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침뜸 배워 남 주는 사람들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관련자료 모음방 스크랩 지구의 자전 , 지구의 공전 ,달의 운동 ,행성의 운동
천리향 추천 0 조회 79 12.05.27 13:28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지구의 자전 , 지구의 공전 ,달의 운동 ,행성의 운동

 

2010/05/29 12:15

복사 http://blog.naver.com/seam7070/100106252375

지구의 운동
1. 별의 일주 운동
(1) 별의 일주 운동
별들이 북극성을 중심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도는 현상을 말한다.
방향 :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인다.
일주 운동의 속도 : 1시간에 15°씩 움직인다.
북극성 주위의 별들은 북극성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하루 360° 회전한다.



[별의 일주 운동]

(2) 위도에 따른 별의 일주 운동
적도 지방 : 별이 지평선에 대해서 수직으로 떠서 수직으로 진다.
중위도 지방 : 별이 지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떠올라서 비스듬히 지평면 아래로 진다.
북극 지방 : 별이 하늘의 북극을 중심으로 원운동한다.


(3) 우리나라에서의 별의 일주 운동
남쪽 하늘 : 별들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북쪽 하늘 : 북극성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동쪽 하늘 : 동쪽 지평선에서 별들이 하나둘씩 떠 오른다.
서쪽 하늘 : 서쪽 지평선 아래로 별들이 하나둘씩 진다.


2. 지구의 자전
(1) 지구의 자전
지구가 자전축을 중심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회전하는 운동을 말한다.
지구는 1시간에 15°씩 자전한다.

2) 지구의 자전의 증거
천체의 일주 운동 : 별을 비롯하여 태양과 달 등 모든 천체가 북극성을 중심으로 일주 운동을 한다.
낮과 밤의 반복 : 태양은 한 자리에 머물러 있으나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진다. 그 결과 낮과 밤이 반복된다.
인공 위성 궤도의 서편 이동 : 2시간 미만의 주기로 지구의 주위를 도는 인공 위성의 궤도가 조금씩 서쪽으로 이동한다.


푸코의 진자 실험 : 긴 줄에 무거운 추를 매달아 흔들어 놓으면 진자의 진동면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것은 지표면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이다.
 
지구의 운동 (1)
1. 천구
(1) 천구
지구를 둘러싼 반지름이 무한대인 구
별들이 북극성을 중심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도는 현상을 말한다.
천구의 적도 : 지구의 적도를 연장하여 천구와 만나는 두 원
천정 : 관측자의 머리 위로 세운 연직선이 천구와 만나는 두 점
천저 : 천구에서 천정과 정반대 반대 방향에 있는 점
지평선 : 천정과 천저를 잇는 직선에 수직한 큰 원
자오선 : 천구의 북극과 남극, 천정, 천저를 잇는 큰 원


(2) 남중
별이나 그 밖의 천체가 일주 운동을 하는 동안 지오선 상에 올 때를 말하며, 이 때 천체의 고도가 가장 높다.

2. 지구의 공전
(1) 지구의 공전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1년에 한 바퀴씩 도는 현상
지구의 공전 방향 : 서쪽에서 동쪽으로 움직인다.
공전 주기 : 1년에 1바퀴 회전하므로 하루에 약 1°씩 도는 셈이다.

(2) 지구의 공전에 의한 현상
별의 연주 운동(시운동) : 별이 지구의 둘레를 따라 동쪽에서 서쪽으로 1년에 한 바퀴 도는 운동이다. 하루 약 1°씩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여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바뀐다.
태양의 연주 운동(시운동) : 천구상에서 태양이 별자리 사이를 매일 조금씩 옮겨 가는 운동이다. 태양은 하루에 약 1°씩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여 1년 후 제자리로 돌아온다.



[지구의 공전과 태양의 시운동]
별의 시차 현상 : 별 S가 보이는 방향은 지구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 등으로 달라진다. 이 때 생기는 ∠ASB를 별의 시차라고 하며 지구의 공전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계절의 변화 : 지구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에 대해 66.5° 기울어져 지구가 공전과 자전을 하기 때문에 생긴다.



