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103위 성인 약전
(1984년 5월 6일 시성)
천주교 103위 성인 (天主敎 百三位 聖人)
목차
정의
내용
정의
한국천주교회의 103명 성인을 총칭하는 천주교용어.
내용
한국천주교회 2백주년 기념으로 방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1984년 5월 6일 여의도광장에서 한국순교복자 103위 시성식(諡聖式)을 거행함으로써 복자(福者)에서 성인(聖人)의 품위에 오른 인물들이다.
이 103위는 한국인 93명(신부 1명, 평신도 92명)과 함께 파리외방전교회 소속 선교사 10명(주교 3명, 신부 7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천주교회에서 성인 반열에 오르려면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되는데, 우선 복자가 된 다음 난치병 치유와 같은 초자연적인 기적을 두 번 이상 행해야 하고 그런 일을 교황청에 보고하여 심사를 받은 뒤 시성식을 한다.
그러나 한국의 순교복자들 경우에는 기적을 증빙할 만한 자료를 구하기가 힘들었다. 한국주교단은 전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1983년 3월 ‘기적심사관면청원서’를 교황청에 제출하였고 교황청은 한국교회의 역사성을 감안하여 순교복자들의 시성을 승인하였다.
이와 같은 교황청의 배려는 ‘신앙의 기적’이라고 부르는 평신도 중심의 자생적 교회를 탄생시켰으며, 현재에도 경이적인 교세를 확장하고 있는 한국천주교회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나온 것이다.
103위 성인이 복자 반열에 오를 때에는 파리외방전교회의 도움으로 이루어졌으나, 시성추진은 한국천주교 주교단 및 2백주년기념사업위원회가 독자적으로 1980년부터 교황청에 청원하여 이루어졌다. 그것도 ‘기적심사관면’을 통과하고 전례 없이 로마 이외의 지역에서 시성식을 갖게 된 것이다.
한국교회는 2백 년의 짧은 역사 가운데에서도 천주교 성인의 10% 정도를 차지하게 되는 성인교회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시성된 성인은 교회의 성인명부에 이름이 기록되고 그 축일(祝日)이 제정되며 그를 기념하는 성무일도(聖務日禱: 성직자 기도서)와 미사경문이 작성된다.
또한 그의 이름이 세례명으로 사용되며, 그 생애나 업적에 관한 성화(聖畫)가 게시되는 등 가톨릭교회의 신자들에게 공식적으로 공경을 받게 된다.
초기 한국천주교회사는 바로 순교의 역사라고 할 만큼 많은 순교자를 배출하였다. 그 중에서도 시성이 된 순교자들은 1839년(기해년)에서 1846년(병오년) 사이의 순교자 79위와 1866년(병인년) 대원군에 의한 박해 때 순교한 24위로서, 각각 1925년 7월 5일과 1968년 10월 6일에 로마 베드로성당에서 시복되었다.
그들의 순교시기였던 조선 후기는 봉건체제가 무너져 가는 과정 속에서도 지배적 이데올로기였던 유교이념이 강하게 유지되어 있었던 때였다. 그러므로 천주교의 신앙은 기존의 사회규범과 충돌을 피할 수 없었고 ‘무군무부(無君無父)’의 사교로 낙인찍히게 되어 당시 신앙을 지키려던 사람들은 죽음을 선택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상황이었다.
1784년 이승훈(李承薰)이 자발적인 교리연구를 거쳐 베드로라는 이름으로 영세입교하면서 형성된 신자공동체는 ‘천주를 믿는다.’는 이유 때문에 처음부터 박해를 받아 가문에서 쫓겨나고 신분과 재산을 잃는 고초를 겪었으며, 1836년 모방(Maubant,P.) 신부 입국으로 파리외방전교회의 선교사활동이 시작될 때까지 오랫동안 성직자 없는 평신도들만의 공동체로서 지탱하여 왔다.
정하상(丁夏祥)·유진길(劉進吉)·조신철(趙信喆) 등은 신유박해 이후 선교사 영입의 길을 찾으려고 여러 차례 북경을 내왕하여 마침내는 성직자를 영입하였다. 그리고 최초의 한국인 사제인 김대건(金大建) 신부는 사제 서품 1년 1개월 만에 한강변 새남터에서 26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또한 김효주(金孝珠)·김효임(金孝任) 자매를 비롯한 15위 동정녀들 중 몇 사람은 이미 공동생활을 하면서 병자와 가난한 이웃을 돌보았고, 이광렬(李光烈)은 교회에 봉사하기 위해 독신으로 지내다가 순교하였다.
남명혁(南明赫)과 이연희(李連喜) 부부를 위시하여 모범적인 신앙가정을 이루었던 여러 부부 순교자들, 높은 사회적 지위를 지녔으면서도 정결과 가난의 모범을 보였던 남종삼(南鍾三), 박해로 부친과 재산을 잃어버리고 짚신과 미투리를 만들며 생계를 유지하면서 살았던 박후재(朴厚載), 교리를 몰라도 천주와 성모를 사랑하며 자신을 봉헌한 박아지(朴阿只), 13세의 어린 나이에 용감하게 신앙을 고백하고 죽은 유대철(劉大喆) 등이 103위 순교성인에 포함되어 있다.
103위 성인 중 93인의 한국인 성인을 살펴보면 성직자는 유일하게 김대건 신부 한 명뿐이고 나머지 92명은 평신도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는 한국교회의 평신도적 성격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특히 평신도 사목활동을 주관한 회장들과 외국인 사제의 활동을 보조한 복사(服事)들의 활동이 매우 현저하였다.
성인들 중 회장 출신은 이광헌(李光獻)·최경환(崔京煥) 등 21명에 이르고 있으며, 조화서·남경문(南景文) 등은 복사로 활동했던 사람들이다. 회장들은 선교사를 대신하거나 선교사와 같이 공소(公所)를 운영하고 교우 및 외교인(外敎人)을 가르치는 본연의 임무외에도 이 시기에 행하였던 특수한 임무, 즉 성직자를 영입하고 성직자의 신변을 보호하는 한편 한국인 성직자 양성을 위해 전력을 다하였다.
정하상과 현석문(玄錫文)이 그 대표적인 인물이다. 또한 당시 한국사회는 혈연공동체였기 때문에 한 가족에서 여러 명의 순교자를 내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3명 이상의 순교성인을 배출한 가족과 부자·부부·부녀·형제·모녀간의 순교자들이 상당히 있다.
이광헌은 아내·딸·동생과 함께, 그리고 최창흡(崔昌洽)은 아내·딸·사위와 함께 순교하였고, 허계임(許季任)은 두명의 딸, 시누이·외손녀 등과 함께 순교하였다.
한국 성인들의 신분과 직업은 아주 다양해서 양반·중인·상민 등이 골고루 섞여 있으며, 승지(承旨), 선공감(繕工監)·광흥창(廣興倉)의 관리, 군인·궁녀 등이 있는가 하면 상업·농업·약국·인쇄업, 심지어는 짚신을 삼고 길쌈과 삯바느질로 생계를 유지한 사람들도 있다.
집안 형편은 거의가 가난하고 궁핍한 편이나 최경환·김효주·유진길·김제준(金濟俊)·정화경·김성우(金星禹)·임치백(林致百) 등과 같이 부유한 집안 출신도 있었다. 신앙 경력에서 볼 때 부모가 모두 신자였던 이들이 34명이고, 그 중 순교자 자녀만도 김대건 신부와 그의 부친 김제준, 당고모 김 데레사를 비롯하여 16명이나 된다.
순교지별로는 서소문 밖 네거리가 44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에 새남터 11명, 당고개 9명, 전주의 숲정이 7명, 충청도의 갈매못 5명, 그 밖에 평양·대구·공주가 각각 1명씩이고 나머지는 서울의 감옥에서 옥사하거나 효수되었다.
남녀별로는 남자 46명, 여자 47명이며 연령별로는 40대가 30명으로 제일 많고 50대 23명, 30대 20명, 20대 19명, 10대 4명, 60대 4명, 70대 3명이다. 출신지역별로는 서울 27명, 경기 21명, 충청도 15명이며 나머지 중에서 20여 명은 출신지가 미상인데, 대부분 지방에서 서울로 전입해 온 사람들로 추정되고 있다.
1984년 7월 2일에 한국천주교 주교단은 103위성인 탄생과 함께 주교회의 전례위원회의 공문을 통하여 한국성인의 공경에 대한 지침을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9월 6일로 되어 있던 한국순교복자 대축일을 없애고 9월 20일을 한국성인 대축일로 기념하며, 9월의 복자성월(福者聖月)은 순교자성월로서 지낸다는 것이다.
현재 한국성인 대축일에는 전국 각 교구에서 현양행사를 마련하고 대축일 미사를 봉헌하며, 순교성인들의 고귀한 뜻을 계승하려는 여러 가지 기념행사를 행하고 있다.
로마 교황청에서도 1984년 10월 14일에 바티칸 성 베드로광장에서 103위시성 로마경축대회를 개최하였고, 1985년 3월 12일에 교황은 한국순교성인축일을 세계공용 로마축일표에 수록하고 기념하도록 선포하였으며 또한 미사경본과 성무일도에도 수록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현재 한국천주교회가 세계적으로 많은 성인들을 배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성인 공경의 분위기가 충분히 조성되고 있지 못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기도 한다. 그 원인은 성인들의 생애가 교회차원에서 철저히 재조명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평가되고 있다.
103위 성인 : [가]
49. 고순이 바르바라 (부인, 1839.12.29, 서소문 밖)
고순이는 1801년 신유박해로 순교한 고광성(高光晟)의 딸로, 서울에서 태어났다. 18세 때 교우인 박종원(朴宗源)과 혼인하여 3남매를 두고, 모범 가정이라고 칭찬을 들으며 살았다. 또한 회장인 남편을 도와 무지한 이들을 가르치며 병약자를 간호하는 등 교회 일에도 적극적으로 봉사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10월 26일 남편이 먼저 체포되고, 그 이튿날 고순이도 체포됨으로써 포청에서 남편과 만나 서로 위로하고 격려하며 순교를 준비하였다. 형조에서도 남편과 함께 고문을 당하였으나 굴복하지 않았다. 이렇게 남편과 함께 모든 혹형과 고문을 이겨 낸 고순이는 12월 29일 남편 박종원보다 한 달 먼저 6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고 42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91. 권득인 베드로 (상인, 1839.05.24, 서소문 밖)
서울에서 태중 교우로 태어난 권득인은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16세 되던 해에 어머니마저 여읜 뒤 혼인하였다. 얼마 동안은 약장사를 하는 형과 함께 살다가 분가하여 성패(聖牌)와 성물(聖物)을 만들어 팔며 어렵게 생계를 꾸려 나갔는데 항상 새벽닭이 울 때 일어나 촛불을 켜 놓고 날이 밝을 때까지 기도하는 독실한 신앙생활을 하였다.
권득인은 1839년 1월 16일 아내, 처남, 어린 자녀 등 4명의 가족 그리고 김로사와 함께 체포되어 포청과 형조에서 매우 혹독한 형벌과 고문을 받았으나 그의 신앙에는 흔들림이 없었다. 뒤에 가족들이 배교하고 석방되자 권득인은 오히려 가족들을 위로하고 격려하며 순교를 권하는 편지를 써 보냈다. 그 뒤 5개월 동안 옥고를 치르고, 5월 24일 8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그 때 나이는 35세였다.
37. 권진이 아가타 (부인, 1840.01.31, 당고개)
서울에서 태어난 권진이는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어머니 한영이와 함께 입교하였다. 13세경 혼인하였으나 남편이 너무 가난하여 남편의 친척인 정하상(丁夏祥)의 집에서 살았다. 1833년 중국인 유방제(劉方濟) 신부가 입국한 뒤부터 신부의 시중을 들었는데, 유 신부가 조선을 떠나게 되자 어머니에게 돌아갔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난 해 7월 17일, 같이 살던 한영이, 이경이와 함께 체포되었다. 옥살이 중 한 차례 도망쳤던 죄로 포청과 형조에서 매우 가혹한 형벌을 받았으나 끝까지 신앙을 지켜 1840년 1월 31일 5명의 교우와 함께 당고개에서 참수형을 받아 21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78. 권희 바르바라 (부인, 1839.09.03, 서소문 밖)
이광헌의 부인이며 이 아가타의 어머니인 권희는 1817년경 남편과 함께 입교하였다. 박해 때문에 궁핍한 생활을 하면서도 회장을 맡은 남편을 도와 주교와 신부들을 맞아들였고 또 교우들을 권면하여 미사에 참여하게 하고 강론을 듣게 하였다.
