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노을 시낭송회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 문학 게시판 스크랩 강론(9)
李 乙 추천 0 조회 19 11.09.02 09:42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강론(9)……인유(引喩, allusion)


인물이나 사건 또는 다른 문학 작품이나 구절을 직접 간접으로 가리키는 것이다. 토마스 내쉬(thomas nashe)의 “역병 시의 연도(連禱)(litrny in time of plague)”


  빛나는 것이 공중에서 떨어진다.

  여왕들은 ?다운 나이에 죽었다.

  흙이 헬렌의 눈을 감겼다.


에는 토로이의 헬렌에 대한 명백한 인유가 있다. 인유는 대개 어떤 주제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하거나 그 주제를 고양(고양)시켜 주는 구실을 하지만, 그 주제와 인유 간의 불일치에 의하여 그 주제를 아이러니컬하게 깎아 내리는 데 쓰이는 것도 있다. T.S.엘리어트의 <황무지(the waste land)>의 시행(시행)에, 현대 여성이 화장대 앞에 앉아 있는 모습을 묘사하는 다음과 같은 장면이 있다.


  그녀가 앉았던 의자는, 광택나는 보좌처럼,

  대리석에 반사되어 빛났다.


세익스피어의 말들을 되풀이하는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이 아이러니한 인유는 <앤토니와 클레오파트라(antony and cleopatra))(2막2장,196행 이하)


  그녀가 앉았던 호화선은, 광택나는 보좌처럼,

  수면에서 불탔다.


옛 문학에서 작가는 자기의 인유를 교육받은 당대의 독자들이 알아보리라고 가정했다. 그러나 다수의 현대 작가들(joyce, pound, eliot를 포함한)은 고도로 전문적인, 또는 작가 개인의 독서와 경험에 근거한 인유를 자주 사용하는데, 박식한 주석의 도움이 없이는 그 인유를 알아볼 독자가 극소수라는 사실을 그들은 알고 있다.     



강론(10)……기상(奇想, conceit)[기발한 착상]


본래 개념(concept) 또는 이미지라는 뜻을 지녔던 “기상”이란 말은 겉보기에는 다른 두 물건이나 상황 간에 뚜렷한 유사성--흔히 정교한 유사성--을 확립시켜 주는 비유법을 지칭하는 용어가 되었다. 이 용어는 전에는 경멸적인 뜻을 지니고 있었으나 지금은 하나의 시의 기법을 식별하는 중립적인 꼬리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기상은 흔히 두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1) 페트라르카 풍 기상(petrarchan conceit)은 이탈리아 시인이었던 페트라르카에게 새롭고 효과적이었던 연애시에 사용된 유의 비유법이지만, 그의 모방자들이었던 엘리자베스 조의 소네트 작가들에 와서는 낡아빠진 비유법이 될 때가 많았다. 이 비유법은 아름다웠지만 그에 못지않게 쌀쌀맞고 무자비한, 경멸감에 찬 애인과 그녀를 숭배하는 남자 애인에게 쓰인 자세하고 과장된 비유들로 구성되어 있다.


가령, 토머스 와이어트(thomas wyatt)경은, “망각으로 가득 찬 내 노예선(my galley charged with forgetfulness)”이란 소네트에서 연인의 상태를 폭풍우 속에서 시달리고 있는 배에 상세하게 비유했다. 다른 소네트에서는, 연인의 상태를 알프스의 풍경에 비유했다. 와이어트의 셋째 소네트는 낯익은 페트라르카 풍 기상으로 시작되는데, 이 기상은 사랑의 열병에 시달리는 사람에게 함께 밀려오는 열과 오한을 묘사하는 모순어법(矛盾語法, oxymoron)이다.


     나는 평화를 찾지 못했노라. 내 전쟁은 모두 끝났는데.

     나는 두려워하며 바라노라. 불타면서도 얼음 속에서 얼고 있노라.


페트라르카 풍의 소네트를 짓는 시인들이 직유(simile)를 위해 징발한 표준 사물들을 풍자했다. 그것을 풍자한 그의 소네트는 다음과 같이 시작된다.


     내 연인의 눈은 태양과 같지 않다.

     산호가 그녀의 빨간 입술보다 훨씬 더 붉다.

     눈이 희다면, 아니 그녀의 젖가슴은 어두운 갈색.

     머리깔이 철사라면, 그녀의 머리에 자라는 긴 까만 철사.    


