淸選考청선고 : 조선 초기부터 한말까지 동서 양반의 주요 관직 및 직계별 신상을 기록한, 편저 미상의 인명록으로
약 4만명의 기록을 포괄하고 있으며 장서각 등에 소장되어있다.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조선시대 주요 관직별 인물들이 수록된 '청선고'를 통해 풍천임씨만을 추출해 보니 나의 직계 선조님들 기록 조차도
일부 누락된 사실을 알게되었다.
그러나 전체적 검증에는 시간적 물리적 한계가 있어 본 청선고 자료에 한정하여 작성하였으며
지방관은 관찰사급 이상만 기록합니다.
중앙관
相臣(우의정) 1
정 1품 품계로 현대의 직제상 국무총리급에 해당
[ 百經임백경 고종 ]
찬성 1
종 1품 품계로 東壁동벽이라고도하며 부총리급에 해당
[ 元濬임원준 연산 ]
비변사제조 1
조선 중 후기 의정부를 대신하며 국정 전반을 총괄하던 비변사의 수장
[ 相元임상원 숙종 ]
비변사 10
[ 國老임국로 선조, 兗임연 선조, 就正임취정 선조, 絖임광 선조, 相元임상원 숙종, 希存임희존 순조, 聖皐임성고 헌종, 百經임백경 철종, 泰瑛임태영 철종, 百秀임백수 고종 ]
이조판서 3
6판서 중 하나인 이조의 으뜸 벼슬로 6조의 수장이며 품계는 정 2품. 인사 고과 등의 업무 수행, 장관과 도지사급
[ 士洪임사홍 연산, 國老임국로 선조, 百秀임백수 고종 ]
호조판서 1
의식주와 관련된 업무 수행
[ 虎臣임호신 명종 ]
예조판서 5
예악, 제사, 학교, 과거 등을 관장
[ 元濬임원준 태조, 權임권 태조, 就正임취정 선조, 希存임희존 순조, 百秀임백수 고종 ]
병조판서 2
군사관계 업무 총괄
[ 士洪임사홍 연산군, 權임권 중종 ]
대제학(문형) 1
홍문관 · 예문관의 정 2품 관직으로 文官문관이 兼職겸직하며 文衡문형이라고도 함 .
[ 相元임상원 숙종 ]
세자시강원 빈객 2
왕세자의 교육을 담당하기 위해 설치된 관서의 정 2품 벼슬
[ 絖임광 인조, 相元임상원 숙종 ]
이조참판 4
이조에 둔 종 2품 관직으로 판서를 正卿정경, 참판을 亞卿아경이라 했다 차관급에 해당.
[ 相元임상원 숙종, 百秀임백수 철종, 應準임응준 고종, 憲晦임헌회 고종 ]
호조참판 8
호조에 둔 종 2품 관직
[ 有後임유후 현종, 相元임상원 미상, 弘望임홍망 미상, 希曾임희증 정조, 希存임희존 순조, 百經임백경 철종,
百秀임백수 철종, 孝準임효준 고종 ]
사헌부 대사헌 3
현실 정무를 논평하고 모든 관료를 규찰하며 풍속을 바로잡는 부서의 으뜸 벼슬로 종 2품.
[ 百秀임백수 고종, 憲晦임헌회 고종, 應準임응준 고종 ]
제학 4
왕의 신임이 높은 인물이 주로 뽑혔으며 홍문관, 예문관, 집현전에 둔 종 2품 관직.
[ 說임열 중종, 相元임상원 숙종, 百經임백경 고종, 應準임응준 고종]
동지성균관사 1
성균관에 둔 知事지사 밑의 직책으로 종 2품 관직.
