지요.

선을 따라가 보면 됩니다. 릴레이의 접점과 버튼의 접점으로 갔습니다.

적색이 서로 만나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려는 목적입니다.

그곳은 서로 연결된다는 뜻입니다. 즉, 서로 쪼인을 해주면 되죠.

만약, 차단기와 릴레이, 그리고 버튼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면? 마찬가지랍니다.

3가닥을 어느 한곳에 모아 쪼인을 해 주면 끝입니다.

복스에서 해 주든, 판넬 안에 단자대를 취부하고 거기서 물려주든....

##그 다음 청색도 마찬가지입니다.

릴레이 접점, 버튼 접점, 릴레이 전원, 램프 전원을 서로 연결합니다.

순서는 상관없습니다. 서로 연결만 되면....

###역시 등공통도 마찬가지겠죠

나.실제 결선도

<차단기를 올리고 푸시버튼을 누르면 릴레이가 작동하여 계속 램프가 켜지는

회로도의 결선 모습니다. 앞서 회로도를 볼 때 주의할 점을 상기하면서

결선 모습을 보면 금방 이해가 되리라 생각됩니다.

#먼저 등공통인 백색은 코릴레이의 코일 전원과 할로겐 안정기의 코일 전원으로 갔습니다.

##그리고 스위치공통인 적색은 푸시버튼의 a접점을 거쳐 릴레이 a접점으로 갔죠(청색선)

###푸시버튼의 반대편에서 나온 노란선은 릴레이의 전원을 거쳐 반대편 a접점에 연결.

동시에 할로겐 안정기의 다른 전원선도 노란색에 연결되었답니다.>

<버튼과 릴레이가 결선된 확대된 모습. 근데 이렇게 연결되면 문제가 있답니다.

버튼을 누르면 릴레가 작동해서 램프가 들어오는데, 릴레이의 a접점이 계속

붙어 있는기 때문에(이것을 자기유지라고 합니다) 램프가 꺼지지 않는다는 거죠.

차단기를 직접 내려야....해서 정지 버튼을 만들어 주는 것이죠.>

 

중성선과 접지선의 차이에 대하여

전기/전기기초이론 2009/09/23 23:31

중성선과 접지선의 차이에 대하여

□ 중성선(N상, Neutral conductor)과 접지선(Earth선)의 정의 및 용도
ㅇ 중성선(N상 : Neutral conductor 또는 neutral wire)
- 중성선(N상 : Neutral conductor) : 단상3선식의 경우나 3상 교류 계통에서 변압기를 Y결선 하는 경우에 그 중성점에 접속되는 전선(인출한 선)을 말함. 배전계통에서는 일반 상선 사이의 선간전압 이외에 상선(R, S, T 또는 A, B, C 등)과 중성선 사이의 전압, 즉 상전압의 사용이 가능하며 선간전압은 동력용으로 사용하고, 상전압은 전등용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 전기공급방식이 3상4선식, 1상2선식 등에서 접지선과 달리 전기회로를 구성하여 부하에 전류를 공급함

- 380/220 3상4선식 공급방식의 경우 R과 S, 또는 R과 T 등 상선을 이용하는 경우 380V의 전압을 R과 N, S와 N, T와 N을 연결하는 경우 220V 전압을 사용하게 됨

ㅇ 접지선(Earth선)
- 접지선(Earth선) : 접지선은 대지의 접지극과 연결된 선을 말함

- 부하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고 대지와 등전위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정상적인 전기회로 이외의 누설전류 등을 대지로 귀로시켜 인축을 전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

□ 중성선(N상 : Neutral conductor)과 접지선(Earth선)의 차이점 및 유의사항
ㅇ 가장 큰 차이점은 중성선은 정상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접지선과 달리 일반적인 경우 전기회로의 일부로 전기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시 전류가 흐르는 상태 즉 통전 상태를 유지하게 됨

- 중성선은 일반적으로 접지선에 가깝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내선규정에서는 전압선으로 분류되어 있음
ㅇ 접지선은 지중의 접지극(대지)과 등전위를 만들거나 이상전압을 대지로 방전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정상전인 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일반적인 건축물의 경우)
ㅇ 중성선에는 상전류의 20%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고 있다고 하지만 이는 불평형 전류만을 고려한 값이며 비선형부하(정류기, 인버터, UPS, 컴퓨터, 모니터, 복사기 등)나 전기로, 용접기 등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를 발생하는 부하가 있을 경우는 다름
ㅇ 이 경우에는 에 해당하는 전류가 중성선에 흐르게 됨. 상고조파전류합성이란 정상과 역상고조파는 벡터합이고, 영상고조파는 스칼라 합을 의미함. (민원사례를 보면 상전류보다 중성선의 전류가 더 큰 경우가 있고 그 원인의 대부분은 고조파에 의한 것이었음)
ㅇ 이상은 국내 전기설비기술기준 등에 따른 독립접지방식에서의 그리고 일반적인 국내현장의 실정에 따른 내용이며 병원 등 특수설비나 송변전설비의 접지, IEC, NFC 기준채용 등 접지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현장에서 중성선과 접지선의 용도를 구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평상시(정상상태)는 기능상에 별다른 문제가 없을 수도 있지만 지락, 뇌서지 침입 등의 이상 상태에서는 여러가지 장해를 유발할 수 있음

※ 최근의 각종 사고 및 전기설비의 이상발생 사례를 보면 접지와 관련한 것이 상당히 많고 그 원인은 선형부하가 대부분이던 시대의 기준으로 현재 즉 비선형부하 및 고품질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기설비를 설계 시공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사료됨

※ 국내 접지기준이 제정된 것이 아마도 1970년대로 알고 있고 그때의 기준으로 현재의 전기설비의 접지를 설계하고 시공하고 감리를 수행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며 전기계의 종사자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이나 내선규정에 따른 업무보다는 대상설비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를 통한 설비가 요구하는 안전확보 기준 등을 나름대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며 이를 위해서는 국내?외 접지 및 고조파 관련 자료의 활용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됨


 

전기전자 영문약호

전기/전기기초이론 2009/11/18 22:22


ABC Automatic Brightness Control 자동 휘도 조절

ABCC Automatic Brightness and Contrast Control 자동 휘도 및 콘트라스트 조절

AC Alternating Current 교류

ACAS Airborne Collision Avoidance System 항공기 충돌 방지 장치

ABB Air Blast Circuit Breaker (압축)공기 차단기

ACB Air Circuit Breaker 기중 차단기

ACSR Aluminum Cable Steel Reinforced 강심 알루미늄 전선(장거리 송전선으로 사용한다)

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 아나로그 to 디지털 변환기

ADF Automatic Direction Finder 자동 방위 측정기

ADM Adaptive Delta Modulation 적응 델타 변조

ADPCM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적응 차등 펄스 부호 변조방식

ADS Automated Distribution System 배전 자동화 시스템

AF Audible Frequency 가청 주파수

AFC Auto-Frequency Control 자동 주파수 제어(FM 라듸오 등에 사용)

AFT Auto-Fine Tuning 자동 세밀 조정

AGC Auto-Gain Control 자동 이득 제어

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 지능

AM Amplitude Modulation 진폭 변조

AMP Ampere 암페어(전류의 단위, 약자로 "A"를 사용)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미국 규격 협회

AP Apparent Power 피상 전력(전압과 전류를 곱한 값)

APF Active Pass Filter 능동 필터

ARQ Automatic Request Question 자동 오차 정정 장치

ARS Automatic Route Selection 자동 경로 선택 장치

ARU Audible Response Unit 음성 응답 장치

ASIC Application Specific IC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

ASK Amplitude Shift Keying 진폭 위상 변조

ASR Automatic Send/Receive set 자동 송수신 장치

ATC Automatic Train Control/Automatic Traffic Control 자동 열차 제어/자동 교통 제어

AVM Automatic Vehicle Monitoring system 자동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AVR Automatic Voltage Regulator 자동 전압 조정기

BA Bridging Amplifier 분기 증폭기

BAS Building Automation System 빌딩 자동화 시스템

BC Battery Charger 축전지용 충전기

BSO Bismuth Silicon Oxide 비스무트 규소 산화물

BTL Balanced Transformerless

BWO Backward Wave Oscillator 후진파 발진관

CAD Computer Aided Design 컴퓨터를 이용한 설계(Draft, 제도)

CAE Computer Aided Engineering 컴퓨터를 이용한 엔지니어링

CAI Computer Aided Instruction 컴퓨터를 이용한 지시

CAL Computer Aided Learning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

CAM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컴퓨터를 이용한 제조

CAT Computer Aided Testing, Computerized Axial Tomography 컴퓨터를 이용한 검사

CAV Constant Angular Velocity 정 각속도

CB Citizen Band transceiver 생활 무전기

CCD 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CCIR International Radio Consultative Committee 국제 무선통신 자문 위원회

CCITT International Telegraph and Telephone Consultative Committee 국제전신전화 자문위원회

CCNR Current Controlled Negative Resistance 전류 제한용 負 저항

CCTV Closed Circuit TV 폐쇄 회로TV

CD-ROM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K Communication Deck 회선 감시 장치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한국의 무선 전화 방식)

CDRX Critical Damping Resistance External 임계 제동 외부저항

CDT Cyclic Digital Transmission 사이클릭 디지털 정보 전송

CEP Circular Error Probable 확률 오차 원

CFF Critical Fusion Frequency 임계 융합 주파수

CFRP Carbon-fiber Reinforced Plastics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CIE Commission International de I'Eclairage 국제 조명 위원회

CI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컴퓨터에 의한 통합 생산

CLV Constant Linear Velocity 정 선 속도(방식)

CML Current Mode Logic 전류 모드 논리(회로)

CMRR Common Mode Rejection Ratio 동상 전압 제거 비

CNC Computer Numerical Control 컴퓨터 수치 제어

COAX Coaxial Cable 동축 케이블(영상 신호의 전달에 사용)

CODEC COder-DECoder 부호기와 복호기

COHO Coherent Oscillator 코히어런트 발진기

CRT Cathode Ray Tube 음극선 관(브라운 관)

CSD Constant Speed Drive unit 정속 구동 장치

CSWR Current Standing Wave Ratio 전류 정재파 비

CT Current Transformer 계기용 변류기

CTD Charge Transfer Logic 전하 전송 소자

CTL Complementary Transistor Logic 상보 트랜지스터 논리(회로)

CVCF Constant Voltage Constant Frequency 정 전압 정 주파 전원, 일본식 표현(=UPS)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화학 기상 성장법

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디지털 to 아나로그 변환기

DAS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배전자동화 시스템

Db Decibel 데시벨(소리의 세기 단위)

DC Direct Current 직류

DCS Distributed Control System 분산 제어 시스템

DDC Direct Digital Control 직접 디지털 제어

DDC DC-DC Converter 직류 전압 변환장치(직류 입력, 직류 출력)

DF Damping Factor 제동 계수

DG Differential Gain 미분 이득

DG/DF Differential Gain/Differential Phase 미분 이득/미분 위상

DG/DR DC Ground Detection Relays 직류 접지 검출 계전기

DH Double Hetero-structure 더블 헤테로 접합

DIN Deutsches Institut fur Normung 독일 국가 규격

DNC Direct Numerical Control 직접 수치 제어

DP Differential Phase (미분 위상)

DPCM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差分 펄스 부호 변조방식)

DPSK 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差分 위상 시프트 키잉)

DSM Demand Side Management+B60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디지털 신호처리 장치

DVM Digital Voltmeter 디지털 전압계

DVR 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영상 기록기

DYNAMO Dynamic Model (다이나모, 연속 시스템 시뮬레이터의 하나)

EBM Electron Beam Machining 전자 빔을 이용한 가공

EC Electronic Commerce 전자 상 거래

ECCS Electronic Concentrated Engine Control System 전자식 집중 엔진 제어 시스템

ECG Electrocardiogram 심전도

ECTL Emitter Coupled Transistor Logic 에미터 결합 트랜지스터 논리(회로)

EDM Electrical Discharging Machining 방전 가공

EDR Equivalent Direct Radiation 相當 방열 면적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전기적으로 지울 수 있고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

EGE system Engine 1, 2대를 구동하여 교류출력 발생, 무정전 전원장치의 한 방식

EG-MG system Engine-Magnet system 무정전 전원장치의 한 방식

EIA Electronic Industrial Association 미국 전자 공업 협회

EIRP Effective Iso-tropically Radiated Power 실효 등방 방사 전력

EL Electroluminescence 전자 발광

ELB Earth Leakage Breaker 접지(누전) 차단기

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전자적 접합성

EMF Electromotive Force 기전력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전자기 방해

EMS Energy Management System 에너지 제어 시스템

EPIRB Emergency Position Indicating Radio Beacon 비상용 위치 표시 무선 장치

ERP Effective Radiation Power/Enterprise Resource Plan 실효 방사 전력 /기업 전산화(방식)

ESP Electron Spin Resonance 전자 스핀 공명

EWS Engineering Workstation 기술 작업 장치(컴퓨터)

FA Factory Automation 공장 자동화

FCI Flux Changes per Inch 매 인치 당 자속의 변화 수

FD Floppy Disk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communication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Access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

FEC Forward Error Correction 순방향 오류 정정 법

FCC 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

FET Field Effect Transistor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FG Frame Ground 프레임 접지

FGA Floating Gate Amplifier 부동 게이트 증폭기

FM Frequency Modulation 주파수 변조

FMEA Failure Mode Effect Analysis 고장 모드 효과 해석 기법

FM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다품종 소량 생산 시스템

FOT Frequency of Optimum Traffic 최적 사용 주파수

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FSK Frequency Shift Keying 주파수 편이 방식

FSS Flying Spot Scanner 飛點 주사 장치

FTC Fast Time-constant Circuit 소 시상수 회로

FTTH Fiber to the Home 가정까지 광케이블(연결)

Ga-As Gallium Arsenide 갈륨 비소

GCA Ground Control Approach 지상 관제 진입 장치(공항)

GCB Gas Circuit Breaker 가스 차단기

GCR Group Coded Recording 群 부호 기록

GCS Gate Controlled Switch 게이트 제어 스위치

GGG Godolinium Gallium Garnet 가돌리늄 갈륨 가닛, 갈륨의 일종

GIS Gas Insulated Switchgear 가스 절연 차단기

GND Ground 대지, 접지

GPI Ground Position Indicator 대지 위치 표시기

GPIB General Purpose Interface Bus 범용 인터페이스 버스 (계측 제어용으로 사용)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범 지구 측위 시스템(미국에서 군사용으로 개발한 측지 시스템)

GPSS General Purpose System Simulator 범용 시스템 시뮬레이터

GPTE General Purpose Test Equipment 범용 시험 장

GPWS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지상 접근 경보 장치(항공기)

GSM Global Systems for Mobile Communications 휴대 전화의 한 방식(유럽, 중국, 북한 등에서 채용)

GSR Grounding Short Circuit Relay 이상 지락 검출 계전기

G/T Gain over Temperature 이득 초과 온도

GTO Gate Turn Off thyristor 게이트 턴오프 사이리스터(전력 반도체)

HA Home Automation 가정 자동화

HBT Hetero Bipolar Transistor 헤테로바이폴라 트랜지스터

HDD Hard Disk Drive

HEMT High Electron Mobility Transformer

HF High Frequency 고주파

HIC Hybrid IC (디지털과 아나로그가)혼성된 집적 회로

Hi-Fi High-Fidelity 고 충실도

HMI Human Machine Interface 인간과 기계의 소통

HTL High Level Transistor 고 수준 트랜지스터 논리

HUD Headup Display 머리 위의 표시장치

Hz Hertz 주파수의 단위(Cycle/Sec)

IA Isolation Amplifier 아이솔레이션(절연) 증폭기

IAE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ssociation 국제 원자력 기관

IAGC Instantaneous Automatic Gain 순시 자동 이득 조절

IARU International Amateur Radio Union 국제 아마츄어 무선 협회

IBS Intelligent Building System 지능형 건물 (관리) 시스템, Smart Building과 동의어

ICT Insulating Core Transformer 절연 철심 변압기

IDF Intermediate Distributing Frame 중간 배선반

IE Industrial Engineering 산업 공학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국제 전기 표준 회의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국제) 전기 전자 학회