지구의 운동  (2)
1. 황도
태양이 천구상의 별자리 사이를 옮겨가는 길이다.

(1) 황도와 천구의 적도
황도는 천구의 적도와 약 23.5º 기울어져 있다.
이 각을 황도 경사라 한다.

(2) 황도상에서의 태양의 위치
춘분점 : 태양이 천구의 적도를 남쪽에서 북쪽으로 지나가는 점이다.
하지점 : 태양이 천구의 적도에서 북쪽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점이다.
추분점 : 태양이 천구의 적도를 북쪽에서 남쪽으로 지나가는 점이다.
동지점 : 태양이 천구의 적도에서 남쪽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점이다.


(3) 황도 12궁
태양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황도를 따라 이동해 가는 곳에 있는 12개의 별자리를 황도 12궁이라 한다.
태양의 이동 : 태양은 대체로 한 달에 1궁씩을 지난다.



[황도 12궁]

2. 계절의 변화

(1) 계절에 따른 태양의 남중 고도와 낮의 길이
동지 : 1년 중 태양의 남중 고도가 가장 낮고 낮의 길이가 가장 짧기 때문에 태양 에너지를 적게 받아 날씨가 춥다(그림 ㈎).
춘분, 추분 : 태양의 남중 고도가 하지와 동지 때의 중간이고, 밤과 낮의 길이가 같다. 따라서, 기온도 여름과 겨울의 중간 정도이다(그림 ㈏).
하지 : 1년 중 태양의 남중 고도가 가장 높고 낮의 길이가 가장 길기 때문에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아 날씨가 덥다(그림 ㈐).



[태양의 일주 운동]

(2) 계절의 변화
계절의 변화가 일어나는 까닭 :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태양의 고도와 밤낮의 길이가 달라져 계절 변화가 생긴다.
지구는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에 대해 66.5° 기울어진 채로 자전과 공전을 하고 있다. 따라서, 햇빛은 하지 때에는 북위 23.5° 지점에, 동지 때에는 남위 23.5° 지점에 수직으로 비춘다.

(3) 태양의 고도 구하기 : 태양의 고도는 위도와 시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태양의 고도를 말할 때는 항상 정오 때의 남중 고도로 나타낸다. 위도 α인 지방에서 태양의 남중 고도(H)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하지 : H=90°-(α-23.5°)=90°-α+23.5°
춘분, 추분 : H=90°-α
동지 : H=90°-(α+23.5°)=90°-α-23.5°
 
 
 
달의 자전
1. 달의 표면과 자전
(1) 달의 표면 관측 : 달 표면을 관측하면, 밝고 어두운 무늬가 있다. 이 무늬는 달의 모양과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 이것은 달이 지구 둘레를 돌면서도 항상 같은 면만을 지구로 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2) 달의 자전 관측 : 달 표면의 무늬 변화를 관측하여 달의 자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2. 달의 자전
(1) 달의 자전 주기와 방향 : 달의 자전 주기는 공전 주기와 같이 27.3일이며, 달의 자전 방향은 서쪽에서 동쪽이다.

(2) 달이 한쪽 면만 보이는 까닭 : 달의 자전 주기와 공전 주기가 같기 때문이다.

3. 달의 자전과 공전 주기
(1) 달이 자전하지 않고 공전만 하는 경우 : 달이 일정한 방향을 향한 채 지구의 둘레를 돈다면, 지구에서는 각각 네 부분의 위치에서 달의 반쪽면을 볼 수 있으므로, 한 달 동안에는 달의 전체 표면을 관측할 수 있다.


(2) 달이 공전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자전하는 경우 : 다음 그림과 같이 화살표가 항상 지구쪽을 향하므로, 지구에서는 항상 달의 같은 면만 보게 된다.





달의 공전과 공전 주기
1. 달의 공전
(1) 달의 시운동 : 달은 별자리 사이를 하루에 약 13°씩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여 약 27.3일에 지구의 주위를 한 바퀴씩 도는데, 이를  달의 시운동 이라고 한다.
(2) 백도 :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별자리 사이를 이동하는 길을  백도 라고 한다. 백도는 황도와 매우 가까이 있으며, 황도와 약 5° 기울어져 있다.


