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I Love NBA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非스포츠 게시판 스크랩 조선시대 벼슬
Texas-White 추천 0 조회 1,276 10.10.16 15:03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조선시대 벼슬과 하는 일

 

승정원 : 왕의 명령을 전달하며 그의 이행 여부를 보고하는 일을 맡은 관청

3품 도승지 좌승지 우승지 좌부승지 우부승지 동부승지

7품 주서 사변가주서

의금부 : 국왕의 명령에 따라 죄인을 심문하는 일을 맡은 관청

1품 판의금부사

2품 지의금부사

2품 동지의금부사

4품 경력

6,8품 품참외도사

 

한성부 : 서울 안의 인구 주택 토지 도로 교량 산천을 관리하며 제반 범죄를 단속 조사하며 서울 안에 대한 낮 순찰을 담당하는 관청

2품 판윤

2품 좌윤 우윤

4품 서윤

5품 판관

6품 주부

7품 참군

사헌부 : 현행 정사에 대하여 논의하며 문관 무관 등 벼슬아치들의 능력과 수완을 조사 장악하며 비행을 조사 규?하여 풍속을 바로 잡는 임무를 맡은 관청

2품 대사헌

3품 집의

4품 장령

5품 지평

6품 감찰

사간원 : 왕에게 간언하며 사회도덕적 문제들에 대하여 논의하고 건의하는 일을 맡은 관청

3품 대사간

3품ㄴ 사간

5품 헌납

6품 정언

 

내금위 : 궁궐을 지키고 왕을 호위하는 군사인 금군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

2~3품 내금위장 겸사복장

 

중추부 : 일정한 직무가 없는 당상관들을 우대하기 위하여 설치된 관청

1품 영사(대체로 재상이 겸임)

1품 판사

2품 지사

2품 동지사

3품 첨지사

4품 경력

5품 도사

종친부 : 왕실의 족보를 작성하여 보관하며 역대 국왕의 초상을 간직햐며 왕의 겨레붙이들을 돌보는 일을 맡은 관청

1품부터 종2품 군

1품 판종정경

2품부터 종1품 지종정경

2품 종정경

3품 도정 정

3품 부정

4품 수

4품 전첨

4품 부수

5품 영

5품 전부

5품 부령

6품 감

돈령부 : 왕실의 친척들을 우대하기 위하여 설치된 관청

왕의 친척인 경우에는 왕과 같은 성은 9촌까지 다른 성은 6촌까지 왕비의 친척인 경우에는 왕비와 갈은 성은

8촌까지 다른 성은 5촌까지의 친척들

세자빈의 경우에는 세자빈과 같은 성은 6촌까지 다른 성은 3톤까지의 친척을 장악하여 우대

영돈령부사(1) 대체로 왕의 장인

판돈령부사(1) 왕의 장인

지돈령부사(2)

동지돈령부사(2)

도정(3)

(3)

부정(3)

첨정(4)

판관(5)

주부(6)

직장(7)

봉사(8)

참봉(9)

충훈부 : 공신들과 그들의 자손을 우대하기 위하여 설치된 관청

1품으로부터 종2품까지의 군

경력(4)

도사(5)

 

의빈부 : 왕의 시위나 그밖의 왕의 겨레붙이의 여자들과 결혼한자들을 우대하기 위하여 설치된 관청

(1품부터 종2품까지)

부위(3)

첨위(.3)

경력(4)

도사(5)

이조 : 문관 벼슬아치들의 임명 선발 및 조동 벼슬아치들의 능력평가 등에 관한 일을 맡음

이조판서(2)

이조참판(2)

이조참의(3)

이조정랑(5)

이조좌랑(6)

상서원 : 나라의 옥새와 각종 인장 절월 등을 담당하는 관청

(1)

판관(5)

직장(7)

부직장(8)

종부시 : 왕실의 족보를 편찬 정리하며 왕의 겨레붙이들의 허물을 살피는 일을 맡은 관청(종친부 소속)

(3)

첨정(4)

주부(6)

직장(7)

사용원 : 왕이 먹는 음식과 대궐 안에서 쓰이는 각종 식료품을 담당하는 관청

 (1)

 제거(.3)

 제검(.4)

 첨정(4)

 판관(5)

 주부(6)

 직장(7)

 봉사(8)

 참봉(9)

 

내수사 : 궁궐 안에서 쓰는 곡물과 천 일용잡화 및 궁궐 안에서 심부름하는 노비 등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

전수(5)

별좌(.5)

부전수(6)

별제(.6)

전회(7)

전곡(8)

전화(9)

충익부 : 원종공신을 우대하기 위해 설치된 관청

  도사(5)

내시부 : 국왕이 거처하는 궁궐 안의 청소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

상선(2)

상온(3)

상다(3)

상약(3)

상전(4)

상책(4)

상호(5)

상탕(5)

상세(6)

상촉(6)

상훼(7)

상설(7)

상제(8)

상문(8)

상경(9)

상원(9)

액정서 : 국왕의 말을 전달하고 국왕이 쓰는 붓과 먹 벼루 등을 보관하며 대궐 안의 열쇠를 간수하고 대궐 뜰에

 있는 여러 가지 설비들을 관리하는 일을 맡은 관청

사알(6)

사악(6)

부사악(6)

사안(7)

부사안(7)

사포(8)

부사포(8)

사소(9)

부사소(9)

호조 : 나라 안의 인구와 토지를 장악하며 각종 공납과 재정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

호조판서(2)

호조참판(2)

호조참의(3)

호조정랑(5)

호조정랑(6)

산학교수(6)

겸교수.별제(6)

산사(7)

계사(8)

산학훈도(9)

회사(9)

내자시 : 궁궐 안에서 쓰는 각종 쌀 가루 기름 술 장꿀 채소 과일 등 식료품과 여러 가지 천 그리고 궁중에서

차리는 연회 등에 관한 일을 담당

(3)

부정(3)

첨정(4)

판관(5)

주부(6)

직장(7)

봉사(8)

내성시

사도시 : 궁궐 안에서 소비하는 쌀 간장과 그 밖의 조미료를 담당하는 관청

  (3)

부정(3)

첨정(4)

주부(6)

직장(7)

봉사(8)

군자감 : 군수품을 보관 관리하는 일을 맡은 관청

  (3)

부정(3)

첨정(4)

판관(5)

주부(6)

직장(7)

봉사(8)

부봉사(9)

참봉(9)

제용감 : 왕에게 진상하는 각종 천과 인삼 등 물건과 왕이 개별적 벼슬아치들에게 주는 의복 비단 무명 물감

    등을 담당하는 관청

(3)

부정(3)

첨정(4)

판관(5)

주부(6)

직장(7)

봉사(8)

부봉사(9)

참봉(9)

전함사 : 전함과 짐배를 관리하며 수상운수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제검(40

별좌(.5)

별제(정종6)

직장(7)

봉사(8)

참봉(9)

평시서 : 서울 안의 시장과 점방들을 단속하며 자 되 등 도량기를 검열하며 물가를 조절하는 일을 담당

(5)

주부(6)

직장(7)

봉사(8)

사온서 : 궁궐 안에서 쓰는 술을 만들고 보관하는 일을 맡은 관청

(5)

주부(6)

직장(7)

봉사(8)

의영고 : 궁중에 소용되는 각종 식용기름과 꿀 후주 등 조미료를 보관하는 일을 맡은 관청

(5)

주부(6)

직장(7)

봉사(8)

장흥고 : 궁궐 안에서 쓰는 각종 돗자리 기름종이나 기름먹인 천으로 만든 우장 및 여러 가지 종이류 들을

  보관하는 일을 맡은 관청

(5)

주부(6)

직장(7)

봉사(8)

사포서 : 궁궐에서 관리하는 텃밭에서 채소를 가꾸는 일을 맡은 관청

사포(6)

별제(정종6)

