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례 2일차 일정이 빡빡하다.
저녁에는 길음동 성당 같은 구역에서 신앙생활을 한
대자 류 제네시오 부부를 만나기로 했다.
지금은 안젤라 자매님 건강이 좋지않아 곤지암 부근에 집을 짓고
전원생활을 하면서 건강관리를 한다고 한다.
좋은 숙소에서 꿀잠을 자고 여명이 가시지도 않은 시각에 숙소를 나왔는데
근처에 기사식당이 있었다.
도회지에서 벗어난 곳을 여행할 때는 아침 식사를 할 수 있는 곳이 없어서
차에서 간단히 간식으로 때웠는데, 도심지로 들어서니 식사문제는 없었다.
뷔페음식인데 집밥처럼 맛있고 종류도 많았다. 1인당 7천원
6. 성모당(성모순례지)
인천교구 성모당은
성모에게 전구를 청할 수 있는 기도장소를 원하는 교구민들의 청원에
제2대 교구장 고(故) 최기산 주교가 응답하며 마련된 곳이다.
최 주교는 2015년 12월 ‘성모당 조성에 대한 사목서한’을 발표하고
2016년 5월 30일 갑작스레 선종하기 전까지
부지 선정과 설계 승인 등 성모당 조성을 추진했다.
최 주교의 선종 이후 교구는 그 뜻을 이어 파티마 성모 발현 100주년인
2017년 기공식을 갖고, 2018년 10월 13일 성모당 봉헌미사를 거행했다.
돔 형태로 제작된 성모당은 중앙의 최대 높이가 11.55m에 달하는 건축물로,
파티마 현지에서 제작한 높이 2.3m의 성모상이 안치돼 있다.
파티마의 성모는 발현 당시 ‘세계 평화’와 ‘죄인·냉담교우들의 회개’를 강조했는데,
성모당은 이 메시지를 새롭게 전파하는 장소로 의미를 가진다.
성모당은 나아가 가정성화, 남북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 공간이다.
7. 답동주교좌성당
인천교구 최초의 본당이자 주교좌 본당.
인천시 중구 답동 3 소재. 설립 당시의 이름은 ‘제물포(濟物浦) 본당’이었는데,
그 후 ‘인천 본당’으로 불리다가 1958년경부터 ‘답동 본당’으로 불리게 되었다.
1889년 7월 1일 설립되었으며, 주보는 성 바오로.
8. 제물진두 순교성지
선교사들의 선교활동 거점이자 인천 지역 최대 순교 터
인천교구에는 교구내 다른 순교지보다 더 많은 순교자가 처형되었으면서도,
잘 알려지지 않은 또 다른 순교터인 제물진두가 있다.
이곳은 병인박해 때 프랑스와의 병인양요, 미국과의 신미양요 등을 치른 후,
“외적과 내통한 천주교 신자들을 처형하여 주민들에게 경계심을 심어 준다.”는 의도에서
대원군 정권이 서울 한강변의 양화진두(楊花津頭, 절두산)와 함께
천주교인들에 대한 공개 처형장으로 택한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진두(津頭)는 곧 나루터로서 외국 선박과의 접촉을 시도하는
군중들의 왕래가 잦은 이곳에서 공개적인 처형을 함으로써 서양 세력에 대한 배척과 함께
천주교 금단(禁斷)의 효과를 극대화하려고 하였다.
박순집 베드로의 외가쪽 집안과 이승훈 베드로의 후손들이 치명한 순교터다.
9. 이승훈 베드로 묘
한국 천주교회는 평신도 스스로 천주교 신앙을 받아드리고
자발적으로 공동체를 시작한 세계에서 유일한 교회이다.
그 시작점의 뿌리는 바로 인천 남동구 장수동 산132번지에 묻히신
하느님의 종 이승훈 베드로 이다.
이승훈의 묘는 천주교의 성지일 뿐만 아니라 문화재이다.
이승훈 베드로의 삶에 대한 역사적 가치를 인정하여
인천시에서는 2011년 문화재 63호로 지정하였다.
한 번 배교했지만 순교로 신앙 고백
이승훈 베드로는 부친 이동욱과 모친 여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나
24세에 진사시에 합격했지만 벼슬길보다는 진리탐구에 열정이 많았다.
그래서 새로운 학문을 접하게 되고 또한 당대 명문가인 마재 정씨가문
정약용의 누이와 결혼하여 그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당대 석학 이벽과도 교분을 쌓은 그는 정약용 형제들과 천진암 강학회를 주도하기도 했다.
그러던 중 1783년 말 동지사 서장관에 임명된 부친을 따라 북경으로 가게 된다.