2. 달의 공전 주기
(1) 삭망월 : 달의 모양이 변하여 다시 같은 모양이 될 때까지의 주기를  삭망월 이라고 한다.
기준 : 삭망월은 달의 모양, 즉 태양을 기준으로 한 달의 공전 주기이다.
주기 : 망에서 다음 망까지, 또는 삭에서 다음 삭까지의 시간으로, 약 29.5일이다.

(2) 항성월 : 달이 별자리 사이를 옮겨 가서 하늘을 한 바퀴 돌아 다시 출발점의 별자리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항성월 이라고 한다.
기준 : 항성월은 별자리를 기준으로 한 달의 공전 주기이다.
주기 : 달이 어느 한 별자리를 출발해서 다시 그 별자리까지 오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약 27.3일이다. 그러므로 달은 하루에 약 13°씩(360÷27.3) 동쪽으로 이동해 가며, 항성월이 실제적인 달의 공전 주기가 된다.

(3) 삭망월과 항성월이 일치하지 않는 까닭 : 달이 지구의 둘레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도 태양의 둘레를 공전하기 때문이다. 삭망월과 항성월은 약 2.2일의 차이가 난다.




달의 운동  (1)
1. 달의 위치와 모양 변화
(1) 초저녁에 보이는 달의 위치와 모양 : 매일 해가 진 후 일정한 시각에 하늘에 나타나는 달의 위치와 모양을 관찰하면, 달의 위치가 매일 조금씩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달의 모양도 점점 둥글게 변한다.
달의 위치 변화 : 달은 지구의 주위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공전하기 때문에, 달이 보이는 위치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움직여간다.
달의 모양 변화 : 달의 모양은 초승달에서 보름달까지는 점점 커지고, 그 이후에는 점차 기울어진다. 이와 같이 달이 한번 찼다 기우는 데는 약 한 달이 걸린다.
달이 뜨는 시각 : 음력 2일부터 15일까지는 해가 지고 나면 하늘에서 달을 볼 수 있으나, 음력 16일 이후에는 해가 지고 난 후에 동쪽 하늘에서 달이 떠오른다.



[달의 위치와 모양]

(2) 달의 모양
달의 모양이 변하는 까닭 : 달은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가 아니므로 햇빛을 받는 부분만 우리 눈에 보인다. 그런데 달은 지구 둘레를 공전하기 때문에 그 위치에 따라 모양이 다르게 나타난다.
삭 : 달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있어서 보이지 않을 때이며, 음력 초하루경이다.
상현 : 달이 삭에서 망으로 가는 중간에 있을 때이며, 오른쪽 반달로 보이며, 음력 7~8일경이다.
망(만월) : 달이 태양의 반대쪽에 와서 보름달이 되는 때이며, 음력 15일경이다.
하현 : 달이 망에서 삭으로 가는 중간에 있을 때이며, 왼쪽 반달로 보이며, 음력 22~23일경이다.



[음력 날짜에 따른 달의 위상 변화]

(3) 하룻밤 동안의 달의 운동
초승달 : 초저녁에 서쪽 하늘에 나타났다가 얼마 뒤 서쪽 지평선 아래로 넘어간다. 이후에는 달의 모양이 조금씩 커지면서 나타나는 위치도 조금씩 높아진다.
반달(상현달) : 초저녁에 남쪽 하늘에 나타났다가 자정경에 서쪽 하늘로 진다.
보름달 : 해가 지면 곧 동쪽 하늘에 떠올라 새벽에 지므로 밤중 내내 볼 수 있다. 이 때가 아닌 경우 달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보름달 이후 : 찼던 달이 차차 기울어져 간다.