직장(7)

별검(정종8)

양현고 : 성균관에 소속된 유생들에게 주는 쌀과 콩 등 식량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

성균관의 전적이 겸하는 주부(6)

박사가 겸하는 직장(7)

학정이 겸하는 봉사(8)

 

예조 : 제사 연회 등 국가의 의례에 대한 일과 외교 사신 접대 등 대외관계의 일 그리고 학교 과거 등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

  예조판서(2)

예조참판(2)

예조참의(3)

예조정랑(5)

예조좌랑(6)

홍문관 : 궁궐 안의 서적들을 보관 관리하며 각종 문서들을 작성하며 정사나 그 밖의 일에 대한 왕의 물음에

대답하는 일을 맡은 관청

의정이 겸임하는 영사(1)

대제학(2)

제학(2)

부제학(3)

직제학(3품 도승지가 겸함)

전한(3)

응교(4)

부응교(4)

교리(5)

부교리(5)

수찬(6)

부수찬(6)

박사(7)

저작(8)

정자(9)

예문관 : 국왕이 하달하는 지시문을 작성하는 일을 맡은 관청

영사(1품 의정이 겸임함)

대제학(2)

제학(2)

직제학(3품 도승지가 겸함)

응교(4)

봉교(7)

대교(8)

검열(9)

성균관 : 양반의 자식들에게 유교 교육을 하는 일을 맡은 관청

지사(2)

동지사(2)

대사성(3)

쇄주(3)

사성(3)

사예(4)

사업(4)

직강(5)

전적(6)

박사(7)

학정(8)

학록(9)

학유(9)

춘추관 : 현행 당시의 정사에 대한 기록을 맡은 관청

영의정이 겸임하는 영사

좌우의정이 겸임하는 감사

지차(2)

동지사(2)

수찬관(3)

편수관(3품으로부터 종4품까지)

기주관(정 종5)

기사관(6품의로부터 정9품까지)

승문원 : 중국 일본 등 다른 나라들과의 외교관계에 관한 문서를 담당한 관청

판교(3)

참교(3)

교감(4)

교리(5)

교검(6)

박사(7)

저작(8)

정자(9)

부정자(9)

세자시강원 : 왕세자에게 유교경전을 가르치고 유교적인 도덕을 수양시키는 일을 맡은 관청

(1)

(1)

이사(1)

좌빈객 우빈객(2)

좌부빈객 우부빈객(2)

찬선 보덕 겸보덕(3)

진선 필선 겸필선(4)

문학 겸문학(5)

사서 겸사서(6)

설서 겸설서 자의(7)

종학 : 왕실의 자식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설치된 관청 여기의 벼슬아치들은 모두 성균관의 사성으로부터

전적까지의 벼슬아치들이 겸함

도신(4)

전훈(5)

사회(6)

4 : 서을 안의 양반 벼슬아치들의 자식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네 곳에 두었던 학당

     곧 중학 동학 서학 남학 성균관의 전적 이하 벼슬하치들에 의해 운영됨

통례원 : 궁중의 각종 의식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

통례(3)

상례. 익례(3)

봉례(4)

찬의(5)

인의(6)

겸인의 가인의(9)

봉상시 : 나라에서 관장하는 제사와 높은 벼슬아치나 공신이 죽은 뒤에 주는 칭호인 시호를 제정하는 일을 담당

(3)

부정(3)

첨정(4)

판관(5)

주부(6)

직장(7)

봉사(8)

부봉사(9)

참봉(9)

예빈시 : 왕세자 또는 왕세손을 가르치는 일을 맡은 벼슬아치들인 사 부와 왕의 겨레붙이로서 높은 벼슬에 있는

 자들을 우대하여 그를의 식생활을 보장하며 나라의 손님으로 오는 외국사람들을 위한 연회를 준비하는

일을 담당

(3)

부정(3)

첨정(4)

제검(정 종4)

별좌(정 종5)

판관(5)

별제(정 종6)

주부(6)

직장(7)

봉사(8)

참봉(9)

관상감 : 천문과 기후를 관찰하며 지형과 지세를 보아 좋고 나쁨을 판단하며 첨지츤 일

일력 및 시간 측정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

영사(1품 의정이 겸함)

(3)

부정(3)

첨정(4)

제검(정 종4)

판관(5)

주부 천문학교수 지리학교수 천문학겸교수 지리학겸교수 명과학겸교수(6)

직장(7)

봉사(8)

부봉사(9)

천문학 지리학 및 명과학의 훈도(9)

참봉(9)

내의원 : 궁궐에서 왕이 쓰는 약을 담당하는 관청

  도제주 제주 부제주 등 다른 관청의 벼슬아치들이 겸하는 벼슬

(3)

첨정(4)

판관(5)

주부(6)

직장(7)

봉사(8)

부봉사(9)

참봉(9)

전의감 : 궁궐 안에서 쓰는 각종 의약품과 국왕이 개별적인 벼슬아치들에게 주는 의약품을 담당하며

   의원을 양성하는 일을 맡은 관청

(3)

첨정(4)

판관(5)

주부(6)

직장(7)

봉사(8)

부봉사(9)

참봉(9)

혜민서 : 각종 약재를 관리하면 일반 백성들의 병을 치료해주던 관청

주부 의학교수(6)

직장(7)

봉사(8)

의학훈도(9)

참봉(9)

활인서 : 서울 안의 환자를 치료하며 가난한 사람을 구제하기 위해 설치된 관청

별제(6)

참봉(9)

장악원 : 궁중에서 소용되는 음악을 가르치는 일을 맡은 관청

(3)

첨정(4)

주부(6)

직장(7)의 벼슬아치

잡직 벼슬로서 전악(6)

부전악(6)

전율(7)

부전율(7)

전음(8)

부전음(8)

전성(9)

부전성(9)

사역원 : 외국어를 번역하며 통역원을 양성하는 일을 맡은 관청

(3)

부정(3)

첨정(4)

판관(5)

주부 한학교수(6)

직장(7)

봉사(8)

한학훈도/중국어.청학훈도/만주어.몽학훈도/몽골어.왜학훈도/일본어(9)

부봉사 참봉(9)

도화서 : 나라에 필요한 그림을 그리고 보관하는 일을 맡은 관청

별제.겸교수.선화(6)

선회(7)

화사(8)

회사(9)

소격서 : 도교에 관한 일을 담당하던 관청

(5)

별제(.6)

참봉(9)

종묘서 : 역대 왕들의 사당을 지키는 일을 맡은 관청

(5)

직장(7)

봉사(8)

부봉사(9)

사직서 : 토신과 곡신을 위해 나라에서 제사지내는 곳인 사직단을 관리하는 일을 맡은 관청

(5)

직장(7)

참봉(8)

빙고 : 궁중에서와 높은 벼슬아치들에게 사용되는 얼음을 저장하는 일을 맡은 관청

별좌(5)

별제(정종6)

별검(정종8)

동빙고 : 나라에서 관정하는 제사 때에 쓰는 얼음을 보관

서빙고 : 왕실과 높은 벼슬아치들이 쓸 얼음을 보관

전생서 : 나라에서 벌이는 제사에 쓸 짐승을 기르는 일을 맡은 관청

판관(5)

주부(6)

직장(7)

봉사(8)

부봉사(9)

참봉(9)

사축서 : 소와 말 이외의 여러 가지 집짐승을 기르는 일을 맡은 관청

사축(6)

귀후서 : 관을 만들고 장례를 치르는 일을 맡은 관청

별제(6)

문소전 : 태조 및 신의 왕후의 혼을 모신 사당

 

병조

5/의황위(중위) ? 경기도 황해도 강원도 충청도 지방의 군사 관장

5/용양위(좌위) ? 별시위와 경상도 지방의 군사 관장

5/호분위(우위) ? 족친위 친군위와 평안도 지방의 군사 관장

5/충좌위(전위) ?충의위 충찬위 파적위의와 전라도 지방의 군사 관장

5/충우위(후위) ?충순위 장용위와 함경도 지방의 군사 관장

오위장(2 ~ 3)