[ 百秀임백수 고종 ]
사헌부 대관 2
사헌부 관원의 통칭
[ 憲晦임헌회 철종, 翼常임익상 고종 ]
사간원 대사간 5
임금에게 충간하는 일을 맡았으며 정 3품당상관임. 현재의 1급 관리관에 해당
[ 後常임후상 순조, 百秀임백수 헌종, 百能임백능 철종, 尙鎬임상호 고종, 冕鎬임면호 고종 ]
성균관 대사성 8
성균관에 둔 정 3품 당상관으로 성균관의 전임 벼슬로는 으뜸으로 유학과 문묘의 관리에 관한 사무.
[ 國老임국로 선조, 相元임상원 숙종, 埅임방 숙종, 珽임정 영조, 存常임존상 순조, 百經임백경 철종, 承準임승준 고종, 善準임선준 고종 ]
성균관 좨주 1
성균관에서 敎誨교회하는 일을 맡아 보던 관직으로 정 3품 당상관
[ 憲晦임헌회 고종 ]
이조참의 10
이조에 둔 정 3품 당상관 벼슬
[ 孝仁임효인 세종, 相元임상원 숙종, 珽임정 영조, 希敎임희교 영조, 希存임희존 정조, 存常임존상 순조, 應準임응준 고종, 承準임승준 고종, 孝準임효준 고종, 冕鎬임면호 고종 ]
호조참의 14
호조에 둔 정 3품 당상관 벼슬
[ 鼐臣임내신 선조, 呂임여 명종, 兗임연 광해, 絖임광 미상, 義伯임의백 미상, 奎임규 숙종, 弘望임홍망 숙종, 埅임방 숙종, 珽임정 영조, 厚常임후상 순조, 憲晦임헌회 고종, 百彦임백언 고종. 冕鎬임면호 고종, 善準임선준 고종 ]
東壁동벽 14
원래는 관리들이 회의나 연회에서 서열에 따라 지정된 좌석의 위치를 뜻하였던바, 최상위가 주벽(主壁 : 북쪽), 차상위가 동벽, 그 다음이 서벽, 기타가 남상(南床)이 되었으나, 뒤에는 각 관청의 특정 관직을 지칭하게 되었다.그러나 보통 동벽이라고 부를 때는 승정원과 홍문관의 동벽 관원들을 지칭하였다.
[ 珖임광 영조, 守迪임수적 영조, 珽임정 영조, 火+集임집 영조, 㻐임준 영조, 希敎임희교 영조, 俊常임준상 순조, 百經임백경 헌종, 應準임응준 철종, 憲大임헌대 철종, 冕鎬임면호 고종, 大準임대준 고종, 澤鎬임택호 고종, 善準임선준 고종 ]
승정원 도승지 12
승정원의 육승지 중 수석 승지로서 都令도령이라고도 하였다 정 3품 당상관으로 승정원 6房 중 吏房이방의 사무 관장.
[ 就正임취정 광해, 絖임광 인조. 義伯임의백 현종, 有後임유후 현종, 相元임상원 숙종, 弘望임홍망 숙종, 埅임방 숙종, 守迪임수적 영조, 王+集임집 영조, 希曾임희증 영조, 百經임백경 철종, 應準임응준 고종 ]
승정원 승지 46
승정원(중추부, 승추부)의 정 3품 당상관으로 왕명의 출납 사무 관장
[ 士洪임사홍 연산, 樞임추 중종, 虎臣임호신 명종, 鼐臣임내신 명종, 呂임여 중종, 國老임국로 선조, 蒙正임몽정 선조, 兗임연 광해, 就正임취정 광해, 碩齡임석령 광해, 絖임광 인조, 孝達임효달 인조, 義伯임의백 효종, 有後임유후 현종, 奎임규 숙종, 相元임상원 숙종, 弘望임홍망 숙종, 胤元임윤원 숙종, 舜元임순원 숙종, 埅임방 숙종, 守幹임수간 경종, 王+集임집 영조, 珣임순 영조, 瑋임위 영조, 師夏임사하 영조, 㻐임준 영조, 毅中임의중 영조, 希敎임희교 영조, 瑎임해 영조, 希曾임희증 영조, 珹임성 영조, 宗周임종주 영조, 希簡임희간 영조, 百能임백능 철종, 應準임응준 철종, 承準임승준 철종, 興準(興模)임흥준 고종, 憲大임헌대 고종, 商準임상준 고종, 尙鎬임상호 고종, 百彦임백언 고종, 澤鎬임택호 고종, 善準임선준 고종, 百淵임백연 고종, 孝直(孝準)임효직 고종, 冕鎬임면호 고종 ]
부제학 3
홍문관에 두었던 정 3품 당상관으로 제학과 직제학의 중간 벼슬이며 궁중의 경서와 사적을 관리.