1839년 4월 7일 가족과 함께 체포되어 포청과 형조에서 수차의 형벌과 고문을 당하였다. 특히 열두 살밖에 안 된 어린 아들이 고문당하는 처참한 광경을 지켜보면서도 끝내 모정을 억제하고 온갖 유혹과 형벌을 견디어 냈다. 이렇게 처참한 5개월 동안의 옥살이 끝에 9월 3일 다섯 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고 46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47. 김 데레사 (과부, 1840.01.09, 옥사)
김 데레사는 1816년 대구에서 순교한 김종한(金宗漢)의 딸로 충청도 솔뫼에서 태어났으며 김대건 신부의 당고모이다. 17세 때 교우인 손연욱 요셉과 혼인하였으나, 1824년 남편이 해미(海美)에서 순교하자 가난하게 혼자 살면서 신앙생활에 전념하였다.
정정혜(丁情惠)와 함께 유방제(劉方濟) 신부와 범 라우렌시오 주교의 살림을 돌보던 중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7월 11일 범 라우렌시오 주교의 집에서 정하상(丁夏祥) 일가와 함께 체포되었다. 김 데레사는 포청에서 주교의 은신처를 알아내려는 형리들에게 여러 차례의 혹형과 고문을 받았으나, 순교한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신앙을 본받아 꿋꿋이 참아 내고, 옥에서 만난 이광헌의 딸 이 아가타와 함께 서로 위로하고 격려하며 신앙을 굳게 지켰다. 1840년 1월 9일 포청에서 44세의 나이로 이 아가타와 함께 교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59. 김 루치아 (과부, 1839.09.??, 옥사)
김 루치아는 서울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는데 태어날 때부터 몸이 불구였다. 그래서 ‘꼽추 루치아’로 불렸다. 1801년 신유박해 이전부터 천주교를 믿었으나 남편과 가족들이 모두 외교인이라 신앙생활을 제대로 하지 못하였다. 결국 집을 나와 교우들의 집에 얹혀살면서 병자들을 돌보며 천한 일도 마다하지 않고 열성을 다하였다.
그러던 중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체포되어 포도청으로 끌려갔다. 나이가 많아(71세) 형벌은 받지 않았으나 온갖 교활한 신문을 받았다. 그러나 김 루치아는 한결같이 배교를 거부하고, 마침내 9월 어느 날 포도청에서 기력이 다해 옥에서 죽음으로써 순교하였다.
81. 김 루치아 (동정, 1839.07.20, 서소문 밖)
동정 순교자 김 루치아는 강원도 강촌(江村)에서 태어나 아홉 살 때 어머니에게 교리를 배워 입교하였다. 14세 때 동정을 지킬 것을 결심하였고, 부모를 여읜 뒤로는 자신을 받아 주는 교우들의 집에서 잔심부름을 하며 살았다. 1839년 기해박해 때 포졸들에게 자수한 뒤, 포청과 형조에서 천진한 태도와 한결 같은 신앙으로 모든 형벌과 고문과 유혹을 참아 냈고, 교리에 대한 심문 중에도 기막힌 비유와 논리 정연한 대답으로 형관을 감동시켰다. 7월 20일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아 22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89. 김 바르바라 (과부, 1839.05.27, 옥사)
시골의 가난한 집에서 태어난 김 바르바라는 13세경 서울로 올라와 교우 황 마리아의 집에서 식모로 생활하며 교리를 배워 신앙생활을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동정으로 살고자 결심하였으나 혼기가 차자 부모의 강요를 이기지 못하고 외교인과 혼인하여 남매를 두었다. 혼인한 지 15년 만에 남편이 사망하자 딸 하나만을 데리고 신앙생활에만 전념하였다.
그러던 중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3월 김 바르바라는 몸 붙여 살던 집에서 집주인과 함께 체포되어 포청으로 끌려가 심한 형벌과 고문을 받았으나 용감히 신앙을 고백하였다. 3개월 옥살이 끝에 5월 27일 굶주림, 기갈, 염병 등으로 옥사함으로써 순교하였다. 그 때 나이는 35세였다.
87. 김 로사 (과부, 1839.07.20, 서소문 밖)
과부가 된 뒤 입교하여 열심한 신앙생활로 친정 식구들을 입교시킨 김 로사는 1839년 1월 16일 권득인(權得仁) 등과 함께 체포되었다. 포청과 형조에서 신문을 받을 때 “하느님은 신인만물(神人萬物)의 큰 주인이시라 배반할 수 없습니다." 하며 자신의 뜻을 분명히 밝히고, 여러 차례의 혹형과 고문을 이겨 낸 뒤 1839년 7월 20일 예수, 마리아를 부르며 7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이 때 나이는 56세였다.
103.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1846.09.16, 새남터)
김대건은 1821년 충청도 솔뫼에서 천주교 신자 김제준 이냐시오와 고 우르술라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굳센 성격과 진실한 신심을 보고 1836년 나 베드로(모방) 신부는 그를 신학생으로 뽑아 마카오로 유학 보냈다. 그는 6년 동안 신학 공부를 하고 1845년 8월 페레올 주교에게서 사제품을 받아 한국인 최초의 신부가 되었다.
고국에 돌아온 김 신부는 서울과 용인 지방에서 사목 활동을 시작하였으나, 1846년 음력 4월 주교의 명에 따라, 선교사들의 편지를 중국 배에 전하고 선교사들의 입국로를 개척하기 위하여, 황해도 지방으로 가게 되었다. 김 신부는 편지를 중국 배에 전하고 돌아오는 도중 순위도에서 관헌에게 체포되어 서울 좌포도청으로 이송되었다.
취조 중, 김 신부의 넓은 식견과 당당한 태도에 대관들은 그를 죽이기에는 국가적으로도 아깝다고 생각하였으나 후환을 입을 것이라는 영의정 권돈인의 주장대로 결국은 사형을 선고하였다. 김 신부의 처형은 1846년 9월 16일 새남터에서 군문효수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김 신부는 망나니들에게 '천주교인이 되어 내가 있을 곳에 오도록 하라.'는 말을 남기고 태연하게 칼을 받았다. 이 때 그의 나이 26세, 그의 목이 떨어지자 형장에는 큰 뇌성과 함께 비가 억수같이 쏟아졌다고 전해진다.
33. 김성우 안토니오 (회장, 1841.04.29, 옥사)
경기도 광주 구산(龜山)에서 부유한 가정의 장남으로 태어난 김성우는 성품이 강직하고 도량이 넓어 모든 이에게 존경을 받았다. 천주교를 알게 되자 두 동생과 함께 곧 입교하였고, 열렬한 신앙으로 전교 활동을 펼쳐 자신이 사는 마을을 교우촌으로 만들었다. 부모가 세상을 떠나자 세례를 받고 서울로 이사한 뒤 자신의 집에 공소를 만들어 신부들을 도왔다.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천주교인으로 밀고 되었으나 미리 피신하였고, 고향에 남아 있던 두 동생만 체포되었다. 그러나 김성우도 이듬해 1월 가족들과 함께 체포되었고, 감옥에서도 외교인 죄수들에게 전교하여 2명을 신앙의 길로 인도하였다. 옥살이 15개월 만인 1841년 4월 28일 치도곤 60대를 맞고 이튿날 교수형을 받아 47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86. 김성임 마르타 (과부, 1839.07.20, 서소문 밖)
인천 부평(富平)에서 태어난 김성임은 혼인에 실패한 뒤 서울에서 앞을 보지 못하는 점쟁이와 재혼하였다. 이 때부터 교리를 배우기 시작하였고, 남편이 죽은 뒤 교우들의 집을 전전하며 신앙생활을 하였다. 천한 일을 하면서도 항상 밝은 얼굴로 생활하던 김성임은 1839년 4월 11일 자신이 몸 붙이고 있던 이매임의 집에서 이매임, 허계임, 이정희와 영희 자매, 김 루치아 등과 순교를 결심한 뒤 이미 체포된 남명혁의 집을 지키던 포졸들에게 자수하였다. 포청과 형조의 혹형과 고문을 이겨 내고 7월 20일 7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아 50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99. 김아기 아가타 (과부, 1839.05.24, 서소문 밖)
김아기는 외교인 가정에서 태어나 전혀 신앙을 모르고 살다가 뒤늦게 천주교를 알게 되어 교리를 배웠다. 기억력이 나빠 12단(十二端)도 제대로 외우지 못하였지만 하느님을 알고 믿고자 하는 열의는 대단하였다. 이렇게 열과 성을 다하여 교리를 배우던 중 1836년 10월 김업이(金業伊), 한아기(韓阿只) 등과 함께 천주교 서적을 숨긴 죄로 체포되었다.
포청에서 김아기는 “나는 오직 예수, 마리아밖에 모릅니다. 신앙을 고백하였고, 혹형과 고문을 이겨 낸 다음 형조로 이송되었다. 형조에 갇혀 있던 교우들은 예수, 마리아 밖에 모르는 김아기가 왔다고 반갑게 맞아 주었다. 그 후 형조에서 사형을 선고받은 김아기는 형 집행의 유예로 3년을 옥살이한 끝에 옥중에서 대세를 받고 1839년 5월 24일 8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으로 순교하였다. 그 때 나이는 53세였다.
96. 김업이 막달레나 (과부, 1839.05.24, 서소문 밖)
김업이는 어려서부터 독실한 신앙생활을 하며 동정을 지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어머니의 권유로 혼기에 이르러 교우 청년과 결혼하였다. 중년이 되어 남편과 자식을 모두 잃고는 친정으로 돌아와 노모와 함께 애고개(지금의 아현동)에서 망건을 만들어 팔며 살았다.
노모에게 순종하는 좋은 표양과 해박한 교리 지식으로 외교인들에게 전교하며, 순교할 결심으로 살아가던 김업이는 1836년 10월 김아기(金阿只), 한아기(韓阿只) 등과 함께 체포되었다. 포청과 형조에서 천주교 서적을 숨긴 죄로 매우 혹독한 형벌과 고문을 받았으나 모두 참아 내고 형조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형 집행이 유예되어 3년을 옥살이한 끝에 1839년 5월 24일 8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자신의 소원대로 참수형으로 순교하였다. 그 때 나이는 66세였다.
66. 김 율리에타 (궁녀, 1839.09.26, 서소문 밖)
동정 순교자인 김 율리에타는 시골에서 태중 교우로 태어났다. 부모와 함께 서울로 이사와 살면서, 17세 때 혼담이 있었으나 동정을 지키기로 결심하고 스스로 머리카락을 다 잘라 버렸다. 1801년 신유박해 때 부모는 냉담하여 낙향하였으나, 김 율리에타는 혼자 서울에 남아 있다가 궁녀로 뽑혀 10년 동안 궁에서 살았다.
그러나 궁에서는 신앙생활을 할 수가 없어 궁을 떠나 교우들의 집에서 일을 해 주며 품삯을 모아 집을 마련하고, 혼자 살면서 신앙생활을 하였다. 성품이 강직하고 또 늘 언행에 조심하였으며 그래서 교우들로부터 ‘절대로 나쁜 짓 하지 않을 여인’이라고 불렸다. 기해박해가 있던 1839년 7월에 체포되어, 혹형과 고문을 이겨 낸 끝에 9월 26일 8명의 교우와 함께 56세의 나이로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27. 김임이 데레사 (동정녀, 1846.09.20, 옥사)
동정 순교자 김임이는 서울의 교우 가정에서 태어나 7세 때 이미 동정을 지키기로 결심한 뒤 신앙 생활에 전념하였다. 20세 때 아버지를 여읜 뒤 오빠와 함께 친척들의 집을 전전하였고,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난 뒤 이문우의 양모 오 바르바라의 집에서 5년 동안 살다가 1845년 김대건 신부의 집에 하녀로 들어갔다.