상호군(30

대호군(3)

호군(4)

부호군(4)

사직(5)

부사직(5)

사과(6)

부사과(6)

사정(7)

부사정(7)

사맹(8)

부사맹(8)

사용(9)

부사용(9)

시복시 : 왕이 사용하는 가마를 보관하며 말을 먹이는 일을 담당하는 관청

(3)

부정(3)

첨정(4)

판관(5)

주부(6)

직장(7)

그 밖의 잡직

군기시 : 각종 병기와 기치 의장기재를 만들고 보관하는 일을 맡은 관청

(3)

부정(3)

첨정(4)

별좌(정종50

판관(5)

별제(정종6)

주부(6)

직장(7)

봉사(8)

부봉사(9)

참봉(9)

전설사 : 나라의 제반 행사에 소용되는 차일 장막 등을 공급하는 일을 맡은 관청

(4)

제검(정종4)

별좌(정종5)

별제좌(정종6)

별검(80

제자익위사 : 왕세자를 호위하는 일을 맡은 관청

좌익위(5) 우익위(5)

좌사어(5) 우사어(5)

좌익찬(6) 우익찬(6)

좌위솔(6) 우위솔(6)

좌부솔(7) 우부솔(7)

좌시직(8) 우시직(8)

좌세마(9) 우세마(9)

훈련원 : 무과 시험을 관창하며 군사훈련과 병서에 대한 연구 등을 담당하는 관청

지사(2)

도정(3)

(3)

부정(3)

첨정(4)

판관(5)

별제(정종6)

주부(6)

참군(7)

봉사(8)

형조: 통치질서의 유지를 위한 각종 법률과 형벌을 맡으며 소송사건과 노비들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

  형조판서(2)

형조참판(2)

형조참의(3)

형조정랑(5)

형조좌랑(6)

율학교수 겸교수 별제(6)

명률(7)

심률(8)

율학훈도(9)

검률(9)

상복사 : 사형수를 비롯한 중죄인들에 대한 죄목을 조사하는 일을 맡은 관청

고율사 : 형조에 소속된 관청의 하나

장금사 : 각종 형벌과 감옥관계의 일을 맡아봄

장예사 : 형조에 소속된 관청의 하나

장례원 : 통례원

정옥서 : 구금된 죄수들에 대한 형벌 집행을 맡은 관청

주부(6)

봉사(8)

참봉(9)

공조 ; 나라안의 산림 하천 호수와 각종 토목공사와 수공업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

  공조판서(2)

공조참판(2)

공조참의(3)

공조정랑(5)

공조좌랑(6)

영조사 : 궁궐의 건축과 보수 성의 수축 각종 관청 건물의 건축 및 수리

    그 밖의 토목공사에 관한 일을 맡아 벌이며 피혁 모정의 제조에 관한 일을 담당한 관청

공야사 : 각종 장인 바치들이 만들어내는 물건에 관한 일을 맡음

산택사 : 나라 안의 산림 소택 나루터 다리 등과 궁궐안의 정원을 맡아보며 숯구이 나무심기 목재 및 석재의

   채취 짐배와 수레를 관리하며 문방구의 제조 무쇠의 생산 각종 철기의 제작 등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

상의원 : 왕의 의복과 기타 장식물을 만들어 궁궐 안의 각종 재물과 보물을 담당하는 관청

(3)

첨정(4)

별좌(정종5)

판관(5)

주부(6)

별제(정종6)

직장(7)

선공감 : 나라의 각종 토목공사와 건축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

(3)

부정(3)

첨정(4)

판관(5)

주부(6)

직장(7)

봉사(8)

부봉사(9)

참봉 감역관 가감역관(9)

수성금화사 : 궁궐과 서울 안의 성벽을 보수하며 궁궐과 관청 일반 사람들의 집에서 나는 화재를 막는 일을

맡은 관청

도제주 제주와 사복시정 군기시정 선공감정 등이 겸임하는 제검(4)

의금부의 경력 병조 형조 공조의 정랑들이 겸임하는 별좌(정종5)

한성부의 판관이 겸임하는 별제(정종6)

전연사 : 궁궐을 수리하며 관리하는 일을 맡은 관청(영조 때 선공감에 귀속)

제검(4)

별좌(정종5)

별제(정종6)

직장(7)

봉사(8)

참봉(9)

장원서 : 궁궐 안의 정원에 꽃나무를 심고 과일나무를 가꾸는 일을 맡은 관청

장원(60

별제(정종6)

봉사(8) 등의 벼슬아치

신화(6)

신과(7)

신금(80

신수(9) 등의 잡직

조지서 : 각종 국가문서 작성에 쓰이는 종이들과 그 밖의 종이류를 만드는 일을 맡은 관청

사지(6)

별제(60

와서 : 나라에서 쓰는 기와와 벽돌을 만드는 일을 맡은 관청

  별제(6)

 

 

 

숭정대부 종1품 하

자헌대부 정2품 하

통정대부 정3품 상계 당상관

통훈대부 정3품 하계 당상관

장예원 판결사(노비 송사 판결) 3품 당상관

군자감: 군수품 출납

절충장군 어모장군 정3품 당상관

가의대부 종의품 문산계

가선대부 종2품 문무관

 

조선시대의 문산계

품계

 

문관

종친

의빈

1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
輔國崇祿大夫

顯祿大夫
興祿大夫

綏祿大夫
成祿大夫

1


崇祿大夫
崇政大夫

昭德大夫
嘉德大夫

光德大夫
崇德大夫

2


正憲大夫
資憲大夫

崇憲大夫
承憲大夫

奉憲大夫
通憲大夫

2


嘉靖大夫
嘉善大夫

中義大夫
正義大夫

資義大夫
順義大夫

3


通政大夫
通訓大夫

明善大夫
彰善大夫

奉順大夫
正順大夫

3


中直大夫
中訓大夫

保信大夫
資信大夫

明信大夫
敦信大夫

4


奉正大夫
奉列大夫

宣徽大夫
廣徽大夫

 

4


朝散大夫
朝奉大夫

奉成大夫
光成大夫

 

5


通德郞
通善郞

通直郞
秉直郞

 

5


奉直郞
奉訓郞

謹節郞
愼節郞

 

6


承議郞
承訓郞

執順郞
從順郞

 

6


宣敎郞
宣務郞

 

 

7

 

務功郞

 

 

7

 

啓功郞

 

 

8

 

通仕郞

 

 

8

 

承仕郞

 

 

9

 

從仕郞

 

 

9

 

將仕郞

 

 

자료 : 〈경국대전〉

 

 

 

품 계

문 관

무 관

지방직

현 대

1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도제조

영사 도제조 대장

 

국무총리

1

좌찬성 우찬성 판사 제조

판사

 

부총리

2

지사 판서 좌참찬
우참찬 대제학

지사 제조 도총관

 

장관 차관 본부장
대장 도지사

2

동지사 참판 상선

동지사 부총관

관찰사 부윤
병마절도사

차관보 중장

3

참의 직제학

첨지사 별장

목사 병마절제사

관리관 소장

3

집의 사간

대호군 부장

도호부사
병마첨절제사

이사관 국장 준장

4

사인 장령

호군

 

부이사관 대령

4

경력 첨정

경력 부호군 첨정

군수 병마동첨절제사

중령

5

정랑 별좌 교리

사직

 

서기관 소령 군수

5

도사 판관

도사 부사직 판관

도사 판관 현령

부군수

6

좌랑 별제

 

 

사무관 대위 면장

6

주부 교수

부장 수문장 종사관

찰방 현감 교수
병마절제도위

 

7

박사

사정 참군

 