IF Intermediate Frequency 중간 주파수

IFRB International Frequency Registration Board 국제 주파수 등록 위원회

IFT Intermediate Frequency Transformer 중간 주파 트랜스

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고 전력) 스위칭용 트랜지스터

IGFET Insulated Gate FET 절연 게이트 FET

ILD Injection laser Diode 주입형 레이저 다이오드

IM Induction Motor/Integration Motor 유도 전동기, 적분 모터

INMARSAT International Marine Satellite Consortium 국제 海事 위성 기구

INS Inertial Navigation System 관성 항법 장치

IOCS Input Output Control System 입출력 제어 시스템

IP Integer Programming/Information Provider 정수 계획법, 정보 제공자

IPL Initial Program Loader 초기 프로그램 적재기

IR Infrared 적외선

IRS Inertial Reference System 관성 기준 장치

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종합 정보 통신망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 표준화 기구

ISU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국제 단위계

ITCG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Convention Geneva 국제 전기 통신 조약

ITDM Intelligent Time Division Multiplexing 지능형 시 분할 다중화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국제 전기 통신 연합

I²L Integrated Injection Logic 직접 주입 논리 회로

JFET Junction FET 접합형 FET

JIS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일본 공업 규격

KDP Kalium Di-hydrogen Phosphate 인산 2수소 칼륨

KODAS Korea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한국형 배전 자동화 시스템

KS Korean Standards 한국 공업 규격

KSR Keyboard Send/Receive set 건반 송수신 장치

KTN Kalium Tantalum Niobate 칼륨 탄탈륨 니오브

kVA Kilovolt Ampere 전기 용량 단위(전압과 전류를 곱한 값, VA의 1000배)

kW Kilowatt 전력 단위(W의 1000배)

kWh Kilowatt Hour 전기적 일의 단위(전력x시간)

LA Laboratory Automation 실험실 자동화

LAN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LANER Light Activated Negative Emitter Resistance 래너, GND의 일종, 가시광선을 발광하는것

LAS Light Activated Switch 광(동작) 스위치

LASCR Light Activated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광(동작) 실리콘 다이오드

LCD 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장치

LCU Line Control Unit 회선 제어 유닛

LD Laser Diode/Laser Disk 레이저 다이오드/레이저 디스크

LDV Laser Doppler Velocity-meter 레이저 도플러 (방식의) 속도계

LED 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LF Low Frequency 저주파

LID Leadless Inverted Device

LNA Low Noise Amplifier 저 잡음 증폭기

LSI Large Scale Integration 대규모 집적 회로

LSTTL Low power Shottky Transistor Transistor Logic 저전력 쇼트키 방식의 트랜지스터 논리소자

LUF Lowest Usable Frequency 최저 사용 주파수

MADT Micro Alloy Diffused Transistor 미소 합금 확산형 트랜지스터

MADT Mean Actual Down Time 평균 정지(고장) 시간

MAN Medium Area Network 중 규모 지역 통신망

MAP Manufacturing Automation Protocol 제조 자동화 프로토콜

MBB Make Before Break Contact 접촉중인 접점이 떨어지기 전에 다음 단계 접점이 먼저 붙는 방식

MBE Molecular Beam Epitaxy 분자선 에피탁시

MCCB Metal Clad Circuit Breaker 복합 금속식 회로 차단기

MCSG Metal Clad Switch-Gear MBM Magnetic Bubble Memory 자기 버블 기억장치

MDF Main Distribution Frame 주 배전반

MDI Magnetic Direction Indicator 자기식 방향 지시기

MDS Microcomputer Development System 마이크로 컴퓨터 개발 시스템

ME Micro Electronics/Molecular Electronics

MES-FET Metal 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금속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MF Medium Frequency wave 중 주파수

MHD Generation Magneto Hydrodynamics Generation 전자 유체 역학 발전

MICR 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자기 잉크 문자 판독 장치

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경영 정보 시스템

MISIC Metal Insulated Semiconductor IC 미스 IC, 금속 절연 반도체 집적 회로

MKS Meter Kilogram Second Units MKS 단위계

MKSA Meter Kilometer Second Ampere MKS 단위계에 전류의 단위(암페어)를 더한 전자기 단위

MMIC Monolithic Microwave IC 모노리딕 마이크로파 집적회로

MNOS Metal Nitride Oxide Semiconductor 금속 질화 산화 막 반도체

MOCVD Organometallic Compound CVD 유기 금속 CVD법

MOS 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 막 방식의 반도체

MPU Microprocessor Unit 초 소형 처리 장치

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 평균 고장 시간 간격

MTE Mean Time between Error 평균 오류 시간 간격

MTTF Mean Time To Failure 평균 고장 시간

MTTR Mean Time To Repair 평균 수리 시간

MUF Maximum Usable Frequency 최고 사용 주파수

MUT Mean Up Time 평균 동작 시간

MUX Multiplex 다중화

n Nano 10 E-9

NTSC System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System TV 방송의 한 방식(미국식)

NC Numerical Control 수치 제어

NCU Network Control Unit 망 제어 장치

NdPP Neodymium Penta-phosphate 5 인화 네노디움, 고 능률 고체, 레이저에 사용

NFB No Fuse Breaker 배선용 차단기

NIS National Information System 국가 정보 시스템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핵 자기 공명

NRZ Non Return to Zero 비 영점 복귀

NRZI Non Return to Zero Inverted 비 영점 복귀 반전

OA Office Automation 사무 자동화

OBD Optical Bi-stable Device 광 2 안정 소자

OCB Oil Circuit Breaker 유입(유 절연) 차단기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광학식 문자인식

OCS Operation Control System 동작 제어 장치

OEIC Optoelectronics Integrated Circuit 광 전자 집적 회로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merchandising)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자(구매)

OF Oil Filled Cable 유입(절연유) 케이블

OFT Optical Fiber Tube 광 섬유관

OLTC on Load Tap Changer 부하 시 탭 전환 장치

OLTS on Line Test System 작동 중 시험 장치

OLVR On Load Voltage Regulator 부하 시 전압 조정기

OMR Optical Mark Reader 광학적 표식 판독 장치

OMS Ovonic Memory Switch

OPC Organic Photoconductive Cell 유기 광 도전체

OPT Out Put Transformer 출력 변성기

OR Operating Register/Operation Ready 발진 레지스터 / 작전 준비 (테세) - 군사 용어

OT Output Trunk 출력 트렁크

OTF Optical Transfer Function 광학적 전달 함수

OTL Output Transformerless 무 변성 출력

OCGR Over Current Ground Relay 과 전류 접지 계전기

OCR Over Current Relay 과 전류 계전기

OL Over Load 과 부하

OLR Over Load Relay 과 부하 계전기

OVR Over Voltage Relay 과 전압 계전기

OWF Optimum Working Frequency 최적 주파수 사용

PABX(PBX) Private Automatic Exchanger 구내 자동 교환기

PAL system Phase Alternating by Line system TV 방송의 한 방식(유럽식)

PAM Pulse Amplitude Modulation 펄스 진폭 변조

PCB Printed Circuit Board 전자 회로용 기판

PCM Pulse Code Modulation 펄스 부호 변조

PCS Punch Card System 천공 카드 시스템

PCT Pulse Current Transformer 펄스 전류 변류기

PDM Pulse Duration Modulation 펄스 지속 변조

PDP Plasma Display Panel 플라즈마 방식의 표시기

PE Power Electronics 전력 전자

PF Power Factor 역률(단위: Cos φ)

PG Pulse Generator 펄스 발진기

pF pico Farad 정전 용량의 단위(10-6)

PFM Pulse Frequency Modulation 펄스 주파수 변조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개인용 휴대 전화

PIV Peak Inverse Voltage 피크 역전압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제어 장치

PM Phase Modulation 위상 변조

PNM Pulse Number Modulation 펄스 수 변조

PT Potential Transformer 계기용 변압기

PPM Pulse Phase Modulation 펄스 위상 변조

PR Protective Ratio 보호 비

PSK Phase Shift Keying 위상 偏移 방식

PTM Pulse Time Modulation 펄스 시간 변조

PWM Pulse Width Modulation 펄스 폭 변조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직교 진폭 변조

QED Quantum Electro Dynamics 양자 전자기학

RAM Read Access Memory 읽기와 쓰기가 가능한 메모리 소자

RCTL Resistor Condenser Transistor Logic 저항 콘덴서 트랜지스터 논리 회로

RDF Radio Direction Finder 무선 방위 측정기

RF Radio Frequency 무선 주파수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 주파수 (방식의) 인식 장치

REC Rectifiers 정류기

RIF Radio Influence Field 무선 유도계

RMI Radio Magnetic Indicator 무선 자기 방위 지시 장치

RMS Root Mean Square value 실효 값

ROM Read only Memory 읽기만 가능한 메모리 소자

RTCF Real Time Control Facility 실 시간 처리 장치

RTL Resistor Transistor Logic 저항 트랜지스터 논리 회로

RTS Request To Send 송신 요구

SAW Surface Acoustic Wave 찬성 표면파

SCADA Supervisory Control & Data Acquisition 지역 급전 시스템

SCL Space Charge Limited Transistor

SCR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실리콘 제어 정류기(스위칭 소자)

SCS Silicon Controlled Switch 실리콘 제어 스위치

SEC Secondary Electron Conduction 2차 전자 도전 작용

SI System Integration 통합 계통

SiC Silicon Carbide 탄화 규소(카바이트) - 물을 가하면 C2H2 가스가 나온다 ->산소-아세틸렌 가스 용접의 원료 가스가 된다

SIP Single In-line Package 한 줄로 된 형태(의 반도체 또는 전자 소자)

SIT Static Induction Transistor 정전 유도형 트랜지스터

SOI Semiconductor on Insulator 절연 기판상의 반도체

SPST Single Pole Single Throw 단극 단투 개폐기

SQUID Super 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S/S Substation 변전소

SS cable Self Supporting cable 자기 지지형 가공 케이블

SSG Standard Signal Generator 표준 신호 발생기

SSPG Spread Solar Power Generator 위성 태양 발전

STC Sensitivity Time Control 감도 시간 조정

TBC Time Base Correction 시간 축 교정

TC Transmission Control/Thermo Couple 전송 제어 / 이종 금속의 접합에 의한 온도 계측 소자

TCM Time Compression Multiplexing 시 분할 방향 제어 전송 방식

TCU Transmission Control Unit 전송 제어 장치

TD Transmitter Distributor 자동 송신기

TDM Time Division Multiplex 시 분할 다중 방식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 분할 다원 접속

TED Transfer Electron Device

TFT Thin 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

TG Turbine Generator 터빈 발전기

TGS Tri-glysine Sulphate 황산 트리글리신

TSC Thermally Stimulated Current 열 자극 전류

TL Transmission Line 송전 선로

TSI Threshold Signal to Interface ratio 임계 신호 대 방해 신호 비

TSL Three State Logic 3가지 상태 논리

TSS Time Sharing System 시 분할 방식

TTL Transistor Transistor Logic 트랜지스터로 만든 논리 회로(소자)

TWT Travelling Wave Tube 진행파 관

UHF Ultra High Frequency 극 초단파

UJT Uni-Junction Transistor 단 접합 트랜지스터

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무 정전 전원 장치, 일본식 용어로는 CVCF(Constant Voltage Constant Frequency) 라 한다

UVEPROM Ultra-Violet ray Eraser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외선으로 지울 수 있고 프로그램 가능한 ROM

VAC Volts, Alternating Current 교류 전압

VCB Vacuum Circuit Breaker 진공 차단기

VEF Vacuum Electric Furnace 진공 전기로

VI Vacuum Interrupter 진공 인터럽터(스위치)

VPI Vacuum Pressure Impregnation 진공 함침(절연 처리의 한 방식)

VAN Value Added Network 부가 가치 통신망

VVVF 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VCM Voice Coil Motor

VCO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전압 제어 방식의 발진기

VDT Visual Display Terminal 영상 표시 단말 장치

VF Voltage to Frequency Converter 전압 -> 주파수 변환기

VFD Visual Fluorescent Display 가시 형광 표시 장치

VFO Variable Frequency Oscillator 가변 주파수 발진기

VHF Very High Frequency 초 단파

VRS Video Response System 화상 응답 시스템

VSB Vestigial Side Band 잔류 측파대

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 전압 정재파 비

VTVM Vacuum Tube Volt Meter 진공관 전압계

VU Volume Unit 음량 단위

WAN Wide Added Network 광역 통신망

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파장 다중 분

XMT Transmit 송신

XUV Extreme Ultraviolet radiation 극 자외선

YAG Yttrium Aluminum Garnet 이트륨 알루미늄 가닛

YIG Yttrium Iron Garnet 이트륨 철 가닛

ZCT Zero Current Transformer 영상 변류기

 

 

 

송배전 계통의 구성

전기/전기기초이론 2010/01/27 21:32


-송배전 계통의 구성요소

1, 승압변전소 : 발전소에서 발생한 3상교류 6.6~24(kV) 전압을 송전에 적합한 전압(1154~345[kV]으로 승압합니다.

2, 송전설로 : 승압 변전소에서 승압된 전력을 1차 변전소까지 수송합니다.

3, 1차 변전소 : 송전선로에서 공급 받은 전압(154~345[kV]을 22~154[kV]로 강압하여 2차 변전소로 송전합니다.

4, 2차 변전소 : 22~154[kV]전압을 11~66[kV]로 변압하여 3차 변전소로 송전합니다.

5, 3차 변전소 : 배전 변전소로 2차 변전소로부터 수전된 전압을 22.9[kV]로 변압하여 배전선로로 공급합니다.

6, 배전선로 :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는 선로로 우리나라는 22.9[kV]를 사용합니다.

 

 

 

직류방식과 교류방식

전기/전기기초이론 2010/01/27 21:38



교류방식의 장점

1. 전압의 승압 강압이 용이합니다.
- 변압기를 이용하여 전압을 필요에 따라 간단히 변압할수 있습니다.

2. 회전자계를 쉽게 얻을수 있습니다.
- 교류기는 직류기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효율이 좋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2상 교류 방식은 회전자계를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3. 교류방식으로 일관된 운용을 기할 수 있습니다.
- 현재 부하의 대부분이 교류방식입니다.
교류 방식 송전을 하면 발전,송전,배전을 교류로 통합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용할수있습니다.

 

마력 [ Horse power , 馬力 ]

전기/전기기초이론 2011/06/30 00:09


약어 : HP




①일의 양을 측정하는 단위로 영(英) 마력1HP=3300ft·1bs/sec=746w이고 독일 마력1PS=75㎏·m/sec=735.5w이다. 단위 차이 때문에 약간의 차가 있으나 관례상 아직도 영(英) 마력을 사용하고 있음.

②선박에서 기관의 출력을 말할 때에는 주로 마력(Horse power : HP)이라는 단위를 사용하는 데, 마력이란 공학상의 동력의 단위로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의 단위를 말한다. 원래 1마력(HP)은 한 마리의 말이 1초 동안에 75㎏의 중량을 1m 움직일 수 있는 일의 크기를 말하며, 공학적으로는 간단히 75㎏?m/sec로 나타낸다. 이것은 지구상에서 1초 동안에 75㎏의 무게를 1m 올리는 작업에 필요한 힘을 말한다.

마력의 단위는 표기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가 사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은 PS와 HP, kW이다. PS는 프랑스에서 만들어진 단위이고, HP는 영국에서 만들어진 단위이며, kW는 미터법으로 환산되는 공학단위이다. 국내에서는 PS가 쓰이고, 세 단위 사이의 관계는 1HP=1.013 × PS, 1PS=0.736kW란 공식으로 환산되며, HP가 PS보다 1.3% 큰 값을 나타낸다.
국제적으로 통일된 CGS(MKS)단위계에서 일률은 W(와트)로 나타내는데, 1와트는 10erg/s이며, 근사적인 1㎾는 102㎏m/s이다. 따라서 1마력은 약 0.75㎾가 되며 와트는 절대단위로 제정되었고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단위이다. 전기에너지도 1W가 1VA이며, 열에너지도 1 kcal/s는 4.186W에 해당하며 이는 약 5.6마력이 된다. 마력은 기관(機關) 등이 내는 동력의 크기는 표시하지만 연료가 가지는 열에너지의 이용효율을 표시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열기관 등의 성능을 알기 위해서는 마력과 함께 열효율, 또는 1마력시(馬力時)의 동력을 내는 데 필요한 연료중량을 표시하는 연료소비율을 알아야 한다.
한편 열량단위와의 관계는 1 Kcal=426.9Kg-m이고, 1PS=0.1757Kcal/sec이다.


① PS(Pferde starke, 마력의 독일어 표기), 1PS = 75Kg-m/sec = 0.735[Kw]

② HP(Horse power, 미터 단위계 표기),

 

 

 1HP = 550ft-lb/sec = 0.746[Kw]
 


직류방식의 장점

1. 절연 계급을 낮출 수 있습니다.
- 직류 방식은 실효값이 같은 교류 전압의 최고값 이므로 선로의 절연 계급을 낮출 수 있습니다.