달의 운동  (2)
1. 일식과 월식
(1) 일식 : 달이 지구 둘레를 공전하는 동안 태양-달-지구가 일직선상에 놓여 태양이 달에 의해 가려지는 현상이며, 일식은 반드시 삭일 때에만 일어난다.
개기 일식 : 달의 본그림자 속에 들어가는 지역에서는 태양이 가리워져 보이지 않는 현상이다.
부분 일식 : 달의 반그림자 속에 들어가는 지역에서는 태양의 일부분만 보이는 현상이다.
금환 일식 : 지구와 달 사이가 멀어지면 달의 본그림자 끝이 짧아서 지구의 표면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본그림자가 만든 반그림자가 생긴다. 이 지역에서는 달이 태양의 한 가운데로 들어가 태양의 테두리만 반지 모양으로 보이는 현상이며, 금환식이라고도 한다.


일식은 태양의 서쪽부터 가려지기 시작하고, 다시 서쪽부터 나타난다.
월식은 달의 동쪽부터 가려지고, 다시 동쪽부터 나타난다.

(2) 월식 :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상에 놓이면 달이 지구의 그림자 속에 들어가 보이지 않는 현상이며, 월식은 망일 때에만 일어난다.
개기 월식 :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 속에 들어가서 달의 전부를 볼 수 없는 현상이다.
부분 월식 : 달의 일부분이 지구의 본그림자 속에 들어가서 나머지의 일부분만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월식 발생 원리]

(3) 삭과 망일 때마다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지 않는 까닭 : 일식과 월식이 삭과 망일 때마다 일어나지 않는 것은 황도와 백도가 5° 가량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다. 즉, 황도와 백도가 일치하는 교점 부근에 태양과 달이 올 때만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는 것이다.

2. 조석 현상
밀물과 썰물이 하루에 두 번씩 규칙적으로 일어나면서 해수면이 높아졌다가 낮아지는 현상이다.
(1) 만조와 간조
만조 : 바닷물이 해안으로 밀려 들어와 해수면이 가장 높아졌을 때이다.
간조 : 바닷물이 해안에서 빠져나가 해수면이 가장 낮아졌을 때이다.
조차 : 만조 때와 간조 때의 해수면의 높이는 매일 조금씩 달라지는데, 만조와 간조 때의 해수면의 높이 차를 조차 또는 간만의 차라고 한다.
조석의 원인 : 조석 현상은 달과 태양의 인력에 따라 바닷물이 그 방향으로 끌려가기 때문에 생기는데, 태양에 비하여 지구로부터의 거리가 매우 가까운 달의 인력이 조석 현상의 주된 원인이 된다.
조석의 주기 : 만조에서 다음 만조, 또는 간조에서 다음 간조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말하며, 약 12시간 25분이다.

(2) 사리와 조금 : 조차는 약 15일을 주기로 변한다.
사리 : 만조와 간조 때 해수면의 높이차가 가장 클 때이며, 삭과 망일 때 일어난다.
조금 : 만조와 간조 때 해수면의 높이차가 가장 작을 때이며, 상현과 하현일 때 일어난다.
사리와 조금이 나타나는 까닭
· 태양, 지구, 달이 일직선이 되는 삭과 망일 때에는 달과 태양의 기조력이 합쳐지기 때문에 간만의 차가 최대인 사리가 된다.
· 태양, 지구, 달이 직각이 되는 상현과 하현일 때에는 달의 기조력이 태양의 기조력에 의해 감소되기 때문에 간만의 차가 최소인 조금이 된다.

 

 

 

행성의 운동
1. 천동설과 지동설
(1) 천동설
우주의 중심에 지구가 있고, 행성들이 지구의 둘레를 작은 원궤도를 그리면서 스스로 돌고 있다는 주장이다.
프톨레마이오스가 주장하였다.
지구 중심설이라고도 한다.

(2) 지동설
지구를 비롯한 행성들이 태양의 둘레를 돌고 있다는 학설이다.
코페르니쿠스가 주장하였다.
태양 중심설이라고도 한다.
      