주사 계장 중위

7

직장

부사정

 

 

8

저작

사맹

 

주사보 소위 준위

8

봉사

부사맹

 

 

9

부봉사 정자 훈도

사용

 

서기 상사 중사

9

참봉

부사용 별장

 

서기보 하사

 

 

 

조선시대 벼슬 품계

 

1품관
⊙대군( : 정일품에서 종 2품까지). 공신. 부원군(왕비의 친정 아버지
)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도제조(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
⊙사부(세자 시강원의 관직으로서 영의정, 좌우의정이 경임하는 관직임
)
⊙위(왕의 사위로서 공주에 장가든 자에 정一품 혹은 종一품을 제수함
)
⊙감사(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


1품관

⊙군. .
⊙좌찬성. 우찬성. 판사. 제학(규장각의 관직
).
⊙사부(세손 강서원의 관직
)


2품관

⊙군. 좌참찬. 우참찬. 판서. 대제학. 지사. 판교(규장각의 관직). 판윤.
좌빈객. 우빈객. 도총관



2품관
⊙군. 참판. 대사헌. 동지사. 관찰사(도의감사). 좌윤. 우윤.
직제학(규장각의 관직으로서 정三품까지 있음). 유수
.
목사(단 광주(廣州)목사에 한함). 제학. 좌부빈객. 우부빈객. 제조
.
좌유선. 우유선(좌우유선은 정三품까지 있음). 대장(정三품까지 있음
).
부총관. 중군(정三품까지 있음). (무관
).
병마절도사(관찰사가 겸임하기도 함).방어사(종三품까지 있음
).
수군통제사. 겸사복장. 내금위장. 별장(용호령
).


3품관

⊙부위(공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처음 제수함).
첨위(현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종三품까지 있음
).
도정. 대사간. 대사정. 참의. 부제학. 도청. 도정원정. 좌유선. 우유선
.
첨지사. 직각(종六품까지 있음). 도승지. 좌승지. 우승지. 좌부승지
.
우부승지. 동부승지. 제주. 찬선. 보덕. 겸보덕. 판결사. 대장. . . . . . 좌통례. 우통례. 판교. 수찬관. 편수관(종三품까지 있음
).
제검(종三품까지 있음). 선전관(종九품까지 있음). 별장(훈련도감
).
천총(훈련도감). 상호군. 중군. 진영장(목사가 겸임함). 목사. 사림위장
.
부사(대도호부). 국별장. 별후부천총. 기사장. 관성장



3품관
⊙첨위. 부정. 집의. 사간. 전한. 사성. 편수관. 참교. 상례. 익례.
내승(종九품까지 있음). 제거. 제검. 부사. 대호군
.
진영장(부사가 겸임함). 절도사. 방어사. 첨절제사
.
우후(정四품까지 있음). 기사장. 선전관
.


4품관

⊙수정. 전첨. 사인. 장령. 시강관. 응교. 진선. 필선. 겸필선. 사예. 사업.
봉례. 호군. 별제(수성금화사의 관직). 첨정(종四품까지 있음). 선전관
.
도선. 우후. 제검(종四품까지 있음
).


4품관

⊙경력. 부응교. 서윤. (). . 부수. 교감. 부호군. 군수. 유영별장.
성기별장. 파총. 외방겸파총. 선전관. 제검. 동첨절제사. 만호
.


5품관

⊙령(종친부의 벼슬). 전부. 검상. 정랑. 지평. 좌익위. 우익위. 사의. 헌납.
시독관. 교리. 겸교리. 문학. 겸문학. 직강. 기주관(종五품까지 있음
).
찬의. 별좌(종五품까지 있음). 전훈. 전수. 사직
.


5품관

⊙부령(종친부의 벼슬). 판관. 도사(종九품까지 있음). 별좌. 부교리.
좌권독. 우권독. 좌사어. 우사어. 기주관. (). . . 현령. 부사직
.
선전관
.


6품관

⊙감(종친부의 벼슬). 좌랑. 감찰. 사평. 정언. 검토관. 수찬. 사서. 겸사서.
전적. 기사관(정九품까지 있음). 교검. 전악. 사회
.
별제(종六품까지 있음). 평사. 사과. 장원. 사포. 좌익찬. 우익찬
.


6품관

⊙주학교수. 별전수. 율학교수. 별제. 천문학교수. 지리학교수.
천문학겸교수. 지리학겸교수. 명과학교수. 교수. 부수찬. 좌찬독. 우찬독
.
좌위솔. 우위솔. 좌장사. 우장사. 기사관. 인의. 부전악. 사축. 사지
.
의학교수. 한학교수. 선화. 부전수. (). 찰방. 현감. 절제도위. 감목관
.
종사관. 부장. 낭청(선혜청의 벼슬). 부사과. 수문장(종九품까지 있음
).


7품관

⊙주서. 봉교. 대교(정九품까지 있음). 박사. 사변가주서. 사경. 설저.
겸설서. 자의. 전률. 참군. 좌부솔. 우부솔. 낭청. 기사관. 수문장
.


7품관

⊙직장. 좌종사. 우종사. (호조의 벼슬). 명률. 부전률. 선회. 부사정.
별회
.


8품관

⊙사록. 저작. 설경. 학정. 부직장. 좌시직. 우시직. 전음.
별검(종八품까지있음). 사맹
.


8품관

⊙계사. 심율. 봉사. 부전음. 별검. 전곡. 화리. 부사맹.


9품관

⊙주학훈도. 율학훈도. 정자. 전경. 검열. 좌세마. 우세마. 학록. 부봉사.
전성. 천문학훈도. 지리학훈도. 명과학훈도. 의학훈도. 한학훈도
.
몽학훈도. 왜학훈도. 여진학훈도. 사용
.


9품관

⊙회사. 부정자. 분교관. 학유. 겸인의. 가인의. 참봉. 감역관. 가감역관.
부전성. 전화. 회리. 권관. 훈도. 심약. 검률. 부사용. 초관.

 

 

 

조선조 벼슬순서(지휘체계)

 

○ 東班官職(동반관직=문관)

 

 문관의 관직으로서 종친(宗親)은 왕의 친족 부계친(父系親)으로서 四대손까지로 하고 의빈(儀賓)은 왕과 왕세자의 사위를 말하는 것이다.

 

正一品(정일품) :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영의정),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종친이면 현록대부(縣祿大夫), 흥록대부(興祿大夫), 의빈이면 수록대부(綏祿大夫), 성록대부(成祿大夫).

 

從一品(종일품) : 숭록대부(崇祿大夫), 숭정대부(崇政大夫), 종친이면 의덕대부(宜德大夫), 소덕대부(昭德大夫), 의빈 이면 정덕대부(靖德大夫), 명덕대부(明德大夫).

 

正二品(정이품) : 정헌대부(正憲大夫), 자헌대부(資憲大夫), 종친이면 숭헌대부(崇憲大夫), 승헌대부(承憲大夫), 의빈이면 봉헌대부(奉憲大夫), 통헌대부(通憲大夫).

 

從二品(종이품) : 가의대부(嘉義大夫), 가정대부(嘉靖大夫), 가선대부(嘉善大夫), 종친이면 중의대부(中義大夫), 소의대부(昭義大夫), 의빈이면 자의대부(資義大夫), 순의대부(順義大夫).

 

正三品(정삼품) : 통정대부(通政大夫), 종친이면 명선대부(明善大夫), 의빈이면 봉순대부(奉順大夫) (이상은 당상관(堂上官)의 품계이다) 통훈대부(通訓大夫) 종친이면 창선대부(彰善大夫), 의빈이면 정순대부(正順大夫).

 

從三品(종삼품) : 중직대부(中直大夫), 중훈대부(中訓大夫) 종친이면 보신대부(保身大夫), 자신대부(資信大夫), 의빈이면 명신대부(明信大夫), 돈신대부(敦信大夫).