    <참고>

    소네트(sonnet)란?

    복잡한 각운 형식(rhyme scheme)에 의해 연결된 약강 5보격(弱强五步格,iambic pentameter) 행 14개로 구성된 단 한 개의 연(聯,stanza)으로 쓰여진 서정시.(14세기 페트라르카의 소네트는 16세기 초에 토머스 와이어(영국)에 의해 세스텟(sestet,六行連句)으로, 연정에 빠진 남자의 희망과 고통이 표출되었음.


(2)형이상학파 기상(metaphysical conceit)

17세기의 존 단(john dounne)과 형이상학파 시인들(metaphysical poets)의 특정적인 비유법이다. 이 비유법은 “카울리 전(life of cowley)”의 유명한 구절에서 존슨 박사에 의하여 위트(wit)로 기술되었다. 위트란.....일종의 조화로운 부조화() : 상이한 이미지들의 결합, 또는 겉으로 보기에는 같지 않은 사물들 속에서 신비로운 유사성을 발견하는 것이다....가장 이질적인 관념들이 폭력으로 억지 결합되었다.


형이상학파 시인들은 모든 지식--일상적이거나 신비적인 지식, 신학적이거나 철학적인 지식, 사실이거나 전설적인 지식--을 이 비유법의 매개체로 원용했다. 또한 그들의 비유들은, 간결하거나 확대되었거나 간에 새롭고, 위트가 있고, 가장 훌륭할 때는 놀랄 만큼 효과적이었다.


재래의 패트라르카 풍 시체(詩體)의 개념과 비유법과 뚜렷한 대조를 이루고 있는 시가 존 단의 “벼룩(the flea)”인데, 이 시는 두 여인을 문 벼룩을, 숙녀의 수줍음을 공격하는 반론을 위한 기본 준거(準據)로 사용하고 있다. 존 단의 “시성(諡聖, canonization)”에서는 시의 논의가 전개되어 감에 따라 연인들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비유들은 상업과 사업의 영역에서부터, 여러 가지 실제적, 신화적 조류(鳥類)들과 다양한 형태의 역사적 기념물들을 거쳐, 클라이맥스에 이르는데, 이곳에서 성행위(性行爲)의 속세 연인들의 도덕적 위치는 비세속적인 성인들의 금욕생활 및 천국 같은 종착지와 동일시된다.     


가령 유명하고 지속적인 기상은 존 단이 <애도를 금하는 고별사(a valediction : forbidding mourning에서> 애인들의 육체적인 이별에도, 불구하고 그와 그의 애인의 영혼의 지속적인 관계를 제도사(製圖士)의 컴퍼스의 두 다리의 조화 있는 움직임에다 비유한 것이다. 지나친 형이상학파의 기상의 싸늘하고 과장된 미묘성에 관한 잘 알려진 예는 리처즈 크래쇼(richard crashaw)가 “성 막달라 마리아(saint mary magdalene)”에서 참회하는 막달라의 눈물이 글썽이는 두 눈을,


  두 신실한 분수(噴水),

두 걸어가는 목욕탕, 두 우는 동작,

휴대용의 압축된 대양들.


 이라고 묘사한 것이다.

1920년대에 형이상학파 시인들의 일대부흥의 여파를 타고, 다수의 현대 시인들이 이 유형의 기상을 이용했다. 예를 들면 T.S.엘리어트(eliot)가 “J. 앨프리드 프루프록의 연가(the love song of J.alfred prufrock)”에서 저녁을 “수술대에 누운 마취된 환자(a patient etherized upon a table)”에 비유한 것. 딜런 토머스(dylan thomas)의 “앵 존즈를 기념하여(in memory of ann jones)”에 있는 놀라운 비유의 매체(vehicle)가 있다. 이러한 기상의 유행은 1920년대와 그 이후에, 콜 포터(cole porter)와 같은 잘 교육받은 작곡가들이 지은 “그대는 내 커피 속의 크림(you're the cream in my coffee)” 및 “그대는 최고(you're the tops)”라는 유행 연가에서도 그 영향을 미쳤다. 