이듬해 5월 김 신부가 체포되자 당시 회장이었던 현석문은 김 신부의 집에 남아 있던 여교우들을 새 집으로 피신시켰는데, 7월 11일에 포졸들이 새 집에 들이닥쳤다. 그리하여 현석문, 이 아가타, 정철염 등과 함께 체포된 그는 9월 20일, 매를 심하게 맞아 거의 반죽음이 된 상태로 포청에서 6명의 교우와 함께 교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그의 나이 36세였다.
84. 김장금 안나 (과부, 1839.07.20, 서소문 밖)
서울에서 태중 교우로 태어난 김장금은 어려서부터 독실한 신앙생활을 하였고, 중년에 이르러 과부가 되자 노모와 함께 이광렬과 친하게 지냈다. 두 집은 사이가 좋고 화목하기가 이를 데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김장금은 1839년 4월 이광렬, 이광헌 일가와 함께 체포되어 혹독한 형벌과 고문을 당하였으나 끝까지 신앙을 지켰고, 마침내 7월 20일 서소문 밖 형장에서 51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63. 김제준 이냐시오 (회장, 1839.09.26, 서소문 밖)
김대건(金大建) 신부의 아버지로 충청도 면천(沔川)땅 솔뫼에서 태어났다. 1814년에 순교한 할아버지 김진후(金震厚)와 큰아버지의 권면으로 입교한 뒤 자유로운 신앙생활을 위하여 경기도 용인(龍仁)으로 이사하여 농사를 짓고 살았다. 이 무렵 나 베드로(모방) 신부를 찾아가 세례와 견진 성사를 받고 용인으로 돌아와 회장으로 활약하였다.
1836년 15세 된 아들 김대건을 모방 신부에게 맡겨 마카오에 있는 신학교로 유학 보냈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김순성(金順性) 일당의 밀고로 체포되었다. 포청에서 아들을 외국으로 보낸 국사범으로 간주되어 매우 혹독한 형벌과 고문을 받고 한때 배교하였으나, 형조로 이송된 후 배교를 취소하고 9월 26일 참수형으로 순교하였다. 그의 나이 44세였다.
60. 김효임 골룸바 (동정녀, 1839.09.26, 서소문 밖)
동정 순교자 김효임은 서울 근교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를 여읜 뒤 전 가족이 입교하고 유방제(劉方濟) 신부에게 세례성사를 받았다. 김효임은 두 여동생과 함께 동정을 지키기로 결심하고 독실한 신앙생활을 하던 중, 1839년 4월 경기도 고양군 용머리에서 동생 김효주와 함께 체포되었다.
두 자매는 포청에서 이른바 학춤이라는 혹형 외에도 달군 쇠붙이로 열세 군데나 지져대는 혹형을 받았고, 또 옷 벗긴 채 남자 죄수 방에 넣어졌으나 갑자기 두 자매의 몸에 신비스런 힘이 생겨 남자 죄수들이 두 자매를 범할 수 없었다. 김효임은 형조판서의 신문에 영리하고 겸손하게 대답하여 형조판서를 감동시켰다. 그 뒤 5개월 동안 옥에서 병과 싸우며 지내던 김효임은 9월 26일 8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고 26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74. 김효주 아녜스 (동정녀, 1839.09.03, 서소문 밖)
언니 김효임(金孝任)과 같이 동정 순교자인 김효주는 서울 근교 밤섬의 한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 뒤 경기도 고양군 용머리(龍頭里)로 이사해 살았다. 아버지를 여읜 뒤 온 가족이 함께 입교하여 중국인 유방제(劉方濟) 신부에게 세례성사를 받았다.
언니 김효임, 동생 김 클라라와 함께 동정을 지키기로 결심하고는 아름다운 덕행과 극기로써 모범적인 신앙생활을 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5월 3일 언니 김효임과 함께 체포되어 포청에서 매우 혹독한 형벌과 잔인한 고문을 받았으나 끝까지 신앙을 지켰으며 형조에서도 굴하지 않았다. 1839년 9월 3일 다섯 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아 24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103위 성인 : [나]
31. 남경문 베드로 (회장, 1846.09.20, 포청옥)
서울의 중인 집안에서 태어난 남경문은 20세 때 교우 처녀 허 바르바라와 혼인하였는데, 큰 병에 걸려 대세를 받고 회복된 뒤 회장이 되었다. 1839년 기해박해 때 체포되었다가 배교하여 석방되고 나서는 첩까지 거느리고 3년 동안 방탕한 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다시 교회로 돌아와 김대건 신부에게 고해성사를 받고 성체를 모신 다음 과거의 죄를 보속하고자 극기하고 인내하는 생활을 하였으며, 교우들에게 순교하고 싶다는 말을 자주 하곤 했다.
1846년 병오박해가 일어나자 임성룡의 밀고로 체포되었다. 체포될 때 남경문은 금위영(禁衛營)의 군인 신분이었으므로 매우 혹독한 형벌과 유혹을 받았으나 모두 이겨 내고 마침내 9월 20일 6명의 교우와 함께 교수형을 받아 51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92. 남명혁 다미아노 (회장, 1839.05.24, 서소문 밖)
서울에서 태어난 남명혁은 젊어서 무뢰배들과 어울리며 매우 난폭하고 방탕한 생활을 하였으나 30세경 입교한 뒤로 모든 세속의 나쁜 일과 손을 끊고 오직 신앙생활에만 전념하였다. 유방제(劉方濟) 신부에게 세례를 받고 더욱 열심히 살아 이광헌과 함께 회장으로 임명되어 예비신자를 모아 가르치고 병약자들을 방문하였으며 또 ‘성의회'(聖衣會)라는 신심 단체에 가입하여 신부를 도와 교회 일을 열심히 하였다.
그는 1839년 기해박해 초 한 예비신자의 밀고로 4월 7일 자신의 가족들과 함께 체포되었는데 이 때 그의 집에서 제의류(祭衣類), 경본(經本), 주교관(主敎冠) 등이 발견되어 포청과 형조의 관원들에게 매우 혹독한 형벌을 당했다. 그러나 남명혁은 모든 고통을 참아 냈고, 함께 체포된 아내에게 “이 세상은 잠시 머무는 곳이고 우리의 본향은 천국이니 주님을 위하여 죽어서 광명한 곳에서 영원히 다시 만나기를 바란다."고 격려의 편지를 써 보낸 뒤 5월 24일 이광헌 등 8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으로 순교하였다. 평소 ‘성의회의 치명자 남 다미아노’로 불리기를 바랐던 남명혁은 한창나이인 38세에 자신의 뜻대로 순교하였다.
67. 남이관 세바스티아노 (회장, 1839.09.26, 서소문 밖)
서울의 양반 교우 가정에서 태어난 남이관은 18세 때 교우인 조증이(趙曾伊)와 혼인하였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아버지와 함께 체포된 그는 경상도 단성(丹城)으로 귀양 갔다가 30년 만인 1832년에 풀려 나와 이천(利川)에 있는 처가에서 살았다. 그 뒤 상경하여 처가의 인척인 정하상(丁夏祥)의 신부 영입 운동을 도와 1833년 중국인 유방제(劉方濟) 신부를 입국시키고, 그에게서 세례성사와 견진성사를 받은 뒤 회장으로 임명되어 열심히 교회 일을 도왔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다시 처가가 있는 이천으로 내려가 숨었으나 9월 16일에 체포되었다. 김제준과 함께 국사범으로 간주되어 의금부로 이송되었고, 여기에서 유진길(劉進吉), 정하상과 함께 신문을 받고, 다시 형조로 이송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9월 26일 남이관은 8명의 교우와 함께 60세의 나이로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되어 순교하였다.
19. 남종삼 요한 (승지, 1866.03.07, 새남터)
남종삼은 충청도 충주(忠州)에서 태어나 남상교(南尙敎)의 양자가 되었다. 1843년 문과에 급제하고 1846년 경상도 영해 군수가 된 남종삼은 항상 재물과 부녀자를 멀리하고 청백리(淸白吏)로서 의덕과 겸손의 청빈한 생활을 하여 모든 이들에게 존경을 받았으나 동료 관리들에게는 시기와 경멸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관직에 따르는 미신행위로 인해 한때 교회를 떠난 적도 있었으나 다시 교회로 돌아와서는 신앙생활에만 전념했다.프랑스인 선교사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쳤고, 1863년 대원군의 명으로 정3품 승지(承旨)가 되어 왕족 자제의 교육을 맡았다.
그러던 중 1866년 러시아인들이 국경을 넘어와 통상을 요구하자 조정에서 문제꺼리로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때 남종삼은 홍봉주(洪鳳周), 이유일(李惟一)등과 논의 하여 영불(英佛) 동맹을 맺어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하자는 소위 방아책(防俄策)을 대원군에게 건의했다. 대원군과 장 (베르뇌) 주교와의 면담이 이루어지는 듯 했으나 척신들의 압력, 장 주교와의 연락 지연, 중국에서의 천주교 박해 소문 등으로 실패했을 뿐더러 태도가 돌변한 대원군에 의해 병인 대박해가 일어나게 되었다.
1866년 2월 고향인 제천에서 서울로 올라오던 남종삼은 중도에서 자신의 수배령이 내려졌다는 소식을 듣고 경기도 고양군 축베더리로 피신했으나 2월 25일 주교의 하인 이선이(李先伊)를 앞세운 포졸들에게 체포되었다. 그는 국청에서 6차의 국문(鞠問)을 받고 3월 7일 50세의 나이로 서소문 밖 형장에서 홍봉주와 함께 참수형을 당해 순교했다.
103위 성인 : [다]
14. 다블뤼 안토니오 (제5대조선교구장주교, 1866.03.30, 갈매못)
한국명은 ‘안돈이’(安敦伊)이며 조선교구 제5대 교구장이었던 안 안토니오 주교는 한한불(韓漢佛)사전을 비롯하여 많은 번역서와 저서를 남겼고, 10여 년 동안 자료를 수집하여 「조선 순교자 비망기」를 완성하는 큰 업적을 이룩하였다.
프랑스의 상류층 가정에서 자라나 한국 풍속에 적응하기 어려웠던 데다 위장병과 신경통에 시달렸지만, 한국말을 잘하고 보신탕을 즐기는 등 가장 한국적인 사제로 알려져 있다. 1845년 10월 조선에 들어와 20여 년 동안 양 떼를 위하여 봉사하던 안 주교는 1866년 3월 11일 홍주 거더리에서 체포되어 민 신부, 황석두와 함께 서울로 압송되었고, 유창한 한국말로 천주교에 대한 공격을 반박하여 다른 이들보다 더 심한 형벌을 받았다.
3월 30일에 안 주교 일행을 충청도 갈매못으로 압송한 형리들은 일행을 마을에 조리돌리며 형 집행을 지연시키려 하였지만, 마침 이 날이 주님 수난 성금요일이었으므로 안 주교가 당일 집행을 요구하여 그대로 형이 집행되었다.
21. 도리 헨리코 (신부, 1866.03.07, 새남터)
프랑스 뤼송 교구 출신인 김 신부는 파리 외방 전교회 소속으로 1864년에 사제품을 받고 이듬해 5월 조선에 입국하여 용인 손골에 부임하였다. 순교하는 날까지 운명을 함께한 서 신부와 가깝게 지냈으며, 한국말은 서툴렀지만 천성이 온순하고 친절하여 교우들의 존경과 사랑을 받았다.
그는 손골에서 지내는 동안 교우들이 자신을 ‘김 신부’라고 부르는 것을 자랑으로 여겨 기뻐하였는데, 그것은 한국에 김씨 성을 가진 순교자가 많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과연 김 신부는 자신의 소원대로 입국한 지 10개월 만인 1866년 2월 체포되어, 3월 7일 새남터에서 동료 사제들과 함께 27세의 나이로 참수되었다.
103위 성인 : [마]
71. 모방 베드로 (신부, 1839.09.21, 새남터)
한국 이름은 나 백다록(羅伯多祿), 서양인으로는 최초로 조선에 입국하여 순교한 신부로 1836년 1월 입국하여 서울 정하상의 집에 머물며 제2대 교구장인 범 주교를 도와 경기 충청 등 지방까지 선교하였다. 그는 한국인 성직자 양성에 마음을 두고 1836년 2월에 최양업을, 3월에는 최방제를, 7월에는 김대건을 서울로 불러 직접 라틴어를 가르치고 성직자가 되는 데 필요한 덕행을 쌓게 하다가, 때마침 귀국하는 중국인 유방제 신부와 함께 이들을 비밀리에 마카오로 유학 보냈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고 성직자가 3명이나 입국한 사실이 당국에 알려지게 되자 범 주교에 이어 자수하였다. 1839년 9월, 홍주에서 정(샤스탕) 신부와 함께 서울로 압송되어 모진 형벌을 받은 끝에 새남터에서 군문효수형으로 순교하였다. 그의 나이는 35세, 한국에 입국한 지 3년 9개월 만이었다.
