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도 : 어떠한 사실이나 느낌을 나타내면서, 뒤이어 이에 상반되거나 또 다른 특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예) 나는 그 사실을 알고도 모른 체 했다.
▶ -는데도 (-는데/-ㄴ데+도) : 앞의 상황과 관계없이 뒤의 상황이 일어남을 뜻합니다. '-는데도 불구하고'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예) 그 일은 큰 관련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우선순위에 포함되었다.
1. -는데/-ㄴ데 :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미리 말할 때에 쓰는 연결 어미.
2. -도 : 이미 어떤 것이 포함되고 그 위에 더함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 보조사 : 체언, 부사, 활용 어미 따위에 붙어서 어떤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조사
※둘 다 앞의 사실에 상반되는 일을 나타낼 때도 쓰므로 표현의 차이일 뿐 뜻에는 차이가 없다고 봅니다. 다만, '-고도' 앞에는 과거(-았-)나 미래(-겠-)를 나타내는 어미들을 쓸 수 없습니다.
첫댓글 너무 훌륭하신 설명...또 감동 먹고 갑니다..존경합니다..선생님~!!! 그리고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아주 잘 설명하셨습니다.
다만 최고급 과정의 학생이 대상일 때는
담화/대화 기능상 큰 차이가 있는 표현으로 가르쳐야 합니다.
단순한 설명:동조 요구
이런 차이가 드러납니다.
이런 설명은 문장 단위의 문법 설명에서 하지 않고들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