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한강 산악회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지맥 기맥 자료실 스크랩 한북정맥산줄기이야기
하늘 추천 0 조회 16 12.05.28 11:44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02. 우리산줄기이야기(한북정맥편)

 

 

□. 우리산줄기의 이름

 

 

아래에 나오는 산줄기 명칭은 백두대간과 정맥은 산경표에서 정의한대로 일치를 시켰으며 19기맥은 100km 이상되는 산줄기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산줄기로 산경표의 원리대로 온전한 강줄기의 울타리를 치고 있으면 강줄기의 이름을 사용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대표적인 산이나 지명을 차용하여 내 나름대로 원칙에 충실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이름을 지었다

 

 

대간이나 각 정맥 기맥에서 분기된 30km이상 100km미만인 산줄기인 지맥과 아래에 나오는 산줄기 명칭은 백두대간과 정맥은 산경표에서 정의한대로 일치를 시켰으며 19기맥은 100km 이상되는 산줄기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산줄기로 산경표의 원리대로 온전한 강줄기의 울타리를 치고 있으면 강줄기의 이름을 사용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대표적인 산이나 지명을 차용하여 내 나름대로 원칙에 충실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이름을 지었다

 

 

대간이나 각 정맥 기맥에서 분기된 30km이상 100km미만인 산줄기인 지맥과 10km 이상 30km미만인 단맥은 어느 하나의 물줄기 가름이 정확하지 않고 여러개의 물줄기를 거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그 흐름도 산줄기의 이름으로 사용하기에는 미미한 경우나 인지도가 현저히 낮아 주로 대표산의 이름을 차용해 지었으며 특수한 경우 지방 이름을 차용하여 지었다

 

 

10km 미만인 여맥은 그 이름을 일일이 나열하기가 너무 번거로워 생략을 하거나 특별한 경우만 00여맥이라고 표현을 하였다

 

 

□. 산줄기의 격

 

 

대간이나 정맥을 제외한 산줄기에 격을 둠은 모든 산줄기를 단순히 기맥이라고 한다든지 지맥이라고 한다든지 할 경우 산줄기 이름만 들어서는 과연 그 산줄기가 어디에서 분기하였으며 어느 정도의 흐름을 가지고 있는지 도저히 짐작을 할 방법이 없다

 

 

산경표에서도 대간 정간 정맥으로 그 산줄기의 부모형제의 관계를 설명하려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보다 더욱 복잡하고 천태만상인 기맥 이하의 산줄기를 단순히 하나의 항열로 부른다면 많은 혼란을 초래할 것 같아 그 뿌리를 밝히고 항열을 밝히고자 함이다

 

 

그래서 백두대간이나 정맥을 제외한 100km 이상의 산줄기나 어떠한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산줄기를 기맥으로 정의를 하고 그 대간이나 정맥 기맥을 주맥으로 보고 그 주맥에서 분기된 지맥을 표현할 경우 그 조상의 이름을 앞에다 놓아 그 산줄기가 어디서 왔는지 표현하려 했다

 

 

예를 들면 경북 문경시에 운달산이라는 그 지방 명산이 있는데 그 산이 속한 산줄기 이름을 지을 경우 우선 백두대간에서 분기가 되었으니 우리산줄기의 조종인 “백두”를 가져오고 그 다음으로 그 산줄기중 가장 유명한 산이 운달산으로 추정이 되므로 “운달”을 가져와 연결해서 부르면 “백두운달지맥”이 되는 원리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백두대간 대미산에서 운달산으로 연결된 30km 이상 100km 미만인 산줄기구나” 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정맥과 기맥에서 분기된 지맥은 백두대간과 정맥과 기맥을 조상으로 생각을 하고 우선 그 백두나 정맥이나 기맥 이름을 앞에다 가져오고 그 다음 그 산줄기에서 가장 유명한 산 이름이나 특수한 경우 지방 이름을 가져온다

 

 

예를 들면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천마산 줄기를 이름 짓는다면 우선 조상격인 한북정맥에서 분기했으니 “한북”을 가져오고 다음에 그 산줄기중 가장 유명한 이름이나 특수한 경우 그 지방 이름을 가져온다

 

그래서 그 산줄기 중 가장 유명한 산이 천마산으로 추정이 되므로 “천마”를 가져와 이름이 “한북천마지맥”이 되는 것이다

 

즉 “한북정맥에서 천마산으로 연결된 30km 이상 100km 미만인 산줄기구나”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특수한 경우를 예를 든다면

 

 

한강영월지맥

한강정맥(기맥)이 서진하면서 계방산 가기 전 도면상 1462봉어깨에서 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니 시종일관 남진하면서 강원도 영월읍에서 동강과 서강이 만나 남한강이 되는 특별한 의미를 줄 수 있는 산줄기

 

 

낙동안동지맥

낙동정맥이 칠보산을 거쳐 남하하면서 쇠재에서 깃재(귀재)로 가던중 무명 헬기장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영양의 진산 일월산을 지나 산줄기의 대부분이 안동땅을 지나가며 대한민국의 유수한 바다와 같이 너른 안동호와 임하호를 가르며 안동땅에서 낙동강물이 되는 특별한 의미를 줄 수 있는 산줄기

 

그 외 호남화원지맥, 호남여수지맥 등이 있다

 

 

단맥이라 함은 마찬가지로 대간 정간 정맥 기맥 지맥 모두에서 분기하여 10km이상 30km 미만인 산줄기를 말하며

 

 

위와같은 논리로 한북천마지맥 주금산에서 분기하여 축령산으로 뻗은 산줄기를 한북천마축령단맥이라고 이름지을 수가 있는 것이다 즉 “한북천마지맥에서 축령산으로 연결된 10km이상 30km 미만의 산줄기구나” 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맥이라 함은 모든 산줄기에서 분기한 10km 미만인 산줄기를 나타내며 아주 짧은 경우 생략을 하고 분기된 그 산줄기에 있다고 설명을 하였으며 그 산을 특별히 나타내고자 할 경우에 한해 예를 들어 한북천마지맥에서 동쪽으로 분기된 운길산을 위와같은 논리로 이름을 짓는다면 한북천마운길여맥이라 부를 수가 있는 것이다

 

 

□. 산줄기의 순서

 

 

정맥과 기맥이 대간에서 북에서 남으로 분기된 순서대로 “편”으로 분리하여 이야기를 하고 거기에서 분기된 지맥 분맥 단맥등을 분기점에서 순서대로 기술을 하고 또한 정맥에서 분기된 기맥은 그 분기된 정맥 다음으로 분기점에서 순서대로 기술을 한다

 

 

01)백두대간

02)한북정맥

03)한탄기맥

04)한북기맥

05)소양기맥

06)한강정맥(기맥)

07)홍천기맥

08)치악기맥

09)낙동정맥

10)팔공기맥

11)위천기맥

12)비슬기맥

13)형남기맥

14)내성기맥

15)한남금북정맥

16)한남정맥

17)금북정맥

18)금북기맥

19)가야기맥

20)진양기맥

21)금남호남정맥

22)금남정맥

23)금남기맥

24)호남정맥

25)영산기맥

26)땅끝기맥

27)고흥기맥

28)낙남정맥

 

 

단 위의 산줄기의 분류는 아직은 공식적인 잣대가 없으니 내 나름대로의 원칙을 가지고 산경표의 원리에 충실하려고 최대한 노력한 분류방법임을 밝힌다 물론 앞으로 공식적인 기관에서 산줄기 이름을 짓는다면 추후 그 이름을 따를 것이며 이보다 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이 있다면 그에 따를 것이다

 

 

산림청 선정 100대명산 높이는 한국의산하에 올라온 자료에 의해 그 높이를 기록했으며 그 외의 산들은 기타 문헌이나 5만분의1지형도에 표기된 높이로 기록했다

 

 

산높이가 표시되지 않은 산들은 역시 5만분의1지형도 등고선 평균 높이를 기록하였으므로 다른 문헌이나 인터넷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말씀드리고자 한다

 

 

또한 산줄기의 분기점은 변하지 않으나 그 끝나는 지점은 원칙적으로 제일 긴 산줄기를 따라 갔으나 어느 유명한 산이나 천이나 강의 울타리 또는 합수점을 찾아가기 위해서 짧은 줄기를 택한 경우도 있고 고만고만한 산줄기가 여럿 있을 경우 제일 큰 동네로 갔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내 임의대로 선택을 하였다

 

 

□. 참고사항

 

 

여기서 산의 격을 구분짓는 00km란 거리는 5만분의1지형도를 맵자로 잰 거리이므로 재는 방법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100km, 30km, 10km와 같은 기맥 지맥 단맥 여맥의 경계선상의 수치는 어느 정도 오차가 발생해 추후 산줄기의 격이 틀려질 수 있다

 

 

“00산(?000, 00/00)”이라함은

00산(삼각점?높이m, 거리km/거리누계km)를 나타내는 것이다

 

“00).” 이라는 산줄기 앞의 숫자는 직접 정맥에서 분기한 순서이며 “(00)”이라는 산줄기 뒤의 숫자는 지맥급이나 단맥급 산줄기의 갯수를 나타내는 것임

 