 

正四品(정사품) : 봉정대부(奉正大夫), 봉렬대부(奉列大夫), 종친이면 선휘대부(宣徽大夫), 광휘대부(廣徽大夫).

 

從四品(종사품) : 조산대부(朝散大夫), 조봉대부(朝奉大夫), 종친이면 봉성대부(奉成大夫), 광성대부(光成大夫).

 

正五品(정오품) : 통덕랑(通德郞), 통선랑(通善郞), 종친이면 통직랑(通直郞), 병직랑(秉直郞).

從五品(종오품) : 봉직랑(奉直郞), 봉훈랑(奉訓郞) 종친이면 근절랑(謹節郞), 신절랑(愼節郞).

正六品(정육품) : 승의랑(承義郞), 승훈랑(承訓郞) 종친이면 종순랑(從順郞).

從六品(종육품) : 선교랑(宣敎郞), 선무랑(宣務郞).

正七品(정칠품) : 무공랑(務功郞).
從七品(종칠품) : 계공랑(啓功郞).

正八品(정팔품) : 통사랑(通仕郞).

從八品(종팔품) : 승사랑(承仕郞).

正九品(정구품) : 종사랑(從仕郞).

從九品(종구품) : 장사랑(將仕郞).


○ 西班官職(서반관직=무관)

 

正一品(정일품)으로부터 從二品(종이품)까지는 동반관직과 같다.

 

正三品(정삼품) : 절충장군(折衝將軍), 당상관(堂上官), 어모장군(禦侮將軍), 당하관(堂下官).

從三品(종삼품) : 건공장군(建功將軍), 보공장군(保功將軍).

正四品(정사품) : 진위장군(振威將軍), 소위장군(昭威將軍).

從四品(종사품) : 정략장군(定略將軍), 선략장군(宣略將軍).

正五品(정오품) : 과의교위(果毅校尉), 충의교위(忠毅校尉).

從五品(종오품) : 현신교위(顯信校尉), 창신교위(彰信校尉).

正六品(정육품) : 돈용교위(敦勇校尉), 진용교위(進勇校尉).

從六品(종육품) : 여절교위(勵節校尉), 병절교위(秉節校尉).

正七品(정칠품) : 적순부위(迪順副尉).

從七品(종칠품) : 분순부위(奮順副尉).

正八品(정팔품) : 승의부위(承義副尉).

從八品(종팔품) : 수의부위(修義副尉).

正九品(정구품) : 효력부위(效力副尉).

從九品(종구품) : 전력부위(展力副尉).

 

○ 外官職(외관직=지방관)

 

외관(外官) 즉 지방관서(地方官署)의 직위로서 각도(=경기, 충청, 전라, 경상, 강원, 황해, 평안, 함경도등 八道를 말함)에 관찰사(觀察使=때에 따라 감사(監司)라고도 하였음) 1명과 도사(都事) 1명씩을 두었고 각 고을에 따라서 부윤(府尹), 목사(牧使),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도호부사(都護府使), 군수(郡守), 현령(縣令), 현감(縣監)등의 수령(守令)을 두었으며 주요 도(=길을 말함)의 역()을 담당한 찰방(察訪) 또는 역승(驛丞)을 두었다. 그리고 각도와 부(), ()등 큰 고을에 교수(敎授), 훈도(訓導), 심약(審藥), 검률(檢律), 등 관직을 두었다.

 ※각 고을의 수령 관직은 다음과 같다.

從二品=부윤(府尹) : 각 도()의 관찰사(觀察使=때에 따라 감사(監司)라고도 하였음) 경주(慶州), 전주(全州), 평양(平壤), 의주(義州), 함흥(咸興).

正三品=목사(牧師) : 광주(廣州=광주목사에 한하여 종二품), 여주(驪州), 파주(坡州), 양주(楊州), 충주(忠州), 청주(淸州), 공주(公州), 홍주(洪州), 상주(尙州), 진주(晋州), 성주(星州), 나주(羅州), 제주(濟州), 광주(光州), 능주(綾州), 황주(黃州), 해주(海州), 원주(原州), 안주(安州), 정주(定州), 길주(吉州). 그런데 위에 있는 부윤, 목사의 고을로서 즉 관찰사가 있는 고을을 그 고을의 부윤이나 목사는 관찰사가 겸임하고 따로 두지 않는다.

正三品=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 안동(安東), 창원(昌原), 강릉(江陵), 영흥(永興), 영변(寧邊=영변은 절도사가 겸임한다).

從三品=도호부사(都護府使) : 수원(水原), 부평(富平), 남양(南陽), 이천(利川), 인천(仁川), 장단(長湍), 풍덕(豊德), 통진(通津), 교동(喬桐=교동은 수사(水使)가 겸임한다), 죽산(竹山), 청풍(淸風), 대구 (大邱=관찰사가 겸임한다), 김해(金海), 영해(寧海), 밀양(密陽), 선산(善山), 청송(靑松), 함양(咸陽), 울산(蔚山), 동래(東萊), 거제(巨濟), 거창(居昌), 하동(河東), 인동(仁同), 순흥(順興), 칠곡(漆谷), 남원(南原), 장흥(長興), 순천(順天), 담양(潭陽), 여산(礪山), 장성(長城), 무주(茂朱), 연안(廷安), 평산(平山), 서흥(瑞興), 예천(醴泉), 곡산(谷山), 옹진(瓮津=수사가 겸임한다), 장연(長淵), 회양(淮陽), 양양(襄陽), 춘천(春川), 철원(鐵原), 삼척(三陟), 영월(寧越), 이천(伊川), 안변(安邊), 경성(鏡城=절도사가 겸임한다), 경원(慶源), 회령(會寧), 온성(穩城), 경흥(慶興), 부령(富寧), 북청(北靑=절도사가 겸임한다), 덕원(德源), 정평(定平), 갑산(甲山), 삼수(三水), 단천(端川), 명천(明川), 무산(茂山), 강계(江界), 창성(昌城), 성천(成川), 삭주(朔州), 구성(龜城), 숙천(肅川), 중화(中和), 자산(慈山), 선천(宣川), 철산(鐵山), 용천(龍川), 초산(楚山), 삼화(三和), 함종(咸從).

從四品=군수(郡守)
〔경기도〕양근(楊根), 안산(安山), 삭녕(朔寧), 안성(安城), 마전(麻田), 고양(高陽), 김포(金浦), 교하(交河), 가평(加平
).
〔충청도〕임천(林川), 단양(丹陽), 태안(泰安), 한산(韓山), 서천(舒川), 면천(沔川), 천안(天安), 서산(瑞山), 괴산(槐山), 옥천(沃川), 온양(溫陽), 대흥(大興
)
〔경상도〕합천(陜川), 초계(草溪), 청도(淸道), 영천(永川), 예천(醴泉), 영주(榮州), 흥해(興海), 양산(梁山), 함안(咸安), 금산(金山), 풍기(豊基), 곤양(昆陽
)
〔전라도〕보성(寶城), 익산(益山), 고부(古阜), 영암(寧岩), 영광(靈光), 진도(珍島), 낙안(樂安), 순창(淳昌), 금산(錦山), 진산(珍山), 김제(金堤
).
〔황해도〕봉산(鳳山), 안악(安岳), 재령(載寧), 수안(遂安), 백천(白川), 신천(信川), 금천(金川
).
〔강원도〕평해(平海), 통천((), 정선(旌善), 고성(高城), 간성(杆城), 평창(平昌
).
〔함경도〕문천(文川), 고원(高原
).
〔평안도〕상원(祥原), 덕천(德川), 개천(价川), 가산(嘉山), 곽산(郭山), 순천(順天), 희천(熙川), 벽동(碧潼), 운산(雲山), 박천(博川), 위원(渭原).