강론(11)……대조법(Antithesis)


인접해 있는 구(句) 또는 절(節)들의 의미가 대조되거나 반대되는 것. 문법 구조의 유사성으로 대조가 강조된다. 예를 들면, <의사 아버스넛에게 보내는 서한시(epistle to Dr. Arbuthnot)>에게 포프(pope)의 애티커스(atticus) 묘사가 있다 : “기거이 상처입히겠지만, 때리기는 두려워한다(willing to wound, and yet afraid to strike)”. <머리타래 겁탈(the rape of the lock)>에서 벨린더(belinda)의 머리타래를 훔치려는 남작(baron)의 흉계를 포프가 묘사한 제2 행에서, 문법상의 유사성이 명사들의 두운(頭韻)에 의해 부각된다.

    얻기로 결심하고, 그는 방법을 생각한다.

    폭력으로 겁탈할까, 사기로 배반할까.

    Resolved to win, he meditates the way,

    By force to ravish, or by fraud betray.


새뮤얼 존슨(samuel johnson)의 <래실러스(rasselas) 26장의 한 문장은 대조적인 절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곳에서는 그 대조가 서로 비교되는 명사들의 쌍들 중의 한 쌍의 두운(alliteration)에 의하여 부각된다 : “결혼 생활에는 고통이 많지만, 독신 생활에는 즐거움이 없다(marriage has many pains, but celibacy has no pleasures.)”



강론(12)……서사시적 직유(Epic Simile)


제2주어(보조관념), 즉 “매체(매체, vehicle)”가 이것에 비유되는 제1주어(원관념), 즉 “주의(主意, tenor)”와 특정한 유사점을 훨씬 넘어서 발전하는, 격식에 맞고 지속되는 긴 직유이다. 이 비유는 서사시의 문채가 지니고 있는 의식적 특징을 고양시키기 위하여 그것을 사용한 베르길리우스(vergilius)와 밀톤(milton)과 그 밖의 다른 문학적 서사시 작가들이 호메로스(homeros)에게서 모방했었다. 그래서 밀톤은 <실낙원(paradise lost)> 1권 768행 이하에서, 신축한 복마전(伏魔殿)으로 몰려드는 타락한 천사들을 떼지어 날아다니는 벌 떼에다 정교하게 비유하여 묘사하고 있다.


    봄철, 태양이 금우궁(金牛宮)과 함께 말달릴 때,

    수많은 새끼를 벌집 주위에 무덕무덕

    쏟아 놓으면, 새끼들이 신선한 이슬과 꽃 사이를

    이리저리 날아다니거나, 볏집으로 지은

    성곽의 교외, 새로 향유로 문질러

    반들반들해진 판자에서 여기저기 걸어다니면서

    그들의 국사를 의논한다. 그처럼 하늘의 무리들이

    새까맣게 떼지어 몰렸다......     



강론(12)……과장법과 줄여말하기(hyperbole and understatement)


[향대과장(向大誇張)과 향소과장(向小誇張)] 과장법이라 불리는 비유(trope)는 대담한 과장, 즉 사실을 지나치게 과장하는 것이다. 그것은 진지한 또는 희극적인 효과를 내는 데 사용된다. 이아고(iago)는 고소한 표정을 지으며 오셀로에 관해서 이야기한다(<오셀로(othello), 3막3장, 330행 이하)

                       아편도, 맨드레이크도

         이 세상에 있는 온갖 수면제도

         당신이 어제 즐겼던

         그 단잠을 지게 할 수 없을 거요.


벤 존슨(ben jonson)이 “그대의 두 눈으로만 나를 위해 축배를 들어 주오(drink to me only with thine eyes)”에서 그의 애인에게 바친 기사도적으로 과장된 찬사와 “그의 쌀쌀한 연인에게(to his coy mistress)”---이 시(詩)로 마블(andrew marvell)은 그가 “충분한 세상과 시간만” 있다면 얼마나 천천히 그의 “식물 같은 사랑이 자랄” 것인가를 증명하고 있다---에 있는 아이러니컬한 과장법들도 보인다. 미국 서부의 “허풍(tall talk)”과 “허풍선이 이야기(tall tale)”는 희곡적 과장법의 한 형태이다.


이와 반대되는 비유는 줄여말하기(understatement)

어떤 것을 크기나 중요성에 있어서 의도적으로 사실보다 훨씬 적게 묘사한다. 그 효과는 흔히 아이러닉하다--일부 비평가들은 연민의 정을 자아내는(pathetic) 사건이나 비극적인 사건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아주 단순하고, 강조되지 않은 진술을 문학에서 사용한 것에 “축서법(縮敍法, meiosis)"이란 용어를 확대 사용한다.   