이러한 한북정맥에서 분기된 산줄기들을 요약해보면 정맥에서 16개의 산줄기가 직접 분기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2개의 기맥이 분기하고 있고 8개의 지맥분맥 1개 그리고 단맥이 37개 정도와 수많은 여맥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 거의다 이미 답사를 완료하였으며 다만 군부대나 민통선의 제약 때문에 선뜻 답사를 하지 못하고 있는 몇 개의 단맥이 있음을 밝히며 시간 나는대로 답사를 게을리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산줄기수체계도(족보식)를 살펴보면

 

소계 48

2

8

1

37

1,139.5

 

 

분수령

한북정맥

 

 

 

 

176.8

 

 

백암산

 

한북백역지맥

 

 

 

 

×

 

한북정맥

장바위산

한탄기맥

 

 

 

 

 

 

삼천봉

동남측

 

한북해산지맥01

 

 

39.8

화천

 

 

 

주파령 동남측

 

한북해산백암단맥01

14.8

화천

 

 

 

 

한목령 서북측

 

한북해산신읍단맥02

14.8

화천

 

 

 

 

한목령 서북측

 

한북해산수리단맥03

19

화천

 

 

 

 

일산(해산)

 

 

 

화천

 

 

 

화천읍 동촌리

모일마을 파로호

終 39.8km

 

 

 

화천

 

말고개

서남측

 

 

 

한북상서단맥04

24

화천

 

 

 

복주산 북측

 

 

 

한북두류단맥05

26.4

화천

 

 

 

 

 

 

실내고개동측→

한북두류비례단맥06

13.3

화천

 

 

 

 

 

 

두류산 북측→

한북두류백적단맥07

16

화천

 

 

 

 

 

 

두류산 북측→

한북두류장군단맥08

17

화천

 

 

광덕산

북동측

 

 

 

한북상해단맥09

22

철원

 

광덕산

 

한북명성지맥02

 

 

52.3

포천

 

 

 

각흘산

한북명성대득분맥01

 

32

철원

 

 

 

 

대득봉

 

 

철원

 

 

 

 

철원군 갈말읍

토성리 하토동

남대천 한탄강

합수점 終

32km

 

 

철원

 

 

 

명성산

 

 

 

철원

 

 

 

사향산

 

 

 

 

 

 

 

관음산

 

 

 

 

 

 

 

불무산

 

 

 

 

 

 

 

보장산

 

 

 

포천

 

 

 

포천시 창수면

신흥리 아우라지

나루 영평천과

한탄강 합수점 終

52.3km

 

 

 

포천

 

도마치봉

 

한북화악지맥03

 

 

43

가평

 

 

 

화악산

 

한북중봉단맥10

15.4

가평

 

 

 

응봉

 

한북화악소알미단맥11

14

춘천

 

 

 

 

북배산

 

한북화악구진대단맥12

11

춘천

 

 

 

 

계관산

 

한북화악보납단맥13

13.2

가평

 

 

 

삼악산

 

 

 

춘천

 

 

 

춘천시 서면

당림리 원당

북한강 終

43km

 

 

 

춘천

 

강씨고개

남측

 

한북연인지맥04

 

 

45

가평

 

 

 

귀목봉

 

 

 

가평

 

 

 

명지3봉

 

한북연인명지단맥14

10

가평

 

 

 

연인산

 

한북연인구나무단맥15

15.1

가평

 

 

 

깃대봉

 

한북연인송이단맥16

10

가평

 

 

 

매봉

 

한북연인칼봉단맥17

10

가평

 

 

 

불기산

 

 

 

가평

 

 

 

주발봉

 

 

 

가평

 

 

 

호명산

 

 

 

가평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 청평1교

조종천과 북한강

합수점 終

45km

 

 

 

가평

 

원통산 남측

 

 

 

한북금주단맥18

21

포천

 

수원산 동측

 

한북천마지맥05

 

 

50

포천

 

 

 

주금산 남측

 

한북천마축령단맥19

21.2

가평

 

 

 

천마산

 

한북천마어남이단맥20

12

남양주

 

 

 

 

천마산 남측

 

한북천마송라단맥21

10

남양주

 

 

 

백봉

 

한북천마문재단맥22

17.7

남양주

 

 

 

예봉산

 

 

 

남양주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마현

팔당호 終

50km

 

 

 

남양주

 

수원산

 

 

 

한북천주단맥23

15.5

포천

 

축석령

동남측

 

한북수락지맥06

 

 

40

의정부

 

 

 

용암산 남측

 

한북수락퇴뫼단맥24

14

남양주

 

 

 

수락산

 

 

 

노원구

 

 

 

불암산

 

 

 

노원구

 

 

 

서울시 광진구

광장동 광진교

한강변 終

40km

 

 

 

광진구

 

축석령

서북측

 

한북소요지맥07

 

 

31.5

양주

 

 

 

천보산

 

한북소요칠봉단맥25

10.3

양주

 

 

 

왕방산

 

한북소요덕령단맥26

20.3

포천

 

 

 

국사봉

 

한북소요종현단맥27

19.4

포천

 

 

 

소요산

 

 

 

동두천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 수동천과

신천 합수점 終

31.5km

 

 

 

연천

 

한강봉

 

한북감악지맥08

 

 

40.7

양주

 

 

 

노고산

 

한북감악금병단맥28

18.8

파주

 

 

 

스르레미고개

남측

 

한북감악파평단맥29

12.1

파주

 

 

 

 

 

비학산→

한북감악파평명학단맥30

15

파주

 

 

 

 

 

금곡고개 동측→

한북감악파평광평단맥31

13.3

파주

 

 

 

설머치고개

서측

 

한북감악국사단맥32

21.8

파주

 

 

 

 

감악산

 

한북감악중성단맥33

10.6

파주

 

 

 

 

마차산

 

 

 

동두천

 

 

 

연천군 전곡읍

고릉리 한탄강 終

40.7km

 

 

 

연천

 

한강봉 남측

한북기맥

 

 

 

 

양주

 

사패산

 

 

 

 

 

의정부

 

우이암

 

 

 

한북주안단맥34

11.5

도봉구

 

 

우이령

서남측

 

 

 

한북삼각(북한)단맥35

25.5

강북구

 

 

 

 

 

칼바위→

한북삼각배봉단맥36

16.4

성북구

 

 

 

 

 

보현봉 북측→

한북삼각비봉단맥37

16

은평구

 

고봉산

 

 

 

 

 

고양

 

장명산

 

 

 

 

 

파주

 

파주시 교하읍

오도리

두천과 곡릉천

합수점 終

176.8km

 

 

 

 

 

파주

 

 

02. 한북정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 1 지형도 도엽명 : 화천 갈말 일동 포천 성동 서울 김포 개성

 

 

백두대간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흐르다가 원산 부근 분수령에서 서남 방향으로 한줄기를 내어 한강과 임진강의 수계를 가르며 흐르는 산줄기로써 백암산 법수령을 지나 휴전선에 접근하면 벌집처럼 요새화 되어 있다는 오성산이 북녘의 척후병이 듯 철책 넘어 대성산은 동장군의 척후병으로 남녘을 지킨다(조석필의 태백산맥은 없다에서)

 

 

한강의 북쪽 울타리로써 광덕산 백운산 국망봉 운악산 지나 포천에서 의정부길 여는 축석령을 넘으면 이 땅의 수도가 열린다

 

 

백두대간의 정기가 도봉 삼각산(북한산) 솟구치고 노고산 지나 비산비야의 고양 땅을 누비다가 그래도 아쉬운 듯 견달 고봉산을 빗고 한강 하구 장명산에서 그 흐름을 멈추는 산줄기이다

 

그런데 실제로 장명산을 답사한 결과 어느 책에서 말하는 채석장이 되어 없어진 것이 아니고 교하환경이라는 회사가 건축물 쓰레기를 매립하는 매립지이며 (산을 파내고 거기에 쓰레기를 매립하는 것이다 흙팔아 좋고 쓰레기 수거료 받아서 좋고 꿩먹고 알먹고다)

 

 

한강 하구에서 공릉천을 타고 한참 내륙으로 들어온 곳 공릉천변 남쪽에 있는 산이다

 

그러므로 엄밀히 따진다면 그 당시에 수도를 지키는 수호신격인 도봉산 삼각산(북한산)을 산경표에 끌어드리기 위하여 지금의 한북정맥이 된 것이란 생각이 들기도 하고

 

보다더 산줄기 형태가 뚜렷하여 생활권을 가르는 경계(수도권과 파주권)를 분수령으로 한북정맥의 산줄기가 그리 간 것도 같은 생각을 해본다

 

 

산경표의 원리대로 한다면 도봉산 오기 전 한강봉과 챌봉 사이에서 서진하는 산줄기를 따라 고령산 개명산 박달산 월롱산 기간봉을 지나 한강 하구에 있는 오두산(鰲頭山) 통일 전망대에서 끝이나야 맞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산경표(山經表)에서 확인해 봐도 장명산은 교하 동쪽 3리에 있는 산이라고 표기하고

오두산은 교하 서쪽 7리이고 한수단강합기하(漢水?江合其下)라고 표기하고 있다

 

