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생산 / 품질 공부방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운영자 자료실 스크랩 FMEA3(품질과 PFMEA)
parkkc(중국 위해) 추천 0 조회 130 10.12.17 12:45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앞에서 자료의 중요성에 대해 논해봤다.

그리고 우리가 자료로서 혹은 정보로서 사내에 표준화 시켜가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도

개략적으로 정의도 내려보고 이러한 정보는 FMEA로부터 공정의 지침서인 관리계획으로

정리되고 관리되어야 한다고 정리도 했다.

 

 나는 이것을 자료의 표준화라고 생각한다. 표준화 되지 못하는 자료들은 좋은 정보로서 제대로

활용되어 질 수 없는 그냥 첩보들이 아닌가.

많은 사람들이 하는 얘기가 우리의 Know how는 자료화 되지않고 오래된 직원들의 머리 속에 있다고 한다

그리고 그게 개인의 능력이라 공개 할려고 하지도 않을려고 한단다.

정말 그런가? 개인의 Know how가 무엇인지 작성을 해보자고 했다

내가 보기에 결과는 정말 ......그냥 첩보의 수준이다.....왜인가?

가장 중요한것은 기록이 되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본다. 만일 좀 어설픈 정보라도

정리되어 기록되어 졌더라면 그 정보를 사용하는 사람에 의해 수정, 발전되지 않았겠는가!!

 

 내가 생각하기에 일본의 경쟁력의 근원적인 핵심은 자료에 있고, 이 자료들은 그들의 기록하는 습관에

이해 만들어졌다고 본다....................메모다....메모가 경쟁력이다!!.........

FMEA라는 게 무엇인가?

많은 사람들이 어려운 문자를 써가며 장황하게 설명들을 한다........웃기는 얘기다......

 원래 FMEA의 탄생은 제품의 개발과정에서 향후 발생될 수있는 문제를 사전에 검토하여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미리 찾자는 것 아닌가.

그러면 우리가 새로운 제품을 개발 할 때 지금까지 이러한 사고를 가지고 하지 않았느냐 하는 거다.

만일 이러한 개념을 가지고 개발 하지 않았다면 개발자의 직무 유기였을 것이다.

 

 단지 문제는 좀 더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체계를 가지지 못했다는 것이고,

더욱 중요한 것은 사전에 미리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정보를 가지고 있지 못한 것아닌가!

그리고 도출된 문제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개인 혹은 전사적 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품질의 문제는 어떻게 발생하는가?

첫째는 고객의 요구를 도면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고

둘째는 도면에 있는 사양을 공정에서 만들수 있도록 예방하지 못했기 때문이고

셋째는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고객에게 유출되지 않는 검출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네째는 이런 예방과 검출의 방법이 현장에서 준수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니 겠는가.

 

 여기에서 첫째의 문제는 제품 설계의 문제로 DFMEA에서 다루기로 하고, 나머지의 문제는

검토해보자. 해결의 방법은 다음이라고 본다

 

 1.제품특성을 만들어가는 공정은 무엇이며 공정별로 만들어야 하는 제품은 무엇인가의 정의다

 2.공정별로 요구하는 제품을 만들어지지 못하는 원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3.원인에 대한 통제방법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4.원인을 통제하더라도 문제는 발생될 수있으므로 고객에게 유출되지 않는 검출의 방법을 찾는 것이다

 5.예방과 검출의 방법을 표준화해서 현장에서 지킬 수 있도록 지침화 하는 것이다.

 

위의 내용을 다시 정의 하면

 1.은 공정흐름도에서 정의를 내리고

 2.3,4.는 PFMEA의 과정에서 정의를 내리고

 5.는 CONTOL PLAN에서 정의를 내리면 되는 것이다.

 

 이것이 기본적 사고다.

 

 예를 한번 들어보자.

제품표면에 발청이 발생 했다면 원인은 무엇인가. 아마 원인은 외부스트레스(충격, 온도, 사용시간)에

견딜 수 있는 도장의 부착력이 부족했기 때문일 것이다. 여기서 부착력과 도막두께의 스펙을 결정하는 것은 DFMEA과정에서 결정 할 것이다.

다음은 부착력과 도막두께를 결정하기 위한 공정의 흐름을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공정별로 요구하는 제품특성을 결정한다. 부착력을 위해 건조공정에서는 표면습기가 요구품질이고 이것들을 정의 해가는 것이 공정흐름도 이다.

표면습기를 결정짓는 여러원인이 있을 것이고 이 원인을 통제함 으로서 발생을 예방시키는 방법과 습기를 검사하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PFMEA이다.

다음은 이를 종합정리하면 관리계획서가 된다...........이해가 되는지 모르겠다.....

 

 여기서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FMEA에 대한 형식에 대한 구속을 없애고 공정관리에 대한 근원적 사고를강화 하고자 하는 것이다.....모든 길은 그런 기본에 있다고 본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