45. 민극가 스테파노 (회장, 1840.01.30, 옥사)
민극가는 인천의 양반 집안에서 태어났다. 가족이 모두 외교인이었으나 어머니가 사망한 뒤 아버지가 중년에 이르렀을 때 온 가족이 함께 입교하였다. 그는 20세 때 아내를 잃고 아버지의 뜻에 따라 재혼하여 딸 하나를 두었으나 6, 7년 뒤 재혼한 아내와 딸마저 잃게 되었다.
그리하여 민극가는 집을 나와 서울 경기 지역을 전전하며 교리 서적을 팔아 생활하였다. 또 어디서나 외교인들에게 교리를 가르쳐 입교시키고 또 자선 사업에도 많은 힘을 기울였다. 그 결과 회장에 임명되었다. 1839년 기해박해로 주교와 신부들이 체포되자 서울과 지방의 교우들을 찾아 위로하고 격려하며 회장의 직무를 열심히 이행하던 중, 그 해 12월 서울 근교에서 체포되었다.
포청에서 온갖 수단으로 배교를 강요당하였으나 민극가는 모든 위협과 유혹을 물리쳤다. 또 옥에서 배교하였거나 마음이 약해진 교우들에게 신앙을 권면함으로써 배교자 중 여럿이 다시 신앙을 찾게 되었다. 이렇게 옥 생활에서도 회장의 본분을 다하던 민극가는 1840년 1월 30일 포청에서 교수형을 받고 53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103위 성인 : [바]
62. 박봉손 막달레나 (과부, 1839.09.26, 서소문 밖)
서울에서 태어난 박봉손은 15세쯤에 시골로 출가하여 딸 하나를 두었으나 남편과 시부모를 차례로 여의고 친정으로 돌아왔는데, 계모 김 체칠리아의 권고와 가르침으로 천주교에 입교하게 되었다. 친정에는 여러 교우 가족들이 모여 살고 있어 늘 번잡하였으나 박봉손은 그런 가운데에서도 궂은 일과 천한 일을 도맡아 하였다.
그러던 중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7월초 외삼촌과 함께 체포되었다. 박봉손은 형관에게 “주님을 위하여 죽고자 여기까지 온 것이니 국법대로 죽여주십시오.” 하고 말하였다. 마침내 9월 26일 8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니 그의 나이 44세였다.
98. 박아기 안나 (부인, 1839.05.24, 서소문 밖)
강원도 강촌 출신의 박아기는 서울의 한강변에 살면서 어머니와 함께 교리를 배워 입교하였다. 머리가 둔해 교리를 명확하게 알지는 못하였으나 진심으로 하느님을 사랑하게 해 달라고 매일 기도하였다. 18세 때 비교적 부유한 교우 태문행(太文行)과 결혼하여 2남 3녀를 두었고 또 정성껏 그들을 교육시켰다.
기해박해 초인 1839년 4월 박아기는 남편, 큰아들 응천(應天)과 함께 체포되었는데 남편과 큰아들은 심한 고문으로 배교하고 석방되었으나 박아기만은 배교를 거부하고 모진 고문을 이겨 냈다. 연일 계속되는 혹형으로 살이 터지고 뼈가 튀어 나왔으나 언제나 평온하였고 때때로 위문 오는 가족들에게도 권면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형조로 이송되어서도, 배교하고 가족들에게 돌아가라는 형관의 갖은 유혹과 고문에도 박아기는 끝까지 신앙을 지켜 1839년 5월 24일 8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으로 순교하였다. 그 때 나이는 57세였다.
42. 박종원 아우구스티노 (회장, 1840.01.31, 당고개)
서울 중인 집안에서 태어난 박종원은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와 함께 매우 궁핍하게 살면서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였다. 범(앵베르) 라우렌시오 주교가 입국한 뒤 회장직을 맡아 보며 온갖 위험을 무릅쓰고 교회 일에 헌신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피신해 있던 그는 체포의 위험을 무릅쓰고 옥에 갇힌 교우들과 연락하여 그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그는 피신한 지 8개월 만인 10월 26일에 체포되었고, 이튿날 그의 아내 고순이(高順伊)도 체포되어 같은 옥에 갇히게 되었다. 박종원은 포청에서 아내와 함께 서로 위로하고 격려하며 순교를 준비하였고 또 아내와 함께 혹형과 고문을 견디어 냈다. 1840년 1월 31일 5명의 교우와 함께 당고개에서 48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79. 박큰아기 마리아 (부인, 1839.09.03, 서소문 밖)
박큰아기 마리아는 외교인 가정에서 태어났으나 궁녀인 동생 박희순의 권면으로 입교하였다. 1839년 4월 15일 동생과 함께, 피신해 있던 전경협의 집에서 체포되어 포청과 형조에서 혹형과 고문을 견디어 냈다. 동생 박희순이 순교한 지 100여 일이 지난 9월 3일 다섯 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그 때 나이는 54세였다.
77. 박후재 요한 (상인, 1839.09.03, 서소문 밖)
‘명관’으로도 불리던 박후재는 경기도 용인 지방 교우 가정에서 태어났다. 1801년 신유박해로 아버지를 여읜 뒤 홀어머니 밑에서 자랐다. 성장하면서 물장사를 하는 노모를 도와 짚신과 미투리를 팔아 생활하였고, 36세 때 교우 처녀와 결혼하였다.
1839년 5월 아내를 피신시키고 혼자 체포된 박후재는 포청에서 치도곤 40대를 맞는 가혹한 형벌을 당하였다. 살이 떨어져 나가고 뼈가 드러나 피가 낭자하게 흘렀으나 조금도 동요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함께 갇힌 교우들을 권면하고 또 흉악한 죄수들에게는 천주교의 바른 도리를 강론하였다. 이어 형조로 이송되어 4개월 동안 옥살이를 한 박후재는 9월 3일 다섯 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아 41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93. 박희순 루치아 (동정궁녀, 1839.05.24, 서소문 밖)
동정녀이며 순교자인 박희순은 뛰어난 미모와 재주 때문에 어려서 궁녀로 뽑혀 궁궐에 들어갔으나, 어린 순조의 유혹을 용기와 덕으로 물리쳐 그 명성이 세간에 널리 퍼졌다. 30세경 천주교를 알게 되어 입교하였으나 궁녀의 신분으로는 신앙생활이 어려워 병을 핑계로 궁궐을 나왔다.
그 뒤로 조카의 집에 살면서 언니 박 큰아기와 조카의 식구들을 입교시켰다. 1839년 기해박해 때 천주교인으로 밀고되자 박희순은 조카의 가족들과 함께 전경협(全敬俠)의 집으로 피신하였다. 그러나 4월 15일 전경협의 집을 습격한 포졸들에게 체포되었다. 함께 체포된 많은 사람들이 혹형과 고문을 이기지 못하고 배교하였으나 박희순은 언니, 전경협과 함께 끝까지 신앙을 지켰다.
또한 다리가 부러지고 골수가 흐르는 만신창이의 몸으로 교우들에게 권면의 편지를 써 보내 교우들을 감동시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열정적인 신앙으로 모든 고통을 이겨 낸 박희순은 5월 24일 8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고 39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23. 베르뇌 시므온 (제4대조선교구장주교, 1866.03.07, 새남터)
‘베르뇌’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장 시므온 주교는 조선교구 제4대 교구장이며 한국명은 장경일(張敬一)이다. 프랑스의 르망 교구 출신인 장 주교는 1837년에 사제가 되었고 동양의 선교 지역인 베트남으로 건너갔다가 2년 동안 옥살이를 치렀다. 그 뒤 만주 요동 지역에서 10여 년 동안 활동하였고, 조선교구 제4대 교구장으로 임명되어 1856년 3월에 서울에 도착하였다.
깊은 신심과 신학을 겸비한 장 주교는 이 땅에서 10년 동안 사목 활동을 하면서 배론에 한국 최초의 신학교를 설립하고 서울에 인쇄소 두 곳을 설립하는 업적을 남겼다. 또한 당뇨병의 고통을 겪으면서도 사목에 힘쓰면서 여러 지역의 교우들을 열심히 돌보았다. 1866년 2월 23일에 체포되어 감옥에서 앞무릎에 곤장 열 대를 맞고도 고통스러운 기색을 조금도 보이지 않았으며, 3월 7일 백 유스토, 서 루도비코, 김 헨리코 신부와 함께 새남터에서 순교하였다.
20. 볼리외 루도비코 (신부, 1866.03.07, 새남터)
‘볼리외’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서 루도비코 신부의 한국명은 서몰례(徐沒禮)이다. 서 신부는 1840년 프랑스 보르도 교구에서 태어나 1864년에 사제품을 받고, 이듬해에 백, 김, 민 신부와 함께 충청도 내포 지역으로 들어왔다. 그는 고해성사를 줄 만큼 한국말을 배운 뒤 공주 지방의 전교를 맡았지만, 임지에서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할 겨를도 없이 박해를 맞았다.
서 신부는 장 주교가 체포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경기도 광주 근처의 교우 집에 숨어 있었지만 1866년 2월 27일에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되었다. 그는 모진 고문을 잘 참아 내었고 여러 질문에도 한국말이 서투르다는 핑계를 대며 대답을 회피하였다. 마침내 그 해 3월 7일에 동료 신부들과 함께 새남터에서 참수되니 그의 나이 26세였다.
22. 브르트니애르 유스토 (신부, 1866.03.07, 새남터)
1866년 병인 박해 때에 순교한 파리 외방 전교회 선교사인 백 신부는 프랑스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1864년에 사제가 되었다. 수품 직후 동료인 김 헨리코, 민 루가, 서 루도비코 신부와 함께 고국을 떠나 이듬해인 1865년 5월 조선에 입국하였다.
서울에 도착한 백 신부는 정의배(丁義培) 회장의 집에 머물며 한국말을 배워, 박해가 시작될 무렵에는 교우들에게 고해성사를 줄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그는 정 회장이 체포된 다음 날인 1866년 2월 26일 장 주교의 하인이었던 이선이(李先伊)의 고발로 체포되어 갖은 문초와 형벌을 받았고, 3월 7일 새남터에서 28세의 나이로 장 주교와 함께 처형되었다.
103위 성인 : [사]
70. 샤스탕 야고보 (신부, 1839.09.21, 새남터)
한국 이름은 정 아각백(鄭牙各伯), 두 번째로 조선에 입국한 서양인 선교사이다. 1827년 1월 파리 외방 전교회 사제가 된 정(샤스탕) 신부는 1836년 12월 조선 입국에 성공하여 곧 한국말을 배우는 한편 나 신부와 함께 각 지방에 퍼져 있는 교우들을 찾아 성사를 거행하였다.
당시의 서양인 성직자들은 상제 옷으로 변장하고 험한 산길을 헤매야 했고, 소금에 절인 야채 따위로 주린 배를 채워야 했으며, 밤새도록 고해성사를 주고 미사를 드린 다음 날 새벽에는 또 다른 마을로 길을 재촉해야만 했다. 그들은 이러한 고난을 감수해 가며 오직 복음 전파에만 힘썼던 것이다. 1839년에 일어난 기해박해는 이 땅을 수많은 천주교인들의 피로 물들였고 정 신부도 범 주교, 나 신부와 함께 그 해 9월 새남터에서 순교의 월계관을 쓰게 되었다. 그의 나이는 35세, 이 땅에 들어온 지 2년 9개월 만이었다.
6. 손선지 베드로 (회장, 1866.12.13, 전주 숲정이)
‘승운’이라고도 불렸던 손선지는 충청도 임천(林川)의 ‘괴인돌’이라는 마을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에 교리를 배워 입교하였다. 성품이 온순하고 착해 16세 때 정(샤스탕) 신부에게 회장으로 임명되었고, 순교할 때까지 회장직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병인박해 때 그는 전주 지역의 교우촌인 대성동 신리에 살면서 자신의 집을 공소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12월 5일 포졸들에게 체포되어 정문호, 한재권 등과 함께 전주 감영 후면옥에 갇혔다.