장명산은 교하라는 마을에서 동쪽 즉 내륙으로 3리 즉 1.62km 떨어져 있고

오두산은 교하마을에서 서쪽으로 즉 바닷가로 7리 3.78km 떨어진 곳에 한강물이 여울지는 두 강과 합쳐지는 그 아래에 있다고 아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참고로 예전의 우리나라 1리는 지금의 거리로 환산을 해보면 약0.54km를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가 있다

 

언젠가는 한번 답사를 해 볼만한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생각되어 2002년 7월 한북기맥이라고 칭하고 답사를 완료 하였다

 

01. 한북해산(일산)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금성 화천 양구

 

 

한북정맥이 백두대간 원산 추가령지구대 분수령에서 서남 방향으로 분기하여 흐르다 이북에 소재하는 백암산에서 한북백역지맥을 떨구고 장바위산에서 한탄기맥을 흘리고 나서

철원군 근남면 마현리에 있는 삼천봉을 지나 동남방향으로 흘러 승암고개로 내려섰다가 올라간 철원군 근남면, 원남면, 화천군 상서면의 삼면지점인 적근산어깨(910)에서 한북정맥은 서남방향으로 흐르고 한줄기를 북동방향으로 분기하여 철원군과 화천군의 군계를 따라

 

 

赤近산(△1073.1, 1.3)-장고봉(730, 4.4/5.7)-주파령(470, 2.4/8.1)-

1주일 전에 군청에 신청해야 오를 수 있다는 칠성전망대(644.7, 0.8/8.9)-

백마골임도(590, 2.1/11)-895.4봉-철원군 원남면, 화천군 상서면, 화천읍의 삼면봉인 등고선상1030봉(3/14)에서 북쪽으로 백암산전망대를 설치할 예정이며 가곡 비목의 탄생지이며 흰바위산이라고도 불리는 白岩산(△1179.2, 여맥)을 떨구고 화천군 상서면, 화천읍의 경계를 따라 동남진 한다

 

도면상 1057.2봉(3/17)에서 서쪽으로 한북해산신읍단맥을 떨구고 순수한 화천읍내로 들어가 동남진 하여 등고선상 1030봉(1.5/18.5)에서 남쪽으로 한북해산수리단맥을 떨구고 대체적으로 동남진하여 742.8봉을 지나

 

7번군도 한묵령(530, 3.5/22)으로 내려선다

 

해산터널(1010, 4/26)-△1194.2봉(2.2/28.2)-海山(日山, 1150, 2/30.2)-

△931.5봉(4/34.2)-△451.8봉(3/37.2)-모일현(230)-296봉을 지나 화천읍 동촌리

모일마을 파로호변(170, 2.6/39.8)에서 끝이나는 약39.8km의 산줄기에 이름이 없다

 

그래서 그 산줄기 중 제일 높고 그래도 이름이 조금은 알려져 있는 일산의 이름을 빌어 한북정맥에서 분기한 30km이상 100km미만의 지맥급에 해당하는 산줄기임으로 도면상에 표시된대로 한북일산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하였는데 답사결과 마음이 바뀌었다

 

 

즉 여기서 이름 하나만을 정한다하면 지도에는 별로 달갑지 않은 日山이라 되어 있으나 이 지방 사람들은 관공서고 민간인이고 전부 해산이라고 해야 알아듣지 일산이라고 하면 아는 사람들이 전무하다

 

사람들에게 회자되지 않은 이름보다는 만인들이 알고있는 이름으로 지도를 하루 빨리 수정을 해야 맞는 이치일 것이라 사료되어 나는 “한북해산지맥”이라고 불러야 된다고 생각한다

 

 

01. 한북해산백암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금성 화천 방산

 

 

한북해산지맥 주파령에서 칠성전망대 지나 백마골임도에서 오른 895.4봉을 지나 철원군 원남면, 화천군 상서면, 화천읍의 삼면봉인 등고선상1030봉에서 북쪽으로 백암산전망대를 설치할 예정이며 가곡 비목의 탄생지이며 흰바위산이라고도 불리는 白岩산(△1179.2, 4.7)을 진행해 시종일관 철원군과 화천군의 경계를 따라 1051봉(2.7/7.4)-876봉(1.4/8.8)에서 경계선을 벗어나 북진을 하며 ?833.3봉(1.2/8.6)-△780.1봉(2.2/10.8)-641봉을 지나 철원군 원동면 등대리 북한강변(190, 4/14.8)에서 끝나는 약14.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 한북해산신읍단맥

한북해산지맥 백암단맥 분기점을 지나 1057.2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730.3봉(2.2)-562.9봉(2.9/5.1)-486봉(6.2/11.3)-461번지방도로(3/14.3)을 지나 화천읍 신읍리 동지화마을 인근 신읍천이 화천천을 만나는

신읍2교(150, 0.5/14.8)에서 끝나는 약14.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 한북해산수리단맥

일산지맥이 철원군 원남면 주파리와 화천군 상서면 산양리를 넘는 주파령을 넘어 한묵령으로 가는 도중 등고선상 1010봉에서 지맥은 동쪽으로 가고 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수리봉(921.9) 율대임도 새덕이도로 뱀머리고개 후덕마을 상대리 금호사 하대이리 461번지방도로 북한강을 넘는 대붕교 서남측에서 북한강물이 되는 도상거리 약19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4.한북상서단맥

한북정맥이 남하하면서 적근산 지나 5번국도 말고개를 넘어 대성산으로 오르다가 등고선상930m 지점에서 동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중고개 신월동임도 가래골임도 화천군 상서면사무소 능선 461번지방도로와 5번국도가 만나는 삼거리 282.9봉을 지나 다목천이 화천천을 만나는 곳에서 끝나는 도상거리 약2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5.한북두류단맥

한북정맥이 남하하면서 대성산 56번국도 수피령을 지나 복주산 가기 전 무명1070봉에서 정맥은 남진하고 동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화천군 사내면과 상서면의 경계를 따라 788.5봉-56번국도 화천군 상서면 다목리와 사내면 명월리를 이어주는 실내고개(2.5)-890봉(2/4.5)에서 동쪽으로 한북두류비례단맥을 떨구고 남진한다

 

 

만산현임도(1.2/5.7)-재치고개-966.8봉(2.5/8.2)에서 북동으로 한북두류백적단맥을 떨구고 사내면과 하남면의 경계를 따라 남진하며 890봉(2/10.2)에서 동쪽으로 한북두류장군단맥을 떨구고 서남진한다

 

두류산(992.9)어깨(1.3/11.5)-명지현-928.9봉(2.5/14)에서 화천군 하남면과 춘천시 사북면의 경계를 따라 813.7봉(2/16)을 지나

토보산(589)전위봉(810, 2.2/18.2)에서 순수한 하남면내로 들어가 서진한다

 

 

5번국도 달거리고개(4/22.2)-새고개-복고개를 지나 화천군 하남면 서오지리 지경끝마을 북한강변(4.2/26.4) 한북정맥 광덕산이 발원지인 지촌천이 북한강을 만나 북한강물이 되는 곳에서 끝이나는 도상거리 약26.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6. 한북두류비례단맥

한북두류단맥 실내고개에서 동쪽으로 오른 등고선상890봉에서 북동쪽으로 분기하여 914.5봉-임도(1.2)-비례바위산(970)-비례바위봉(688.9, 2.8/4)-

758봉(2.6/6.6)-5번군도(3.5/10.1)-노적봉(330, 1.6/11.7)을 지나 8번군도와 5번국도가 만나는 삼거리 화천군 상서면 신대리 신풍교 구운천이 다목천을 만나는 곳(1.6/13.3)에서 끝나는 13.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 한북두류백적단맥

한북두류단맥이 실내고개 만산현 지나 두류산으로 가기전 화천군 상서면, 하남면, 사내면의 삼면봉인 도면상966.8봉에서 두류단맥은 남쪽으로 가고 북동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백적산(883.5) 5번군도 홍고개

성산(348.3) 화천읍사무소를 건너가는 화천교 다리앞까지 도상거리 약1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8. 한북두류장군단맥

한북두류단맥이 실내고개 만산현 지나 백적단맥 분기점을 지나 등고선상870m 부근에서 동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장군산(847) 홍촌고개 하남면사무소 앞에서 북한강물이 되는 도상거리 약1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9.한북상해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갈말 김화

 

 

한북정맥이 대성산 수피령 복주산 하오현 회목현 지나 광덕산으로 가던 중 올라챈 T자 능선상에서 왼쪽으로 잠깐 내렸다 오르면 광덕산이고

오른쪽으로 진행해 시종일관 강원도 철원군 서면과 근남면의 경계를 이루며 북진을 하여 상해봉 933봉 834봉 신술현 676봉 694봉 716봉 457봉

아리랑고개 334봉 남대천으로 이어지는 약22km의 산줄기를 나는 한북상해단맥이라 이름 짓는다

 

 

02. 한북명성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갈말 철원

 

 

한북정맥이 백두대간 원산 분수령에서 분기하여 서남진 하다 대성산 복주산을 빗고 어머니 품같이 넓고 포근한 광덕산을 일으켜 세운 뒤 동남쪽으로 광덕고개 백운산으로 흐르고 이 廣德산(△1046.3)에서 서남쪽으로 흐르는 한줄기 더 만들어

 

 