從四品=서윤(庶尹) : 평양(平壤)

從五品=현령(縣令)
〔경기도〕용인(龍仁), 진위(振威), 영평(永平), 양천(陽川
)
〔충청도〕문의(文義
)
〔경상도〕영덕(盈德), 경산(慶山), 고성(固城), 의성(義城), 남해(南海
)
〔전라도〕창평(昌平), 용담(龍潭), 임피(臨陂), 만경(萬頃), 금구(金溝
)
〔황해도〕신계(新溪), 문화(文化=우봉(牛峰)이라고도 하였음
)
〔강원도〕금성(金城), 울진(蔚珍), 흡곡(흡谷
)
〔평안도〕용강(龍岡), 영유(永柔), 증산(甑山), 삼등(三登), 순안(順安), 강서(江西)

從五品=판관(判官): 공주(公州), 대구(大丘=현大邱임), 전주(全州), 제주(濟州), 해주(海州), 원주(原州), 함흥(咸興)

從五品=도사(都事사)

從六品=현감(縣監)

〔경기도〕지평(砥平), 포천(抱川), 적성(積城), 과천(果川), 금천(衿川), 연천(漣川), 음죽(陰竹), 양성(陽城), 양지(陽智).
〔충청도〕홍산(鴻山), 제천(堤川), 덕산(德山), 평택(平澤), 직산(稷山), 회인(懷仁), 정산(定山), 청양(靑陽), 연풍(延豊), 음성(陰城), 청안(淸安), 은진(恩津), 진잠(鎭岑), 회덕(懷德), 연산(連山), 이성(尼城)=작산(作山)이라고도 하였음), 부여(扶餘), 석성(石城), 비인(庇仁), 남포(藍浦), 진천(鎭川), 결성(結城), 보령(保寧), 해미(海美), 당진(唐津), 신창(新昌), 예산(禮山), 목천(木川), 전의(全義), 연기(燕岐), 보은(報恩), 영천(永川), 영동(永同), 황간(黃澗), 청산(靑山), 아산(牙山
)
〔경상도〕개령(開寧), 삼가(三嘉), 의령(宜寧), 하양(河陽), 용궁(龍宮), 봉화(奉化), 청하(淸河), 언양(彦陽), 칠원(漆原), 진해(鎭海), 진보(眞寶), 문경(聞慶), 함창(咸昌), 지례(知禮), 안의(安義=안음(安陰)이라고도 하였음), 고령(高靈), 현풍(玄風), 산청(山淸=산음(山陰)이라고도 하였음), 단성(丹城), 군위(軍威), 비안(比安), 의흥(義興), 신녕(新寧), 예안(禮安), 연일(延日), 장기(?), 영산(靈山), 창녕(昌寧), 사천(泗川), 기장(機張), 웅천(熊川), 자인(慈仁), 영양(英陽
)
〔전라도〕광양(光陽), 용안(龍安), 함열(咸悅), 부안(扶安), 함평(咸平), 강진(康津), 옥과(玉果), 고산(高山), 자인(慈仁), 옥구(沃溝), 남평(南平), 흥덕(興德), 정읍(井邑), 고창(高敞), 무장(茂長), 무안(務安), 구례(求禮), 곡성(谷城), 운봉(雲峰), 임실(任實), 장수(長水), 진안(鎭安), 동복(同福), 화순(和順), 흥양(興陽), 해남(海南), 대정(大靜), 정의(旌義), 진원(珍原), 삼계(森溪
)
[
황해도] 장연(長淵), 송화(松禾), 강령(康翎), 은율(殷栗), 토산(兎山), 강음(江陰
)
[
강원도] 평강(平康), 금화(金化), 낭천(狼川), 홍천(洪川), 양구(楊口), 인제(麟蹄), 횡성(橫城), 안협(安峽
)
[
함경도] 홍원(洪源), 이성(利城
)
[
평안도] 양덕(陽德), 맹산(孟山), 태천(泰川), 강동(江東), 은산(殷山) 이상과 같이 외방관직은 그 주읍(州邑)에 따라 이조 역대의 왕조를 거치는 동안 그 고을의 등급이 오르고 내리기도 하였던 것이며 그외에 관찰사가 있는 고을의 부윤, 목사를 관찰사가 겸임하고 있으므로 그 대신 서윤(庶尹), 판관(判官)을 배치하고 있다.

從六品=찰방(察訪), 교수(敎授)

從九品=참봉(參奉), 훈도심약(訓導審藥), 훈도석학(訓導釋學), 역승(驛丞), 검률역승(檢律驛丞), 도승(渡丞) 왜학훈도(倭學訓導), 검률(檢律), 심약검률(審藥檢律), 심약역승(審藥驛丞)

 

○ 조선시대 여성의 관직

 

무품← 대비(어머니) → 왕비(며느리) → 적녀(공주) → 서녀(옹주) 순서 적용왕비(내 ·외명부를 관장하는 왕의 부인), 공주(외명부 왕의 적녀), 옹주(외명부 왕의 서녀)

1 : (내명부 후궁), 부부인(외명부 왕비의 모), 부부인(외명부 ○○대군의 아내)군부인(외명부 ○○군의 아내)정경부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 남편의 품계를 따름)

1 : 귀인(내명부 후궁), 봉보부인(외명부 왕의 유모) 군부인(외명부 ○○대군의 적장자의 아내) 정경부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2 : 소의(내명부 후궁), 군주(외명부 세자의 적녀) 현부인(외명부 세자의 아들의 아내, 대군의 적장손의 아내, 왕자군 적장자의 아내) 정부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2 : 숙의(내명부 후궁), 양제(내명부 세자궁) 현부인(외명부 세자 손자의 아내, 대군의 아들들과 맏증손의 아내, 왕자군의 적장손의 아내) 정부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3 : 소용(내명부 후궁), 현주(외명부 세자의 서녀) 신부인·신인(세자의 증손의 아내, 대군의 손자의 아내, 왕자군의 아들과 맏증손의 아내) 숙부인·숙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3 : 숙용(내명부 후궁), 양원(내명부 세자궁) 신인(외명부 대군의 증손의 아내, 왕자군의 손자의 아내) 숙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4 : 소원(내명부 후궁) 혜인(왕자군의 증손의 아내) 영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4 : 숙원(내명부 후궁), 승휘(내명부 세자궁) 혜인(외명부 종친의 아내) 영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5 : 상궁·상의(내명부 궁관) 온인(외명부 종친의 아내) 공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5 : 상복·상식(내명부 궁관), 소훈(내명부 세자궁) 온인(외명부 종친의 아내) 공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6 : 상침·상공(내명부 궁관) 순인(외명부 종친의 아내) 의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6 : 상정·상기(내명부 궁관), 수규·수칙(내명부 세자궁 궁관) 의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7 : 전빈·전의·전선(내명부 나인) 안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7 : 전설·전제·전언(내명부 나인), 장찬·장정(내명부 세자궁 나인) 안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8 : 전찬·전식·전약(내명부 나인) 단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8 : 전등·전채·전정(내명부 나인), 장서·장봉(내명부 세자궁 나인) 단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9 : 주궁·주상·주각(내명부 무희) 유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9 : 주변치·주치·주우·주변궁(내명부 무희), 장장·장식·장의(내명부 세자궁 나인) 유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 참고사항

 

당상(堂上)은 정삼품이상, 당하(堂下)는 종삼품 ~ 종사품, 참상(참上)은 정오품 ~ 종육품, 참하(참下)는 정칠품 ~ 종구품으로 나누고, 상계(上階)는 통정대부(동반), 절충장군이상을 하계(下階)는 통훈대부(동반), 건공장군(서반) 이하를 말한다

 

 

            

 조선의 관직 설명
 

◆가선대부(嘉善大夫) ; 조선시대 종이품 문무관의 품계. 고종2(1865)부터 문                                      무관, 종친, 의빈의 품계로 병용하였음.