2. 송전 효율이 좋습니다.
- 직류에서는 무효전력,표피효과가 없고 역률이 항상 1이므로 송전 효율이 좋습니다.

3. 안정도가 좋습니다.
- 리액턴스나 위상가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아도 됨으로 안정도상의 난점이 없습니다.

 

 

 

 

누전차단기(ELB)의 작동 원리

전기/전기기초이론 2011/07/02 23:18


* 누전 차단기를 ELB 라고 표기 하며 , 배선용 차단기는 NFB 또는 MCCB 라고 표기 한다.
* ELB는 누전, 합선 , 과부하시 모두 차단 되며 , NFB는 합선 , 과부하시 차단 된다.

** ELB 와 NFB 의 차이점.

ELB - 과부하 차단도 목적이 되지만 주 목적은 누전 차단이 목적 이다.
누전 차단 만을 목적으로 하는 누전차단기도 있다.
시험버튼이 청색 혹은 녹색이면 그 ELB는 누전만을 차단하고 과부하시에는 차단되지 않음.

NFB - 과부하 차단 보호가 목적 이다.
누전시 흐르는 누설 전류가 NFB의 정격전류를 넘어서도 NFB 는 OFF 된다.
과부하란 합선에 의한 과대전류, 기기나 기계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전류 과다한 흐름,
그리고 누전에 의한 과전류를 말한다.

● 누전 차단기 ( NFB) 의 구조 및 원리




ELB의 핵심부품은 위 그림에서 보이는 ZCT(Zero Current Transformer)이다.
ZCT는 일종의 CT(Current Transformer)로서 전류를 전압값으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구멍에 전선이 그냥 통과 하였으므로 1차측은 한 Turn에 해당하고, 2차측은 많은 Turn으로 되어있는 변압기의 원리와 같다.
일반 CT는 한 상의 전선만 통과하여 전류의 측정에 사용되나 ZCT는 한 구멍에 전류의 방향이 다른 양극의 전선이 동시에 통과하므로 서로 상쇄되어 정상 상태에서는 출력전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누전이 발생하면 한극에서 출발한 전류가 다른극으로 100% 돌아오지 않게되고, 그 전류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이면 제어회로의 판단에 따라 Trip Coil(TC)이 여자되어 Trip Mechanism(TM)을 동작시켜 접점이 열리게 된다.

TEST 버튼은 설치된 저항을 통하여 한상의 전류를 ZCT에 통과시킴으로서 누전과 같은 효과를 인위적으로 만드는 것이다.

누전차단기는 배선차단기와 마찬가지로 과전류차단기능을 포함하고 있는데, 누전차단기에 흐르는 전류는 그림에 보이는 바이메탈을 통과하도록 되어있으므로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흘렀을 때 바이메탈이 휘어져 Trip Mechanism을 동작시켜 접점이 떨어지게 된다(온도 상승에 의한 동작이므로 전류의 량과 통전시간이 동시에 고려된다).

누전차단기에 표시된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바꾸어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누전발생시 정확한 동작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누전차단기는 공급되는 전원을 받아 작동전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외부에서 유입되는 과도한 Surge전류에 의해 제어회로 내부의 부품이 고장을 일으키거나 일시적인 오동작으로 누전이 없는데도 Trip이 되거나 Test버튼을 눌러도 Trip이 되지않는 경우에는 누전차단기를 교체해야 한다.

삼상 누전차단기는 한극이 추가되어 접점의 수가 3개이고 ZCT를 통과한 전선의 수가 3가닥인 점이 단상과 다를뿐이다. 단상의 경우 전류를 스칼라 량으로 생각해도 무방하나, 삼상의 경우는 삼상전류의 백터합은 "0"이라는 원리가 적용되는 것이다. 단상의 각선 전류의 백터합도 "0"이다.

 

누전차단기(기술기준45조)일반사항

전기/전기기초이론 2011/07/04 23:56





가. 누전차단기의 설치목적

    교류 600V 이하의 전로에서 인체에 대한 감전사고 및 누전에 의한 화재, 아크에 의한 전기기계기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누전차단기를 설치한다.

나. 누전차단기의 필요성

    감전방지를 위한 접지저항은 변압기의 2종접지저항 값에 따라 달라지나, 현실적으로는 허용 인체통과전류 이하로 저하시키기 어려운 일이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누전 발생시 신속(국내기준 정격감도전류 : 일반장소-30㎃이하, 습기장소-15㎃이하, 차단시간 0.03초이하)히 전로를 차단하여 전위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 인명을 보호하고 있으며, 전기설비기술기준 45조, 산업안전보건법23조, 노동부 기술지침,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329조 (노동부 위임사항) 에서 누전차단기의 설치대상을 의무화하고 있다.

다. 누전차단기 시설장소

    1. 60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전기기계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 지기가 발생하였을 때 전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사람이 접촉하기 쉬운장소)
    2. 누전차단기시설대상(기술기준)
    • 특고압,고압 전로의 변압기에 결합되는 대지전압 300V를 초과하는 저압전로
    • 주택의 옥내에 시설하는 전로의 대지전압이 150V를 넘고 300V 이하인 경우 : 저압전로의 인입구에 설치)
    • 화약고 내의 전기공작물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 : 화약고 이외의 장소에 설치
    • Floor Heating 및 Load Heating 등으로 난방 또는 결빙방지를 위한 발열선 시설인 경우.
    • 전기온상 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경우.
    • 풀용, 수중조명등, 기타 이에 준하는 시설에 절연변압기를 통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경우.(절연변압기 2차측 사용전압이 30V를 초과하는 것)
    • 대지전압 150V를 넘는 이동형 가반형 전동기기를 도전성 액체로 인하여 습기가 많은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 고감도형 누전차단기 설치
    1. 권장되는 장소
    • 습기가 많은 장소에 시설하는 전로
    • 옥외시설 전선로로 사람이 닿기 쉬운 장소에 시설하는 전로
    • 건축공사 등으로 가설한 전로
    • 아케이드 조명설비
    • 가공전식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
    1. 누전차단기를 생략할 수 있는 장소
    • 발,변전소나 이에 준하는 장소(항상 누설전류)
    • 건조한 장소,
    • 접지저항 3Ω이하.
    • 2중 절연구조의 전기기구.
    • 기술상 절연이 불가능 한 경우(전기욕기, 전기로, 전해조 등)
    • 누전차단기 대신 누전경보기 시설의 경우 : 벨 또는 부저를 원칙으로 한다.
    • 저압,고압전로에서 이들의 정지가 공공안전확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 : 비상용 조명장치, 유도등, 비상용승강기, 철도용 신호장치 등
    • 계통이 매우 긴 저압전로, 회로 차단이 위험한 상태가 되는 전로.

라. 감전에 따른 생리현상 및 전류비례

    1. 심실세동 현상

    통과 전류치가 증가하면 심실에 경련을 일으켜 맥박의 박동이 어렵게 되고 심장이 정지하게 된다.

    2. 인체의 반응과 감전전류치의 비교(교류 60㎐, 3sec 기준)

    감전 전류치(㎃)

    인체의 반응

    0.5 이하

    • 감지할 수없다

    5 ~ 30

    • 호흡곤란, 혈압상승,- 수분간견딜수 있다

    31 ~ 50

    • 심장고동불규칙,경련발생 - 수분 견딘다

    51 ~ 100

    • 짧은 시간의 경우 강렬한 쇼크는 받지만 아직 심실세동은 없다 - 수초 견딘다.

    수100 초과

    • 즉시 심실세동현상 발생.


마. 정격 감도전류에 대한 분류

    감 전 방 지

    누전화재방지

    • 300V 이하
    • 100A 이하의 금속제 외함의 기기,
    • 접지 공사가 곤란한 경우
    • 60V를 넘는 저압의 금속제 외 함의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 가반식, 이동 식의 전동 기계
    • 로드 히팅, 플로어 히팅,
    • 전기온상,
    • 비상용 조명장치
    • 유도등, 소화설비
    • 철도신호장치
    • 병원수술실 등

    암반위, 건물위에 사용하는 전동공구, 팬, 공작기계 등

    대형 전동기, 급수펌프, 일반전기기기

    룸 에어컨, 난방기, 대형 냉장고, 세탁기, 우물펌프

    전기 드라이버, 송풍기, 팬, 전기 그라인더, 이동식 콤프레셔

    전로 차단의 경우, 누전 차단기

    경보만을 요구하는 경우, 누전릴레이

    비접지
    15㎃

    250Ω이하200㎃

    500Ω이하
    300㎃

    200Ω이하
    30㎃

    200㎃
    500㎃

    300㎃

바. 누전차단기의 종류

    1. 동작별 분류

    구분

    원리 및 적용

    • ZCT 2차 출력을 집적회로를 이용하여 증폭하고 그 신호파를 SCR 게이트에 입력하여 구동시키면 사이리스터에 직렬 연결된 전자장치가 작동하여 차단기를 트립 시킨다.
    • 정격전류 400A 까지 30㎃ 감도까지 제작.
    • ZCT를 이용한 저압,고압,특고압의 접지식 전로에 적용.

    • ZCT 2차 출력전류가 영구자석간의 자속을 소거시키는 방향으로 자력을 발생하여 트립 스프링에 힘을 가해 가동철편을 석방 시킴으로서 차단기 트립.
    • 정격전류121A, 30㎃ 감도까지 제작

    • 실 사용시 별도의 검출용 접지 불필요
    • 기기의 누전 및 전로의 누전도 검출.
    • 1개의 누전차단기로 수 개의 기기보호

    전압동작형

    • GPT를 이용한 고압,특고압의 비 접지식 전로에 적용
    • 특징
      - 검출용 접지는 기기용 접지와 겸용할 수 없다
      - 기기용 접지극에서 3m이상 이격 설치하여야 한다.
      - 검출용 접지선이 단선되면 동작하지 않는다.

    전압,전류
    동작형(전력형)

    • 400V 급 배전방식 등의 대규모 계통에서 많은 회로가 있는 경우 지락 발생 회로만을 차단하고 건전회로는 송전을 계속할 수 있도록 전압동작형과 전류동작형을 조합하여 선택 차단하는 방식.

    2. 정격감도별 분류

    구 분

    정격감도
    전류(㎃)

    동작시간




    고속형

    5
    10
    15
    30

    •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 이내,
    • 인체감전보호형은 0.03초 이내

    시연형

    •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를 초과하고 2초이내

    반 한시형

    • 정격감도전류에서 0.2초를 초과하고 2초 이내
    • 정격감도전류 1.4배의 전류에서 0.1초를 초과하고0.5초 이내
    • 정격감도전류 4.4배의 전류에서 0.05초 이내

    중감
    도형

    고속형

    50,100, 200
    500,1000

    •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이내

    시연형

    •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를 초과하고 2초이내
    • 고속형 - 감전방지가 주목적이다
    • 시연형 - 동작시한을 임의 조정이 가능. 보안상 즉시차단하여서는 아니되는 시설물, 계통의 모선
    • 반한시형 - 지락전류에 비례하여 동작 접촉전압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사. 검출 감도전류의 계산

    전류동작형 누전차단기의 경우 검출 감도전류는 정격 감도전류의 50%초과 100%이하로 잡은 것으로, 감조보호 목적의 경우 Ip ≤허용접촉전압 / 기기접지저항

    [표] 접촉상태별 허용접촉전압

    접촉상태별 허용 접촉전압

    적 용

    1종

    2.5(V)

    • 수중에 있는 상태

    2종

    25(V)

    • 젖은 상태
    • 금속체에 항시접촉된 상태

    3종

    50(V)

    • 1,2종 이외로서 접촉시 위험상태

    4종

    제한없음

    • 위험성이 낮은 상태

아. 누전차단기의 동작기능과 구성

    1. 동작기능

    동작의 종류

    동작원리

    지 락 시

    • 지락 →ZCT검출→ 증폭 →구동 →트립(전자식)

    과부하시

    • 내장된 Mechanism을 이용하여 검출.

    테스트 버튼

    • 지락회로를 구성하여 고의로 영상전류 발생

    Surge 시

    • 서지흡수회로가 내장되어 서지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2. 구성

    장 치

    내 용

    소호장치

    전류차단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하는 장치

    과전류 트립장치

    과전류발생시 이를 검출 차단하는 장치

    개폐기구

    투입과 차단을 행하는 장치

    테스트버튼

    누전차단기의 차단특성을 확인점검하는 장치

    누전 트립장치

    ZCT로 누전을 검출 차단하는 장치

자. 선정시 주의사항

    1. 누전차단기의 최소동작전류는 정격감도전류의 50%이상이므로 선정에 주의할 것.
    2. 인입구장치 등에 설치하는 누전차단기는 전류동작형으로 충격파 부 동작형 일 것.
    3. 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는 고감도 고속형일 것.
    4. 저압전로에 시설하는 누전차단기는 전류동작형으로 할 것.
    5. 누전차단기의 조작용 손잡이 또는 누름단추는 트립프리 構機이어야 한다.
    6. 누전차단기의 정격 감도전류 및 동작시간의 선정은 다음 각 호에 의하여야 한다.
    • 감전보호를 목적으로 시설하는 누전차단기는 고감도 고속형일 것.(국내기준 : 정격감도전류 30㎃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 단, 감전사고 방지대상 기계기구의 접지공사의 접지 저항치가 보호계전기 동작의 확실성을 기하기 위한 접지저항 치 (접지공사의 종류)의 기준에 적합하고 또한 누전차단기의 동작시한이 0.1초 이내(고속형)인 경우에는 중 감도형으로 할 수 있다.
      (정격감도전류 30㎃의 누전차단기는 전등회로의 경우 정격전류 100A이하의 회로에, 전동기회로의 경우 정격전류 50A 이하의 부하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내선규정에서 발췌

차. 누전차단기 시설방법

    1. 누전차단기는 인입선 시설점에서 부하측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원칙적으로 해당기기에 내장 또는 배,분전반 내에 설치할 것.
    3. 누전차단기의 정격전류용량은 해당 전로의 부하전류 이상의 값일 것.
    4. 누전차단기 등의 정격감도전류는 보통 상태에서는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
    5. 옥외 전로에 사용하는 누전차단기는 방수함 내에 설치.
    6. 조작전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용회로로 하고 과전류차단기 설치(15A)
    7. ZCT를 케이블의 부하측에 시설할 경우 접지선은 관통시키지 말고, 전원측에 설치시에는 반드시 접지선을 ZCT에 관통 시킬 것.(ZCT 참고)
    8. 접지선은 ZCT에 관통시키지 않을 것.
    9. 서로 다른 2회선 이상의 배선을 일괄하여 ZCT에 관통하지 않을 것.

카. 누전차단기의 정격차단전류

    정격차단용량은 전기설비기술기준 제42조 6항(저압전로에 시설하는 과전류 차단기는 이를 시설하는 곳을 통과하는 단락 전류를 차단하는 능력을 가지는 것이어야 한다. 다만, 그 곳을 통과하는 최대 단락 전류가 10,000A를 넘는 경우에 과전류 차단기로서 10,000A 이상의 단락 전류를 차단하는 능력을 가지는 배선용 차단기를 시설하고 그곳으로부터 전원측의 전로에 그 배선용 차단기의 단락 전류을 차단하는 능력을 넘고 그 최대 단락전류 이하의 단락 전류를 그 배선용 차단기보다 빨리 또는 동시에 차단하는 능력을 가지는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기준에 따르고
    다음 표에서 열거한 값은 시중에서 생산유통되는 누전차단기의 정격차단전류의 "예"이다.
    참고 : 단락전류계산시의 사고점 기준

    [표2] 시중에서 유통되는 저압 누전차단기의 종류별 정격차단전류 KA - (LG 산전의 제시값)

    종류

    경제형

    표준형

    고차단형

    한류형

    30AF

    460V

    -

    5

    10

    -

    220V

    2.5

    10

    25

    -

    50AF

    460V

    5

    10

    14

    -

    220V

    10

    25

    25

    -

    100AF

    460V

    10

    14

    18

    -

    220V

    25

    25

    30

    -

    225AF

    460V

    10

    14

    42

    65

    220V

    18

    25

    85

    85

    400AF

    460V

    -

    25

    -

    -

    220V

    -

    42

    -

    -

    600AF

    460V

    -

    42

    -

    -

    220V

    -

    85

    -

    -

    800AF

    460V

    -

    42

    -

    -

    220V

    -

    85

    -

    -

    1000AF

    460V

    -

    85

    -

    -

    220V

    -

    125

    -

    -

    1200AF

    460V

    -

    85

    -

    -

    220V

    -

    125

    -

    -


KS기준(KSC 4613 - 1994년)

1. 적용범위

    이 규격은 주파수 60Hz의 교류 600V 이하인 전로의 지락보호에 사용하는 정격전류 2500A 이하의 전류동작형 누전차단기에 대하여 규정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누전차단기란 지락검출장치. 트립장치,개폐기구 등을 절연물 용기안에 1조로 조립한 것을 말한다. 지락검출장치,트립장치,개폐기구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구조인 것은 조립한 상태로 이 규격을 적용한다.