972봉-朴達봉어깨(830, 2.1)-△543.2봉-47번국도 자등현(450, 1.9/4)-

角屹산(△838.2, 2.2/6.2)-765봉-약사령 임도(550, 2.2/8.4)-

鳴聲산(△922.6)어깨(910봉, 2.4/10.8)-삼각봉(903, 1.4/12.2)까지 강원도와 경기도를 나누고 안덕재(510, 2.6/14.8)-589봉-바깥덕재(530, 1/15.8)-

여우봉(710, 1.4/17.2)를 지나 여우고개(430, 1.2/18.4) 도로로 내려선다

 

 

麝香산(750, 2.4/20.8)-△664.5봉-낭유고개(370, 1.5/22.3)-

觀音산(△733.0, 2.4/24.7)을 지나 등고선상610m(1.2/25.9) 지점에서 포천군 이동면과 북면의 경계를 떠나 영북면내로 들어가 북쪽으로 진로를 바꾸어 459봉-우물목고개(370, 1.5/27.4)-501봉-△315.8봉을 지나

43번국도 도내지고개(150, 3.7/31.1)로 내려선다

 

 

佛舞산(△668.8, 2.5/33.6)-643봉(1/34.6)-336봉-

대회산리고개 도로(230, 2.5/37.1)-△271.5봉(1.8/38.9)을 지나

운산리고개 도로(130, 1.3/40.2)로 내려선다

 

259봉-寶藏산(555, 3/43.2)-△247.5봉(3.5/46.7)-

신흥리도로(110, 1.7/48.4)-신흥리도로(70, 1.2/49.6)-194봉을 지나 포천시 창수면 신흥리 한탄강과 영평천이 만나는 아우라지(50, 2.7/52.3)에서 그 맥을 다하는 약52.3km 정도의 산줄기에 산경표에는 이름이 없어 그 산줄기 중 가장 유명하고 궁예가 울며 숨어지냈다 하여 명성산이라는 산이름을 얻은 그 높은 명성산의 이름을 빌어 한북정맥에서 분기한 30km이상 100km미만의 지맥급에 해당하므로 한북명성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산경표 59, 61頁을 살펴보면

 

 

(五九頁)

10)白雲山 永川東六十里 分二?-1

(61혈)1-觀音山 西來 永平北二十五里

佛谷山 一作佛目 永平治在南五里

 

 

산경표에는 분기점을 광덕산이라 아니하고 그 다음에 나오는 백운산이라고 표기를 하였는데 아마도 그 옛날에는 그 일대 산을 백운산권으로 보지 않았느냐 하는 추측을 해보지만 확답을 하긴 어렵다

 

다만 그 다음에 분기한 산줄기를 영평 북쪽 25리에 있는 관음산과 남쪽 5리에 있는 영평에 속하는 불목산이라고 불리는 불곡산으로 이어지고 있는 이 산줄기로 관음산은 지금도 관음산이며 불곡산은 지금의 불무산으로 추정이 되고 있어 바로 이 산줄기가 한북명성지맥의 산줄기라고 말할 수있다

 

 

01한북명성대득분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갈말 김화

 

 

한북정맥이 흐르다 철원군 서면, 화천군 사내면, 포천시 이동면의 삼면봉인 천문대가 있는 광덕산(△1046.3)에서 한북정맥은 동남방향으로 흐르고 명성산으로 가는 한북명성지맥을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철원군과 포천시의 경계를 따라 자등현을 지나 철원군 갈말읍, 서면, 포천시 이동면의 삼면봉인 角屹산(△838.2) 직전 헬기장에서 지맥은 서쪽방향으로 흐르고 한줄기를 북쪽으로 분기하여 철원군 갈말읍과 서면의 경계를 따라

 

△752.2봉-△795.5봉(4.1)어깨-악희봉(710)-목련공원 싸리골도로(2.3/6.4)-

463번지방도로(1.2/7.6)-△542.9봉-△565.4봉(3.7/10.1)-임도(1/11.1)-

임도-513봉-大得봉(△630.4, 3.5/14.6)-511봉을 지나

43번국도 가로개고개(갈현고개, 3.7/18.3)로 내려선다

 

태봉(△560.1, 1.5/19.8)-임도-도면상570봉(2.5/22.3)-456봉-577봉-

△588.7봉(5/27.3)을 지나 철원군 갈말읍 토성리 하토동 남대천과 한탄강이 만나는 곳(4.7/32)에서 끝이나는 약3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 한북화악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갈말, 일동, 춘천, 화천(참고도면)

 

 

한북정맥이 남한 구간인 대성산 수피령 복주산 광덕산 광덕고개

포천 백운동계곡으로 유명한 백운산 도마치봉 지나 1km 정도 더 남하하여

헬기장인 무명봉에 이르러

한북정맥은 오른쪽 국망봉 운악산 쪽으로 계속해서 내달리고

한북화악지맥은 왼쪽으로 한줄기가 분기하여 시종일관 경기도와 강원도의 경계를 따라

도마치 석룡산 경기제1봉인 화악산 실운현 응봉 촉대봉 홍적고개 몽덕산 납실고개 가덕산 북배산 싸리재고개 계관산에서 도경계능선은 직진 남쪽으로 빠지고

 

지맥은 남쪽으로 기울어진 동쪽 방향으로 뻗어나가다 서서히 남쪽으로 머리를 돌려 460봉 394봉 546봉에서 동진하여 협곡의 등선폭포로 유명한 춘천 삼악산에서 북한강으로 잦아드는 약43km 정도의 웅장한 산줄기를 나는 한북화악지맥이라 이름한다

 

 

특이한 것은 경기 5악중 제 1악인 화악산이 경기도 강원도 도경계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북한산 정상인 백운대가 경기도 서울시의 경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경계에서 벗어난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화악산도 경계에서 남쪽으로 치우쳐 중봉 애기봉으로 이어지는 순수한 경기도내의 산이라는 점이다

 

한북정맥이나 포천 춘천 화천 등 일원의 산봉우리에서 바라보면 군계일학으로 우뚝 솟아 하늘에 떠서 군사시설물을 잔뜩 이고 힘들어하고 있는 산이 바로 화악산이다

 

이 화악산을 중심으로 경기도내의 최고의 오지를 형성하고 있어 접근하기가 용이치 않은 산이기도 하다

 

 

10. 한북화악중봉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일동 춘천

 

 

한북정맥이 남하하다 백운산 지나 국망봉으로 가면서 헬기장인 무명봉에서 동쪽 도마치로 한줄기를 떨구니 바로 한북화악지맥이라

이 한북화악지맥이 도마치 석룡산을 지나 화악산어깨에서 동쪽 응봉 방향으로 내달리고 어깨에서 남쪽으로 경기 제1봉인 화악산으로 올라 화악중봉을 거쳐 수덕산을 지나 가평군 북면 목동리 목동초교 건너는 다리 앞에서 가평천과 화악천이 만나 가평천이 되는 약15.4km의 산줄기이다

 

그 흐름을 살펴보면

화악산어깨(1450m)-화악산(1468.3m, 0.5km)-중봉(1450, 1/1.5)-

애기봉(1055.3, 3.2/4.7)-애기고개(630, 2/6.7)-수덕산(794.2, 3.5/10.2)-

410봉(2.2/12.4)-목동초교 다리(110, 3/15.4)

 

 

11. 한북화악소알미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춘천

 

 

한북정맥이 수피령에서 광덕산 지나 남으로 흐르다 국망봉으로 가던중 무명 헬기장에서 동쪽 화악산으로 분기한 한북화악지맥이 화악산을 지나다 응봉으로 올라챈 다음 지맥은 남쪽 촛대봉으로 흐르고 한줄기가 북쪽으로 분기하여 화천군사내면과 사북면의 경계를 따라가다 무명 1300봉에서 순수한 사북면내를 남북으로 나누며 소알미산(431.1) ?박산(308) 5번국도를 넘어 사내면 신포리 챙벌에서 사내천이 북한강과 만나 북한강물이 되는 도상거리 약14km 의 산줄기를 말한다

 

 

12. 한북화악구진대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춘천

 

 

한북화악지맥이 화악산 응봉 지나 복배산에서 지맥은 남진하여 계관산으로 흐르고 동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춘천시 서면을 남북으로 나누며

구진대(387) 신영강 403번지방도로에서 덕두원으로 들어가는 도로에서 끝이나는 약11km 의 산줄기를 말한다

 

 

13. 한북화악보납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춘천

 

 

한북정맥이 수피령에서 남으로 흐르다 백운산 지나 국망봉으로 가던중 무명 헬기장에서 동쪽으로 한줄기를 떨구니 한북화악지맥이라

이 지맥이 화악산을 지나 북배산 계관산을 지나 작은 촛대봉(665.4m)에서 춘천의 명산 삼악산으로 가는 산줄기를 나는 한북화악지맥이라고 이름을 짓고 종주를 한바 있다

작은 촛대봉(말이 봉우리이지 실제로는 약간의 둔덕일 뿐이다)에서 왼쪽 남쪽으로 한줄기를 떨구니 바로 가일고개 월두봉어깨 물안산 보납산을 거쳐 가평천과 북한강이 만나는 곳에서 북한강 물이 되는 약13.2km의 산줄기를 이름한다

 

 