신문을 받다가 회장 신분이 탄로나, 관장에게 공소를 거쳐 간 서양 신부들의 이름과 교회 서적의 출처를 대라고 강요당하며 매우 혹독한 형벌과 고문을 받았다. 그러나 손선지는 심한 고통 가운데서도 함께 체포된 교우들을 위로하고 권면하다가, 12월 13일 5명의 교우와 함께 숲정이에서 예수 마리아를 부르며 47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았다.
40. 손소벽 막달레나 (부인, 1840.01.31, 당고개)
서울의 교우 가정에서 태어난 손소벽은 1801년 신유박해 때 아버지가 순교하고 또 어머니마저 일찍 세상을 떠나 외할머니 밑에서 자랐다. 17세 때 최창흡(崔昌洽)과 혼인하였으며, 1821년 전국에 콜레라가 퍼지자 남편과 함께 대세를 받고 성체를 모시고부터는 신앙 생활을 열심히 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6월, 손소벽은 가족과 함께 체포되었는데, 사위 조신철(趙信喆)이 북경에서 가져온 교회 물건의 출처 때문에 포청에서 주리 세 차례, 태장 260대를 맞는 혹형을 당하였으며, 형조에서도 세 차례의 형문(刑問)을 당하였다. 1840년 1월 31일 5명의 교우와 함께 당고개에서 39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9. 손자선 토마스 (농부, 1866.03.30, 공주)
손자선은 충청도 홍주(洪州) 거더리 마을의 3대째 교우 가정에서 태어났다. 안 주교가 체포된 뒤 압수한 돈과 물건을 찾아가라는 기별을 받았으나 아무도 나서는 이가 없어, 손자선이 혼자서 물건들을 찾으러 덕산(德山) 관아로 갔다가 체포되었다.
관장은 손자선을 옥에 가두어 고문하며 배교를 강요했지만 굴하지 않자 그를 해미(海美)로 보냈다. 해미에서 두 다리가 부러질 만큼 심한 고문을 받고도 신앙을 지킨 손자선은 결국 공주(公州) 감영으로 이송되어 1866년 3월 30일에 교수형을 받아 23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103위 성인 : [아]
72. 앵베르 라우렌시오 (제2대 조선교구장주교, 1839.09.21, 새남터)
한국 이름은 범세형(范世亨), 조선교구 제2대 교구장이며 주교로는 처음 한국 땅을 밟았다. 조선교구 초대 교구장인 소(브뤼기에르) 주교가 입국도 못한 채 병사하자 제2대 조선교구장으로 임명되어 1837년 5월 주교품을 받았으며 같은 해 말 조선 입국에 성공하였다.
그의 입국으로 조선교구는 그보다 앞서 입국한 나(모방), 정(샤스탕) 두 신부와 더불어 교구 설정 6년, 교회 설립 53년 만에 비로소 선교 체제를 갖추었으며, 1839년 초 신자 수는 9천 명을 넘게 되었다. 그는 또한 한국인 성직자 양성에도 뜻을 두어 정하상 등 네 명의 열심한 신자들을 뽑아 사제로 키우고자 하였으나 때마침 불어 닥친 박해로 뜻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났을 때 자신의 거처가 알려지게 되자 교우들에게 화가 미칠 것을 염려하여 스스로 포졸들에게 잡히는 몸이 되었다. 나, 정 두 신부에게도 인편으로 자수할 것을 권유하여 다같이 1839년 9월 21일 새남터에서 군문효수형을 받았다. 이 때 그의 나이는 43세였으며 조선에 입국한 지 불과 2년 만이었다.
12. 오매뜨르 베드로 (신부, 1866.03.30, 갈매못)
프랑스 앙굴렘 교구 출신인 오 신부는 1862년에 사제 서품을 받고 1863년 6월에 파리 외방 전교회 선교사로 조선 땅을 밟았다. 경기도 수원 근처에 있는 샘골에서 한국말을 익혔으며 충청도 홍주 거더리에서 전교하였다. 1866년에 박해가 일어나고 그 해 3월에 안 주교가 체포되자 피신하려고 배를 탔으나, 거센 역풍으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거더리로 돌아와 체포되었다. 오 신부는 안 주교, 민 신부 등과 함께 서울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고, 3월 30일 갈매못에서 안 주교 다음으로 두 번째 칼날을 맞아 29세의 젊은 나이로 자신을 하느님께 봉헌하였다.
15. 우세영 알렉시오 (역관, 1866.03.11, 새남터)
‘세필’로도 불렸던 우세영은 황해도 서흥(瑞興) 향교 마을에서 태어났다. 18세 때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우연히 알게 된 김 요한이라는 회장의 권면으로 관직의 뜻을 버리고 서울로 내려가, 정의배에게 교리를 배우고 장(베르뇌) 주교에게 세례성사를 받았다.
그 뒤 부모의 반대를 인내와 열정으로 참아 내어 가족들을 입교시키고 신앙생활을 위해 평안도 논재로 이사했다. 1866년 병인박해가 일어나자 2월 16일 이웃 마을인 고둔리 공소에서 유정률 등 5명의 교우와 함께 체포되었으나 평양 감영에서 혹독한 고문에 못 이겨 배교하고 석방되었다. 그러나 곧 배교한 것을 후회하고 서울로 내려가 스승 정의배를 만나러 갔다가, 이미 체포된 정의배의 집을 지키고 있던 포졸들에게 자수하였다. 같은 해 3월 11일 신 신부, 박 신부, 스승 정의배와 함께 새남터에서 군문효수형을 받고 22세의 젊은 나이로 순교하였다.
29. 우술임 수산나 (과부, 1846.09.20, 포청옥)
경기도 양주(楊洲)에서 태어난 우술임은 15세 때 인천의 한 교우와 혼인하여 남편의 권면으로 입교하였다. 1828년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을 뻔하였으나 해산이 임박하여 두 달 동안 옥살이를 하고 풀려 나왔는데, 그 때 받은 고문의 후유증으로 평생 육체적 고통에 시달렸다. 남편을 여의고 1841년 상경하여 교우들의 집에 몸붙여 살다가, 과부인 이간난과 함께 살며 열심히 신앙 생활을 하였다.
1846년 5월 김대건 신부가 체포되자 김 신부의 집에 있던 여교우들은 이간난의 집을 거쳐 새 집으로 피신하였는데, 이 때 이간난도 함께 피신하였다. 결국 우술임은 혼자 남아 이간난의 집을 지키고 있다가 7월 11일에 체포되었다. 9월 20일에 매를 맞아 반죽음이 된 몸으로 포청에서 6명의 교우와 함께 교수형을 받아 44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80. 원귀임 마리아 (동정녀, 1839.07.20, 서소문 밖)
동정 순교자 원귀임은 경기도 고양군 용머리(龍頭里)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여기저기를 떠돌며 살다가 아홉 살 때 서울의 친척집에서 삯바느질로 생계를 꾸려 나갔다. 이 때 동정으로 살아갈 것을 결심하고 언제나 모범적인 신앙생활을 하였다. 1839년 3월 29일 원귀임이 있던 친척집이 포졸들의 습격을 받게 되자 재빨리 피신하였으나 길거리에서 원귀임을 아는 사람에게 들켜 체포되었다.
체포될 때 정신을 잃을 정도로 당황했던 원귀임은 정신을 가다듬고 포청으로 끌려갔다. 포청에서 배교를 강요하며 고문하는 형리에게 “내 영혼을 이미 하느님께 맡긴 지 오래니 더 이상 묻지 마십시오. 오직 죽을 뿐입니다." 하며 배교를 거부하니 형조로 이송되었다. 형조에서도 가혹한 형벌과 고문을 받았으나 원귀임은 굴하지 않았고 드디어 7월 20일 일곱 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그 때 나이 22세였다.
13. 위앵 루가 (신부, 1866.03.30, 갈매못)
민 신부는 프랑스 랑그르 교구 출신으로, 1861년 사제가 되었고 1865년 파리 외방 전교회 선교사로 백, 김, 서 신부와 함께 조선에 파견되었다. 충청도 내포에 머물며 안 주교에게 한국말을 배운 뒤 홍주(洪州) 황무실에 부임하여 전교하였다. 1866년 3월 11일 안 주교가 체포되자 자수하여 안 주교, 오 신부와 함께 서울로 압송되었고, 갖은 고문을 겪은 뒤 3월 30일 갈매못에서 군문효수형을 받음으로써 30세의 나이로 이 땅에 신앙의 씨앗을 뿌리고 주님의 품에 안겼다.
56. 유대철 베드로 (소년, 1839.10.31, 옥사)
유진길(劉進吉)의 아들로 서울에서 태어난 유대철은 어려서 입교한 뒤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였다. 천주교를 반대하는 어머니와 누나가 그를 괴롭혔으나 그 때마다 어머니와 누나의 회개를 위하여 기도하였다. 유대철은 1839년 기해박해로 많은 교우들이 체포되어 순교하는 것을 보고 순교를 결심하여 자수하였다.
그는 포도청에서 13세의 어린 나이로는 견디기 힘든 형벌과 고문을 받았는데, 허벅지의 살을 뜯어내며 “이래도 천주교를 믿겠느냐?" 하고 으름장을 놓는 형리에게 “믿고말고요. 그렇게 한다고 제가 하느님을 버릴 줄 아세요?" 하고 대답하였다. 이에 화가 난 형리가 시뻘겋게 단 숯덩이를 입에 넣으려 하니, "자요"하고 입을 크게 벌려 형리들을 놀라게 하였다.
열네 차례의 신문을 받고 100여 대의 매와 40여 대의 *치도곤을 맞아 온몸이 만신창이가 되었으나 유대철은 언제나 평화롭고 기쁜 표정을 지었다. 형리들은 유대철을 배교시킬 수 없음을 깨닫고 10월 31일 몰래 목을 졸라 죽였다. 그는 103위 성인 중 가장 어린 순교자이다.
55. 유소사 체칠리아 (과부, 1839.11.23, 옥사)
유 체칠리아는 명도회장 정약종(丁若鍾)의 부인이며 성 정하상(丁夏祥) 바오로의 어머니이다. 상처한 정약종과 20세에 혼인하여, 남편의 권면으로 혼인 3년 만에 세례성사를 받았다. 1801년 신유박해로 남편과 전실 아들 정철상(丁哲祥)이 순교한 뒤 재산을 몰수당하고 마재에 살던 시동생 정약용(丁若鏞)의 집에서 지냈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났을 때 조카의 피신 권유를 거절하고 7월 11일, 아들 정하상, 딸 정정혜(丁情惠)와 함께 체포되었다. 유 체칠리아는 72세의 고령임에도 포청에서 곤장 230대를 맞는 혹형을 받았으나 용감히 참아 냈다. 노인을 사형시키는 것이 국법에 금지되어 있어서 여러 달 동안 옥에 갇혀 있다가 11월 23일 고문과 형벌의 여독으로 옥사, 순교하였다. 103위 성인 가운데 최고령 순교자이다.
24. 유정률 베드로 (회장, 1866.02.17, 평양)
유정률은 평남 대동군 율리면 답현리(畓峴里, 일명 논재)에서 태어나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짚신을 엮어 팔며 어려운 생활을 하였다. 1864년경 교리를 배우고 서울로 올라와 장 시므온(베르뇌) 주교에게 세례를 받고 고향으로 돌아온 뒤 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치며 극기하고 인내하는 생활을 하였고, 그의 달라진 모습을 본 아내도 감동하여 입교하게 되었다.
1866년 초 박해가 일어났다는 소문을 들은 유정률은 친척들에게 세배하면서 자신의 순교를 예감한 듯 “안녕히 계십시오. 지금 헤어지면 언제 다시 뵐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하고 인사하였는데, 과연 그 날 저녁 이웃 마을인 고둔리의 공소에서 교우들과 함께 성서를 읽다가 체포되어 평양 감영으로 끌려갔다.