2. 일상사용상태

    다음의 사용상태를 말하며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이 상태로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1. 주위온도 -10 ~ 40℃
    2. 표고 2000m 이하
    3. 상대습도 45~85%
    4. 이상한 진동 및 충격을 받지 않는 상태

3. 용어의 정의

  1. 전류동작형누전차단기 - 지락전류를 영상변류기(차동변류기포함, 이하 같다)로 검출하고, 자동차단시키는 누전차단기
  2. 꽃음 접속식 누전차단기 - 전원측 및 부하측의 양쪽 또는 어느 한 쪽에 꽃음 접속기를 갖춘 누전차단기
  3. 고속형 누전차단기 - 정격 감도전류에서 동작시간이 0.1초 이내인 누전차단기
  4. 시연형 누전차단기 - 정격감도전류에서 동작시간이 0.1초를 초과 2초 이내인 누전차단기
  5. 반한시형 누전차단기 - 정격감도전류에서 동작시간이 0.2초를 초과 1초 이내, 정격감도전류의 1.4배에서 동작시간이 0.1초를 초과 0.5초 이내이며 정격감도전류의 4.4배에서의 동작시간이 0.05초 이내인 누전차단기
  6. 감전보호형 누전차단기 - 정격감도 전류에서 동작시간이 0.03초 이내인 누전차단기
  7. 고감도형 누전차단기 - 정격감도전류가 30mA 이하인 누전차단기
  8. 중감도형 누전차단기 - 정격감도전류가 300mA chrhk 1000mA 이하인 누전차단기
  9. 저감도형 누전차단기 - 정격감도전류가 1000mA 초과 20A 이하인 누전차단기
  10. 호환성형 누전차단기 - 정격전류 30A 이하의 단자접속식인 것으로 부착 및 교환의 호환성을 갖게 한 누전차단기
  11. 정격전류 - 규정된 온도 상승 한도를 초과함이 없이 연속해서 통전가능한 전류로, 누전차단기에 표시된 값을 말한다.
  12. 감도전류 - 누전차단기를 폐로한 상태로 주 회로의 1극에 전류를 통하고 전류를 서서히 증가시켜서 누전차단기가 트립동작한 때의 전류치를 말한다.
  13. 정격감도전류 - 소정조건(소정조건이란 일상사용상태에서 전압이 정격치의 80~110%의 범위내에 들어있는 것을 말한다.)에서 영상변류기의 1차측의 지락전류에 의하여 누전차단기가 반드시 트립동작을 하는 1차측의 지락전류이며 누전차단기에 표시된 값을 말한다.
  14. 정격부동작전류 - 소정조건(소정조건이란 일상사용상태에서 전압이 정격치의 80~110%의 범위내에 들어있는 것을 말한다.)에서 영상변류기의 1차측 지락전류가 있어도 누전차단기가 트립동작을 하지 않는 1차측 지락전류로 누전차단기에 표시된 값을 말한다.
  15. 정격단시간 전류 - 규정된 회로의 조건하에서 규정된 시간 누전차단기에 전류를 통하여도 이상이 없는 전류
  16. 동작시간 - 정격감도전류 이상의 지락전류가 생길 때부터 그 회로를 차단하기까지의 시간
  17. 월류 - 백열전구를 점등한 순간에 흐르는 정상전류보다 큰 전류
  18. 트립자유 - 조작용 손잡이 또는 버튼을 투입위치에 누르고 있어도 트립 동작을 멈추게 하지 않는 기구
  19. 관성부동작 - 시연형 누전차단기를 폐로한 상태로 주 회로의 1극에 규정 전류를 단시간 통전하였을 때, 누전차단기가 트립동작을 하지 않는 것으로 이 때의 동작하지 않는 최대의 시간으로서 누전차단기에 표시된 값을 관성부동작 시간이라 한다.

4. 종류 및 정격

    4.1 종류

    4.1.1 전기방식 및 극수

    1. 단상 2선식 2극
    2. 단상 3선식 3극
    3. 3상 3선식 3극
    4. 3상 4선식 4극

    4.1.2 보호목적

    1. 지락보호전용
    2. 지락보호 및 과부하보호겸용
    3. 지락보호, 과부하보호, 단락보호 겸용

    4.1.3 동작시간

    1. 고속형
    2. 시연형
    3. 반한시형

    4.1.4 감도

    1. 고감도형
    2. 중감도형
    3. 저감도형

    4.1.5 전원과 부하와의 접속방식

    1. 단자접속식
    2. 꽃음접속식

    4.2 정격

    4.2.1 정격전압

    110, 220, 110/220, 220/380, 380, 460, 600

    단, 꽃음 접속식 누전차단기는 220V 이하에 한한다.

    4.2.2 정격전류[A]

    15, 20, 30, 40, 50, 60, 75, 100, 125, 150, 175, 200, 225, 250, 300, 350, 400, 5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0, 2500

    단, 꽃음 접속식 누전차단기는 15A로 한다.

    4.2.3 정격감도전류

    구분

    정격감도전류[mA]

    적용

    고감도형

    5, 10, 15, 30

    고속형, 시연형, 반한시형

    중감도형

    50, 100, 200, 500, 1000

    고속형, 시연형

    저감도형(A)

    3, 5, 10, 20

    고속형, 시연형

    4.2.4 정격부동작전류

    정격부동작전류는 정격감도전류의 50% 이상으로 한다. 다만, 정격감도전류가 10mA 이한인 것을 60% 이상으로 한다.

    4.2.5 정격단시간전류

    [표]정격단시간전류

    정격전류[A]

    정격단시간전류[A]

    정격전류[A]

    정격단시간전류[A]

    30이하

    1000(*) 1500

    600초과 1000이하

    10000

    30초과 100이하

    2500

    1000초과 1600이하

    14000

    100초과 225이하

    5000

    1600초과 2000이하

    18000

    225초과 600이하

    7500

    2000초과

    22000

    [주]정격단시간전류는 단락발생 후 0.5 사이클에서 교류분의 실효치로 한다.

    (*)는 꽃음 접속형 누전차단기에 적용한다.

5. 구조

    5.1 구조일반----생략

    5.2 통전부분----생략

    5.3 동작기구----생략

    5.4 개폐표시

    개폐상태를 "꺼짐,켜짐" 등으로 알기쉽게 표시하여야 한다.

6. 성능

    누전차단기의 7. 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다음의 각 항에 적합하여야 한다.

    6.1 누전트립동작성능

    1. 감도전류
      7.3.(1)의 시험방법[정격전압을 가하고 부하전류를 통하지 않는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1극에 전류를 통하고 이 전류를 서서히 증가시켜 누전차단기가 동작하였을 때의 감도전류를 측정하였을 때의 감도전류값을 측정한다]으로 시험하였을 때, 감도 전류의 값은 정격부동작 전류의 값 이상이며, 정격감도전류의 값 이하이어야 한다.
    2. 누전트립동작시간
      7.3(2)의 시험방법[정격전압을 가하고 부하전류를 통하지 않은 상태와 정격전류를 통한 상태에서 각각 폐로 상태로 1극에 고속형 및 시연형은 정격감도전류를 반한시형은 정격감도전류, 정격감도전류의 1.4배, 정격감도전류의 4.4배의 값의 전류를 급격히 가하였을 때의 동작시간을 측정한다] 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동작시간은 아래에 적합하여야 한다.
      고속형
      - 고속형 : 0.1초 이내
      - 보호형 : 0.03초 이내
      시연형
      - 0.1초 초과 2초 이내
      반한시형
      - 정격감도전류 : 0.2초 초과 1초 이내
      - 정격감도전류의 1.4배 : 0.1초 고과 0.5초 이내
      - 정격감도전류의 4.4배 : 0.05초 이내
    3. 관성부동작
      시연형 누전 차단기에 적용하며 7.3(3)의 시험방법[시연형 누전차단기에 적용하며 정격전압을 가하고 부하전류를 통하지 않은 상태와 정격전류를 통한 상태에서 각각 폐로상태로 1극에 10A 또는 정격감도전류의 20배(이들중 큰 값)를 급격히 가하여 관성부동작시간(최소0.1초)동안 계속한다]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동작하지 않아야 한다.

    6.2 전원전압 변동 및 주위 온도 변화에 따른 감도전류

    7.4의 시험방법[부라전류를 통하지 않은 상태로 주위온도 -25℃, 20℃, 50℃의 3점에서 각각 전원전압을 정격전압의 80%, 100%, 110% 로 7.3(1)에 따라 시험하여 감도 전류값이 최대가 되는 주위온도와 전원전압의 조합조건을 구하여 그 조건에서 다음의 각 경우에 대하여 7.3(1)시험을 한다, 부하전류를 통한 시험인 경우에는 상온에서 시험하여도 좋다 (1)부하전류를 통하지 않은 경우 (2) 부하전류를 정격전류값으로 한 경우]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감도전류의 값은 정격부종작 전류의 값을 넘고 정격감도전류값 이하 이어야 한다.

    6.3 전원전압 변동 및 주위온도변화에 따른 부동작성능

    7.5의 시험방법[7.4시험의 감도전류가 최소가 되는 주위 온도와 전원전압의 조합 조건을 구하여 그 조건에서 다음의 각 경우에 대하여 폐포 상태로 1극에 정격 부동작전류를 가한다. 다만, 저감도형인 부하전류를 통한 시험인 경우에는 상온에서 시험하여도 좋다. (1)부하전류를 통하지 않은 경우 (2) 부하전류를 정격전류값으로 한 경우]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종작하지 않아야 한다.

    6.4 동작기구성능 ----------- 생략

    6.5 과전류트립성능 ----------생략

    6.6 영상변류기의 평형도 -----생략

    6.7 테스트장치의성능--------생략

    6.8 과부하개폐성능

    7.10의 시험방법[

    - 1회통전시간은 약 1초 간격으로 한다.
    - 개폐횟수는 개폐를 1로 한다.
    - 시험전류를 통하였을 때 전원의 전압강하는 5% 이내로 한다.
    - 시험전압 : 정격전압의 1.1배
    - 시험전류 : 정격전류의 1.5배
    - 역률 : 0.75~0.8
    - 개폐횟수 단상2선식 2극 - 중성극과 각 전압극간 100회 휴지시간 10초---기타(30~100회---생략]
    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지장이 없어야 한다.

    6.9 내월류성능

    과전류 보호기구를 갖춘 누전차단기에 적용하며 7.11의 시험방법[과전류 보호기구를 가진 누전차단기에 적용하며 KSC 8321의 8.9에 따라 시험한다.]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월류에 의하여 동작하지 않고 또한 접점이 융착하지 않아야 한다.

    6.10 온도상승-------생략

    6.11 개폐내구성능 ----생략

    6.12 개폐내구시험후의 과전류트립성능 : 과전류트립기능이 있는 경우적용

    6.13 온도 습도내구성능

    6.14 암모니아가스내구성능

    6.15 진동내구성능

    6.16 충격가속도내구성능

    6.17 자중낙하강도

    꽂음 접속식 누전차단기(가반 이동형인 것에 한한다)에 적용----생략

    6.18 유지력----생략

    6.19 꽂음접속부의 개폐---생략

    6.20 칼 부착부 강도 ----생략

    6.21 코드고정부강도----생략

    6.22 코드인출부강도 ----생략

    6.23 걸림형 꽂음접속기의 성능---생략

    6.24 절연저항

    7.26의 시험방법[500V급 절연저항계를 사용하여 충전부와 외함간 및 각 단자 사이의 절연저항을 측정한다. 다만, 지락검출용 전자부품 및 과전압보호소자를 가진 것은 다음의 각 경우에 대하여 시험한다.
    (1) 지락검출용 전자부품 및 과전압보호소자를 접속한 경우
    (2) 지락검출용 전자부품 및 과전압 보호소자를 전기적으로 개방한 경우 이 시험 종료 후 7.3 및 7.9의 시험을 한다.]
    에- 충전부와 외함사이 - 5메가옴이상
    - 각 단자사이 - 5메가옴이상

    6.25 내전압성능

    7.27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이에 견디어야 한다. 또한 이 시험 후에 6.1(1)의 성능을 만족하여야 한다.

    6.26 지락차단성능

    7.28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접점에 현저한 손상, 융착 기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지장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또한 이 시험 후에 6.1(1)의 성능을 만족하여야 한다.

    6.27 단시간전류

    7.29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접점에 현저한 손상, 융착, 기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지장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 또한 이 시험 후에 6.1(1)의 성능을 만족하여야 한다.

    6.28 단락차단성능

    차단부에 배선용차단기를 사용한 누전차단기에 적용하며 7.30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KSC 8321의 6.12에 적합하여야 한다.

    6.29 코드보호성능

    차단부에 배선용차단기를 사용한 누전차단기에 적용하며 7.31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KSC 8321의 6.14에 적합하여야 한다.

    6.30 뇌임펄스 내전압성능

    7.32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각 부분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또한 이 시험 후에 6.1(1)의 성능을 만족하여야 한다.

      뇌 임펄스 내전압 시험

      표 23에 표시하는 뇌 임펄스 전압을 정,부 각각 1분 간격으로 3회 다음 부분에 인가한다

      시험전압

      파형

      시험

      파고치 KV

      파두장 μs

      파미장 μs

      • 닫힘 위치로 하여 다른 극 다른 단자
      • 각 충전부 일괄과 외함 사이

      7

      0.5-1.5

      32-48

    6.31 뇌 임펄스 부동작시험

    7.32 및 7.33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동작하지 않아야 한다. 다만,정격감도전류가 10mA 이하로서 뇌 임펄스 부동작 성능을 갖지 않는다는 표시를 한 누전차단기는 이 성능을 적용하지 않는다.

      뇌 임펄스 부동작시험

      정격전압을 가하고 폐로 상태에서 상기의 뇌임펄스전압을 정,부 각각 1분 간격으로 3회 인가한다. 다만 정격 감도전류가 10㎃ 이하에서 뇌 임펄스 부동작 성능을 갖고 있지 않다는 표시를 한 누전차단기는 이 시험을 적용하지 않는다.

    6.32 주회로용 전선 접속 단자의 히트사이클 성능

    7.34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150 사이클 때의 온도상승값은 25사이클 때의 온도상승값에 8℃를 더한 값 이하이어야 한다.또한, 150 사이클이 지난뒤 정격 전류를 통전하였을 때 단자의 온도상승값은 표8의 값 이하이어야 한다.

    6.33 단자강도 ---생략

    6.34 전자파장해

    KSC 0262의 5장 전열기구, 전동력 응용기기 및 배선기구류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다음에 적합하여야 한다.

      전자파 장해

    • 잡음전력
      흡수 클램프로 측정하였을 때 주파수가 30㎒ 이상 300㎒ 범위에서 55dB 이하일 것. 이 경우 dB은 1pW를 0dB로 환산하여 산출한 값으로 한다.
    • 잡음 단자전압
      일선 대지간에 측정하였을 때 다음에 적합하여야 한다

      주파수 범위

      연속성 잡음 단자전압

      기구의 전원단자

      반도체 내장제어장치

      전원단자

      부하단자

      보조단자

      450㎑ - 5㎒

      56

      56

      74

      74

      5㎒ - 30㎒

      60

      60

      74

      74

9. 표시 및 제품의 호칭

    9.1 표시

    1. 명칭
    2. 형식[뇌임펄스 부동작형(고감도고속형인 것에 한한다)은 취지를 표시한다]
    3. 보호목적(과부하보호겸용 또는 과부하보호, 단락보호겸용인 경우에 기입한다. 또한, 과부하보호, 단락보호겸용인 것은 배선용차단기 겸용이라고 표시하여도 좋다)
    4. 극수 및 전기방식(2극인 것은 생략하여도 좋다)
    5. 정격전압(정격전압의 전용ㅇ 또는 양용의 표시를 한다)
    6. 정격전류
    7. 정격감도전류
    8. 동작시간(시연형 누전차단기 및 반한시형 누전차단기인 경우는 전류,시간특성을 기입한다)
    9. 관성부동작시간(시연형 누전차단기인 경우에 기입한다)
    10. 정격부동작전류
    11. 제조자명
    12. 정격단시간전류(단락보호기루를 가진 것은 정격차단전류)
    13. 정격대지전압(필요할 때 기입한다)
    14. 결상시 보호기능(전원측 결상시에도 지락보호 기능이 있을 경우에 기입한다)
    15. 비고-- 과전류보호기구를 가진 것의 정격사항은 각각 KS에 정하는 바에 따른다.