여기서 화악지맥이 과연 삼악산으로 가는 것이 맞는 것인지 보납산으로 가는 것이 맞는지 생각해 볼일이다

산경표의 원리대로라면 가평천과 북한강이 만나는 보납산으로 가는 산줄기가 화악지맥이라고 할 수가 있지만 나는 강촌 삼악산의 지명도가 현저히 높아 산줄기의 흐름을 그쪽으로 정한 것 뿐인 것이다

그래서 화악지맥의 끝부분이 삼악산이나 보납산이나 어느 산줄기든 상관치 않는 입장이다

이미 삼악산으로 가는 산줄기를 화악지맥으로 정하고 종주를 하였으므로 보납산줄기를 단맥의 이름으로 부르는 것뿐인 것이다

 

 

여기서 정작 문제가 되는 것은 계관산이 과연 어느 봉우리인가 하는 점이다

5만분의1 지형도에는 분명히 삼악산으로 가는 갈림 둔덕을 계관산이라고 표기를 하고 있으나

가평군에서 세운 이정표에는 분명히 도면상 계관산이라 표기한 둔덕에서 북쪽으로 1km 정도 더 올라간 등고선상 710봉을 계관산이라고 표시를 하고 있고

김형수의 400산 산행기에도 710봉을 계관산이라고 표시를 하고 도면상 계관산을 작은촛대봉이라고 표기를 하고 그 높이를 665.4m 라고 하고 있다

 

 

어느 봉우리가 진실된 계관산인지 알 길은 없으나 갈림 둔덕인 도면상 계관산에서부터 방화선 길이 시작되며 갈 길이 확실히 한눈에 들어오는데 710봉이 닭벼슬 정점이고 올라선 갈림 둔덕은 분명히 닭벼슬 끝부분임을 지형상 추측을 해볼수 있고

 

산이라는 것은 객관적으로 어느 정도의 풍모를 지니고 있어야하는데 산줄기의 일부를 어떤 산이라고 지칭을 하지는 않는다 그 일대의 산줄기중 가장 높은 정점을 그 산줄기의 대표성을 부여해 00산이라고 통상적으로 부르고 있는 것이다

 

물론 달개지도로인 가일고개에서 싸리재까지 아무데나 계관산이라고 불러도 틀린 말은 아님은 물론이다

지리산하면 태극능선 전체가 지리산이다 다만 그 산줄기중 가장 높은 대표성을 갖고있는 정점이 천왕봉이므로 지리산하면 천왕봉이 될 뿐인 것이다

 

 

모든 것을 종합해볼때 나는 710봉이 계관산이고 갈림둔덕은 계관산의 일부인 작은촛대봉이 맞는 것 같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저의 한북화악지맥종주기를 참고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그 흐름을 살펴보면

 

작은촛대봉(665.4m)-경기도와 강원도의 경계를 따라

가일고개(310m, 1.7km)-390봉(1.3km/3km)-

452.8봉(월두봉)어깨(370, 2.7/5.7)-물안산(438,2. 4/8.1)-

보납산어깨(230, 3/11.1)-자리목철교(90, 1.4/12.5)-북한강변(50, 0.7/13.2)

 

 

04. 한북연인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일동 양수 용두(참고도면)

 

 

한북정맥이 국망봉에서 강씨봉고개(오뚜기령)를 지나 890봉에서 머리를 서남방향으로 돌려 청계산 노채고개 운악산으로 흐르고 이 890봉에서 또 한줄기가 동쪽으로 분기하여

 

귀목봉(1036m)-귀목고개-1199봉-아재비고개-우목봉(연인산1068m)-전패봉(1056m)-우정봉(910m)-

전패고개(우정고개)-매봉(929m)-깃대봉(909m)-대금산(704m)-592봉-불기산(600m)-빛고개(46번국도)-

주발봉(489m)-큰골도로-597봉-613봉-호명산(632m)-호명굴-청평공고에 이르는 약45km에 달하는 산줄기를 이름한다

 

 

이 구간중 요즘 가평군에서 철쭉제 등을 통해 산이름을 우목봉에서 연인산이라 고쳐 불러 유명한 산이 된 연인산이 그 주인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좀 미덥지는 않지만.....

 

이 지맥에서 또 다시 수려한 단맥들을 분기하는데

 

 

1199봉에서 명지산과 백둔봉을 분기하고

연인봉에서 구나무산 옥녀봉을 분기하고

매봉에서 칼봉산을 분기하고

깃대봉에서 수리봉을 분기하고

592봉에서 청우산을 분기한다

 

 

이 산줄기 서쪽으로 떨어지는 물은 예외 없이 조종천으로 흐르고

동쪽으로 떨어지는 물은 가평천과 북한강으로 흘러들어

결국 그 끝에서 한북연인지맥은 그 맥을 다하고 북한강이 되어버린다

 

 

14. 한북연인명지단맥

한북정맥이 국망봉 지난 강씨봉고개에서 890봉을 거쳐 청계산 운악산으로 흐르고 890봉에서 한줄기를 더 만들어 동쪽으로 흐르다 귀목봉을 빗고 1199봉을 지나 남진하면서 연인산으로 지맥이 흐르고

여기 1199봉에서 한줄기를 더 만들어 1250봉을 지나 명지산 장막봉(관청봉) 683봉을 거쳐 익근리 가평천에서 그 줄기를 다하는 약10km 정도의 산줄기를 이름한다

 

이 명지산이 빗어낸 익근리 명지계곡은 소와 담 폭포가 어우러진 진짜 청정지역이다 흠이라면 협곡성으로 발달되어 시원하게 눈을 즐겁게 해주지 않는다는 점이다

 

 

15. 한북연인구나무단맥

한북정맥이 백운산 국망봉 강씨봉(오뚜기)고개 작은귀목봉에서 서남쪽 청계산 운악산으로 내리달리고

이 작은귀목봉에서 동쪽으로 한줄기를 내어 귀목봉 연인산(우목봉) 매봉 대금산 불기산 청평호반의 호명산으로 이어져 북한강으로 함몰하는 한북연인지맥을 떨구었다

 

 

이 한북연인지맥의 대표격인 연인산에서 동남방향으로 뻗은 산줄기가 있으니 그 흐름을 살펴보면

연인산 연인능선갈림길 장수봉 송학봉 장수고개 바른골봉 구나무산(노적봉) 조옥동갈림길 옥녀봉 승안리에서 연인산과 매봉 사이의 승경을 두루 갖춘 용추구곡의 끝자락에서 만나 가평천으로 잦아드는 약 15.1km 정도의 산줄기를 나는 한북연인구나무(노적)단맥이라 부른다

 

이곳은 몇 년전 가평군에서 의욕을 가지고 개발한 곳으로 매년 철쭉제를 지내고 있어 더욱 유명해진 곳이다

 

현재 개발 과정에서 지명이 바뀌거나 신설되어 많이 헷갈리는 지역이기도 하다

 

 

우선 아는대로 열거해 보면

명칭이 바뀐 곳은

우목봉→연인산, 전패고개→우정고개, 구나무산→노적봉, 승안천→용추구곡,

명칭이 신설된 곳은

우정봉, 장수봉, 송학봉, 연인골,우정고개, 우정능선, 장수능선, 연인능선, 소망능선, 청풍능선 등이다

최근에 가평군에서 제작한 가평군관광안내도에 대충 이런 지명들이 나온다

 

그러나 전패봉은 왜 이름을 바꾸지 않았는지 모르겠다

혹시 우정봉이 전패봉인 것을 내가 잘못 알고 있을 수도 있겠다

 

 

16. 한북연인송이단맥

연인지맥에서 무수한 단맥을 형성하고 있는데 그 중에 깃대봉에서 동쪽으로 뻗은 산줄기가 있으니 그 흐름을 살펴보면 깃대봉 송이봉 수리봉 415봉 203봉 지나 가평읍 하색리 질경마을 앞 북한강변에서 끝이 나는 약10km 정도의 산줄기를 나는 한북연인수리단맥이라 부른다

 

 

17. 한북연인칼봉단맥

한북연인지맥상 매봉에서 작은 줄기 하나를 갈래쳐서 동쪽으로 흐르는 줄기가 있는데 그 흐름을 살펴보면

매봉 회목고개 칼봉산 양아터고개 수정봉에서 가평군 경반리 말구리마을로 뻗어 경반계곡을 따라 가평천으로 흘러드는

약10km의 산줄기를 나는 한북연인칼봉단맥이라고 부른다

 

 

한북연인청우여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일동 양수

 

 

한북연인지맥이 명지산 연인산 대금산을 지나 남진하면서 도면상 592봉에서 연인지맥은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불기산 빛고개 주발봉 가평팔경중 하나인 호명호수를 이고 있는 호명산으로 이어지고

 

또한 줄기는 계속 남하하여 청우산 461봉 조종내 37번국도와 46번국도가 만나는 삼거리 조종천변에서 끝나는 약 7km 정도의 짧은 산줄기가 있다

 

 

조종천을 끼고 있는 맨 마지막 산으로서 정상에 서면 사방으로 안보이는 곳이 없는 일망무제의 조망이 뛰어나고 덕현리 등 맑고 수량이 많은 조종천변 유원지가 산재해 있어 많은 사람들이 부담없이 오를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는 산이 바로 청우산이다

 

 