[ 國老임국로 선조, 蒙正임몽정 선조, 承準임승준 고종 ]
세자시강원 찬선 1
정 3품 당상관 벼슬로 왕세자에게 경서나 사적 등을 강의하고 도의를 가르치는 임무 담당.
[ 憲晦임헌회 고종 ]
승문원 부제조 1
승문원은 사대교린(事大交隣)에 관한 문서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로 부제조는 정 3품 당상관 벼슬
[ 相元임상원 숙종 ]
홍문관 47
궁중의 경서(經書) · 사적(史籍)의 관리와 문한(文翰)의 처리 및 왕의 각종 자문에 응하는 일을 관장하던 관서로 사헌부 사간원과 더불어 삼사라 하였다. 홍문관직은 청요직(淸要職)의 상징이었으므로 홍문관원이 되면 출세가 보장되었다. 조선시대의 정승 · 판서로서, 홍문관을 거치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었다.
[ 元濬임윈준 세조, 士洪임사홍 세조, 由謙임유겸 성종, 熙載임희재 연산, 樞임추 중종, 權임권 중종, 柄임병 중종, 虎臣임호신 중종, 說임열 중종, 鼐臣임내신 중종, 國老임국로 명종, 蒙正임몽정 선조, 守正임수정 선조, 章임장 선조, 性之임성지 광해, 叔英임숙영 광해, 翰伯임한백 효종, 相元임상원 현종, 奎임규 현종, 胤元임윤원 숙종, 守幹임수간 숙종, 珖임광 경종, 守迪임수적 영조, 珽임정 영조, 璞임박(업) 영조, ?+集임집 영조, 㻐임준 영조, 希敎임희교 영조, 希簡임희간 영조, 珹임성 영조, 宗周임종주 영조, 希雨임희우 영조, 厚常임후상 순조, 百禧임백희 순조, 俊常임준상 순조, 天常임천상 순조, 存常임존상 순조, 鼎常임정상 순조, 百經임백경 순조, 百秀임백수 헌종, 應準임응준 철종, 百能임백능 철종, 承準임승준 철종, 孝直(孝準)임효직 고종, 尙鎬임상호 고종, 大準임대준 고종, 善準임선준 고종 ]
경연 7
임금에게 유학의 경서를 강론하던 자로 경연관은 당상관과 낭청으로 구성되었다.
[ 希存임희존 순조, 存常임존상 순조, 百經임백경 헌종, 百秀임백수 철종, 承準임승준 고종, 應準임응준 고종, 孝準임효준 고종 ]
세손강서원 유선 1
왕세손의 교육을 담당하였던 主宰職주재직
[ 憲晦임헌회 고종]
경연관 1
국왕의 학문지도와 치도 강론을 위하여 설치한 경연의 관직.