◆가선동지(嘉善同知) ; 가선동지중추부사. 조선시대 중추부의 종이품 벼슬.

                                    =동 지. =동추.

◆감사(監司) ; 관찰사, 고려 성종때 주() .()의 벼슬. 조선 시대, 외관직(外官                         ) 문관의 종이품 벼슬로 팔도 또는 고종32(1895) 23                         (),1년 뒤의 13도에 있어서의각 도의 수직(首職). 민정.군정.재정등을 통할하며 관하의 수령을 지휘 감독함. =도백, =방백, =도신

◆검교(檢校) ; 고려말과 조선시대 초에 정원 이외에 임시로 증원할 때나, 실지 사                 무는보지 않고 이름만 가지고 있게 할 때에, 그 벼슬 이름 앞에 붙                         이는 말.

◆공조판서(工曹判書) ; 조선왕조때 육조의 하나로 산택, 공장, 영선, 도야를 담당                                      하던 정이품의 아문인 공조의 장관. 관질은 정이품.
                                     =
대사공(大司空)

◆군수(郡守) ; 조선시대 군의 으뜸 벼슬. 외관직 문관의 정사품 벼슬.

◆내금위(內禁衛) ;조선시대 궁중을 지키고 임금을 호위하는 금군의 일을 맡은 관                               .

◆대사간(大司諫) ; 조선시대때 사간원(임금에게 간하던 일을 맡아 보던 관아)                                  으뜸벼슬.

◆돈령도정(敦令都正) ; 조선시대 왕친.외척의 친선을 도모하기 위한 사무를 처리                                        하던 관청(돈령부)의 정삼품 벼슬(당상관).

◆동부승지(同副承旨) ; 조선시대 승정원(왕명의 출납을 맡던 관아)의 정삼품 벼                                       . 여러 승지가운데 끝자리로 공방의 일을 맡음.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 조선시대 중추부의 종이품 벼슬.=동지, =동추, =                                                   동지사.

◆문하시중(門下侍中) ; 고려, 조선시대에 나라의 모든 정사를 도맡아 보살피던 문                                      하부의 으뜸 벼슬. 정일품으로 좌우 두사람이 있었는데 태                                      3년에는 좌.우정승 으로 고침.

◆밀직부사(密直副司) ; 밀직사 부사. 고려 밀직사의 정삼품 벼슬. 충렬왕 원년                                       (1275)에 추밀부사를 고친이름임.

◆병사(兵使) ; 병마절도사. 조선시대 각 지방에 두어 병마를 지휘하던 종이품의무                        . 각도에 한 사람 또는 두 사람을 두었음.

◆병조부위(兵曺副尉) ; 조선시대 육조의 하나였던 병조의 정위와 참위의 중간 벼                                      . 오늘날의 중위계급.

◆부사(府使) ; 고려및 조선시대의 지방관직. 대도호부사와 도호부사의 총칭. 정삼                         .

◆부장(部將) ; 조선시대 오위의 종육품 벼슬. 포도청 군관. 원 수효 여덟사람외에                         무료부장 26, 가설부장 12명이 있었음.

◆부호군(副護軍) ;조선시대때 오위도총부에 속한 종사품 벼슬.현직에 있지 아니                               한 문관과 무관.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 조선시대 사간원(임금에게 간하던 일을 맡아 보던 관                                            )의 정육품 벼슬. 헌납의 아래로 좌우 두사람이 있                                            었음.

◆사과(司果) ; 조선시대 오위에 두었던 정육품의 군직. 부사직과 부사과의 중간.                         현직에 있지 아니한 문무관으로 시켰음.

◆사직(司直) ; 조선시대 오위에 두었던 정오품의 군직의 하나. 부호군과 부사직의                         중간. 법에 의하여 시비곡직을 가리는 심판관.

◆생원(生員) ; 고려 승보시 및 조선시대의 소과 종장의 경의 시험에 합격한 사람.                         =상사(上舍)

◆성균관박사(成均館博士) ; 조선시대에 유교의 교회(敎誨)를 맡아보던 관부인 성                                             균관에 두었던 정칠품의 벼슬로 교수의 임무를 맡음.

◆어모장군(禦侮將軍) ; 조선시대 정삼품 당하관의 무관품계.

◆영능참봉(英陵參奉) ; 능을 맡아 일보던 종구품 벼슬.

◆영동정(令同正) ; 영사동정(令史同正). 동정. 고려시대에 문반 육품이하, 무반 오                               품이하에 설정되는 정직에 준하는 산직(散職).

◆예빈시부정(禮賓寺副正) ; 조선시대 예빈사(빈객의 연향과 종재의 공궤를 맡아                                             보던 관아)에 둔 종삼품 벼슬.

◆용양위부장군(龍양衛副將軍) ; 용양위란 조선시대 오위중의 좌위. 문종원년   (1451)에 베풀었는데 별시위, 대졸이 이에 속하며 중, , , , 후의 다섯 부로 나뉘고 경상도 각 진에 분속되어 있었음. 부장군은 장군다음의 벼슬.정이품의 품계.

◆의금부사(義禁府事) ; 조선시대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죄인을 추궁하던 일을 맡                           아 보던 관아의 벼슬.

◆이조참의(吏曹參議) ; 이조에 딸린 정삼품의 당상관. 이조참판의 다음 지위.

◆전력부위부장(展力副尉部長) ; 조선시대 종구품 무관의 품계.

◆종사랑(從仕郞) ; 조선시대 정구품 문관의 품계. 승사랑과 장사랑의 사이.

◆중추부(中樞府) ; 조선 세조12(1466)에 중추원의 고친 이름. 처음에는 왕명의                                풀납.숙위.군기를 맡았다가 세쪼때에 일정한 사무는 없이 현                                직없는 당상관의 벼슬자리로 되고, 고종31(1894)에 중추원                                이라 고치어 의정부에 붙이었음.

◆지평(持平) ; 조선시대 사헌부(조선시대 삼사의 하나로 정치를 논하고 관리의 비                        행을 감찰하고 백성의 억울함을 들어주던곳)의 정오품 벼슬.

◆찰방(察訪) ; 조선시대 각 역의 역참일을 맡아 보던 외직의 종육품 문관 벼슬. =                         마관(馬官).

◆참의(參議) ; 조선시대 육조의 정삼품 벼슬. 갑오경장이후 의정부 각 아문의 한                         벼슬.

◆첨의(僉議) ; 고려 충렬왕 원년(1275)에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아울러서 베푼                         관아. 19년에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로 고쳤음.

◆첨추(僉樞) ; 첨지중추부사. =첨지. 중추부에 속하는 정삼품 당상관으로 정원은 8                         .

◆통덕랑(通德郞) ; 조선시대 정오품 문관의 품계. 조산대부, 조봉대부의 아래이며                               통선랑의 위.

◆통정대부(通政大夫) ; 조선시대 문관의 정삼품 당상관의 품계. 통훈대부의 위.

◆통훈대부(通訓大夫) ; 조선시대 문관의 정삼품 당상관의 품계. 통정대부의 아래.

◆판도판서(版圖判書) ; 판도사(고려 때 상성호부의 뒷 이름)의 으뜸 벼슬로 정이품.

◆판서(判書) ; 고려 때 전리사, 군부사, 전법사, 판도사, 예의사, 전공사의 으뜸벼슬                        로 정이품.

◆평장사(平章事) ; 고려시대의 정2품 관직 982(성종 1)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        에 내사시랑(內史侍郞)평장사 ·문하시랑(門下侍郞)평장사를  둔 이래 1061(문종 15) 1356(공민왕 5)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에 중서시랑평장사 ·문하시랑평장사 ·중서평장사 ·문하평장사를 두었는데 모두 정2품관이었으며 정원은 각각 1명씩                               이었다.

◆한성부판관(漢城府判官) ;조선시대 서울의 사법,행정을 맡은관아의 정오품 벼                                            .