이 산을 그냥 연인지맥에 포함시켜서 묻어 버릴수도 있지만 좀 아쉬운 면이 있어 한북연인청우여맥이라 이름을 부여하고 종주길에 나서본다

 

 

18. 한북금주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일동 갈말

 

 

한북정맥이 원산 분수령에서 시작하여 북한땅을 지나 남한 최후의 첨병인 대성산에서 광덕산 백운산을 지나 노채고개로 자지러들었다가 원통산에서 운악산을 향해 가던 중 암릉구간 가기 전 오른쪽으로 희미한 줄기를 하나 떨어뜨리고 한북정맥은 운악산으로 오른다

 

 

떨어진 줄기는 포천군 화현면 화현2리 강구동마을 북쪽 울타리를 치면서 강구동에서 양지말 넘는 47번 국도를 넘어 도면상 신기마을 연릉동안부 223봉 양지편고개 용호동고개 포천읍내와 이동면을 이어주는 37번 국도 생이고개로 떨어졌다가

 

224봉 546봉(금주산어깨)으로 힘차게 솟구쳐서 포천군 영중면과 이동면의 경계를 가르며 북진해 568봉 곰넘이봉 549봉 472봉 484봉 관모봉 풍월산 영평천 성동교에서 끝이 나는 약21km의 산줄기를 나는 한북금주단맥으로 부르기로 한다

 

 

05. 한북천마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일동, 성동, 양수, 포천(참고도면)

 

 

산줄기 이름이 없는 산줄기

그 산줄기들을 내 나름대로의 원칙을 가지고 이름을 지어 종주하고자 한다

 

대간이나 정맥에서 흘러나와 대체적으로 큰 강을 가르는 산줄기를 조석필씨의 산경표를 위하여에서 기맥이라 부르고 있다

 

대간이나 정맥 또는 기맥에서 흘러나와 기맥보다 작은 물줄기를 가르며 어느 정도 규모를 가지고 있는 산줄기를 지맥으로 부르자고 한다

여기서 대간이나 정맥 기맥 지맥에서 분기하여 역시 지맥보다는 그 규모가 크지 않으나 지맥과 버금가는 산줄기를 나는 분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위에서 열거한 산줄기 외에 단지 몇 개의 산을 가지며 금방 그 맥이 스러지는 짧은 산줄기를 단맥으로 부르기로 정한다

 

이름 붙이는 순서는 대간 정맥 기맥 지맥 분맥 단맥 순으로 늘어놓는다

 

 

한북정맥을 예로 들자면

포천 수원산에서 남쪽으로 뻗어나와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마재에서 끝이나는 커다란 산줄기가 있다 우선 한북정맥에서 분기하였으니 정맥 이름을 앞에다 놓는다 그래서 한북이다

그렇게 이어지는 산줄기 중 제일 유명세를 타고 있거나 그 줄기의 주인다운 풍모를 지니고 있는 산이름을 갖다 붙인다 그 줄기 중 가장 유명하고 주인다운 산이 천마산이라고 생각이 든다 그래서 천마를 갖다 붙이고 붙여서 읽으면 한북천마지맥이 되는 것이다

 

 

그러면 또 뚜렷한 산줄기인 서리산 축령산 은두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를 무엇이라고 부르면 될까

 

한북천마지맥이 주금산을 지난 독바위에서 동쪽으로 갈래친 산줄기가 축령산으로 이어지고 있으니 그 줄기 중 제일 유명하거나 풍모를 갖춘 산이 축령산으로 생각이 든다 그러므로 그 줄기의 이름은 한북천마축령단맥이 되는 것이다

 

 

그러면 운길산이나 문안산은 어떻게 부르면 될까

운길산이나 문안산은 한두개의 봉우리로 그 맥을 끝마친다

그러므로 그 줄기의 이름은 한북천마운길단맥, 한북천마문안단맥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로 모든 산을 논하다 보면 육지에 있는 아무산이라도 올라 능선만 따라가면 백두산에 도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 내용이 산경표의 주요한 내용이 되는 것이다

 

 

한북천마지맥은

 

수원산어깨-서파-주금산-시루봉-철마산-천마산- 마치고개 -백봉-수레넘어고개-먹치고개-갑산-새재-적갑산-예봉산-202봉-마재로 이어지는 장장

약50km정도의 산줄기를 일?는다

 

한강정맥이 끝나는 날 여인숙에서 김밥을 안주로 소주 한잔하면서 생각을 많이 하였다

지금까지 멀고 긴 산줄기를 중심으로 하였으니 이번에는 마누라도 부담 없이 갈 수 있는 당일 산행으로 여유를 부려가며 하는 것도 좋을 것 같았다

그래서 전에부터 생각하고 있던 한북천마지맥을 하기로 혼자 결정을 하였다

 

 

한북천마개주여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일동

 

 

한북정맥이 화천 대성산 포천 광덕산 국망봉 운악산 지나 포천읍으로 넘어가는 굴고개 초입에서

한북정맥은 수원산으로 올라 죽엽산 쪽으로 흐르고

 

수원산 어깨에서 한줄기를 더 내어 서파사거리를 건너 주금산 천마산으로 이어지는 한북천마지맥이 양수리까지 도도하게 흐른다

 

이 천마지맥이 주금산 가기 전 도면상 621봉에서

동진하는 짧은 줄기를 하나 떨구어 포천군 상면 한가운데를 동서로 가르며

큰고개 개주산 355봉 236봉 거쳐 조종천의 지천에서 그 맥을 다하는 약 7km 정도의 산줄기를 산세나 그 거리로 보아 단맥으로 부르기는 미약하고

이름 없이 산행하기도 좀 아쉬운 면이 있어 나는 그 줄기의 대표적인 산이름을 넣어서 이를 한북천마개주여맥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19. 한북천마축령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 1 지형도 도엽명 : 일동, 양수

 

 

한북정맥이 운악산을 지나 수원산 어깨에서 한줄기를 내어 천마지맥을 만들고 천마지맥 주금산 독바위에서 동쪽으로 한줄기를 만들어 서리산, 축령산, 은두봉, 깃대봉을 지나 46번 국도상 은고개를 통과하여 115봉을 올랐다 내려서서 조종천변 안말에서 끝이나는 도상거리 약21.2km정도의 산줄기를 말한다

 

준족이고 새벽 이른 시간에 시작하여 헤매지만 않는다면 하루 종주가 가능한 산줄기이다

 

조종천과 수동천을 가르는 산줄기로 북쪽으로 떨어지는 물은 예외 없이 조종천으로 흘러들고 남쪽으로 떨어지는 물은 대부분 수동천으로 합류하여 두강 모두 북한강으로 합쳐진다

 

 

20. 한북천마어남이단맥

한북천마지맥상 천마산에서 서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천마의집 견성암 어남이고개 남영주시 진접읍 중포에서 오남천이 왕숙천과 만나 왕숙천 물이 되는 도상거리 약1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1. 한북천마송라단맥

한북정맥 수원산에서 분기한 한북천마지맥이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 능내리 마재까지 흐르던중 남양주시 화도읍 마석에 있는 천마산에서 세줄기로 갈라지는데

 

한줄기는 천마지맥이고

또 한줄기는 서쪽으로 흐르는 여맥이며

 

 

나머지 한줄기가 동쪽으로 흘러내려 너구내고개에서 마석뜰 북쪽으로 우뚝 솟은 송라산을 일구고 소래비고개로 자지러들었다가 올라선 분기점에서 두줄기로 나뉘는데 남쪽으로 뻗은 줄기는 46번 경춘국도 머재고개를 넘어 모란공원묘지 390봉 넘어 북한강변 샛터유원지에서 끝이 나고

 

북쪽으로 뻗은 줄기는 학고개 두리봉을 넘어 372봉에서 동진하여 수동천과 북한강이 만나는 대성리국민관광지에서 끝이난다

 

 

거리상으로는 샛터유원지쪽이 그 산줄기가 조금 더 길게 뻗어 있으나 큰 물줄기를 가르지 못하고 있다

 

주금산 비금계곡을 발원지로 하여 제법 큰 물줄기를 형성하고 있는 수동천과 북한강이 만나는 지점에서 끝이나는 약10km 정도의 산줄기를 그 맥으로 삼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22. 한북천마문재단맥

한북정맥이 북에서 남으로 흐르며 운악산 지나 수원산을 채고 오르기 전 서파사거리에서 주금산 천마산 백봉 예봉산으로 뻗은 수려한 산줄기인 한북천마지맥이 흐르고 있다

 

이 한북천마지맥 백봉에서 천마지맥은 동남진 하고

다른 한줄기가 분기하여 동진을 하며 남양주시와 와부읍의 경계를 따라

485봉 아르네미고개에서 금곡동과 평내동을 가르며 돌팍고개 168봉 어룡굴에서 남양주시와 진건면의 면계를 따라 쑥고개 지난 다음

 

진건면내로 들어가 꽃냄이고개 문재산 144봉 뱀굴도로 97봉 110봉 해방촌철길 97봉 조운동도로 82봉 미움나루 왕숙천과 한강이 만나는 곳에서 한강이 되는 약17.7km의 산줄기를 나는 한북천마문재단맥이라고 한다

 

 

