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인기카페
이달의 인기카페
텐인텐[10년 10억 만들기]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맞벌이 부부의삶 싱가포르 교육체계
한강자전거 추천 0 조회 1,897 24.05.07 10:30 댓글 30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4.05.07 10:49

    첫댓글 좋네요
    일반고 다닌 딸, 같은반에
    열공하는 친구 없어서 외로웠다고..
    선의의 경쟁할 친구가 없었던거죠.

    공부에 대한 관심도, 성적 차이 많이 나는 애들을
    한교실에 몰아넣으니 학교폭력도
    더 많아지는 듯.
    우리나라에서 싱가폴 교육으로 바꾸자하면
    학생 인권이 어쩌고 하면서
    결사 반대하겠죠.

  • 24.05.07 10:54

    우리 나라가 저런 교육으로 가면 애들 영재반 보낸다고 애기때부터 사교육 난리 날 것 같아요..

  • 작성자 24.05.07 11:00

    대신 일찍 진로가 정해지죠. 초등때 푸쉬하겠지만 직업교육쪽 학교로 정해지면 많은 인원은 공부 경쟁이 사라지겠죠. 한국은 고등학교때까지 대다수가 사교육에 받히고 재수삼수 많이 하고 휴학도 1-2년은 기본으로 하고 대학교 졸업시까지 많은 인원이 신음해야죠.

  • 24.05.07 11:02

    대학 진학률 30% 이게 정상이죠. 한국은 80% ㅋㅋ

  • 24.05.07 12:17

    사실 초등 5학년만 돼도 수학 머리 없어 공부 힘든 애들이 좀 있어요.

  • 24.05.07 12:20

    @멋진 인생 ~! 평범한 아이들이 생활 산수, 금융, 사는 데 필요한 통계 해석하는 정도의 수학만 하면 되지... 왜 미적분을 시키고 ㅈㄹ일까요 이놈의 나라는 ㅠ

  • 24.05.07 12:35

    @시나몬 맞아요. 그 때 과부하 오게 했던 공부 나중에 하등 쓸모가 없긴 해요.
    차라리 역전세나 사기 안당하게 생활에 필요한 법률과 경제공부 하는게 나을 듯요.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24.05.07 14:59

    실제로 싱가폴 애들이 우리나라보다 훨씬 혹독한 환경이래요.

  • 24.05.07 19:49

    @가을하늘~ 맞아요. 우리나라 아이들은 싱가폴 아이들에 비하면 입시에 있어서는 나은 환경입니다. 싱가폴이 초등부터 시작되는 혹독한 입시경쟁으로 선진국이 되었다고 생각하더라구요. 싱가폴 교육열은 우리나라보다 더 빨리 시작되고 매우 높습니다.

  • 24.05.07 22:42

    @꼬불이 아빠 유치원, 초딩 저학년들이 우리나라 고3생활이래요

  • 24.05.07 11:29

    굉장히 효율적인 시스템이긴 한데 뭔가 공산국가 혹은 인구가 얼마 없는 도시국가에서나 나올 법한 시스템 같아요. 우리나라는 중학교 2학년에 올라가서야 시험이 시작되는데 싱가포르는 초등학교 졸업 시험이 아이의 미래를 결정할 정도니 우리나라 정서엔 맞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 24.05.07 11:55

    교육시스템 마음에 드네요
    우리도 변화해서 아이들 행복하게 해주었음 좋겠네요

  • 24.05.07 12:05

    그래서 싱가포르도 경쟁에 대한 아이들의 스트레스 어마 어마 합니다. 저출산도 우리 못지 않고요. 우린 쓸데도 없는걸 어마 어마하게 가르치고 수월성 교육하면서 마치 평등교육하는 것 처럼 하고 엄청 비효율적이긴 하죠.

  • 24.05.07 13:05

    스트레스 높을 줄 알았어요. 인구밀도 높은 도시국가들은 다 그렇더라구요. 홍콩도 그렇고..

  • 24.05.07 13:39

    저런 교육체계에서 스트레스가 없으면 이상하겠어요. 우리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을것 같은데요

  • 24.05.07 12:39

    이렇게 말하면 비웃는 사람도 있겠지만 저는 작금의 한국교육이 우민화교육이라고 생각해요 첫째 상식을 가르치지 않고 둘째 쓸데없이 어려운 걸 가르쳐서 사교육에 돈 퍼붓게 만들고 셋째 공교육이 정상기능을 못하게 만들어 놨어요

  • 24.05.07 15:00

    2222222

  • 24.05.07 15:34

    33333
    교육개혁이 필요합니다.