1784년 그라몽 신부로부터 조선 천주교의 초석이 되라는 의미로
베드로라는 세례명을 받고 한국 최초의 영세자가 된다.
그는 세례를 받고 돌아온 뒤 1784년부터 1801년 순교하기까지
신앙공동체를 위해 헌신했다.
하지만 박해시기에 바로 순교하지 못하고 부친과 문중의 압력에 의해
혹은 자신을 총애하던 정조 임금을 생각해
그리고 인간적 나약함으로 인해 박해를 모면한 적이 있다.
그 이유로 그는 한국천주교 안에서 그동안 크게 조명 받지 못했다.
하지만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그렇게 된 것임을 순교로 증명하였다.
여기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그가 박해로 체포 되었을 때
개인적으로 그 상황만을 모면하였기에 천주교 신앙 공동체는 계속 유지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가 진심으로 배교하여 자신이 세례를 주고 가르침을 준 사람의 이름과 장소를 거명하였다면
신앙 공동체는 완전 초토화 되었을 것이다.
1801년 신유박해가 일어나자 이승훈은 다시 체포되었고,
결국 하느님을 위해서 또 자신이 전한 신앙으로 인해 하나뿐인 목숨을 바쳐
서소문밖에서 참수 당하게 된다.
이승훈 베드로는 순교하면서
“달이 비록 진 것처럼 보이더라도 하늘에 남아있고,
물이 솟구치더라도 연못에서 다하는 것같이 내 신앙은 천주 안에 있다.
(月落在天 水上池盡)”라는 글을 통해 자신의 신앙을 고백한다.
10. 남양 성모성지
남양 성지는 성모 성지이다.
원래 1866년 병인박해 당시 무명의 신앙 선조들이 순교한
순교 성지인 남양 성지는 91년 10월 7일 정식으로 성모님께 봉헌됨으로써
한국 교회 사상 처음으로 성모 마리아 순례 성지로 선포됐다.
성모 성지란 교회가 공식적으로 성모 성지로 선포한 곳을 의미한다.
현재 전 세계에 1천 7백 29곳이 있는데
그중 성모가 발현한 곳은 손에 꼽을 정도이다.
아시아에서는 일본과 인도네시아에 각각 두 곳,
중국과 말레이시아에 각각 한 곳이 있고,
베트남에는 네 곳, 필리핀과 인도에는 여섯 곳이 각각 있다.
남양 성지는 성모 성지로 선포된 후 지속적인 기도 운동을 벌이고 있다.
묵주 기도 고리 운동은 현재 수만 명이 넘는 회원들이
매일 자신이 약속한 시간에 15분간 5단을 바침으로써
24시간 내내 묵주 기도가 이어지게 하고 있다.
11. 어농성지
윤유일 바오로를 포함한 파평 윤씨 온 가족이 박해의 서슬 아래 희생된 후
200여 년 동안 그 후손들은 뿔뿔이 흩어져 족보도 없고,
또 교회 안에서는 그 후손이 전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다가 1987년에 이르러서야 후손 중 하나인 윤필용 씨가 나타났고
그의 증언에 의해 이곳 선산 안에서 윤유일 바오로의 부친 윤장과
그의 동생 윤유오 야고보(尹有五, ?-1801년)의 묘를 확인했다.
이에 따라 윤유일과 그의 숙부 윤현 · 윤관수, 사촌 누이동생인
윤점혜 아가타(尹点惠, ?-1801년)와 윤운혜 루치아(尹雲惠, ?-1801년)
그리고 한국에 들어온 최초의 외국인 사제인 주문모 야고보(周文謨, 1752-1801년) 신부와
그의 입국과 사목을 돕다 순교한 지황 사바(池璜, 1767-1795년),
최인길 마티아(崔仁吉, 1765-1795년), 강완숙 골룸바(姜完淑, 1761-1801년) 등의
의묘(擬墓)를 만들었고, 1987년 6월 28일 수원 교구장
고 김남수 주교의 주례로 축복식을 갖고 성역화했다.
한국 교회사 안에서 순교자 윤유일이 갖는 중요한 의미는
그가 바로 한국 교회가 처음으로 성직자를 영입해
명실 공히 교회의 모습을 갖추는 데 기여했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12. 단내 성가정 성지
이천시 호법면 단천리에 위치한 단내 성지는1866년 병인박해 당시
광주 유수부인 남한산성에서 순교한 정은 바오로(鄭? , 1804-1866년)와
그의 손자인 정 베드로의 고향이자 유해가 묻혀 있는 곳이다.