한북천마문안여맥

한북천마지맥이 한북정맥에서 갈래쳐 천마산, 백봉을 지나 예봉산으로 가던 중 수레너미고개에서 먹치고개 사이에 있는 남양주시 와부읍 화도읍 조안면의 삼면을 가르는 531봉 어깨인 조그만 헬기장에서 동쪽으로 뻗어 조안면과 화도읍의 경계능선을 이루며 흐르다 경계능선을 버리고 동북방향으로 흘러 일구어낸 문안산을 지나 천마산을 발원지로 하는 마석뜰을 적시는 개울과 만나는 도면상 남양주시 화도읍 금남리 금남교에서 북한강이 되는 약 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원래 한북천마지맥의 곁가지에 붙은 산으로 치부해 버릴 수도 있지만 그 나름대로의 작지만 독자적인 산줄기를 형성하고 있어 이를 한북천마문안여맥이란 이름으로 남기고자 함이다

 

 

23. 한북천주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포천 일동

 

 

한북정맥이 운악산에서 축석령쪽으로 흐르다 서파에서 수원산으로 치고 오르면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수원산 정상에 이르게 된다

정맥은 이곳에서 남진을 하고 북진하는 한줄기를 더 떨구어

부대 오른쪽으로 담장을 따라 이동하여 북동 방향으로 난 군사도로를 타고 내려오면 포천군 군내면에서 화현면 서파를 이어주는 2차선 포장도로인 325번 지방도로 고갯마루인 굴고개에 이르게 된다

 

이후 시종일관 북진을 하여 군내면과 화현면의 경계를 따라 포천군 신북면 명덕천과 포천천이 만나는 만세교에서 끝이나는 약 15.5km의 산줄기이다

 

 

06. 한북수락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포천, 성동

 

 

한북정맥이 운악산 죽엽산 고모루산성 지나 314번 지방도로 광릉내 가는 도로상 무림고개에서 남진하다가 무명봉에서 서진하여 축석령으로 뻗어 나가고 그 무명봉에서 동남방향으로 한줄기를 더 만들어 도면상 무명봉-235봉-내루동-용암산-408봉까지는 광릉수목원과 개발제한구역의 경계능선과 동시에 의정부시와 포천군 소흘면의 경계를 구분 짓는다

 

 

408봉부터-225봉-비루고개-깃대봉-박수고개-숫돌고개-사기막고개-수락산 정상까지는 의정부와 남양주의 경계능선을 이룬다

 

수락산-313봉-덕능고개-불암산-420봉-노원고개-논골-삼육초교-경춘선철길-태능CC-17번국도-92봉-새우개고개-177봉-중앙선철길-망우리고개-망우리공동묘지-281봉-아차산(용마봉)-249봉-광나루유원지까지는 온전한 개발구역 내이며 서울시와 남양주의 경계를 구분 지어주며 여기까지 이르는 약40km 정도의 산줄기를 나는 한북수락지맥이라 이름한다

 

 

24.한북수락퇴뫼단맥

남측한북정맥이 포천 이동의 걸출한 산인 광덕산 국망봉을 지나 운악산을 넘어 내려오다 축석령으로 자지러들기 직전  군부대가 차지하고 있는 무명봉에서 한줄기를 더 내어 용암산 깃대봉을 지나 수려한 바위 전시장인 수락산 불암산을 빗고 아차산을 지나 한강에서 맥을 다하는 한북수락지맥이 흐르던 중

 

 

용암산 지나 의정부시, 남양주시 별내면과 진접읍의 경계점인 406봉에서 수락지맥은 서쪽으로 방향을 틀고 한줄기가 분기되어 별내면과 진접읍의 경계능선을 따라 수리봉 퇴뫼산을 지나 시종일관 남진하여 퇴계원인터첸지 퇴계원5리에서 그 맥을 다 하는 약14km 정도의 산줄기를 나는 한북수락퇴뫼단맥이라 이름을 짓고 답사를 하고자 한다

 

 

07. 한북소요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포천 성동(참고도면)

 

 

한북정맥이 운악산 지나 축석령에서 올라간 헬기장인 287봉 직전에서 정맥은 좌측 약간 남쪽으로 굽어 서진하고 소요지맥은 우측 약간 동쪽으로 굽어 북진한다

 

도면상 축석령-287봉-378봉-어야고개-인문령-회암령-칠봉산갈림길까지가 양주군과 포천군의 경계능선이다

 

해룡산-오지재고개-왕방산-국사봉-새목고개-649봉-413봉-소요산-535봉-

173봉갈림길까지가 동두천시와 포천군의 경계능선이며 173봉-말턱고개까지의 짧은 구간이 연천군 청산면과 동두천시와 경계능선을 이루고 있다

 

 

이 산줄기의 동쪽으로 떨어지는 물방울은 산내천이나 포천천으로 흘러들고

서쪽으로 떨어지는 물방울은 강화천으로 흘러들어 다 같이 한탄강에서 합류하여 임진강으로 흘러든다

 

산줄기는 비교적 확실하며 그 끝이 초성리앞 강화천의 강변으로 녹아들어 한탄강과 합류한다

 

이 약31.5km의 산줄기를 나는 한북소요지맥으로 부르기로 한다

 

 

종현산으로 가는 산줄기보다 그 길이가 좀 짧은 감은 있으나 소요산의 명성이 분맥으로 부르기는 너무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 지맥으로 분류한다

 

 

25. 한북소요칠봉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포천

 

 

한북정맥이 광덕산 국망봉 운악산을 솟구치고 내려앉은 축석령에서 잠시 오르면 한북정맥은 좌측 서남방향으로 내리달리고 한북소요지맥은 오른쪽 북쪽 방향으로 어야고개 회암령 천보산 해룡산 왕방산 소요산으로 이어진다

 

 

이 소요지맥 천보산에서 해룡산쪽으로 내려가다 양갈래길서 좌측길로 진행하여 탑골고개를 넘어 칠봉산 턱거리고개 279봉 152봉 동두천시 싸리말에서 끝이 나는 약10.3km의 산줄기를 그냥 소요지맥이 떨군 이름 없는 여맥으로 치부해 버리긴 칠봉산의 산세가 좋고 조망이 좋고 양주벌에 미끈한 각선미를 자랑하듯 요염하게 서 있는 폼이 예사롭지 않으니 이를 나는 한북소요칠봉단맥이라 부르고자 한다

 

 

26. 한북소요덕령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포천 철원

 

 

한북정맥이 운악산 지나 축석령에서 올라선 능선에서 한북정맥은 남남서 방향으로 흐르고 북쪽으로 한줄기를 내어 한북소요지맥을 만들어 포천의 명산 왕방산에서 소요지맥은 서진하여 국사봉 지나 소요산으로 흐른다

 

 

바로 이 왕방산에서 북동 방향으로 뻗은 산줄기가 하나 더 있으니 의정부 포천 운천으로 이어지는 43번 국도와 포천천을 따라 나란히 북진을 하는 산줄기로서 무럭고개 원수봉 덕령산 344번지방도로인 똥고개 위녹정이 257봉 금화봉어깨 287봉 포천천과 영평천이 만나는 영송리에서 끝나는 약20.3km의 산줄기를 나는 한북소요덕령단맥이라 이름한다

 

 

27. 한북소요종현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포천 철원

 

 

한북정맥이 포천 백운산 운악산 지나 축석령으로 자지러졌다가 올라선 능선에서 한북정맥은 서남진하고 또 한줄기가 북진하여 양주군 동두천시 포천군을 나누는 경계점인 천보산에서 북동진하여 해룡산 포천의 명산 왕방산을 거쳐 서북진하여 국사봉 소요산으로 연결되는 한북소요지맥의 국사봉에서 한북소요지맥은 서진하여 새목고개로 넘어간다

 

 

또 한줄기는 북진을 하여 포천군 신북면 내를 동서로 가르며 청산고개 387봉을 거쳐 550봉에서 서진을 하며 서서히 서남진 방향으로 머리를 틀어 종현산 205봉 한탄강 강변에서 그 맥을 다하는 약19.4km 정도의 산줄기를 나는 한북소요종현단맥이라 부르기로 한다

 

 

북천보여맥

한북정맥이 운악산 지나 축석령을 넘어 268봉에서 북으로 비산비야를 달려 우뚝 솟은 불곡산 임꺽정봉으로 가기 전 잠시 숨을 고르다 정맥 밖에다 빚어놓은 산이 천보산이다

 

268봉에서 서남 방향으로 머리에 두기의 거대한 송신탑을 이고 괴로워하는 암봉이 천보산이며 의정부 시내 어디서나 잘 보이는 녹양동 금오동 뒷산이다

 

그 끝은 중랑천 상부 의정부 시내를 관통하는 냇가로 사그러든다

 

장난스레 만들어 논 산줄기는 약 3km에 불과한 아주 작은 산이나 산에 오르면 생각보다 틀리게 시원스레 펼쳐지는 조망과 아기자기한 암릉이 산행의 즐거움을 더해준다

이 3km 작은 산줄기를 나는 한북천보여맥이라 이름한다

 

 

08. 한북감악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문산, 포천, 철원(참고도면)

 

 

한북정맥이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나와 운악산,불곡산,양주산성,호명산 지나 한강봉에서 정맥은 서남진하다 동남진하는 곳에서 오두산(통일전망대) 가는 길을 열어 한북기맥을 떨구고 챌봉지나 도봉 북한산 상장봉으로 이어진다