유정률은 이미 체포된 100여 명의 교우와 함께 문초를 받았고, 다른 교우들은 혹형과 고문을 이기지 못하여 배교하였지만 그는 홀로 신앙을 지켰다. 이에 분노한 감사는 배교한 교우 100여 명을 시켜 그를 세 대씩 때리게 하였다. 결국 체포된 다음 날인 2월 17일, 유정률은 300여 대의 매를 맞고 30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69. 유진길 아우구스티노 (회장, 역관, 1839.09.22, 서소문 밖)
순교 당시 정3품 당상 역관(當上譯官)의 높은 벼슬에 있었던 유진길은 서울의 유명한 역관 집안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뜻을 두고 특히 철학과 종교 문제에 관심을 갖고 10년 동안 불교와 도교를 깊이 연구하였으나 진리를 찾지 못하여 방황하고 있던 중, 1823년 우연히 「천주실의」의 일부분을 구해 읽고는 사방에 수소문한 끝에 천주교 진리를 터득하고 곧 입교하였다.
1824년 동지사(冬至使)의 수석 역관으로 북경에 가서 세례성사를 받았다. 그 뒤 유진길은 북경 교회와 연락을 담당하며 8차례에 걸쳐 북경을 왕래하면서 정하상, 조신철과 함께 성직자 영입 운동을 전개하였다. 마침내는 교황에게 성직자의 파견을 간청하는 편지를 북경 주교에게 전달하였고 그 결과 유방제(劉方濟) 신부, 나(모방) 신부, 정(샤스탕) 신부, 범(앵베르) 주교 등이 입국하게 되었다. 그는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7월 17일 체포되었다. 포청에서 주교와 신부들의 은신처를 대라며 매우 가혹한 형벌을 받았으나 끝내 입을 열지 않았다. 그는 9월 22일 정하상과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49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58. 이 가타리나 (과부, 1839.09.??, 옥사)
어려서 부모와 함께 입교한 이 가타리나는 14세 때 조(趙) 씨 성을 가진 외교인과 혼인하여 3남매를 두었다. 남편이 먼저 세상을 떠났는데 이 때 가타리나의 권고로 대세를 받았다. 1838년 말 자신이 살던 고장에 박해가 일어나자 가타리나는 집과 재산을 버리고 자녀들과 함께 서울로 올라가 조 바르바라의 집에서 같이 살았다.
그러던 중 1839년 기해박해 때, 주인집 세 모녀 그리고 자신의 큰딸 조 막달레나와 함께 체포되었다. 포도청에서 딸과 함께 신문을 받고 한 차례의 주리를 당한 다음 옥에 갇혔으나, 옥이 워낙 비좁고 불결하여 3개월이 지난 9월 어느 날 57세 나이에 염병으로 옥사, 순교하였다.
88. 이 바르바라 (동정녀, 1839.05.27, 옥사)
이 바르바라는 독실한 구교우 가정에서 태어났으나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서울 청파동에서 이영희, 이정희 두 이모의 보호를 받으며 살았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4월, 15세의 어린 나이로 체포되어 포청에서 신문을 받은 뒤 형조로 이송되었다.
형조에서 어린 것이 요물이라 하여 매우 혹독한 형벌과 고문을 하였으나 끝까지 배교하지 않자 다시 포청으로 송환되었다. 포청에서 이 바르바라는 전보다 훨씬 혹독한 형벌과 고문을 당하였으나 꿋꿋이 참으며 함께 갇혀 있는 어린이들을 위로하고 격려하다가 5월 27일 기갈과 염병 그리고 고문의 여독으로 옥사함으로써 15세의 어린 나이로 순교하였다.
46. 이 아가타 (동정녀, 1840.01.09, 옥사)
17세의 꽃다운 나이로 순교한 동정녀 이 아가타는 이광헌과 권희(權喜)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부모의 모범을 따라 독실한 신앙생활을 하였고, 또 일찍부터 동정을 지킬 결심을 하였다. 기해박해 초인 1839인 4월 7일 가족들과 함께 체포되어 포청에서 혹형과 고문을 당한 뒤 형조로 이송되었으나, 형조에서는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포청으로 다시 보냈다.
포청에서는 부모가 배교한 것처럼 속여 이 아가타에게도 배교를 강요하였으나 조금도 굴하지 않고, 옥에서 만난 김 데레사와 함께 서로 위로하고 격려하며 신앙을 지켜 나갔다. 9개월 동안 옥에 갇혀 있으면서 곤장 390대를 맞고, 1840년 1월 9일 김 데레사와 함께 포청에서 교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26. 이간난 아가타 (과부, 1846.09.20, 옥사)
서울의 외교인 가정에서 태어난 이 아가타는 18세 때 혼인하였다가 3년 만에 과부가 되어 친정으로 돌아왔다. 이 때 외할머니의 권유로 교리를 배우고 유방제(劉方濟) 신부에게 세례를 받았다. 1846년 병오박해가 일어나자 현석문 회장이 마련한 집에 숨어 있다가 7월 11일에 현석문, 김임이, 정철염 등과 함께 체포되었다. 9월 20일에 6명의 교우와 함께 33세의 나이로 교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39. 이경이 아가타 (동정녀, 1840.01.31, 당고개)
동정 순교자인 이경이는 태중 교우로 태어났다. 혼기에 이르러 어떤 내시에게 속아 혼인하였으나 곧 집으로 돌아왔으며, 범 라우렌시오(앵베르) 주교는 그 혼인을 무효화시켰다. 그 뒤 아버지를 여의고 생계가 막연해지자, 어머니를 시골에 사는 외삼촌에게 부탁하고 상경하여 한영이(韓榮伊), 권진이(權珍伊) 모녀의 집에서 살며 신앙생활을 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 7월 17일 한영이, 권진이 모녀와 함께 체포되었는데, 밀고자 김순성의 간교로 한영이만 포청에 갇히고 이경이는 권진이와 사관청(仕官廳)에 갇히게 되었다. 사관청에서 한 포졸이 권진이를 납치하려 하자 이경이는 권진이와 함께 탈출하였다. 그러나 곧 체포되었고 1840년 1월 31일 5명의 교우와 함께 당고개에서 27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83. 이광렬 요한 (공인, 1839.07.20, 서소문 밖)
‘경삼’으로도 불렸던 이광렬은 명문 양반인 광주 이씨의 후예로 태어났다. 22세쯤 형 이광헌과 함께 입교한 뒤 헌신적으로 교회 일에 참여하였으며, 정하상(丁夏祥), 조신철(趙信喆), 유진길(劉進吉) 등과 함께 북경을 왕래하며 나 베드로(모방) 신부, 정 야고보(샤스탕) 신부 등을 맞아들였다. 북경에서 세례성사를 받고 귀국한 뒤로는 육식을 끊고, 극기와 인내로 동정을 지키며 생활하였다. 1839년 4월 7일 체포되어 혹형과 고문을 받았으나 모두 이겨 내고, 7월 20일 서소문 밖 형장에서 45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95. 이광헌 아우구스티노 (회장, 1839.05.24, 서소문 밖)
이광헌은 1801년 신유박해 때 여러 순교자를 낸 광주(廣州) 이씨 집안에서 태어났다. 청년 시절에는 매우 방탕한 생활을 하였으나 30세경 입교한 뒤로는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여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거듭되는 박해로 가산을 전부 잃고 순교할 때까지 10여 년을 궁핍하게 살면서도 회장직에 충실하고 또 냉담자를 권면하고 병약자를 위로하며 외교인에게 전교하였다.
그리고 범 라우렌시오(앵베르) 주교와 신부들을 자신의 집에 맞아들여 교우들을 미사에 참여하게 하고 강론을 듣게 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 초 어떤 예비신자가, 체포된 자기의 아내를 석방시키는 조건으로 이광헌을 포함한 53명의 교우 명단을 포졸에게 건네주어 이광헌은 4월 7일 전 가족과 함께 체포되어 포청으로 끌려갔다.
포청에서 형문(刑問)을 마친 후 4월 18일 형조로 이송된 그는 배교하면 가족들과 함께 석방시켜 주겠다는 형관의 유혹을 뿌리치고 혹독한 형벌과 고문을 받아 온 몸이 피범벅이 되었으나 끝까지 신앙을 지켜 냈다. 형조에서 혹형과 고문을 이겨 낸 뒤 5월 24일 남명혁(南明赫) 등 8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아 53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85. 이매임 데레사 (부인, 1839.07.20, 서소문 밖)
20세에 과부가 되어 경기도 봉천(奉天)의 친정으로 돌아온 이매임은 한 동네에 사는 여교우의 전교로 천주교에 입교한 뒤 조카 이정희와 영희를 신앙의 길로 인도하였다. 이영희가 동정 생활을 결심하여 서울로 피신하자 함께 따라가 살며 신앙생활을 하다가, 1839년 4월 초 이매임은 남명혁과 이광헌의 어린 자녀들이 혹형을 이겨 내고 신앙을 지켰다는 이야기에 감동하여 순교를 결심하였다. 마침내 4월 11일 자수하여 7월 20일 서소문 밖 형장에서 순교하니, 그 때 나이 52세였다.
5. 이명서 베드로 (농부, 1866.12.13, 전주 숲정이)
‘재덕’으로도 불렸던 이명서는 충청도 출신으로, 박해를 피해 여러 곳을 유랑하다가 병인박해가 일어나기 몇 해 전부터 전주 성지동에 정착하였다. 1866년 12월 5일 포졸들이 성지동을 습격하자 이명서는 조화서의 피신 권유를 뿌리치고 병든 몸으로 체포되어 전주 감영으로 끌려갔다.
관장은 병자인 이명서를 배교시키기 쉬울 것으로 생각하여 가장 먼저 신문하고 혹형과 고문으로 강요하였지만, 그는 배교를 거부하고 함께 체포된 교우들과 열심히 기도하며 순교를 준비하였다. 12월 13일 5명의 교우와 함께 숲정이에서 46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35. 이문우 요한 (복사, 1840.02.01, 당고개)
‘경천’으로도 불렸던 이문우는 경기도 이천(利川)의 양반 교우 집안에서 태어났는데, 5세 부모를 여의고 서울의 오 바르바라라는 여교우에게 입양되어 성장하였다. 독신으로 살아가고자 하였으나 양모의 뜻에 순종하여 혼인하였고, 몇 년 뒤 아내와 두 자녀가 세상을 떠나자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 범 라우렌시오(앵베르) 주교에게 회장으로 임명되어 전교에 힘쓰고 범 주교를 도와 지방을 순회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로 많은 교우들이 체포되자 사방에서 희사를 모아 옥에 갇힌 교우들을 돕고 박해 상황을 주교와 신부들에게 보고하던 중 11월 11일에 체포되었다. 이때에 “주님께서 특별한 은총으로 나를 부르시니 어찌 그분의 부르심에 대답하지 않을 수 있는가?" 하며 오히려 당황하는 포졸들을 재촉하여 포청으로 갔다. 포청과 형조에서 모진 고문을 참아 낸 끝에 1840년 2월 1일 당고개에서 2명의 교우와 함께 31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97. 이소사 아가타 (과부, 1839.05.24, 서소문 밖)
이소사는 경기도 이천 출신으로 17세 때 결혼하였으나 남편을 여의고 친정으로 돌아와 살면서 어머니, 동생 이호영과 함께 입교하였다. 아버지가 대세를 받고 사망하자 동생을 따라 서울로 이사하였는데, 1835년 2월(음력 정월) 한강변 무쇠막에서 동생 이호영 베드로와 함께 체포되었다.