강론(13)……아이러니()


그리스 희극에서 에이론()이라 불리는 등장인물은 “능청떠는 사람”이었는데, 줄여말하기(축서, )가 그의 특징이었으며 짐짓 실제보다 덜 영리한 체 딴전을 피웠지만, 알라존()--자기를 기만하는 어리석은 허풍장이--을 이겼다. “아이러니”란 용어의 여러 비평적 용법 속에는 대부분 위장의 어원적 의미, 즉 주장과 사실 사이의 괴리라는 뜻이 남아 있다.


반어(반어,)

[전통적으로 비유() 중의 하나로 분류되었다] 또는 언어상의 아이러니는 말하는 사람이 뜻한 숨겨진 의미가 그가 겉으로 주장한 의미와 다른 진술이다. 이런 반어적 진술 속에는 하나의 태도나 평가의 명확한 표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상례이긴 하지만, 아주 다른 태도나 평가가 함축되어 있다.  


따라서 포프()의 <머리타래 겁탈()>의 제4곡(曲)에서 플룸() 경이 여자들의 성화에 못 이겨 훔쳐 간 머리타래를 돌려 달라고 더듬거리며 조리가 닿지 않는 요구를 하자, 남작이 그에게 대답했다.

          “몹시 슬픈 일이오.” 그 귀족이 다시 대답했다.

          “그렇게도 구변 좋은 분의 말씀이 허사가 되다니.”


이것은 표면적 진술이 아이러니컬하게 역전(逆轉)된, 이해하기 쉬운 사례이다. 왜냐하면 그 귀족이 조금도 슬퍼하지 않고 있으며, 가련한 플룸 경이 말을 조금도 잘한 것이 없다는 분명한 단서가 상황 속에 들어 있기 때문이다.


또다른 유명한 아이러니의 예는, 오스턴()의 <오만과 편견()>의 첫 문장이다 : “큰 재산을 소유한 독신 남성에게 틀림없이 아내가 필요하리라는 것은 보편적으로 인정된 진리이다.” 오히려 독신녀에게 동많은 남편이 필요하리라는 것이 이 속에 함축된 아이러니컬한 의미이다.


포프와 다른 작가들이 사용한 아이러니는 아주 복합적일 경우도 있다. 즉, 그 의미와 평가가 완전히 역전되기보다는 미묘하게 제한()될 수도 있고, 표면 진술 밑에 숨겨진 아이러니컬한 반대 의미에 대한 실마리가 간접적이어서 눈에 확 띄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작가가 아이러니를 사용하면 독자의 지능을 은근히 칭찬하는 격이 되는데, 독자는 작가와 한현이 되고, 표면적 의미에 속지 않는 영리한 소수와 사귀라는 요청을 받는다. 또한 그런 까닭에 대다수의 아이러니스트들이 오해를 받고 가끔 (디포()와 스위프트()처럼) 아든한 권력층과의 사이에 큰 말성을 일으킨다. 플라톤이나 스위프트나 제임즈()와 같은 위대한 아이러니스트들의 복잡하고 능청맞은 술책들을 이해하는 것은 숨겨진 뜻을 찾아내는 재주를 가늠하는 최종 시험 수단이다.


문학작품 중에는 지속적인 아이러니를 보여 준다는 점에서 구조적 아이러니()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 더러 있다. 이런 작품에서, w작자는 이따금 언어상의 아이러니(), 즉 반어()를 사용하는 대신에, 이중의 의미를 지속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어떤 구조적 특징을 끌어들인다. 이런 종류에 속하는 것으로서 한 가지 흔한 수법은 유치한 주인공(), 또는 유치한 나레이터나 대변자를 창안해 내는 것이다.


(언어상의 아이러니는 말하는 사람의 아이러닉한 의도를, 말하는 사람과 그의 청중이 알고 있다는 사실에 의존한다는 점에 주목하라. 한편, 구조적 아이러니는 작가의 아이러닉한 의도를 청중들은 알고 있지만 말하는 사람은 모르고 있다는 사실에 의존하다)


<아이러니의 수사학()>에서 웨인 부수()는, 표면 의미를 약화시키는 확고한 토대로 사용되는 은근한 주장이나 입장을 화자나 작가가 독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안정된 아이러니()로 분류하고 있다. 반면에, 불안전한 아이러니()는 또 다른 아이러니들에 의해 약화되지 않는 확고한 입장이 없음을 시사한다.              

 
다음검색
댓글
  • 11.09.03 15:08

    첫댓글 수업 잘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