 

 

이 한강봉에서 서북진하는 산줄기를 만들어 436봉-느르미고개-은봉산-소사고개-319봉-팔일봉 어깨까지 양주군 백석면을 서북으로 가르고 가다 그 이후 지맥은 북으로 달려 노아산옆봉(330봉)을 지나 개내미고개를 훌쩍 넘어 264봉 지난 둔덕봉까지 양주군 광적면과 백석면의 면계를 가른다

 

 

274봉 세우게고개 노고산까지 양주군 광적면내를 북으로 가르며

58번 도로 수루레미고개 266봉 수레너미고개 무건이고개까지 파주시와 양주준의 군계를 가르며 흐른다

 

365봉 349번 지방도인 어룡고개까지 파주시 적성면내를 흐른다

 

이 줄기의 대표격인 수려한 산세를 갖고 있는 감악산까지는 양주군과 파주시 적성면 군계를 따르고 지맥은 감악산에서 동남 방향으로 머리를 틀어 간패고개 마차산 411봉까지는 경기도 연천군과 양주군 동두천 시계를 가르다가 잠시 강 건너 소요산과 눈인사하고 강화천과 나란히 능선이 흘러 전곡 넘어가는 3번국도 한탄강변에서 그 맥을 다하는 약40.7km의 산줄기를 나는 한북감악지맥으로 부르기로 한다

 

 

28. 한북감악금병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문산

 

 

한북정맥이 불곡산에서 도봉산으로 흐르다 한강봉에서 북으로 한줄기를 떨구어 경기 오악의 하나인 감악산으로 흘러 마차산을 아우르고 포천천과 한탄강이 만나는 곳에서 끝이나는 한북감악지맥 중 파주시 법원읍과 양주군 광적면의 경계점인 노고산에서(북한산 앞에 있는 한북정맥의 노고산이 아님) 파주군과 양주군의 경계를 따라 서진하는 산줄기를 하나 더떨군다

 

 

그 흐름을 살펴보면 노고산 세우게고개 외비고개 금병산 가좌미고개 파주군 월롱면 백석리 말바위마을 문산천변에서 끝이나는 약18.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한북감악명학단맥과 마주보고 있다

 

 

29. 한북감악파평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문산

 

 

한북정맥이 양주 불곡산 지나 도봉산 가기 전 한강봉에서 서북방향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경기 오악인 감악산으로 흐르는 한북감악지맥 산줄기가 끊어질 듯 이어진다

 

이 한북감악지맥 노고산에서 감악지맥은 양주군과 파주시의 경계를 따라 북진을 하며 내려가다가 표고 280m 지점서 북북서 방향으로 한줄기를 더내어

파주시 법원읍내를 가르며 오현리고개 260봉 368봉 개목이고개 350번지방도 파평산 여기까지는 다른 이견이 없으나

 

 

이후 그 끝부분에 대해선 여러 산줄기가 있으나 나는 251봉 143봉 37번국도 노고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샘내노리천과 임진강이 만나는 곳에서 임진강이 되는 약12.1km 정도의 산줄기를 나는 한북감악파평단맥이라 부르고자 한다

 

 

30. 한북감악파평명학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문산

 

 

한북감악파평단맥 비학산에서 갈래쳐 나와 파주군 법원읍 오현리 오리동에서 국사봉어깨로 올라 파주시를 남북으로 이등분하며 서진하다 명학산 봉서산을 지나 파주시 파주읍 봉암리 줄아위마을 연풍천과 문산천이 만나는 곳에서 문산천이 되는 도상거리 약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31. 한북감악파평광평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문산

 

 

한북감악지맥에서 분기된 파평단맥 줄기와 같이 가다 명학단맥과 잠시 맥을 같이 하다 법원읍에서 금곡리 넘어가는 금곡고개 고갯마루에서 T자 능선으로 올라 명학단맥은 왼쪽으로 가고 오른쪽으로 광평산을 지나 새일고개를 지나 한강변에서 끝나는 약13.3km의 산줄기를 한북감악광평단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32. 한북감악국사단맥

한북감악지맥 설머치고개 내려서시 전 등고선상250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빈배이마을-파주시 적성면 마지리 마지마을 인근 도로(50, 6)-128봉-

367번지방도로(2.1/8.1)-국사봉(149.8)어깨-도로(1.5/9.6)-37번국도-파주시 적성면 자장리 고야위마을 도로(3.5/13.1)-칠송정마을 도로(1.5/14.6)-

검은돌마을 도로(1.6/16.2)-도로삼거리-파평면 장파리 장파IC(1.6/17.8)를 지나 37번국도를 따라 두포IC를 지나 파평면 금파리 눌노천이 임진강을 만나는 곳(4/21.8)에서 끝나는 약21.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33. 한북감악중성단맥

한북감악지맥 감악산에서 서북쪽으로 분기하여 임도-371번지방도로(5)-

적성향교-중성산(147.7)-사월동 도로-37번국도(3.2/8.2)-44.5봉을 지나 적성면 주월리 임진강변(2.4/10.6)에서 끝나는 약10.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34. 한북주안단맥

한북정맥 도봉산 우이암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원통사-도로(3.2)-쌍문역-

주안산(114.1, 4.2/7.4)-영축산 근린공원(2.1/9.5)-경원선 성북역-석계역 인근 노원구 월계동 우이천이 중랑천을 만나는 곳(2/11.5)에서 끝나는

약1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35. 한북삼각(북한)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서울

 

백두대간에서 갈래친 한북정맥이 도도히 서해안을 향해 흐르다가 우이령부터 시작되는 북한산 상장능선 550봉에서 정맥은 오른쪽으로 상장봉을 거쳐 노고산으로 빠지고 왼쪽으로 흐르는 다른 한줄기는 육모정 고개를 지나 영봉을 거쳐 백운대로 오른다

 

 

삼각산(북한산) 주능선을 아우르면서 숫한 지능선을 흘리니

그중 하나는 인왕산 남산을 거쳐 한강으로 잦아들고

다른 한줄기는 비봉능선을 타고 향로봉 박석고개 서울시와 경기도 경계선을 그리며 앵봉 봉산을 거쳐 역시 한강으로 잦아든다

 

 

이 한북정맥 우이령에서 올라간 무명봉에서 육모정고개 영봉 지나 족두리봉 만경대 주능선을 타고 오다 대남문 넘어가기 전 무명봉에서 보현봉을 거쳐 형제봉으로 기수를 돌려 북악터널 위를 거쳐 328봉, 북악산(청와대 뒷산), 자하문으로 자지러 졌다가 걸출한 신령스러운 산 기기묘한 바위산을 하나 빚었으니 그 산이 바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인왕산 호랑이로 유명한 산이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군부대내라 오를수가 없었는데 수도 시민의 여가 활용 공간을 더 많이 늘려주기 위한 특별한 배려였는지 잘 모르겠지만 군부대는 그대로 놔두고 등산로를 개방한 것이다

 

그 외 여러 지맥들이 있을 수 있으나 이중에서 확실하고도 제일 길게 뻗어내린 능선이 인왕산을 거쳐 서남방향으로 무악재 안산으로 가는 확실한 산줄기를 외면하고 동남방향으로 사직터널위를 지나 도심 한가운데를 통과해 지금의 역사박물관 옛서울고 자리 옛법원자리를 지나 남산으로 솟구쳤다가 버티고개 매봉산 응봉을 거쳐 성동구 행당동 한양대학교를 지나 정릉천이 한강으로 떨어지는 도상거리 약25.5km의 산줄기를 한북정맥 상장능선에서 삼각산 백운대로 분기했으니 한북삼각단맥이라고 이름을 짓는다

 

 

36. 한북삼각배봉단맥

한북삼각단맥 칼바위에서 동남쪽으로 분기하여 정릉동 솔샘터널위(3.5)-

서경대학교 대일여자정보산업고교-미아초교-미아삼거리역(2.5/6)-

배봉산(110)-영천교회-동덕여자대학교-상월곡역(3/9)-경희대학교-

경희중고교-회기역(2.3/11.3)-삼육간호보건대학-배봉산공원-군자초교-

장한평역 인근(3.7/15)을 지나 동부건설사업소 서울시 하수종말처리장을 거쳐 성동구 송정동 장안철교 정릉천이 중랑천을 만나는 곳(1.4/16.4)에서 끝나는 약16.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37. 한북삼각비봉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서울

 

 

한북정맥이 도봉산에서 우이령 건너 상장봉에서 노고산을 거쳐 비산비야 원당 뜰을 달려서 파주 곡릉천 장명산에서 끝을 맺는다

 

 

이 한북정맥 우이령에서 올라간 무명봉에서 한북삼각단맥이 육모정고개 영봉 지나 족두리봉 만경대 주능선을 타고 오다 대남문 넘어가기전 무명봉에서 남쪽 보현봉으로 삼각단맥은 흘러가고 서쪽으로 문수봉을 거쳐 비봉능선 향로봉 박석고개 앵봉 벌고개 봉산에서 서진으로 내려간 향동리고개 망월산(179.4)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대덕산(126.8) 지나 가양대교 앞에서 한강물이 되는 도상거리 약16km의 산줄기를 이름한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