    9.2 제품의 호칭

    제품의 호칭은 명칭,보호목적,전기방식 및 극수, 정격전압, 정격전류, 정격감도전류, 동작시간에 따른다.

    보기 1. 전류동작형, 누전차단기, 지락보호전용, 3상3선식, 3극, 220V 전용, 20A, 30mA, 0.1초

    보기 2. 전류동작형, 충격파부동작형누전차단기, 지락보호·배선용차단기겸용, 단상2선식, 2극, 110V·220V양용, 30A, 30mA, 0.1초

 

 

냉난방기.에어컨등 설비 spec 표기

전기/전기기초이론 2011/07/08 21:46





운전전류: 6.5A

정격소비전력 :1390W

정격냉방능력:4700W

월간 소비전력:298.7KWH/

소비효율:3.45W/W

정격소비전력 : 에어컨을 냉방 운전할 때, 소비되는 전력의 합계로 W 또는 kW로 표시한다.

정격 냉방능력 :냉방능력에 따른 종류를 구분하기 위하여, 제품에 표시하는 냉방능력.

월간 소비전력량 : 소비되는 총 전력량을 KS C 9306부속서 4에 규정된 냉방기간 월간 소비전력량 산출방법에 따라 1개월 당의 소비전력량으로 산출한 값

소비전력X12시간×0.6×30일=kWh /월(1일사용시간:12시간, 1일가동율: 0.6)

소비효율:냉방 에너지 소비효율은 냉방 표준능력을 냉방 표준소비전력으로 나눈 값.

라고 써있다.

언듯 이해가 되지 않더군.

우선 :

1cal= 1g의 물을 0℃에서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1cal = 4.185J

1Wh=3600J(1W의 전력이 1시간 동안 하는일의양)

1KWH = 860Kcal/h (1kw의 전력이 1시간동안 하는일의양)

공기비중kg 1.3

공기비열 0.242

단위면적당 냉방부하(주택) : 123W/㎥(.==>123*3600J/㎥h ==> 123*3600/4.185Kcal/㎥h ==>105.8Kcal/㎥h ) 즉 한시간당 단위면적에서 필요로하는 에너지의 양은 105.8Kcal이다

==>한평 기준으로 하면 350.4Kcal/ h 평

고로

4.7kWH-->4.7*860 = 4042Kcal/h (<-- 1KwH=860Kcal)

==>냉방능력/단위면적당 냉방부하 = 4042/350.4==>11.53평==> 12평형이라는뜻

월간 소비전력= 1.39*12시간*60% *30일=298.7KWH

냉방능력 4700W(=4042Kcal/h)라는것을 풀어서 쉽게 이야기하면

1cal의 정의가 = 1g의 물을 0℃에서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이므로

4042kcal/h = 온도차℃ * 1.3(공기비중kg)×0.242(공기비열)×공기의양(m3/min×60분)

∴온도를 10℃ 내린다고 하면 공기의 양은

공기의양(/min×60분)=4042/(10*1.3*0.242)=1284.8㎥/h (=21.41㎥/min)

즉 4700W의 냉방능력을 가진 에어컨을 돌리면 분당 21.41㎥의 공기를 10℃ 내릴 수 있는 에어컨이라는 뜻

참조사이트:

http://www.dsheater.co.kr

효율관리기자재의 운영에 관한규정(산업자원부고시 제2000-101호(2000. 9. 23))

http://www.hdcc.co.kr

 

 

 

직류,교류,전류,전압

전기/전기기초이론 2011/07/08 22:18




직류,교류,전류,전압
직류: DC(Direct Current)
일반적인 전기에는 직류와 교류가 있습니다.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 100V 200V는 교류이며 건전지는 직류입니다
직류는 전기가 항상 같은 방향,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상태의 전기를 일컫는 말이며 직류는 한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의미한다.
교류: AC (Alternating Current)
주기적으로 전기가 흐르는 방향이 바뀝니다.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교대로 나타나는 상태를 말합니다.직류의 경우 전류는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흐르며 (전자는
반대방향)크기가 변하지 않는 전류를 말합니다.교류의 경우에는 우리가 가정에서 사용하는 텔레비젼,냉장고,오디오
등의 전원이며 플러그의 두선이 있는데 한번은 왼쪽선에서 오른쪽 선으로 또 한번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와같은
전류의 흐름이 수시로 반복하여 변하는 전류를 말합니다.
이와같이 교류의 경우 전압이 교대로 변화하는 속도를 주파수(사이클)라고 합니다. 1초 사이에 몇 번 반복하는 가를
나타내며 헤르츠[Hz]라는단위를 사용합니다. 우리나라는 60Hz이지만 일본 유럽은 50Hz인 나라도 있습니다.
전류: (Electric current)
전류는 전기, 전자에서 기초가 되는 현상을 현상중에 하나지요. 일반적으로 흔히 전기가 흐르고 있다고 말합니다.
전기가 전선이나 일반 도체의 속을 흐르때 그곳에 전류가 있다든지, 전류가 흐르고 있다고 합니다. 또는 전선등에
흐르고 있는 전기의 크기를 말합니다.
전류는 전자[electron]라는 극히 작은 입자의 흐름(전자의 이동) 이라고 합니다. 전자의 질량과 전하는 정밀하게
측정되어 있습니다.전기,전자 연구가 활발했던 독일이나 유럽국가에서 발표전자의 질량은 m=9.1*10e-31[kg]이며
전자가 갖는 전하의 크기는 e=1.60 * 10e-19[C]입니다.
전류의 단위는 암페어라고 하며 기호로는 [A]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류가 흐르고 있는 두선간의 작용하는 힘을
연구한 사람이 프랑스의 앙페르라는 사람이었다.(1775~1836) 전류와 자계와의 관계를 수식으로 정확히 나타내었다.
전류의 단위 암페어[A]는 그의 공적을 기리기위해 붙여진 겄입니다.
전류에서 자기의발생 덴마크의 에르스테드(1777~1851)는 1820년에 전류에서 자기가 발생되는 것을 명확하게 밝혔
습니다.그는 번개가 떨어졌을때 자침이 움직인다는 것에 착안하여 볼타 전지로 전류를 흘러 이를 확인 하였다고 합
니다. 현재 에르스테드가 자계세기의 단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더불어 자기에서 전류가 발생되는 경우를 보면...
영국의 패러데이(1791~1867)는 에르스테드와는 반대로 자기로부터 전류를일으켰다.
이 전자유도 현상을 1831년에 발표하였고 그후 발전기를 제작하여 전지외에 새로운 전기원을...
전압: (Voltage)
전압을 일반적으로 물에 비유 시킨것이 많이 있는데 물의 경우는 물의 무게 (지구의 인력)로 인하여 물통에 물이 많을
수록 물통의 높이가 높을수록 압력이 높아집니다.결국 물의 내뿜는 힘이 강하게되는 것입니다.전기도 물과 같은 압력
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전압도 높다 또는 낮다로 표현합니다.같은 물의 양이라도 낮은 곳에서 떨어지는 물과 높은곳에서 떨어지는 물
의 세기가 서로 다르지요.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물을 맞으면 더 아픕니다. 전기도 전압이 낮은 것은 괜찮지만 전압이
높은 것은 위험합니다.
전기를 좀더 자세히 알려면 아무래도 단위를붙여사용해야겠지요.전압은볼트(이탈리아1745~1827)라는 사람이 발견해
볼트라고 불여지고있습니다.기호는 [V]이며 볼트라고 읽습니다. 더불어 볼트라는 사람은 최초로 전지를 만든 사람이
기도 합니다.
출처 : http://sewoon.com/elect_data/information/acdc.html

 

 

전기 설비 기초이론

전기/전기기초이론 2011/07/08 22:23

1. 전기설비의 기초

(1) 전압(V)의 종류

종류

직류

교류

표준전압

저압

750V 이하

600V 이하

100V, 200V, 220V, 380V

고압

750V 초과

7,000V 이하

600V 초과

7,000V 이하

3,300V 6,600V

특고압

7,000볼트 초과

22,900V, 66,000V. 154,000V

(2) 저항(Ω) : 전선의 굵기에 반비례하고, 전선의 길이에 비례한다.

R = L (도선의 길이cm)

A (도선의단면적 ㎠)

(3) 오옴의 법칙

V = I?R I = V/R

(4) 역률 = cosθ = 유효전력 1. 힘을 쓰는 비율

피상전력 2. 높을수록 좋다

3. 항상 1보다 작다

4. 역률의 개선대책 : (진상용 콘덴서 설치)

(5) 전력, 전력량

1) 전력 : 단위시간당의 일의 능력(KW)

2) 전력량 : 임의 시간동안의 전력소모량(KWH)

① 직 류 : P(W) = V × I

② 단상교류 : P(W) = V × I ×역률

③ 3상교류 : P(W) = × V × I ×역률

(6) 전기설비의 설치규정

1) 당해 지역에 설치하는 간선시설은 이를 공급하는 자가 설치해야 한다

① 사업주체가 100호 이상의 집단으로 건설하는 주택

② 16,500㎡이상의 일단의 면적을 대지로 조성하고자 하는 경우

2) 주택에 설치하는 전기시설의 용량

① 각 세대별로 3KW (단, 세대당 전용면적이 60㎡ 이상인 경우에는 3KW에 60㎡을

초과하는 10㎡마다 0.5KW을 더한 값)

2. 강전설비

(1) 수.변전 설비 : 송전선의 154,000V 또는 전주의 22,900V에서 저압으로 변압시켜

공급하는 변전설비

1) 수전용량 추정

㉠ 수용률 = 최대수용전력

부하설비용량

㉡ 부등률 = 각 부하의 최대 수용 전력의 합계

합계 부하의 최대 수용 전력

㉢ 부하율 = 평균 수용 전력

최대 수용 전력

㉣ 수용률, 부등률 및 부하율의 관계

평균수용전력 = 부등률

수용설비용량의 합 수용률


2) 변전실

① 위치

㉠ 부하의 중심에 가깝고 배전에 편리한 곳일 것

㉡ 외부로부터 기기의 반출.입과 전원 인입이 편리할 것

㉢ 보일러실, 펌프실, 예비 발전실, 엘리베이터 기계실과 관련성을 고려할 것

㉣ 습기가 적고 채광 통풍(변압기에서 열이 남)이 양호할 것

㉤ 주위에 폭발, 화재 등의 위험성이 적을 것

② 구조

격벽은 내화구조로, 출입구는 방화문으로 한다

바닥두께는 케이블, 배관 등을 고려하여 20 ~ 30cm 정도로 한다

㉢ 바닥하중은 중량에 견디도록 한다(500 ~ 1,000kg/㎡)

천장 높이는 3.6m 이상으로 할 것(고압인 경우 3m(보 아래),

(특고압인 경우 4.5m 이상)

③ 변전실의 면적

필요바닥면적 = 3.3 변압기 용량(KVA)(㎡+ = 변압기 용량(KVA) (평)

필요바닥면적 = K ?(변압기 용량), K는 정수 0.4 ~ 1.3(평균 0.98)


3) 변전 설비용 기기

변압기

유입변압기 : 절연 및 냉각을 위하여 기름을 사용

㉮ 변압기유의 구비조건

절연성이 클 것

점도가 낮고, 냉각효과가 클 것

인화점은 높고, 응고점은 낮을 것

금속재료와 접해도 화학반응이 없을 것

ⓔ 변압기유로는 석유계 광유가 쓰인다

㉯ 절연유의 열화방지 : 유(油)보존기인 콘서베이터를 부착하여 절연유의 열화를

방지한다

㉰ 절연유 절연파괴 시험 : 2년에 1회 이상 절연내력시험 및 산가측정 실시

ⓐ 절연파괴 전압 : 25,000V(25kV)이상이어야 한다

ⓑ 전산가 : 0.2 mg KOH/g이하는 양호, 0.4 mg KOH/g 이상은 불량

㉡ 건식변압기

㉢ 변압기의 극성 : 감극성

② 차단기

㉠ 유입차단기(O.C.B)

㉡ 공기차단기(A.C.B)

콘덴서 : 역률개선

④ 배선반

㉠ 개방형

㉡ 큐비클형

㉢ 벤치 보드형

㉣ 보호장치

(2) 자가 발전 설비 : 수술실, 승강기, 전산실에는 예비전원을 갖추어야 한다

1) 예비전원의 종류

자가발전설비 : 정전 후 10초 이내에 기동하여 규정전압을 유지하며 30분 이상

공급가능할 것

축전지 : 정전 후 충전하지 않고 30분 이상 방전 가능할 것(소용량)

축전지와 자가발전설비 병용 : 한순간의 정전도 허용되지 않는 곳

(수술실, 전산실, 방송국)에 적합.

** 축전지설비는 충전없이 20분 이상 방전 가능해야 하며, 자가발전설비는 정전후

45초 이내에 기동해서 30분 이상 공급이 가능 할 것. **

2) 원동기 용량

원동기 출력(ps) ≥ 발전기 출력(kw)

발전기 효율 × 0.736

3) 발전기실

① 위치

㉠ 기기의 반출입 및 운전 보수가 편리한 위치일 것

㉡ 엔진 배기 배출구가 가까울 것

㉢ 급.배수가 용이한 곳일 것

㉣ 연료 보급이 용이할 것

㉤ 변전실에 가까울 것

㉥ 실내환기를 충분히 할 수 있을 곳

② 구조

㉠ 내화. 방음. 방진구조일 것

㉡ 발전기의 기초는 발전기 중량의 5배 정도의 콘크리트를 방의 바닥면과 절연시키고

방진재료를 패킹한다

㉢ 주위 온도가 5℃ 이내로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엔진 시동 곤란 및 규정출력 미달의 우려)

㉣ 비상사태 발생 후 10초 이내에 가동하여 규정전압을 유지하고,

30분 이상 전력공급이 가능해야 할 것.

③ 자가 발전기 용량 : 보통 수전설비 용량의 20% 정도

시험운전 : 주 1회무부하 운전을 한다


4) 축전지실

① 위치, 장소 및 수명

㉠ 위치 : 충전기는 가급적 부하에 가까워야 한다

㉡ 장소 : 화재경보장치, 유도등, 전기시계, 통신용 제어조작 등에 사용하며,

정전 후 충전하지 않고 30분 이상 방전할 수 있어야 한다.

수명 : 정격용량의 80%로 용량이 감소하였을 때

② 배치

축전지와 입구 사이의 간격 : 2.6m 이상

㉡ 천장높이 : 2.6m 이상

축전지와 벽면과의 간격 : 1m 이상

㉣ 축전지와 보수하지 않는 쪽의 벽면과의 간격 : 0.1m 이상

축전지와 부속 기기 사이의 간격 : 1m 이상

축전지실 설치 시 주의사항

전기 배선은 비닐선을 사용한다.

충전 중 수소가스의 발생이 있으므로 배기설비가 필요하다

실내에 급. 배수시설을 한다

내진성을 고려한다

④ 축전지의 충전방식

㉠ 부동충전

㉡ 균등충전

㉢ 세류충전

㉣ 보통충전

㉤ 급속충전

⑤ 축전지의 종류 및 특징

㉠ 연축전지 : 1개당 2V, 10Ah, 과충방전에 약하고, 충전시간이 길고, 기계적강도

약하고 싸다

㉡ 알칼리축전지 : 1개당 1.2V, 5Ah, 과충방전에 강하고, 충전시간 짧고,

기계적강도 강하고 비싸다.