13. 골배마실 성지
골배마실 성지는 보통 때는 문이 잠겨 있어
자물쇠 비밀번호를 알아야 성지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순례책자에는 은이- 골배마실로 되어있어 은이성지에서 순례도장을 받으면 된다.
따로 골배마실을 가지 않아도 되지만 김대건 신부가 어릴 때 살던 집터이기에
찾아보자고 아내가 말해서 은이성지에서 자물쇠 비밀번호를 받고찾아갔다.
골배마실은 한국 최초의 방인 사제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가 소년 시절을 보낸 곳이다.
김대건 소년은 7세~15세까지 골배마실에서 소년기를 보냈다.
곧 조선 땅에 오실 목자를 기다리며, 기도하고, 교리를 배워 익히며,
조선교회의 미래를 위해 한 몸을 봉헌하고자 하는 포부를 키우고,
세례성사와 첫영성체를 준비하며, 설레는 마음으로
‘임자’이신 하느님께 향한 열정을 불사르던 곳이
바로 이곳 골배마실 성지이다.
1836년 봄, 15세 김대건 소년은
최초의 서양인 선교사 ‘모방 신부’로부터 ‘안드레아’라는 본명으로
산 너머 있는 ‘은이공소’에서 세례성사를 받았다.
이곳은 사제가 되어오신 김대건 신부가 어머니와 첫 상봉한 장소이며,
미리내로 향하신 신부님의 유해가 어머니 ‘고(高) 우르술라’께
마지막 하직 인사를 드린 곳이기도 하다.
골배마실 성지는 김대건 신부와 가족들이 20여 년을 살아왔던,
김대건 신부의 일생에서 삶의 체취가 가장 진하게 묻어있는 땅이다.
‘은이성지’와 중국의 ‘금가향 성당’이
‘김대건 성화(聖花)’가 활짝 꽃피게 한 곳이라면,
‘골배마실 성지’는 김대건 성화의 꽃 몽우리를 맺히게 해 준 땅이다.
미리내 성지는 꽃씨가 다시 새싹이 트도록 꽃씨를 품어준 습기 있는 땅이다.
14. 은이성지
은이 공소 터는 한국 교회사 안에서 솔뫼나 미리내만큼이나,
아니 오히려 그 이상 가는 귀중한 사적지이다.
은이 마을은 한국 교회 최초의 방인 사제였던 성 김대건 신부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깊은 인연을 간직한 곳이다.
김 신부가 소년 시절을 보낸 골배마실에서
불과 얼마 떨어져 있지 않은 은이 마을은
그가 모방 나 신부로부터 세례를 받고
최양업, 최방제와 함께 신학생으로 간택되어 마카오로 파견된 곳이다.
또 사제 서품을 받고 귀국한 김대건 신부의 첫 사목지가 바로 은이 공소로서
"용인 천주교회사"(오기선 신부 감수, 조성희 지음)는 이에 대해
"은이 공소는 조선 교회 사상 최초의 본당"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바로 이곳에서 김 신부는
조선 땅에서는 처음으로 신자들과 함께 미사를 봉헌했고,
바로 이곳이 체포되기 직전 공식적으로 최후의 미사를 드렸던 곳이기도 하다.
한국 교회의 가장 대표적인 성인으로 추앙받는 김대건 신부가
성소의 씨앗을 뿌렸던 곳이자 그 열매가 가장 먼저 풍성하게 열렸던 곳이
바로 은이 마을, 은이 공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2000년 대 초반 서울에 살 때 5년간 같은 성당에 다니고
같은 아파트에 살던 대자가 곤지암으로 이사했다는 소식을 듣고
성지순례를 일찍 마치고 5시 경 음식점에서 이른 저녁을 먹으며 대화했다.
자매님 건강관리를 위해 서울 아파트는 딸들에게 살도록 하고
부부가 내려와 텃밭을 가꾸며 살고 있는 것이다.
딸들과는 서울에서, 곤지암에서 자주 만난다고 한다.
그 동안 궁금했던 이야기, 신앙이야기 등 할 말이 너무 많아
음식점에서 대자집으로 이동하여 계속 대화를 했다.
대자가 키운 하늘마, 돼지감자 등을 받았다.
제주 텃밭에 하늘마를 재배할 예정이다.
마가 공중에 열리는 특이한 작물이 '하늘마' 다.
대자와 연락이 끊겼었는데 새로운 연락처를 교환하고 자주 소식전하기로 했다.
집에서 자고 가라고 하였지만 차로 10분 거리에 있는 숙소로 향했다.
서울을 떠나 여주 10년, 제주 8년 생활을 했으니
거의 20년 만에 대자 부부와의 만남이 감회가 새롭고 기뻤다.
성지순례의 은총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