포청에서 여인으로는 차마 견디기 힘든 형벌과 고문을 참아 냈고 형조로 이송되어 동생과 함께 사형 선고를 받았다. 그러나 사형 집행이 연기되어 옥살이를 더 해야 했다. 고통스러운 옥중 생활 속에서도 동생과 함께 한날한시에 순교하자고 위로하고 격려하며 인내와 극기로써 생활하였다. 동생을 먼저 순교의 영광을 입게 하고 자신은 동생이 옥사한 지 7개월 후인 1839년 5월 24일 서소문 밖 형장에서 8명의 교우와 함께 참수형을 받고 56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75. 이연희 마리아 (부인, 1839.09.03, 서소문 밖)
이연희는 남명혁(南明赫)의 부인으로 성품이 강직하고 사리에 밝았다. 회장인 남편을 도와 공소(公所)를 세워 주교와 신부를 맞아들이고 또 교우들을 가르쳐 성사를 준비하며 언제나 모범적인 신앙생활을 하였다. 기해박해 초인 1839년 4월 7일 가족과 함께 체포되었는데, 포청에서 열두 살 된 어린 아들이 고문당하는 모습을 지켜보며 “이는 주님의 영광입니다." 하며 모정을 억누르고 자신도 혹형과 고문을 감수하였다. 형조로 이송되어 다시 3차의 형문을 받았으나 역시 굴하지 않았다. 9월 3일 서소문 밖 형장에서 다섯 명의 교우와 함께 참수형을 받아 36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48. 이영덕 막달레나 (동정녀, 1839.12.29, 서소문 밖)
동정 순교자인 이영덕은 외교인 양반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 외할머니의 권면으로 신앙을 갖게 되었다. 혼기에 이르러 아버지가 외교인과 혼인할 것을 강요하자 동정을 지키기로 결심하고는 꾀병을 앓기도 하고, 손가락을 잘라 혈서를 써 보이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완고한 아버지의 고집을 꺾을 수 없어 범 라우렌시오 주교에게 가출할 수 있도록 청원하였다. 그러나 주교가 허락하지 않으므로 어머니, 동생과 함께 집을 나와 교우들의 집에서 숨어 살았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주교는 처음에는 집으로 돌아가라고 명령하였으나, 조선 풍습에 가출했던 부녀자가 집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절대 용서받을 수 없음을 알고는 세 모녀가 살 수 있도록 집 한 채를 마련해 주었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순교를 각오하고, 주교가 체포되면 자수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자수할 틈도 없이 6월 어느 날 집에 있던 사람들과 함께 포졸들에게 체포되어, 옥살이 끝에 12월 29일 6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28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82. 이영희 막달레나 (동정, 1839.07.20, 서소문 밖)
동정 순교자 이영희는 경기도 봉천(奉天)에서 태어났다. 과부가 되어 친정에 돌아온 고모 이매임의 권면으로 어머니 허계임, 언니 이정희와 함께 어린 나이에 입교하였다. 성장하면서 동정을 지킬 것을 결심하여 혼기에 이르자 혼담을 피해 호랑이에게 물려간 것처럼 꾸미고 상경하여, 이매임과 함께 살며 신앙생활을 하였다. 1839년 김성임, 김 루치아, 어머니, 언니와 함께 자수한 뒤, 포청과 형조에서 일곱 번 형문(刑問)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아 7월 20일 서소문 밖 형장에서 31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1. 이윤일 요한 (회장, 1867.01.21, 관덕정)
‘제헌’으로도 불렸던 이윤일은 충청도 홍주(洪州) 출신의 태중 교우로, 경상도 문경의 여호목골에 살며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1866년 병인박해의 여파가 경상도에 이르자 그 해 11월 가족, 마을 교우 30여 명과 함께 체포되었다.
문경 관아에서 사흘 동안 혹형과 고문을 받은 뒤 배교하지 않은 교우들과 함께 상주로 이송되었고, 상주에서 한 달에 세 번씩 석 달 동안 혹형과 고문을 받고 나서 대구 감영으로 이송되었다. 그는 대구 감영에서 사형 선고를 받고 여유롭고 기쁜 마음으로 기도하며 지내다가, 1867년 1월 21일 대구 남문 밖 관덕정에서 참수형을 받아 45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38. 이인덕 마리아 (동정녀, 1840.01.31, 당고개)
동정 순교자인 이인덕은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그 해 6월 어머니 조 바르바라, 언니 이영덕(李榮德)과 함께 체포되었다. 이듬해 1월 31일 당고개에서 5명의 교우와 함께 참수되어 순교하였는데, 그 때 그의 나이는 22세였다.
76. 이정희 바르바라 (과부, 1839.09.03, 서소문 밖)
경기도 봉천(奉天)에서 태어난 이정희는 과부가 되어 돌아온 고모 이매임(李梅任)의 권면으로 어려서 어머니 허계임(許季任), 동생 영희(英喜)와 함께 입교하였다. 그 뒤 열심한 신앙생활을 하며 동정으로 살아갈 것을 결심하였다.
혼기에 이르러 아버지가 외교인 청년과 결혼시키려 하자 병을 핑계 삼아 3년을 버틴 뒤 교우 청년과 결혼하였다. 그러나 결혼한 지 2년 만에 남편을 잃고 잠시 친정에 있다가 신앙생활을 위하여 집을 떠나 서울에 있는 고모 이매임의 집에 와서 살았다.
1839년 기해박해 시초에 남명혁과 이광헌의 어린 자녀들이 혹형과 고문에도 굴하지 않고 신앙을 지켰다는 이야기를 전해 듣고 감동하여 당시 이매임의 집에 머물던 김성임(金成任), 김 루치아 그리고 어머니, 동생, 고모 등과 함께 순교를 결심하고 4월 11일 남명혁의 집을 지키고 있던 포졸에게 묵주를 내보이며 천주교인임을 밝혔다. 9월 3일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아 다섯 명의 교우와 함께 순교하였다. 그 때 나이는 41세였다.
101. 이호영 베드로 (회장, 1838.11.25, 형조전옥)
이호영은 경기도 이천(利川)에서 태어났으며, 신유박해 후 어머니와 과부가 된 누나 이소사 아가타(李召史)와 함께 입교하였다. 아버지가 대세를 받고 세상을 떠나자 서울로 이사하여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던 중, 중국인 신부 유방제(劉方濟)에게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1835년 2월(음력 정월) 한강변 무쇠막에서 누나와 함께 체포되어 포청과 형조에서 매우 혹독한 고문을 당하였으나 한마디 비명도 지르지 않고 참아 내어 결국 형조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 이 때 결안(結案)의 犢聆僅价壞(邪學罪人)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천주교는 사학이 아니라 정도(正道)이며 거룩하고 참된 도(道)이기에 수결(手決:서명)할 수 없다고 버티자 포졸들이 강제로 수결시켰다.
그러나 사형 집행이 연기되어 4년 동안 옥에 갇혀 있으면서 누나 이소사 아가타와 함께 한날한시에 순교하자고 서로 위로하고 격려하다가 1838년 11월 25일(음력 10월 8일) 긴 옥살이에서 얻은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나이 36세였다.
28. 임치백 요셉 (사공, 1846.09.20, 옥사)
‘군집’(君執)으로도 불리던 임치백은 한강변의 한 부유한 외교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1830년에 천주교를 알았으나 입교하지는 않았고, 천주교와 천주교인을 호의적으로 대하기만 하였다. 1846년 5월 아들 임성룡이 김대건 신부와 함께 체포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아들이 갇혀 있는 옹진으로 가서 천주교인이라 속이고 자수하였다. 며칠 뒤 서울로 이송되어 포청에서 김대건 신부를 만나 교리를 배우고 곧 세례를 받아 순교를 결심하였다. 마침내 9월 20일 정오부터 해가 질 때까지 매를 맞고, 6명의 교우와 함께 43세의 나이로 교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103위 성인 : [자]
90. 장성집 요셉 (환부,1839.05.26, 포청옥)
서울에서 태어나 한강변 서강(西江)에서 살았던 장성집은 30세경에 교리를 배우고 예비신자로 열심히 생활하였다. 그러나 점차 교리에 회의를 품어 신앙생활을 중지하고 세속 향락과 재산 모으는 일에 몰두하였다.
교우들의 권면과 가르침으로 회개한 뒤로는 자신의 죄를 보속하고 세속의 유혹을 피하기 위하여 방에 틀어박혀 추위와 굶주림을 무릅쓰고 기도와 성서 연구에만 전념하였다. 이러한 태도에 집안 어른들이 “예전처럼 자유롭게 드나들며 생활하는 것이 너의 신앙생활에 무슨 방해가 되느냐?" 하고 만류하자 장성집은 “제가 전에 지은 죄는 모두 욕심에서 나온 것입니다. 다시 그런 죄를 짓는 것보다는 추위와 굶주림으로 죽는 편이 더 낫습니다." 하며 자신의 뜻이 변할 수 없음을 밝혔고, 마침내 1838년 4월 세례와 견진 성사를 받았다.
굳은 결심으로 신앙에 귀의한 장성집은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순교할 목적으로 자수를 결심하였다가 대부의 만류로 자수하지 않았지만 며칠 뒤인 4월 6일 체포되었다. 중병이 들어 포졸들이 가마에 태우려 하였으나 장성집은 포청까지 걸어서 갔다. 포청에서도 신문하는 형관에게 맑은 정신으로 교리를 자세히 설명하고 혹형과 고문을 참아 냈다. 그 뒤 장성집은 5월 26일 마지막으로 치도곤 25대를 맞고 옥사함으로써 순교하였다. 그 때 그의 나이 54세였다.
11. 장주기 요셉 (회장, 1866.03.30, 갈매못)
‘낙소’라고도 불렸던 장주기는 경기도 수원(水原) 느지지(현 경기도 화성군 양감면 요당리)에서 태어나 1826년에 세례를 받았다. 박해와 친척들의 방해를 피해 충청도 배론으로 이사하였고, 회장이 되어 모범적인 신앙 생활을 하였다. 1855년 배론에 신학교가 설립될 때에는 자신의 집을 임시 신학교로 내어 주고, 자신은 신학교에 딸린 땅에서 농사일을 하며 잔일을 도맡아 하였다.
1866년 3월 1일 배론 신학교에서 신 신부와 박 신부가 체포되자 장주기는 제천 부근의 노럴골로 피신하였지만, 다른 교우들이 피해를 입을까 염려하여 자수한 뒤 서울로 압송되었다. 서울의 포청에서 고문을 견뎌 내며 끝까지 신앙을 지켜, 때마침 홍주 거더리에서 끌려 온 안 주교, 민 신부, 오 신부, 황석두 등과 함께 3월 30일 충남 보령군 갈매못에서 군문효수형을 받고 64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65. 전경협 아가타 (궁녀, 1839.09.26, 서소문 밖)
동정 순교자인 전경협은 서울의 외교인 가정에서 태어났는데,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대궐로 들어가 궁녀가 되었다. 그 뒤 평소 친교가 있던 궁녀 박희순(朴喜順)을 따라 입교하였으며, 박희순이 신앙 생활을 위하여 궁을 나오게 되자 그도 궁을 떠나 교우들의 집에 머물면서 신앙생활에 전념하였다.
1839년 4월 15일, 포졸들의 습격으로 숨어 있던 박희순, 박 큰아기 등과 함께 체포된 전경협은 궁녀였다는 이유로 포청과 형조에서 더욱 가혹한 형벌과 고문을 당하였으나 참아 냈다. 이 때 조그만 관직을 잃을까 두려워한 오빠는 관리를 매수하여 누이를 독살시키려 하였으나 전경협은 독이 든 음식을 먹지 않았다. 5개월의 옥살이를 한 뒤, 9월 26일 8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아 53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18. 전장운 요한 (상인, 1866.03.09, 서소문 밖)
‘승연’으로도 불렸던 전장운은 서울의 교우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어려운 생활을 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 때 체포되어 한 달 동안 옥살이를 하다가 혹형과 고문을 참지 못하여 배교하고 석방되었다. 그 뒤 어머니의 권면으로 배교한 것을 뉘우쳤지만, 사제가 없어 고해성사를 받을 수 없음을 한탄하였다.
1845년 김대건 신부가 입국하자 고해성사를 받고 열심한 신앙생활로 교우들에게 모범을 보였고 혼인하여 3남매를 두었다. 1866년 초 장 주교의 명으로 교회 서적 출판에 참여하여 최형, 임치화를 도와 판각(板刻)을 마련하는 일을 맡았으나, 얼마 뒤 병인박해가 일어나 주교와 신부들이 체포되고 교회 서적들이 적발되는 바람에 전장운도 3월 1일에 체포되었다. 포청과 의금부에서 가혹한 형벌을 받은 뒤 3월 6일에 형조로 이송되었고, 3월 9일에 사형을 선고받아 그 날로 최형과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56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100. 정국보 프로타시오 (공인, 1839.05.20, 포청옥)
정국보는 원래 개성(開城)의 유명한 양반 가문에서 출생하였으나 벼슬을 하던 조부가 죄를 짓자 부친과 함께 상민으로 신분을 감추고 상경하여 선공감(線工監)에서 일하며 미천하게 살았다.