(3) 배전 및 배선설비

1) 배전 : 전력을 각 수용가로 분배하는 것(배전반 → 간선 → 분전반 → 분기회로)

2) 간선의 설계순서

부하의 용량결정 → 전기방식과 배선방식결정 → 배선방법결정 → 전선의 굵기

결정

① 배선방식

㉠ 평행식

㉡ 나뭇가지식(수지상식)

㉢ 병용식


3) 분전반 : 배전반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말단 부하에 배전하는 것

(주개폐기, 분기회로용 개폐기, 자동차단기를 모아 놓은 것)

분전반 설치 시 주의사항

개폐기는 나이프스위치나 노퓨즈 브레이커(N.F.B)가 사용된다

고층건물은 가능한 한 파이프 샤프트 부근일 것

분전반은 복도나 계단 근처의 벽에 설치한다

분전반 1개의 공급면적은 1,000㎡ 이내가 되게 한다

분기 회로 1개의 길이는 30m 이내가 되게 한다

분전반 1개에는 분기회로 20개 이내로 한다

1개층에 분전반 1개 이상씩 설치한다

분전반은 3종 접지한다


4) 분기회로 : 저압 옥내 간선으로부터 분기하여 전기기기에 이르는 저압 옥내 전로

① 분기회로를 나눌 때의 주의사항

전등 및 콘센트 회로는 되도록 15A 분기회로로 한다

전등회로는 부하의 합계가 분기 개폐기 용량의 80% 정도로 억제한다
(전등수의 제한은 없다)

콘센트 회로는 한 회로에 수구수 8개 정도로 한다

분기점에서 전선의 길이가 3m 이하인 곳에 개페기 및 과전류차단기를 시설할 것

③ 허용전류가 정격전류의 35 ~ 55 % : 8m 이내 시설할 것

④ 허용전류가 정격전류의 55% 이상 인 경우에는 길이의 제한이 없다.


5) 전기방식(배선방식)

① 단상 2선식 : 100V, 200V중 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② 단상 3선식 : 100V, 200V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중성선 : 녹색과 흑색

③ 3상 3선식 : 200V, 380V

④ 3상 4선식 : 208V/120V, 460V/265V, 380V/220V

중성선 : 흰색과 회색


6) 배선 공사방법

① 애자 사용 공사 : 전개된 장소, 점검할 수 있는 은폐장소

전선 상호간 거리는 6cm, 지점 간 거리는 400V이하는 2m, 400V초과는 6m

② 목재 몰드 공사

③ 합성 수지 몰드 공사 : 내식성이 좋아 화학공장 배선에 적합

④ 경질 비닐관 공사

㉠ 절연성, 내식성이 뛰어나다

㉡ 중량이 가볍고 시공이 용이하다

㉢ 열에 약하고 기계적 강도가 낮다

㉣ 화학공장, 연구실 배선에 적합하다

⑤ 금속관 공사

㉠ 전선은 접속점이 없는 절연전선 사용

㉡ 전선관 1개의 표준길이는 3.66m, 전선 1권(롤)은 보통 300m

㉢ 전선의 총 단면적은 전선관 내부 단면적의 40% 이내가 되게 한다

㉣ 전선관 안의 전선 수는 10본 이내로 한다

㉤ 전선관은 3종 접지한다

⑥ 금속 몰드 공사 : 폭 5cm 이하, 두께 0.5 mm 이상 철재홈통에 전선을 넣고

뚜껑을 덮은 것

⑦ 가요 전선관 공사

㉠ 플렉시블 콘듀트 공사라고도 하며 굴곡이 많은 곳에 사용

㉡ 전동기 배선, 엘리베이터 배선, 기차, 전차 내의 배선 등에 적합

㉢ 습기,기름 등이 많은 곳은 방수용 가요 전선관을 사용한다

⑧ 금속 덕트 공사 : 큰 공장의 동력용으로 천장이나 바닥에 노출공사를 한다

⑨ 버스 덕트 공사 : 공장, 빌딩등 비교적 큰 전류를 통하는 간선을 시설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

⑩ 플로어 덕트 : 점검할 수 없는 은폐장소(은행, 회사등의 사무실 바닥)

⑪ 케이블 공사

⑫ 케이블 트레이 공사

7) 전동기

① 전동기 종류

㉠ 직류 전동기 : 직권, 분권, 복권 전동기 3상 교류용 전동기 : 동기 전동기

㉡ 교류 전동기 : 단상 교류용 전동기 : 유도 전동기

㉢ 전동기 회전수 : N= 120 ? f(주파수)

P (극수)

8) 감시. 제어

종류

용도

표시방법

전원표시

전원의 생.사 여부 판별

백색램프

운전표시

정상적 가동상태 판별

적색램프

정지표시

정지 상태를 표시

녹색램프

고장표시

고장의 유.무를 표시

오렌지램프

(버저나 벨이 울린다)

경보표시

경보신호

백색램프

(버저나 벨이 울린다)

9) 전선 굵기 선정

① 전선의 굵기 결정 요소 : 기계적 강도, 허용전류(안전전류), 전압강하

② 전선관의 굵기 결정 : 금속관 공사 참조

10) 접지

① 기기, 절연물이 열화 또는 손상되었을 때 흐르는 누설 전류로 인한 감전 방지

② 고.저압 혼촉사고로 인한 인축에 위험을 주는 고압전류를 대지로 흘려 감전 방지

접지종별

접지저항값

접지선의 굵기

적용장소

제 1종 접지

10Ω 이하

2.6 mm 이상

(연선 : 8㎟)

뢰기, 뢰침

고압 계기용 변성기 2차측

고압 전선로에 보호선, 보호망 접지

고압 계기용 변성기 외함

정전방전기(사용전압 ×3배)

전기집진장치

제 2종 접지

150

1선지락전류(최소:2)

2초이내: 300

1초이내: 600

고압→저압 : 2.6 mm

특고압→저압 : 4.0 mm

(연선 : 8㎟)

주상변압기 2차측

수용장소의 인입구 추가접지

특고압 또는 고압을 저압으로 변성하는

2차측

금속제 혼촉 방지

제3종 접지

100Ω 이하

1.6 mm 이상

고압계기용 변성기 2차측

지중전선로의 외함

조가용선 외함

네온변압기 외함

특별

제3종접지

10Ω 이하

1.6 mm 이상

(400V 이상)

푸울용 수중 조명등

용기외함

400V 미만

3종 접지

400V ~ 저압

특 3종 접지

고압 및 특고압

1종 접지

* 기계기구의 외함 및 철대 접지

단) 전압에 관계없이 사람이 닿을 우려가 없다 : (3종접지)


11) 배선기구

① 개폐기

㉠ 나이프 스위치 : 분전반의 주 개폐기나 각 분기 회로용 개폐기

㉡ 서킷 브레이커 : 부하상태에 의해 자동 작동한 후 원상태로 복귀 가능

② 점멸기(1개 스위치로 6등군 이하 점멸)

㉠ 텀불러 스위치 : 옥내용 소형 스위치

타임 스위치 : 호텔, 여관의 객실 입구는 1분 이내.

일반주택, 아파트는 3분 이내 소등

㉢ 리미트 스위치 : 도난방지기, 엘리베이터 등에 설치하여 경보 동작

㉣ 플로트 스위치 : 옥상 물탱크 내의 수위에 따라 작동

㉤ 마그네틱 스위치 : 전동기 제어

㉥ 로터리 스위치

조광기 : 광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

3로 스위치 : 계단의 상하에서 모두 점멸하고자 할 때 사용


3. 약전설비

(1) 전화설비

1) 교환방식

① 수동식

㉠ 자석식

㉡ 공전식

② 자동식

㉠ 스텝바이 스텝식

㉡ 크로스바식(공통제어방식) : 500대까지 설치 가능

㉢ 전자식

2) 내선 및 국선 수 산출 법

① 사용 인원수에 의한 산정 : 내선전화 = 사용 인원수 × 1.1

1.6 ~ 2.0

② 건축면적에 의한 산정 : 내선전화 = 건축 연면적(㎡)

8 ~ 15

* 전화 회선 표준 설비수

업종별

국선(10㎡당)

내선수(10㎡당)

사무실

0.4

0.8

관공서

0.4

1.0

은행. 상사

0.5

1.3

3) 유지관리사항

① 절연저항은 연 2회씩 측정 : 10MΩ 이상일 것

② 국선용 단자함 및 중간 단자함의 보안용 접지 : 100Ω 이하

③ 국선용 단자함은 월 1회, 중간단자함은 연 4회 먼지를 털어낸다

(2) 인터폰 설비

1) 접속방식에 의한 분류

① 모자식 : 병원등에 알맞으며 중앙 통제용이다(경비실과 세대간)

② 상호식 : (경비실과 관리실간)

③ 복합식 : 호텔등(모자식과 상호식을 조합)

④ 1대향식 : 특정 2개소 사이만의 통화

2) 시공 : 전화 배선과는 별도로 하며 설치 높이는 1.5m 정도

(3) T.V 안테나 설비

1) 안테나

안테나는 풍속 40m/s 에 견디도록 고정한다

강전류선으로부터 3m 이상 띄워서 설치한다

2) 정합기 : 정합기 설치 높이는 일반적인 경우 바닥 위 30cm 높이로 한다

3) 증폭기

① 약전계 이하의 난시청 구역

② 분배수가 너무 많아 수상기 입력단자에 의하여 54dB 이하로 될 때,

③ 여러개의 전용 안테나의 입력을 한 개의 케이블로 혼합될 때

4) 전송선 : 평행 2도선에서 임피던스 300Ω 의 평형 피어더를 쓴다

5) 분배기

6) 동축케이블

* 방향성 결합기나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에는 더미로드를 부착한다

7) TV전파 장해 원인

① 고스트 발생 : 전파장해로 영상이 2개 이상의 상으로 겹쳐 보임

㉠ 차폐장해

㉡ 반사장해

(4) 방송설비

1) CATV

2) HA(홈 오토메이션)시스템

(5) 차로 경보 설비

(6) 항공 장애등 설비 : 지상 또는 수면에서 60m 이상 높이의 건물에 설치(1종접지)

1) 저광도 항공장애등

① 수평면 아래 15도 상방의 모든 방향에서 식별할 수 있는 것일 것

② 점멸하지 아니하는 적색등으로서 광도가 10칸데라 이상일 것(고정된 경우에 한한다)

③ 1분당 60회 내지 90회 점멸하는 황색등으로서 실효광도가 40칸델라 이상일 것

2) 중광도 항공장애등

① 수평면 아래 15도 상방의 모든 방향에서 식별할 수 있는 것일 것

② 1분당 20회 내지 60회 점멸하는 적색등으로서 실효광도가 1천6백칸데라 이상일 것

3) 고광도 항공장애등

① 섬광하는 백색등일 것

② 수평면 아래 5도 상방의 모든 방향에서 식별할 수 있는 것일 것

4) 항공장애등의 설치방법

① 최상단에 설치하되 기능발휘가 곤란하면 1.5 ~ 3m 아래도 괜찮다

② 장애등 상호간격은 45m로 한다

고광도 : 2,000cd(칸데라) 이상, 저광도 : 20cd 이상


4. 조명설비

(1) 용어 및 단위

1) 광속 : F [lm]루우멘 ; 빛의

2) 광도 : I [cd]칸델라 ; 빛의 세기(입체각당 광속밀도)

3) 조도 : E [lx]럭스 ; 빛의 밝기(조도면의 단위 면적당 투하된 광속밀도)

4) 휘도 : B [nt]니트 ; 표면의 밝기(눈부심 정도)

5) 광속발산도 : R [lrx]레드럭스 ; 물체의 밝기(광원의 단위 면적당 발산 광속)

(2) 조명의 조건

1) 조도

① 일시적 작업 : 150[lx]

② 보통작업,사무실 : 750[lx]

③ 정밀한 시작업(미세한 전자제품 조립) : 7,500[lx]

④ 지하주차장 : 50[lx]

2) 연색성

크세논등 〉 백열등 〉 주광색형광등 〉 메탈할라이드등 〉 백색형광등 〉

수은등나트륨등

3) 효율

나트륨등 〉 메탈헬라이드등 〉 형광등 〉 수은등 〉 백열등

(3) 조명방식

1) 배광에 의한 분류

① 직접조명

㉠ 조명률이 좋다 * 조명률 = 작업면의 광속

㉡ 먼지에 의한 감광이 적다 광원의 총광속

㉢ 설비비가 싸다

㉣ 강한 조명이 되기 쉽다(물체에 강한 음영이 생기므로 눈이 쉽게 피로)

㉤ 기구의 선택을 잘못하면 눈부시다

② 반직접 조명 : 광선의 대부분이 직사광선, 나머지 일부분을 반사광선을 이용

③ 전반확산 조명 : 절반을 직사광선, 나머지 반을 반사광선(직접조명의 특징과 비슷)

④ 반간접 조명 : 대부분을 반사광선, 일부분을 직사광선으로 이용

간접조명 : 거의 전부 반사광선

조도가 균일하고, 음영이 유연하다

조명률이 가장 낮다

먼지에 의한 감광이 많다

천장면 마무리(재질, 색깔)에 영향을 받는다

설비비가 비싸다

2) 기구 배치 방식에 의한 분류

① 전반조명 : 작업면의 전체를 균일한 조도가 되도록 조명(사무실, 공장. 교실)

② 국부조명 : 특정 작업면에서 높은 조도를 필요로 할 때 채택 ; 명암차이가 커서

눈이 쉽게 피로

③ 전반 국부조명 ; 작업면 전체는 전반조명, 필요한 장소에만 국부조명 ;

경제성과 안정성을 취함

3) 건축화 조명 : 건축물의 일부를 발광체로 하여 균일한 조도 및 음영을 부드럽게

하는 것

① 종류

㉠ 다운라이트 : 광원을 천정 안에 매입하고 작은 구멍을 뚫어 빛은 아래로

투사시키는 방법

㉡ 루버 조명 : 쾌청한 낮과 근사한 주광상태를 재현한다, 루버가 오손되기 쉽고

보수가 어렵다

㉢ 광천장 조명 : 천장면 광원중에 조명률이 가장 높다. 보수가 용이하므로 많이 사용

㉣ 코퍼 조명(천장매입) :

㉤ 코브 조명(간접조명) : 눈부심이 없고 조도분포가 균일하며 그림자가 없다

㉥ 코니 조명(벽면조명)

㉦ 밸런스 조명 : 분위기 조성에 효과적인 방식

4) 조명설계

① 좋은 조명의 조건

㉠ 적당한 조도

㉡ 눈부시지 않을 것

㉢ 벽, 기타 주위의 휘도와 작업장소의 휘도와의 적당한 대비

㉣ 색을 식별할 필요가 있을 때 적절한 광원의 선택

② 조명설계순서

㉠ 소요 조도 설정

㉡ 광원선택

㉢ 조명방식 결정

㉣ 조명기구 선정

㉤ 조명기구 배치 결정

㉥ 실지수 결정 : 실지수가 클 수록 조명율이 높다; 단위는 없다

*실지수 = X?Y X : 방의 가로길이(m)

H(X+Y) Y : 방의 세로길이(m)

㉦ 조명률(U) 결정 H : 작업면(피조면 : 바닥 + 0.85m)으로부터 광원까지의 거리

㉧ 감광보상률 결정 : 조명기구는 사용함에 따라 작업면의 조도가 점차 떨어지는데 이를

예상하여 여유를 두며 이를 감광보상률이라 한다

직접조명 : 1.3 ~ 2.0, 간접조명 : 1.5 ~ 2.0)

또한 감광보상률의 역수를 유지율 : M(보수율)이라 한다.

㉨ 광속 결정 F : 광원 1개 광속[lm]

F = A?E?D = A?E A : 방의 면적[㎡]

N?U N?U?M E : 작업면 평균조도[lx]

D : 감광보상률(1.3 ~ 2.0)

E?A?D = F?U?N N : 광원의 개수

U : 조명률

M : 유지율(D의 역수)

㉩ 광원의 수 및 크기를 결정한다

㉪ 조도분포와 휘도 등을 재검토 한다

㉫ 점멸방법, 스위치, 콘센트 등 배치

㉬ 평면도에 배선 설계

③ 기구의 배치

㉠ 광원의 높이

직접조명 : 작업면 거리의 2/3

간접조명 : 작업면 거리의 1/5

단, 바닥면이 피조면인 경우 : 건물의 철골공장, 엘리베이터 홀 다운라이트 조명.