  • 24.05.07 13:01

    수월성이 인정받지 못하는 우리나라. 모두가 똑같아야 평등이라고 생각하는, 내가 못 갖는건 너도 갖으면 안된다고 우기는 나라.
    엘리트와 영웅이 없는 나라. 대한민국.

  • 24.05.07 13:13

    예전 직장동료중 싱가폴인들이 있었는데 중학교 시험으로 인생의 우열이 갈린다고... ㅠㅠ
    그에 대한 스트레스가 엄청 났어요. 집도 차도 TO가 정해져 있어서 맘대로 사지도 못하고
    저는 싱가폴 보면서 조지오웰의 1984 소설이 생각났습니다. 너무 하지 말라는게 많고 규격화가 되어 있다보니 싱가폴 가면 막 삐뚤어지고 싶더라구요. ㅎㅎ 하지 말라는것 막 하고 싶고

  • 24.05.07 13:35

    근데 싱가폴이나 미국 같은 나라는 뜨고 인권과 평등을 강조하는 유럽은 나날이 쇠락하고 가난해지는 것 보면.. ㅜ

  • 작성자 24.05.07 14:09

    독일과 스위스도 진로를 일찍 결정하게 해서 직업교육으로 많이 빠지고 대졸비율이 낮죠. 싱가포르에서 소나타 1억이었는데 지금은 얼마할지 모르겠네요.

  • 24.05.08 10:59

    1984는 코로나 때 가족도 못만나게하는 미친 짓거리 했던 우리나라가 더 비슷했죠.

  • 24.05.07 15:41

    얼마전에 우연히 본 다큐에 일부 나왔던 내용이에요.
    싱가폴은 초등학교를 졸업하면서 전국고사를 치르는데 이것으로 인생이 좌우되니 어린 나이에 입시에 매달려야만 한다는 것이었고 인터뷰를 한 현역 대학생들이 잠도 서너시간 밖에 못자고 공부했던 그때로 다시는 돌아가고 싶지 않다, 학대당한 기분이었다 등등 부정적인 이야기를 했던 걸로 압니다.


    일본의 경우도 약간 비슷한데요.
    도쿄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일부 학생들은 자율적으로 명문 사립중고등학교를 가기 위한 입시(중고6년제 학교)를 치러요.
    이걸 위해 초등3학년때부터 입시학원에 다니고, 행여 실패를 하면 공립중학교에 진학 하게 되어 중3때 또 고등학교 입시를 치러야 하는 이중고를 겪게 되지요.
    이렇게 명문사립학교에 진학하게 된 아이들은 비교적 양질의 교육을 받게 되고, 그들만의 커뮤니티도 형성되고요.
    대학까지 연결되니 사회에 나와서도 출신학교가 매우 중요하지요.

    한국과 다른 점은 이런 진로를 가는 아이들이 일부라는 것이요.
    너도나도 매달리진 않아요.
    고등학교 땐 대학입시도 중요하지만 클럽활동도 공부 못지 않게 열심히 하기 때문에 다들 좋은 추억을 갖고 있지요.

  • 24.05.07 19:31

    싱가폴 교육열은 우리나라보다 높습니다. 초등학생때부터 입시 시작돼요. 초등학생이 입시실패해서 자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만큼 싱가폴 대학가기 어렵구요. 어려서부터 입시가 시작되고 기회도 없으니 싱가폴이 높은 교육열로 똑똑한 인재가 많아 잘 사는거라고 하더라구요. 동생이 13년째 싱가폴 거주중입니다.

  • 24.05.08 09:00

    초등학생 자살률이 우리보다 높은 것으로 알아요 4,5세부터 공부 많이 시켜서 애들이 힘들어하는 집 많다고.. 싱가포르매쓰 문제집 풀어보면 이해가 되잖아요

  • 24.05.08 10:58

    우리도 예전엔 다 저랬잖아요?
    우열반도 있었고, 대학진학률도 낮았고
    좌파들이 망쳐버린 공교육 때문에 사교육비만 치솟았지요.

  • 24.05.08 14:44

    한국에서 고등학교 졸업하고 싱가폴 폴리테크닉으로 유학 온 학생을 만났는데.. 폴리가 디플로마과정이긴 하지만 굳이 싱가폴의 고등학교과정을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다닐까하는 의구심이 들더라구요.. 글구 제아는분이 자기딸도 인문계 갈 성적이 안되서 폴리 보내긴 했지만 인문계가서 대학 못가면 고졸이지만 폴리 졸업하면 디플로마라서 취업하기 더 유리하다는 말을 하시더라구요.

  • 24.05.08 19:30

    우리 나라 교육
    참 문제가 많죠....
    그래도 나름 장점도 있다고 주장하는 교육자도 있더라구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