◆한성좌윤(漢城左尹) ; 고려시대 한성부 향직의 육품.

◆현감(縣監) ; 고려 및 조선시대 작은 현의 원님. 종육품.

◆호군(護軍) ; 고려 공민왕 때 장군의 고친 이름으로 정사품. 조선시대 오위의 정사                         품 무관 벼슬.

◆호조참의(戶曹參議) ; 조선시대 호조의 정삼품 벼슬.

◆호조참판(戶曹參判) ; 조선시대 호조의 종이품 벼슬. 판서의 다음. =아당.

◆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 ; 홍문관은 고려때 제관전(諸館殿)의 하나. 성종 14  (995)에 숭문전의고친 이름. 내부의 경적및 문한과 왕의 자문을 맡은 기관으로 박사는 정칠품의 벼슬.

 

 

무품관

왕후


1품관
대군( : 정일품에서 종 2품까지). 공신. 부원군(왕비의 친정 아버지
)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도제조(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
사부(세자 시강원의 관직으로서 영의정, 좌우의정이 경임하는 관직임
)
(왕의 사위로서 공주에 장가든 자에 정一품 혹은 종一품을 제수함
)
감사(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1품관
. .
좌찬성. 우찬성. 판사. 제학(규장각의 관직
).
사부(세손 강서원의 관직)


2품관
. 좌참찬. 우참찬. 판서. 대제학. 지사. 판교(규장각의 관직). 판윤.
좌빈객. 우빈객. 도총관


2품관
. 참판. 대사헌. 동지사. 관찰사(도의감사). 좌윤. 우윤.
직제학(규장각의 관직으로서 정三품까지 있음). 유수
.
목사(단 광주(廣州)목사에 한함). 제학. 좌부빈객. 우부빈객. 제조
.
좌유선. 우유선(좌우유선은 정三품까지 있음). 대장(정三품까지 있음
).
부총관. 중군(정三품까지 있음). (무관
).
병마절도사(관찰사가 겸임하기도 함).방어사(종三품까지 있음
).
수군통제사. 겸사복장. 내금위장. 별장(용호령).


3품관
부위(공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처음 제수함).
첨위(현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종三품까지 있음
).
도정. 대사간. 대사정. 참의. 부제학. 도청. 도정원정. 좌유선. 우유선
.
첨지사. 직각(종六품까지 있음). 도승지. 좌승지. 우승지. 좌부승지
.
우부승지. 동부승지. 제주. 찬선. 보덕. 겸보덕. 판결사. 대장. . . . . . 좌통례. 우통례. 판교. 수찬관. 편수관(종三품까지 있음
).
제검(종三품까지 있음). 선전관(종九품까지 있음). 별장(훈련도감
).
천총(훈련도감). 상호군. 중군. 진영장(목사가 겸임함). 목사. 사림위장
.
부사(대도호부). 국별장. 별후부천총. 기사장. 관성장


3품관
첨위. 부정. 집의. 사간. 전한. 사성. 편수관. 참교. 상례. 익례.
내승(종九품까지 있음). 제거. 제검. 부사. 대호군
.
진영장(부사가 겸임함). 절도사. 방어사. 첨절제사
.
우후(정四품까지 있음). 기사장. 선전관.


4품관
수정. 전첨. 사인. 장령. 시강관. 응교. 진선. 필선. 겸필선. 사예. 사업.
봉례. 호군. 별제(수성금화사의 관직). 첨정(종四품까지 있음). 선전관
.
도선. 우후. 제검(종四품까지 있음).


4품관
경력. 부응교. 서윤. (). . 부수. 교감. 부호군. 군수. 유영별장.
성기별장. 파총. 외방겸파총. 선전관. 제검. 동첨절제사. 만호.


5품관
(종친부의 벼슬). 전부. 검상. 정랑. 지평. 좌익위. 우익위. 사의. 헌납.
시독관. 교리. 겸교리. 문학. 겸문학. 직강. 기주관(종五품까지 있음
).
찬의. 별좌(종五품까지 있음). 전훈. 전수. 사직.


5품관
부령(종친부의 벼슬). 판관. 도사(종九품까지 있음). 별좌. 부교리.
좌권독. 우권독. 좌사어. 우사어. 기주관. (). . . 현령. 부사직
.
선전관.


6품관
(종친부의 벼슬). 좌랑. 감찰. 사평. 정언. 검토관. 수찬. 사서. 겸사서.
전적. 기사관(정九품까지 있음). 교검. 전악. 사회
.
별제(종六품까지 있음). 평사. 사과. 장원. 사포. 좌익찬. 우익찬.


6품관
주학교수. 별전수. 율학교수. 별제. 천문학교수. 지리학교수.
천문학겸교수. 지리학겸교수. 명과학교수. 교수. 부수찬. 좌찬독. 우찬독
.
좌위솔. 우위솔. 좌장사. 우장사. 기사관. 인의. 부전악. 사축. 사지
.
의학교수. 한학교수. 선화. 부전수. (). 찰방. 현감. 절제도위. 감목관
.
종사관. 부장. 낭청(선혜청의 벼슬). 부사과. 수문장(종九품까지 있음).


7품관
주서. 봉교. 대교(정九품까지 있음). 박사. 사변가주서. 사경. 설저.
겸설서. 자의. 전률. 참군. 좌부솔. 우부솔. 낭청. 기사관. 수문장.


7품관
직장. 좌종사. 우종사. (호조의 벼슬). 명률. 부전률. 선회. 부사정.
별회.


8품관
사록. 저작. 설경. 학정. 부직장. 좌시직. 우시직. 전음.
별검(종八품까지있음). 사맹.


8품관
계사. 심율. 봉사. 부전음. 별검. 전곡. 화리. 부사맹.


9품관
주학훈도. 율학훈도. 정자. 전경. 검열. 좌세마. 우세마. 학록. 부봉사.
전성. 천문학훈도. 지리학훈도. 명과학훈도. 의학훈도. 한학훈도
.
몽학훈도. 왜학훈도. 여진학훈도. 사용.


9품관
회사. 부정자. 분교관. 학유. 겸인의. 가인의. 참봉. 감역관. 가감역관.
부전성. 전화. 회리. 권관. 훈도. 심약. 검률. 부사용. 초관.

 

 

 
다음검색
댓글
  • 10.10.16 15:04

    첫댓글 이거 보니까 옛날에 엄청난 문제가 생각나네요. 외시였나 옛날에 국사 문제중 이순신이 명량해전 직전 무슨 관직이었는지 품계도 아니고 관직 이름을 묻는 문제가 나온적이 있는데....ㅋㅋㅋ 정답률이 궁금한 문제

  • 10.10.16 16:09

    삼도수군통제사 아닌가요?ㅋㅋ

  • 10.10.16 18:42

    문제에서 물어본 시기가 정확히 기억 안나는데 답은 진짜 듣도 보도 못한 관직이었습니다. 그건 틀리라고 낸 문제 ㅋㅋㅋ

  • 10.10.16 23:16

    명량해전 직전이면 거의 하사수준의 관직이었을껄요..ㅋㅋ 그때가 선조한테 미움받아서 감옥에 있다가 원균이 권율의 압박으로 칠천량해전 질꺼 뻔히알고 싸우다가 거의 모든 해군 말아먹고 안되겠다 싶어서 이순신 복귀시켰을 때니까요..ㅋㅋㅋ 정말로 배12척(+어선1척)으로 10배인가 되는 일본군을 울돌목에서(전국에서 가장 조류흐름이 빠른지역) 바른거는 인류 역사상 최고의 해전 탑텐에 들어가야 할거 같습니다;;;

  • 10.10.17 12:42

    탑텐이 아니라 넘버1이죠.

  • 10.10.17 01:52

    왠지 모르게 스크랩하게 되는 자료네요 ㅋㅋ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