㉡ 광원의 간격

ⓐ 등기구 상호간 : S ≤ 1.5 H

ⓑ 벽면과 광원사이 간격 : So ≤ H/2(벽면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So ≤ H/3(벽면을 사용할 경우)

* 주요한 건축 조명용 광원의 특징

종류구분

백열전구

형광등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등

고압나트륨등

연색성

좋다

비교적 좋다

나쁘다

좋다

매우 나쁘다

효율

좋지 않다

10-20

비교적 양호하다

50-90

비교적 양호하다

40-65

양호하다

70-95

매우 양호하다

90-100

수명

짧다

1,000 -,2000

비교적 길다

7,500-10,000

길다

6,000-12,000

비교적 길다

6,000-9,000

길다

9,000-12,000

설비비

비싸다

비교적 싸다

다소 비싸다

다소 비싸다

비싸다

유지비

비교적 비싸다

비교적 싸다

비교적 싸다

싸다

용도

조명전반

조명전반

천장투광조명

도로조명

높은 천장조명

도로조명

터널조명

특징

휘도높고

열방사 많다

저휘도

열방사 적다

고휘도

점등시간소요

고휘도

연색성이 좋다

실내조명 부적합

5. 피뢰설비

(1) 피뢰침(20m 이상 건물)

1) 피뢰침의 보호각

일반 건축물 : 60도

위험물 관계 건축물 : 45도

③ 수평도체로 옥상을 보호할 경우 보호각 속에 들어가지 않은 부분은 가까운 수평도체로부터

10m 에 있으면 보호된다

2) 피뢰기 설치기준

① 피뢰기는 제1종 접지(굵기 2.6mm, 접지저항 10Ω)를 하며 습기나 가스, 산 등이 없는 장소에

② 통신선에 차폐선을 설치

③ 돌침부는 피보호물로부터 25cm 이상 높게 설치

④ 피뢰침을 지지하는 선은 풍속 40 - 60㎧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2) 피뢰침의 구조

1) 돌침부 : 동, 알루미늄 또는 용해아연도금을 한 철로서 지름 12mm 이상

2) 피뢰도선

① 동 : 단면적 30㎠ 이상

② 알루미늄 : 단면적 50㎠ 이상

③ 건물의 철골 또는 금속판(단면적 300㎠ 이상, 두께 2.0㎠ 이상)을 이용해도 됨

3) 접지전극

① 매설깊이 : 3m 정도

② 저항 : 단독 : 20Ω 이하

2개이상 : 10Ω 이하

다른 접지극과의 거리 : 2m 이상

가스관과의 거리 : 1m 이상

(3) 피뢰기 종류

1) 저항형

2) 판형

4) 관저항형

5) 방출형

6) 종이피뢰기

(4) 피뢰침의 방식

1) 돌침방식

2) 수평도체 방식

3) 케이지 방식(가장 확실함)

(5) 피뢰침의 성능

1) 충격방전 개시전압이 낮을 것

2) 제한전압이 낮을 것

3) 뇌전류의 방전능력이 클 것(2,500 - 5,000A 방전능력)

4) 반복동작이 클 것

5) 구조가 견고하고 특성이 변하지 않을 것

* 보안등 설치 거리 기준 : 50m 이내

* 22.9KV-Y 다중접지 전로 지하인입 케이블 ; CN-CV 케이블

* 단로기(DS) : 무부하(회로분리)개폐기

 

 

차단기 관련 용어

전기/전기기초이론 2011/07/14 00:33







차단기 관련 용어 ?

1. 개요
차단기 명판에 나와 있는 용어 및 차단기와 관련된 용어의 의미를 알아 보고자 합니다.
차단기의 정격이란 규정된 책무, 조건 및 특정한 조작하에서 차단기가 갖는 성능의
보증한계를 말하는 것이며 그 주요 항목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2. 차단기의 각종 정격 사항 및 용어

(1) 정격전압(V)
차단기의 정격전압이란 그 차단기에 부과할 수 있는 사용 회로전압의 상한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선간전압(실효치)으로 나타낸다.
사용 회로전압보다 훨씬 큰 정격전압을 가진 차단기를 선정해도 차단기 자체로서는
아무런 지장이 없지만 경제적으로나 외형적으로도 이로운 점이 없으므로 적정한 회로
전압에 대응하는 정격전압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정격전류[A]
차단기는 최대부하전류 또는 배전선의 전류용량 이상의 정격전류를 선정한다.
차단기의 정격전류란 정격전압, 정격주파수 밑에서 규정된 온도상승한도를
넘지 않고 그 차단기에 접속하여 통할 수 있는 한도를 말한다.

(3) 정격 차단전류[kA]
차단기의 차단 순간에 각 극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전류라고 하며, 발효순간의 대칭단락
전류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차단기의 정격차단전류란 모든 정격 및 규정된 회로조건 밑에서 규정된 표준동작책무와
동작상태에 따라 차단할 수 있는 지연역률의 차단전류의 한도를 말하며, 교류분
(실효치)으로 표시하고, 비대칭 전류를 대칭전류의 1.19배로 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1.25배로 보고 있으므로 필요한 대칭차단전류를 구할 뿐 일반적으로는 문제가 없고,
계산으로 구하는 단락전류를 선정하면 된다.

(4) 정격 투입전류(A)
차단기의 경격투입전류란 모든 정격 및 규정된 회로조건 밑에서 규정된 표준동작책무
및 동작상태에 따라 투입할 수 있는 투입전류의 한도를 말하며, 투입전류의 맨처음
주파의 순간치의 최대치로 표시한다. 정격투입전류는 정격차단전류의 약 2.5배 이다.
실제로 고장(단락)난 회로를 개폐할 경우 단락전류가 흘러 단락전류에 의한 전자
반발력으로 차단기가 완전히 투입되어도 차단기의 차단동작이 방해를 받아 차단불능이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태가 되지 않도록 규정된 것인데 이 차단기가
투입할 수 있는 단락전류(파고치) 의 한도를 나타낸 것이다.
정격차단전류가 결정되면 이 값도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다만, 수동 직접투입조작
방식의 차단기에서는 조작력이 각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단락전류를 안전
하고 확실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주의를 요한다.

(5) 정격 단시간전류[kA]
차단기의 정격 단시간 전류란 그 전류를 정해진 시간동안(보통1~2초) 차단기에
통해도 이상이 없는 전류의 한도를 말하며 그 차단기의 정격 차단전류와 같은
수치(실효치)를 표준으로 한다.
정격단시간 전류의 최대 파고치는 그 정격치의 2.6배로 한다.

(6) 정격차단 시간(C/S)
차단기의 정격차단시간이란 정격차단전류를 모든 정격 및 규정된 회로조건 밑에서
규정된 표준동작책무 및 동작상태에 따라 차단하는 경우의 차단시간의 한도를 말한다.
즉, 차단기가 트립지령을 받고부터(보호계전기의 접점이 닫혀지고부터)트립장치가
동작하여 전류차단을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정격 차단시간은 정격주파수를 기준으로 한 사이클수 로 표시한다.
(즉 부하차단을 시작하여 접점이 열리며서 아크가 확 일어났다가 완전 소호되어
아크가 zero로 되어 절연을 완전 회복한 상태를 말한다) **[5cycle 차단기는 1cycle이
16.7ms이므로 83.5ms(0.0835Sec)이다]

(7)무부하 투입시간
무부하에서 차단기의 투입코일이 동작하여 기계적으로 LATCH가 걸려 투입동작이
완료된 상태

(8)개극시간
차단기의 트립코일이 동작하여 주회로 접점이 기계적으로 정해진 만큼 완전히
OPEN 된 상태

(9) 동작책무
차단기는 전력계통에서 사용될 경우 투입-차단-투입(C-O-C)과 같은 동작이 되풀이
되므로 차단기의 용량도 이들의 일련의 동작책무에 맞는 성능의 한도로서 표현되고
있으며, 이들의 값은 별도로 표준규격에서 정하고 있다.
** 여기서 C는 CLOSE(투입), O는 OPEN(차단)을 의미함.
■ O-15sec-CO {차단 -15초후-투입,차단}
(주로 저압차단기의 최대 단락시험의 동작책무로 사용된다, 즉 한번 차단후 15초
후에 재투입 및 차단 시험을 수행 할 수 있는 능력을 확인하는 책무임)
■ O-3min-CO-3min-CO {차단 -3분후-투입,차단-3분후-투입,차단}
(저압차단기의 사용단락시험에 적용되며, 고압차단기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는
재폐로용 차단기의 동작책무임)
■ CO-15sec-CO {투입,차단-15초후-투입,차단}
(일반 고압차단기에 적용되는 동작책무임)
■ O-0.3sec-CO-3min-CO {차단 -0.3초후-투입,차단-3분후-투입,차단}
(고속 재폐로용 고압 차단기에 주로 적용되는 동작책무임)

(10) 정격 차단용량(MVA)
차단기의 정격 차단용량은 3상 교류인 경우 차단기의 정격 차단전류와 정격전압과의
곱에 √3을 곱해준 것이다.
즉, 정격차단용량 = √3 × (정격전압) × (정격차단전류)이다.
차단용량은 전력계통의 규모가 커질수록 커지기 때문에 경제적인 차단기를
사용하려면 정격차단 전류를 감소시켜야 한다.
<정리를 하면>
차단용량 이란 그 차단기를 적용할 수 있는 계통의 3상 단락용량의 한도를 말하며,
다음 식에 의해 구하여 참고치로 한다.
? 차단용량 [MVA] = √3 × 정격전압[kV] × 정격차단전류[kA]

 

 

용량에 따른 전선굵기와 차단기 선정방법

전기/전기기초이론 2012/06/22 16:17


용량에 따른 전선굵기와 차단기 선정 (단상2선식과 34선식)

한전규정에 따른 용량과 허용전류와 전선굵기와 차단기선정방법

참고사항

1, 단상P1=V*I*역률(kW)에서 I(부하전류)=P1/V*역률(A)

삼상4선식 P3=루트3*V*I*역률(kW)에서 I(부하전류)=P3/누트3*V*역률

부하전류는 단상220V1kW4.5A로 계산할것.

삼상4선식380/220V1kW1.5A로 계산할것.

2, 메인차단기(정격전류)용량은 단상220V1kW6A로 계산됨.

삼상380/220V1kW2A로 계산됨.

3, 분기차단기(정격전류)용량은 단상에서는 1kW5A로 계산할것.

예시1) 단상 220V의 용량이 10킬로라고 가정하면 10kW*5A=50A

차단기는 50A를 선정한다.

예시2) 3상동력 380V의 용량이 10킬로라고 가정하면 10kW*1.7A=10.7

차단기는 15또는 20A를 선정한다..

4. 단상용량(kW)*3=34선식용량(kW)

단상2선식220V이고 계약전력 24kW이상은 CT계량기 설치함.

계약

전력

(kw)

전선

굵기

계약

전력

(kW)

전선

굵기

최대

전류

NFB/

ELB

정격

전류

용량

CV케이블(가공용)

허용전류A

단상

220V

삼상

380V

전선

굵기

2C

4C

2kW

2.5SQ

7kW

2.5SQ

12A

15A

2.5SQ

36A

32A

3kW

2.5SQ

9kW

2.5SQ

16A

20A

4SQ

49A

42A

5kW

4SQ

14kW

4SQ

24A

30A

6SQ

63A

54A

6kW

6SQ

18kW

6SQ

32A

40A

10SQ

86A

75A

7kW

6SQ

23kW

10SQ

40A

50A

16SQ

115A

100A

9kW

10SQ

28kW

16SQ

48A

60A

25SQ

149A

127A

11kW

10SQ

35kW

16SQ

60A

75A

35SQ

158A

158A

14kW

16SQ

47kW

25SQ

80A

100A

50SQ

225A

192A

19kW

25SQ

59kW

35SQ

100A

125A

70SQ

289A

246A

24kW

35SQ

71kW

50SQ

120A

150A

95SQ

352A

298A

29kW

35SQ

89kW

70SQ

140A

175A

120SQ

410A

346A

31kW

50SQ

94kW

70SQ

160A

200A

150SQ

473A

399A

35kW

70SQ

106kW

70SQ

180A

225A

185SQ

542A

456A

39kW

70SQ

118kW

95SQ

200A

250A

240SQ

641A

538A

49kW

95SQ

142kW

120SQ

240A

300A

300SQ

741A

621A

삼상4선식380/220V이고 계약전력 72kW이상은 CT계량기 설치함.

착안점1) 전선굵기와 차단기용량은 허용전류 이내로 선정한다.

2) 반드시 부하의 최대전류<차단기정격전류<전선의 허용전류, 이여야 한다.

참고)부하전류: 부하에 소비되는 전류

정격전류(차단기용량): 기기의 평상시 작동할 때 전류

허용전류: 전선에 흐를 수 있는 최대의 전류치

부하, 정격, 허용전류는 한 몸이며 항상 따라다닌다.

표사용법 예시1)

1. 한전계약전력 단상220V, 19kw일 경우 차단기는 2P, 125A를 선정하고 오른쪽의 허용 전류표 2c항목에서 16sq115이고 25sq149이므로 차단기용량보다 높은 35sq사용

2. 한전 계약전력 삼상380/220v, 59kw일 경우 4p, 125A를 선정하고 오른쪽의 허용전류표 에서 4c항목에서 25sq127이고 35sq158이므로 차단기용량보다 높은 35sq 를사용.

표사용법 예시2)

34선식 18kw일 경우 메인차단기는 40A, 전선 굵기는 6sq란 의미입니다.

표사용법 예시3)

단상 7kw일 경우 메인차단기는 50A, 전선 굵기는 6sq란 의미입니다.

위의 표에서 차단기(정격전류)용량*0.052=접지선 굵기가 됩니다.

표사용법 예시)

차단기 용량 50A에서 접지선의 굵기는 50*0.052=2.6(4sq)

차단기 용량 100A에서 접지선의 굵기는 100*0.052=5.2(6sq)

차단기 용량 225A에서 접지선의 굵기는 225*0.052=11.7(16sq)를 선택합니다.

주의사항1.) 전선의 종류나 공사의 방법 전압 강하,등 여러 조건에 따라 틀려질 수 있습니다.

참고용으로 쓰세요.

접지

전기/전기기초이론 2012/11/12 23:25


갈수록 접지의 중요성이 커지는 것 같아요.

여기저기 ?아보니 여러가지 정보가 있네요.

1.접지의 목적

구 분

목 적

전기설비의 보안용 접지

전기설비에 있어서 전로나 비충전금속부분을 접지하는 것에의해 감전이나 화재를 방지한다.

뇌해방지용 접지

피뢰침이나 피뢰기의 접지로 뇌방전전류를 안전하게 대지로흘려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전기장해방지용 접지

정전기를 안전하게 대지로 방류하기 위한 접지

잡음방지용 접지

통신설비 등에 있어서 잡음에너지를 대지에 방류하기 위한 접지

기능용 접지

전자계산기 등에 있어서 전위의 안정된 기준을 얻기 위한 접지

회로용 접지

전기방식에서 대지를 회로의 일부로서 이용하기 위한 접지

2.접지의 종류와 접지저항치

[내선규정140-1 표1-14]

접지공사의 종류

적 용 예

접 지 저 항

제1종 접지공사

고압 및 특고압의 전기기기의 철대, 외함 등의 접지

10Ω 이하

제2종 접지공사

고압 및 특고압전로와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의 중성점 또는 단자 등의 접지

변압기의 고압측 또는 특별고압측 전로의 1선지락전류의 암페어수로 150을 나눈값과 같은 Ω수

제3종 접지공사

400V 미만의 저압의 전기기계기구의 철대, 외함 등의 접지

100Ω 이하

특별3종 접지공사

400V 이상의 저압의 전기기계기구의 철대, 외함 등의 접지

10Ω 이하

비 고) 1. 제2종접지공사에서 변압기의 고압측 전로 또는 사용전압이 35,000V 이하의 특별고압측 전로가 저압측 전로와 혼촉하여

저압측 전로의 대지전압이 150V를 넘는 경우에, 1초를 넘고 2초이내에 자동적으로 고압전로 또는 사용전압이 35,000V

이하의 특별고압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할 때의 접지저항치는 1선 지락전류의 암페어수로 300을 나눈 값과 같은

Ω수 이하로 하고, 1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고압전로 또는 사용전압 35,000V 이하의 특별고압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할 때의 접지저항치는 1선 지락전류의 암페어 수로 600을 나눈 값과 같은 Ω수로 한다.

