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사과2pm이 지금 나온다고 미국에서 인기 끌 수 있을까요? 소년과 꽃미남상을 강조하는 국내 분위기에서 뜬금 짐승돌 컨셉 나와서 인기 끈거지 가령 그런 상이 흔하디 흔한 미국에선 이런 점 때문에 오히려 인기를 못 끌죠. 그들에겐 흔한거니 매력을 못 느낄 테니까요. 지금 케이팝이 인기있는건 바로 그들과 다른 매력이 있다는 점 이거 때문이라고 봐요
@이방원저는 국내에서 그런 게 먹혔으니 다시 나오면 미국에서 인기를 끄는 걸 말씀드린 게 아니라 동양과 서양의 남성성 지향 부분에서 국내에선 과거엔 짐승돌 이미지 역시 선풍적 인기를 끌어봤기에 사실 대중의 니즈가 항상 고정적인 게 아니라 창작자들이 새롭게 추가하면서 피력하고 만들어 가는 건 아닐까라는 흥미로운 생각이 들곤 했다는 걸 말씀드린 겁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바 저도 공감합니다. 지금 2pm이 짐승돌 다시 컨셉들고 나와서 미국에서 당장 인기끌긴 당연히 힘들죠. 케이팝 포맷자체가 서구권 음악 구조에서 굉장히 신선한 구조일겁니다.
첫댓글 공감되네요
강한자들이 살던 시대와 곱상한 남자들이 사는 시대
굳이 걔네 눈치 맞출 필욘 없지만 서구권 K팝 안티들이 싫어하는 이유가 이런 이미지 때문이기도 한ㅋㅋ
사실 케이팝 멤버들로 헬창들 데려와서 머슬마니아 찍을 거 아닌 이상에야 애초애 그들 니즈를 충족시켜줄 수 없죠. 이건 케이팝을 떠나 그냥 동양 남성성과 서양 남성성이 다른 거라서. 즉 애초에 둘의 지향성이 달라서 맞춰주고 말고 할 것도 없는 뭐 그런거죠.
@이방원 그쵸. 근데 또 한 때는 2pm의 짐승돌 이미지가 크게 먹혔던 걸 보면 꽤나 흥미롭긴 해요 ㅋㅋ 사실 니즈는 창작자가 대중에게 피력해서 만들어지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곤 하는 ㅋㅋ
@파란사과 2pm이 지금 나온다고 미국에서 인기 끌 수 있을까요? 소년과 꽃미남상을 강조하는 국내 분위기에서 뜬금 짐승돌 컨셉 나와서 인기 끈거지 가령 그런 상이 흔하디 흔한 미국에선 이런 점 때문에 오히려 인기를 못 끌죠. 그들에겐 흔한거니 매력을 못 느낄 테니까요. 지금 케이팝이 인기있는건 바로 그들과 다른 매력이 있다는 점 이거 때문이라고 봐요
@이방원 저는 국내에서 그런 게 먹혔으니 다시 나오면 미국에서 인기를 끄는 걸 말씀드린 게 아니라 동양과 서양의 남성성 지향 부분에서 국내에선 과거엔 짐승돌 이미지 역시 선풍적 인기를 끌어봤기에 사실 대중의 니즈가 항상 고정적인 게 아니라 창작자들이 새롭게 추가하면서 피력하고 만들어 가는 건 아닐까라는 흥미로운 생각이 들곤 했다는 걸 말씀드린 겁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바 저도 공감합니다. 지금 2pm이 짐승돌 다시 컨셉들고 나와서 미국에서 당장 인기끌긴 당연히 힘들죠. 케이팝 포맷자체가 서구권 음악 구조에서 굉장히 신선한 구조일겁니다.
그런데 해외 남자아이돌도 다 이런 이지미 아니예요? 원디렉션도 이쁘장한 남자애들로 엄청 먹혔었는데..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