[ 憲晦임헌회 고종]
舍人사인 4
의정부의 정 4품 관직으로 檢詳검상, 司錄사록과 함께 의정부의 실무를 담당. 현재의 3급 부이사관급
[ 樞임추 중종, 權임권 중종, 虎臣임호신 중종, 鼐臣임내신 중종 ]
이조전랑 8
문관의 인사 행정을 담당하던 정 5품관 정랑과 정 6품관 좌랑직의 통칭
[ 柄임병 중종, 說임열 중종, 守正임수정 선조, 兗임연 선조, 章임장 선조, 興後임흥후 광해, 器之임기지 광해, 守幹임수간 숙종 ]
세자시강원 설서 3
經史경사와 道義도의를 가르치던 정 7품 관직. 현재의 6급 주사직
[ 守幹임수간 숙종, 珽임정 영조, 希簡임희간 영조 ]
승정원 주서 15
藥房약방과 日記일기를 관장하던 정 7품 관직
[ 鉉임현 선조, 就正임취정 선조, 碩齡임석령 선조, 兗임연 선조, 章임장 선조, 絖임광 인조, 重임중 인조, 堂임당 숙종, 翊元임익원 숙종, 胤元임윤원 숙종, 應準임응준 헌종, 承準임승준 철종, 尙鎬임상호 고종, 大準임대준 고종, 善準임선준 고종 ]
예문관 검열 8
정 9품의 관직으로 승지와 더불어 왕의 최측근에서 史實사실의 기록과 왕명의 대필 등을 맡았으므로 近侍근시로 지칭되며 史臣사신이라고도한다. 현재의 8급 서기에 해당.
[ 樞임추 중종, 權임권 중종, 虎臣임호신 중종, 蒙正임몽정 선조, 守正임수정 선조, 章임장 선조, 器之임기지 광해, 叔英임숙영 인조 ]
독서당 6
중요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설립한 전문 독서연구기구로 湖堂이러고도 한다.
국가의독서당은 공참부(公參府)의 성격보다는 연구기관으로서 학문적 기능을 뚜렷이 나타내고 있었으며, 옥당(玉堂)인 집현전이나 홍문관 못지않게 평가되었던 기관이었다.
역대 왕들의 독서당에 대한 총애와 우대는 지극하였다. 독서당에는 언제나 궁중음식 전담기관인 태관(太官)에서 만든 음식이 끊이지 않았고, 임금이 명마(名馬)와 옥으로 장식한 수레 및 안장을 하사하는 일이 많았다.
그리고 독서당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서 사가 인원을 줄이고 규정을 엄격히 하였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1515년(중종 10) 5월에 사가독서원으로 김안국(金安國) 등 16인을 선발하였으나 엄격히 재심한 결과 7인만이 최종적으로 뽑혔다는 것이다.
독서당의 선발 연령은 연소문신(年少文臣)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으나 40세가 넘어서 선발되는 경우도 가끔 있었다. 그리고 대제학은 독서당을 거친 사람이라야 가능하게끔 제도화했다.
운영은 국비로 하되 왕들의 특별 배려에 의한 하사품이 운영의 보조구실을 하였다. 전성기에는 12인을 뽑아 일·숙직을 교대로 하게 하였으며, 대제학이 날마다 제술(製述)을 맡겨 매월 세 차례의 등급을 매겼다.
[ 元濬임원준 성종, 熙載임희재 중종, 說임열 중종, 性之임성지 광해, 叔英임숙영 인조, 守幹임수간 숙종 ]
지방관
경기도
수원유수 百經임백경
경기도관찰사 有後임유후
충청도
충청도관찰사 義伯임의백, 弘望임홍망.
전라도
전라도관찰사 由謙임유겸, 權임권, 國老임국로, 奎임규.
경상도
경상도관찰사 由謙임유겸, 樞임추, 虎臣임호신, 說임열, 義伯임의백.
황해도
황해도관찰사 弼亨임필형, 絖임광, 義伯임의백, 弘望임홍망, 胤元임윤원.
강원도
춘천유수 商準임상준.
강원도관찰사 鼐臣임내신, 允臣임윤신, 碩齡임석령, 舜元임순원.
함경도
함경북도관찰사 原鎬임원호
평안도
평안도관찰사 說임열, 義伯임의백.
- 이상 -
원본 파일 : 풍천임씨 나의 족보 탐색기 블러그
https://blog.naver.com/yimcu/223263541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