[천동설의 우주]                    [지동설의 우주]

(3) 천동설과 지동설에서 금성의 모양과 크기 변화
금성의 모양은 지구에서 햇빛을 받는 부분을 얼마만큼 볼 수 있느냐에 따라 달라지며, 크기는 지구와 금성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천동설에 의하면 반달 이상의 금성의 모습을 설명할 수 없다. 또한, 지구와의 거리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크기의 변화도 설명하기 어렵다.
갈릴레이는 천체 망원경으로 이런 금성의 크기와 모양 변화를 관측하여 지동설이 옳음을 입증하였다.

2. 행성 궤도의 크기
(1) 금성(내행성)의 공전 궤도 그리기 : 최대 이각 이용
      
태양(S)을 중심으로 지구(E)의 궤도를 원으로 그린다.
지구에서 48°가 되도록 선 EE'를 긋는다.
S에서 선 EE'에 수선을 내린다.
선 SV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린다.

(2) 화성(외행성)의 공전 궤도 그리기 : 공전 주기 이용
화성의 공전 궤도를 그리기 위해 필요한 자료 : 지구와 화성의 공전 주기는 각각 365일과 687일이다.


태양(S)을 중심으로 지구(E)의 공전 궤도를 그린다.
화성을 처음 관측한 지구의 위치를 이라고 하면, 에서 화성은 태양의 동쪽으로 112°되는 방향에 있다.
687일 후 화성은 한 바퀴를 돌지만, 지구는 678°를 돌아 에 오므로 에서 화성은 태양의 서쪽으로 144°되는 방향에 있다.
두 선이 만나는 곳이 화성의 위치이므로 이곳과 태양 사이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공전 궤도를 그린다.

3. 행성까지의 실제 거리
(1) 금성까지의 거리 : 금성에 전파를 보내어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과 전파의 속력을 이용하여 구한다.
금성까지의 거리 = ×전파 속력×전파가 되돌아오는 시간

(2) 행성 궤도 반지름 : 행성 궤도의 상대적인 크기에 지구의 궤도 반지름을 곱한다.



내행성과 외행성의 시운동
1. 천체의 시운동
태양, 달, 행성 등이 매일 조금씩 별자리 사이를 옮겨 가는 운동을  시운동  또는 겉보기 운동이라고 한다.
(1) 태양의 시운동 : 태양은 지구의 공전 때문에 하루에 약 1°씩 별자리 사이를 황도를 따라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시운동을 한다.
(2) 달의 시운동 : 달은 지구의 둘레를 돌기 때문에 하루에 약 13°씩 백도를 따라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시운동을 한다.

2. 행성의 시운동
행성은 태양이나 달과는 달리 황도 근처의 별자리 사이를 동쪽으로, 때로는 서쪽으로 움직이는 시운동을 한다.
(1) 내행성의 시운동 : 지구의 안쪽 궤도를 공전하는 수성과 금성을  내행성 이라고 한다. 내행성은 외행성에 비해 비교적 규칙적인 시운동을 한다.
수성과 금성 : 수성과 금성은 태양을 중심에 두고 일정한 각도 안에서 동쪽과 서쪽을 규칙적으로 이동하는 시운동을 한다.


최대 이각 : 내행성이 태양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질 때의 각도를  최대 이각 이라고 하며, 수성은 24°, 금성은 48°이다.


(2) 외행성의 시운동 : 지구의 바깥쪽 궤도를 공전하는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을  외행성 이라고 한다. 외행성은 내행성에 비해 매우 복잡한 시운동을 한다.
화성의 시운동 : 화성을 비롯한 외행성은 태양과 관계없이 별자리 사이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움직이다가 때로는 되돌아서 서쪽으로 움직이고, 또 다시 동쪽으로 움직이는 매우 복잡한 시운동을 한다.
시운동의 폭 : 외행성이 동서로 이동하는 시운동의 폭은 화성, 목성, 토성 순으로 작아진다. 즉, 지구로부터 멀수록 시운동의 폭이 작다.

(3) 행성의 시운동의 특징 : 행성이 시운동하는 길은 모두 황도에서 약간 떨어져 있을 뿐 거의 일치한다. 그 까닭은 행성들의 공전 궤도면이 거의 일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밤하늘에서 행성을 관측하려면 황도 부근을 찾아야 한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