2. 저압전로에서 그 전로에 지기가 생겼을 경우에 0.5초이내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는경우에는

이 표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제3종 및 특별3종접지공사의 접지 저항치는 자동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에 따라

다음표에서 정한 값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 격 감 도 전 류

접 지 저 항 치

30 mA

500 Ω

50 mA

300 Ω

100 mA

150 Ω

200 mA

75 Ω

300 mA

50 Ω

500 mA

30 Ω

3.기계기구의 구분에 따른 접지공사의 적용

[규정 140-2 표1-15]

기 계 기 구 의 구 분

접 지 공 사

400V 미만의 저압용

제 3 종 접 지 공 사

400V 이상의 저압용

특 별 제 3 종 접 지 공 사

고압용 또는 특별고압용

제 1 종 접 지 공 사

4.시설장소에 따른 접지공사의 종류일람표

접지공사의종 류

내 용

제 1 종

접지공사

1) 변압기로 특별고압전선로에 결합되는 고압전로의 방전장치

2) 특별고압 계기용 변압기의 2차측전로

3) 고압용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외함

4) 고압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 및 방출보호통 기타 피뢰기에 대용하는 장치

5) 고압옥측전선로의 시설로 관 기타의 케이블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 부분, 금속제전선접속함 및 케이블의 피복에 대용하는 금속체*

6) 특별고압가공전선이 가공약전류전선 등과 근접 또는 교차시의 보호망

7) 고압옥외배선에 사용하는 관 기타의 케이블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 부분, 금속제전선접속함 및 케이블의 피복에 대용하는 금속체*

8) 방전등용 안정기의 외함 및 방전등용 전등기구의 금속제부분(관등회로의 사용전압이 고압이고 또한 방전등용 변압기의 2차단락전류 또는 관등회로의 동작전류가 1A가 넘는 경우)

9)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관등회로의 사용전압이 1000V를 넘는 방전등

10) 전극식온천용승온기 차단장치의 전극

11) 풀장용 수중조명등 등에 사용하는 절연변압기의 1차 권선과 2차권선과의 사이에 시설하는 금속제의 혼촉방지판

12) 고압의 표피전류가열장치에 사용하는 발열관(박스를 포함한다)

제 2 종

접지공사

1) 고압전로과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의 저압측의 중성점 또는 1단자(사용전압이 300V이하의 경우이고 당해 접지공사를 변압기의 중성점에 시설하기 어려울 때)

2) 고압전로와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로 고압권선과 저압권선과의 사이에 시설하는 금속제의 혼촉방지판

3) 다심형전선을 사용하는 경우의 중성점 또는 접지측전선용으로서, 절연물로 피복하지 아니한 도체

제 3 종

접지공사

1) 고압계기용 변압기의 2차측전로

2) 400V 미만의 저압용 기계기구의 철대 또는 금속제외함

3) 저압가공전선 또는 고압가공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고, 이것을 조가하는 경우의 메신져와이어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관

4) 다심형전선을 사용하는 경우의 메신져와이어용으로서 절연물로 피복하지 아니한 도체

5) 고압가공전선이 교류전차선 등의 위에서 교차하여 시설될 경우의 고압 가공전선로의 완금류

6) 보호망

7) 보호관

8) 관, 암거 기타 지중전선을 넣는 보호장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의 전선접속함 및 지중전선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9) 터널내에 고압전선로를 시설하는 경우, 케이블을 사용할 때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전선접속함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10)고주파전류 의한 장해방지를 위하여 시설하는 콘덴서 및 네온점멸기의 고주파발생방지장치 접속단자의 접지측단자

11) 400V 미만의 합성수지관공사에 사용하는 풀박스 또는 분진방폭형 플렉시블 휘팅

12) 400V 미만의 금속관배선에 사용하는 관

13) 금속몰드배선에 사용하는 몰드

14) 400V 미만의 금속제가요전선관배선에 사용하는 금속제가요전선관

15) 400V 미만의 금속덕트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16) 400V 미만의 버스덕트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17) 플로어덕트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18) 400V 미만의 케이블배선에 사용하는 관 기타의 전선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전선접속함 및 전선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19) 방전등용안정기의 외함 및 방전등용 전등기구의 금속제부분(제1종접기공사, 특별제3종접지공사의 조건이외의 경우)

20) 400V 이상, 1000V 이하의 전등회로의 배선으로 다음에 해당하는 것

가. 합성수지관배선에 의한 경우의 풀박스 또는 분진방폭형 플레시블 휘팅

나. 금속관배선에 의한 경우의 금속관 및 금속제의 전선접속함.

다. 금속몰드배선에 의한 경우의 금속몰드 및 금속제의 전선접속함

라. 금속제가용전선관배선에 의한 경우의 금속제 가요전선관 및 금속제의 전선접속함.

마. 케이블배선에 의한 경우의 관 기타 케이블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 전선접속함, 랙크 등 지지물의 금속체부분, 케이블을 조가할 경우의 멧션져와이어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21) 에스컬레이터내의 관등회로 배선으로 전선과 접촉하는 금속제의 조영재

22) 네온변압기를 넣는 외함의 금속제부분

22) 네온변압기를 넣는 외함의 금속제부분

23)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관등회로로서 사용전압 1000v이하의 방전등

24) 교통신호등 제어장치의 금속제외함.

25) 발열선 또는 발열선과 직접 접속하는 전선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및 방호장치

26) 전열보드의 금속제외함 또는 전열시트의 금속제피복

27) 전극식온천용승온기에 사용하는 절연변압기의 철심 및 금속제 외함.

28) 전기욕기에 사용하는 절연변압기의 철심 및 금속제외함

29) 전기방충용전원장치를 넣는 금속제의 외함

30) 아크용접장치의 피용접재 또는 이것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구, 정반 등의 금속체

31) 엑스선발생장치의 변압기 및 콘덴서의 금속제외함

32) 엑스선관도선의 노출하는 퉁전부분에 1m이내로 접근하는 금속체

33) 라이팅덕트 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34) 표피전류가열장치에 사용하는 발열관(박스를 포함한다.)

특 별

제 3 종

접지공사

1) 400V 이상의 저압용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외함

2) 400V 이상의 합성수지관배선에 사용하는 풀박스 또는 분진방폭형 플렉시블 휘팅

3) 400V 이상의 금속관배선에 사용하는 관

4) 400V 이상의 금속제가요전선관배선에 사용하는 금속제가요전선관

5) 400V 이상의 금속덕트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6) 400V 이상의 버스덕트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7) 400V 이상의 케이블배선에 사용하는 관 기타전선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전선접속함, 랙크등 지지물의 금속제부분, 케이블을 조가할 경우의 조가용선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8) 방전등용안정기의 외함 및 방전등용전등기구의 금속제부분 (관등회로의 사용전압이 400V이상의 저압이고 또한 방전등용변압기의 2차단락전류 또는 관등회로의 동작전류가 1A를 넘는경우)

9)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관등회로의 사용전압이 1,000V 이하의 방전등

10) 풀용 수중조명등에 사용하는 자동차단장치 등을 넣는 금속제의 외함

11) 풀장용 수중조명등을 넣는 용기 및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

12) 400V 이상의 저압의 발열선 또는 발열선과 직접접속하는 전선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및 방호방치

13) 400V 이상의 저압의 직접가열장치에 사용하는 발열체의 단열재의 금속제외피 및 절연물을 중간에 둔 금속제 비충전부분

14) 400V 이상의 저압의 표피전류가열장치에 사용하는 발열관(박스를 포함한다)

비 고 1. *표는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할 수 있다.

비 고 2. 접지공사 그 자체는 규제되어 있지 아니하나 소정의 접지공사를 할 경우에

시공방법이 완화되는 것으로는 다음의 것이 있다.

(1) 고압용 기계기구를 금속제의 함에 넣는 경우

(2) 저고압가공전선과 삭도(케이블카 등)등의 근접 또는 교차

(3) 저고압가공전선과 굴둑 등이 접촉될 우려가 있는 경우

(4) 저고압옥내배선과 약전류전선의 접근 또는 교차

(5)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트롤리선의 공사

(6) 전극식온천용승온기의 시설

(7) 전기집진장치의 시설

5.접지선의 최소굵기

[기술기준 제22조]

접지공사의 종류

접 지 선 의 굵 기

제1종 접지공사

지름 2.6mm 이상

제2종 접지공사

지름 4mm(고압 또는 중성점 다중접지방식의 특별고압 가공전선로의 전로와 저압전로를 변압기에 의하여 결합하는 경우에는 지름 2.6mm)이상

제3종 접지공사

지름 1.6mm 이상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지름 1.6mm 이상

1. 이 표에서의 접지선은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세기 및 굵기로서 쉽게 부식하지 않는 금속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2. 이 표는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2조를 근거한 것이다.

6.제1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의 굵기

[내선규정 140-3 표1-17]

제1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의 구조

접지선의 종류

접지선의 굵기

알루미늄

고정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에 접지공사를하는 경우 및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에 접지공사를 하는경우에 가요성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경우

2.6mm이상

(5.5㎟이상)

3.2mm이상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에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로서 가요성을 필요로 하는 부분

3종클로로프렌 캡타이어 케이블, 3종클로로폰화폴리에틸렌 캡타이어케이블, 4종 클로로프렌 캡타이어 케이블, 4종 클로로폰화 폴리에틸렌 캡타이어케이블 또는 고압용의 캡타이어케이블의 1심 또는 다심 캡타이어케이블이나 고압용의 캡타이어케이블 또는 고압용의 캡타이어케이블의 차폐금속체 또는 접지용금속선

8㎟이상

비고) 이 표는 비접지식 고압전로에 전기기계기구를 접속하는 경우의 최저기준을 표시한다.

7.제2종 접지선의 굵기

[내선규정140-5표1-18]

변압기 한상분 용량(kVA)

접지선의 굵기(㎟)

110V

220V

380V

440V

동 선

알루미늄선

5kVA까지

10kVA까지

17kVA까지

20kVA까지

5.5㎟이상

8㎟이상

10 〃

20 〃

35 〃

40 〃

5.5 〃

8 〃

15 〃

30 〃

50 〃

60 〃

8 〃

14 〃

20 〃

40 〃

70 〃

80 〃

14 〃

22 〃

30 〃

60 〃

100 〃

120 〃

22 〃

38 〃

40 〃

80 〃

140 〃

160 〃

22 〃

38 〃

50 〃

100 〃

170 〃

200 〃

38 〃

60 〃

75 〃

150 〃

260 〃

300 〃

38 〃

60 〃

100 〃

200 〃

350 〃

400 〃

60 〃

100 〃

150 〃

300 〃

520 〃

600 〃

80,100 〃

125 〃

200 〃

400 〃

700 〃

800 〃

125,150〃

200 〃

250 〃

500 〃

860 〃

1,000 〃

150 〃

250 〃

300 〃

600 〃

1,050 〃

1,200 〃

200 〃

325 〃

400 〃

800 〃

1,400 〃

1,600 〃

250 〃

400 〃

500 〃

1,000 〃

1,700 〃

2,000 〃

325 〃

500 〃

비고1) 이 표의 산정기준은 부록1-6(접지선굵기의 산정기초)를 참고할 것

비고2)『변압기 1상분의 용량』이라 함은 다음의 값을 말한다.

(1) 3상변압기의 경우는 정격용량의 1/3의 용량을 말한다. 다만, 계산상 소수점으로 계산될 경우 직상위용량을 적용한다.

(2) 같은 용량의 단상변압기 3대로서 △결선 또는 Y결선하는 경우에는 단상변압기 1대의 정격용량을 말한다.

(3) 단상변압기 V결선의 경우

가. 같은 용량의 단상변압기 2대로 V결선하는 경우에는 단상변압기 1대의 정격용량을 말한다.

나. 다른 용량의 단상변압기 2대로 V결선하는 경우에는 큰 용량의 단상변압기 정격용량을 말한다.

비고3) 변압기가 2뱅크 이상으로 병렬 연결되어 저압측이 1대의 차단기로 보호되는 경우『변압기 1상분의 용량』은 각 뱅크에

대한 【비고2】의 용량의 합계치로 한다.

비고4) 저압측이 다선식인 경우에는 그 사용전압 중 최대전압을 적용한다.

예 : 단상 3선식 220V/440V와 같은 경우는 440V를 적용한다.

비고5) * 규격의 전선은 KS 규격이 아니므로 직상위의 규격을 택할 수 있다.제3종 또는

8.특별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선 굵기

[내선규정 140-3 표1-16]

접지하는 전기기기 및 전선관 전단에 설치된 자동과전류 차단장치의 정격 또는 정정값이 다음의 전류값을 초과 하지 않는 경우

접 지 선 의 굵 기

동 선

알루미늄선

연선

(㎟이상)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기계기구에 접지를 하여야 할 경우로서 가요성(可撓性)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코드 또는 캡타이어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단선

(㎜이상)

연선

(㎟이상)

단심의 굵기

(㎟이상)

2심을 접지선으로 사용하는 경우 1심의 굵기

(㎟이상)

15

1.6

2.0

3.5

1.25

0.75

20

2.0

3.5

5.5

2

1.25

30

2.0

3.5

5.5

3.5

2

40

2.6

5.5

8

5.5

3.5

50

5.5

8

5.5

3.5

100

2.6

8

14

8

5.5

200

14

22

14

5.5

300

22

38

22

14

400

30, 38

50, 60

30, 38

22

500

38

60

38

22

600

50, 60

80

50, 60

30

800

60

80

60

30

1,000

80

100

80

38

1,200

100

125, 150

80

38

1,600

125, 150

200

100

50, 60

2,000

125, 150

200

100

50, 60

2,500

150

300

125, 150

60

3,000

200

300

150

80

4,000

250

400

200

100

5,000

325

600

250

125,150

6,000

400

600

325

150

비고1) 표의 과전류차단기는 인입구장치, 간선용 또는 분기용에 시설하는 것(개폐기가 과전류차단기를 겸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이며,

전자개폐기와 같은 전동기의 과부하보호기는 포함하지 아니한다.

비고2) 코드 또는 캡타이어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의 2심인 것은 2심의 굵기가 동등한 것으로, 2심을 병렬로 사용하는 경우의 1심

단면적을 표시한다.

비고3) 이 표의 산정기준에 대하여는 내선규정 부록 1-6을 참고할 것.

비고4) 분전반 또는 배전반에 있어서 그 전원측에 과전류차단기가 시설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분전반 혹은 배전반의 정격전류에 따라

지선의 굵기는 상기표을 적용한다.

비고5) * 규격의 전선은 KS 규격이 아니므로 직상위규격을 택할 수 있다.

비고6) 전기기기 접지도체로 지락사고시 지락전류가 클 경우에는 상기규격을 상향하여 선정한다.

비고7) 표 중 비고의 "가"란은 전선규격 선정상 전선이 가늘기 때문에 안전율이 50% 이상 고려되었고 "나"란은 안전율이 10% 이상

고려되었다.

비고8) 전압강하 등의 사유로 간선규격을 상위규격으로 선정할 경우 이에 비례하여 접지선의 규격도 상위규격으로 선정하여야 한다.

예) 정상적으로는 간선의 규격이 80㎟이고 차단장치의 정격이 200AT인 경우 표에 의해 접지선 규격을 14㎟로 선정할 수 있으나

전압강하 등의 원인으로 간선규격을 125㎟로 굵게 선정하였다고 가정하면 125÷80=1.56 즉 56%만큼 굵어진 셈이 된다.

그러므로 접지선도 14×1.56=21.845㎟가 되어 22㎟로 굵어져야 한다.

9.중성점 접지방식의 비교

비교항목

비 접지식

고저항

접지식

저저항

접지식

직 접 접지식

소호리액터

접지식

결 선 도

유효접지전류

(지락전류)

수백mA 정도

5~100A 정도

200A이상

수십~수천A

수 mA

적용계통

고 압 회 로

특별고압회로

고 압 회 로

특별고압회로

특별고압회로

저 압 회 로

특별고압회로

1선지락시 건전상

의 전압상승

케이블 계통에 서 간

헐 아크 지락에 의한

과전압이 발생.

약간 크다.

적 다.

적다. 평상시와

거의 같다.

크다. 적어도

배까지 올라 간다.

1선지락시 통신선

의 유도장해 정도

적 다

일반적으로 적다

일반적으로 크다

가장 크다. 고속도

차단 시스템 채용

으로 보상

가장 적다

1선지락시

계통 안정도

좋 다

좋 다

약간 좋다

나쁘다.

좋 다

지락고장시

회로 차단

자연소호 됨으로 차단

불요, 단 영구 고장시

회로차단 필요

차단 필요

차단 필요

차단 필요

자연소호 됨으로

차단 불요,

단 영구 고장시

회로차단 필요

지락고장시

계전기 동작

곤란할 경우가 있다.

확실 하다.

확실 하다.

가장 확실 하다.

불가능 하다.

지락고장시

기기손상

적 다

일반적으로 적다

일반적으로 크다

가장 크다

가장 적다

계통운전

계전기 적용이 곤란하

므로 운전에 불편할

때가 있다.

용이하다.

용이하다.

용이하다.

운전상황에 따라

탭 변경을 요함. 직

렬공진에 주의를

요함.

기기의

절연비용

크 다

일반적으로 크다

일반적으로 적다

장 적다

크 다.

초기

설비비

적 다

크 다

크 다

적 다

가장 크다.

접지기기

설치공간

적 다

크 다

크 다

적 다

가장 크다.

출처:전력기술인 정보나눔의 ELEINFO외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