30세쯤 천주교를 알게 되자 곧 입교하여 유방제 신부에게 세례성사를 받았고, 그 후로는 홍살문 근처에서 성사를 받으러 상경하는 시골 교우들을 돌보았는데 가난과 병에 시달리면서도 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들에게 헌신적으로 봉사하고 인내와 극기의 신앙 자세를 잃지 않아 모든 교우의 귀감이 되었다. 기해박해가 일어난 1839년 4월(음력 3월)에 밀고 되어 아내와 함께 체포되었는데 포청의 형벌과 고문은 참아 냈으나 형조에서는 참아 내지 못하고 배교하였다.
그러나 석방되자마자 배교한 것을 뉘우치고 형조에 들어가 배교를 취소하며 다시 체포해 달라고 간청하였고, 그것이 거절당하자 5월 12일(음력 3월 그믐) 고문의 여독과 염병으로 들것에 실린 채 형조판서가 다니는 길목을 지키고 있다가 형조판서에게 직접 자신을 체포해 줄 것을 요구, 그 날로 체포되어 5월 20일(음력 4월 7일) 포청에서 곤장 25대를 맞고 이튿날 새벽에 순교하였다. 그의 나이 41세였다.
8. 정문호 바르톨로메오 (원님, 1866.12.13, 전주 숲정이)
‘계식’으로도 불렸던 정문호는 충청도 임천(林川) 출신으로, 고향에서 교리를 배우고 입교하여 독실한 신앙생활을 하였다. 박해를 피해 여러 지역을 유랑하다가 병인박해 무렵에는 전주 지방의 교우촌인 대성동 신리에 정착하였는데, 품행이 단정하고 성품이 강직하여 교우들뿐 아니라 다른 이들에게도 평판이 좋았다.
1866년 12월 초 사람을 시켜 전주 감영의 동태를 살피게 하였지만, 미처 소식이 돌아오기도 전에 손선지, 한재권 등과 함께 체포된 뒤 12월 13일에 5명의 교우와 함께 전주 서문 밖 숲정이에서 참수되어 66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그는 형장에 끌려가면서도 “오늘 우리는 천국으로 과거 보러 가는 날이다. 오늘은 정말 기뻐해야 할 날이다." 하며 진심으로 순교를 기뻐하였다고 한다.
3. 정원지 베드로 (농부, 1866.12.13, 전주 숲정이)
‘원조’로도 불리는 정원지는 충청도 진잠(鎭岑) 교우 집안에서 태어나 전주 부근의 수널마루에서 살다가 금구 지역으로 이사하였고, 1866년에는 전주 성지동 조화서의 집에 셋방을 얻어 노모, 형, 아내와 함께 살고 있었다. 조화서가 체포되던 1866년 12월 5일 정원지는 산에 피신해 있었는데, 동정을 살피러 내려온 사이 포졸들에게 체포되어 전주 감영 전면옥에 갇혔다.
지극한 효성으로 노모를 생각하며 여러 번 눈물을 흘리기도 했지만, 함께 체포된 성지동 교우들의 위로와 권면에 힘입어 끝까지 혹형과 고문을 참아 냈다. 마침내 12월 13일 가족에게 “우리는 천국에서 서로 만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제 죽음을 너무 슬퍼하지 마십시오."라는 편지를 남기고, 전주 서문 밖 숲정이에서 5명의 교우와 함께 참수형을 받고 21세의 젊은 나이로 순교하였다.
16. 정의배 마르코 (회장, 1866.03.11, 새남터)
서울 창동(倉洞)에서 태어난 정의배는 유학(儒學)을 공부하다가 1839년 기해박해 때 서양 선교사의 순교 장면을 목격하고 감동하여 곧 교리를 배우고 입교하였다. 1845년 제3대 조선교구장 고 주교가 입국한 뒤 서울 지역의 회장이 되어 20여 년 동안 헌신적으로 일하였고, 1854년에는 성영회를 맡아 고아들을 돌보기도 하였다. 1866년 병인박해가 일어나자 2월 25일에 체포되었고, 3월 11일 신 신부, 박 신부, 그리고 우세영(禹世英)과 함께 새남터에서 군문효수형을 받아 72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50. 정정혜 엘리사벳 (동정녀, 1839.12.29, 서소문 밖)
동정 순교자인 정정혜는 정약종(丁若鍾)의 딸로, 네 살 때 세례성사를 받았다. 1801년 신유박해로 전가족이 함께 체포되어, 아버지와 이복 오빠 정철상(丁哲祥)은 순교하였으나 정정혜는 어머니 유 체칠리아, 오빠 정하상(丁夏祥)과 함께 석방되었다. 그 뒤 마재의 삼촌 정약용(丁若鏞)의 집에서 살면서 길쌈과 바느질로 가족들의 생계를 꾸려 나갔다. 친척들의 구박과 냉대를 아름다운 덕행과 인내로 극복하고, 박대하던 몇몇 친척들까지 입교시켰다.
1839년 7월 11일 기해박해 때 정정혜는 서울에서 어머니, 오빠와 함께 체포되었다. 포청에서 7회의 신문을 받으면서 320대의 곤장을 맞았고, 형조에서도 6회의 신문과 함께 혹독한 고문을 받았으나 끝까지 신앙을 지킨 뒤에 12월 29일 6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으로 순교하였다. 그 때 나이 43세였다.
25. 정철염 가타리나 (부인, 1846.09.20, 옥사)
정철염은 경기도 수원(水原)의 교우 가정에서 태어나 포천의 어느 양반집 하녀로 들어갔는데, 주인집 가족 가운데 한 교우에게 교리를 배워 입교하였다. 20세 되던 해 동짓날 미신 행위에 참여하라는 주인의 지시를 거부하였다가 혹독한 벌을 받았고, 이듬해 봄에 그런 일이 다시 일어나자 서울로 피신하여 교우들의 집에 몸 붙여 살았다. 1845년에는 김대건 신부 집에 하녀로 들어갔고, 이듬해 김 신부가 체포되자 현석문 회장이 마련한 집에 숨어 있다가 7월 11일에 체포되었다. 9월 20일에 6명의 교우와 함께 30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102. 정하상 바오로 (회장, 신학생, 1839.09.22, 서소문 밖)
정하상은 정약종(丁若鐘)의 둘째 아들로, 외국 선교사의 영입을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상재상서」(上宰相書)를 지어 천주교 교리를 당당하게 변호하였던 주님의 참된 용사이다. 그는 범 라우렌시오(앵베르) 주교에게 신학생으로 뽑혀 라틴어와 신학 공부까지 하였으나 성품을 받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그는 7세 때인 1801년 신유박해로 아버지가 순교하자 숙부인 정약용의 집에 기거하다가 1813년 홀로 상경하여 교리를 배우고 교회 일을 도우며 성직자 영입 운동을 전개하여 조신철(趙信喆), 유진길(劉進吉) 등과 함께 9차례나 북경을 왕래하여 나 베드로(모방) 신부 등 네 분의 외국 신부들을 영입하는 데 성공하였다.
1839년 7월 모친 유소사 체칠리아(柳召史), 동생 정정혜 엘리사벳(丁情惠)과 함께 체포된 정하상은 곧 그가 쓴 「상재상서」를 대신에게 올렸는데 이 글은 한국 최초의 호교문이며, 그 뒤 홍콩에서 책으로 발간되어 중국에서도 널리 읽혔다. 9월 22일 그는 유진길과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되어 순교하였다. 그 때 그의 나이는 45세였다.
44. 정화경 안드레아 (회장, 1840.01.23, 옥사)
충청도 정산(定山)의 부유한 교우 가정에서 태어난 정화경은 어려서부터 열심한 신앙생활을 하였고, 장성해서는 더욱 자유로운 신앙생활을 하고자 고향을 떠나 수원 근처로 이사해 살았다. 이곳에서 회장을 맡아 보며 자기 집을 공소로 내놓았고 또 서울을 왕래하며 힘 자라는 데까지 교회 일을 도왔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정화경은 매일같이 교우들을 찾아 위로하고 격려하며 순교의 마음을 북돋아 주었고, 박해를 피해 내려온 범 라우렌시오 주교에게 은신처를 마련해 주었다. 그러나 그해 8월 주교를 찾고 있던 밀고자 김순성(金順性, 일명 여상)에게 속아 주교의 은신처를 알려 주었다.
서양 신부를 잡으려던 김순성 일당은 정화경을 이용하여 신부들을 체포하려고 하였으나 그들의 계략을 눈치 챈 정화경은 도망하여 신부를 찾아가 자신의 어리석음을 뉘우치고 고해성사를 보았다. 9월에 체포된 정화경은 혹형과 고문을 이겨 내고 이듬해 1월 23일 33세의 나이로 포청에서 교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57. 조 막달레나 (동정녀, 1839.09.??, 옥사)
어려서 어머니 이 가타리나에게 교리를 배워 입교한 조 막달레나는 외교인 친척들의 반대로 7, 8세경부터 교우 집안인 외가에서 살며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였다. 18세 때 혼담이 오가자 동정을 지키기로 결심하고는 혼담을 피해 서울로 가서 5, 6년을 지냈다. 그 뒤 다시 고향으로 내려가 어머니를 모시고 살면서 외교인 아이들에게 교리를 가르치고 죽어 가는 아이들에게 대세를 주는 등 열심히 교회일을 도왔다.
그러던 중 1838년 말 박해를 피해 어머니와 두 동생과 함께 서울로 올라가 살다가 1839년 6월에 체포되었다. 포도청에서 한 차례의 신문과 주리를 당한 뒤 옥으로 끌려간 조 막달레나는 3개월의 옥살이 끝에 염병으로 옥사, 순교하였다. 그의 나이 33세였다.
64. 조신철 가롤로 (역관, 1839.09.26, 서소문 밖)
‘덕철’(德喆)로도 불리던 조신철은 강원도 회양(淮陽)의 상민 집안에서 태어났다. 5세 때 어머니를 여의고 또 아버지가 얼마 안 되는 재산을 탕진하자 출가하여 한때 스님이 되었으나 23세 때 동지사(冬至使)의 마부가 되었으며, 30세쯤에 유진길(劉進吉), 정하상(丁夏祥) 등과 알게 되어 입교하였다.
북경에서 세례, 견진, 고해, 성체성사를 받고 계속 동지사의 마부로 일하면서 북경 교회와 연락을 취하며 나 베드로(모방) 신부, 정 야고보(샤스탕) 신부, 범 라우렌시오(앵베르) 주교 등을 입국시키는 일을 도왔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조신철은 처가로 피신하였으나, 6월 어느 날 처가를 습격한 포졸들이 어린 젖먹이까지 잡아가는 것을 보고, 포청까지 따라가 자수하였다.
신문 중 그는 처가에 숨긴 성물과 성서 때문에 매우 혹독한 형벌을 받아야 했고, 형리들은 주교와 신부들의 은신처를 대라며 그에게 더욱 가혹한 형벌을 내렸다. 9월 26일, 45세의 나이로 8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되어 순교하였다.
2. 조윤호 요셉 (농부, 1866.12.23, 전주 숲정이)
아버지 조화서와 함께 순교한 조윤호는 충청도 신창에서 태중 교우로 태어났다. 1864년 아버지를 따라 전주 지역의 교우촌인 성지동으로 이사하여 교우 처녀인 이 루치아와 혼인하였다.
1866년 12월 5일 아버지 조화서, 정원지, 이명서 등과 함께 체포되어 전주 감영에서 심문과 형벌을 예닐곱 차례 받았지만 서로 위로하고 격려하며 끝까지 신앙을 지켰다. 아버지가 순교한 지 열흘 지난 12월 23일 전주 숲정이에서 곤장 16대를 맞은 뒤 19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고 순교하여, 할아버지 조 안드레아와 아버지 조화서 베드로에 이어 가문의 3대가 함께 순교하는 영광을 얻었다.
53. 조증이 바르바라 (부인, 1839.12.29, 서소문 밖)
조증이는 경기도 이천(利川)의 양반 교우 가정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였다. 16세 때 남이관(南履灌)과 혼인하였으나 1801년 신유박해로 아버지 조 프란치스코와 시부모가 순교하고 남편도 유배를 당하게 되자 친정으로 내려가 10여 년을 살았다. 그 뒤 서른 살쯤 다시 상경하여 정하상(丁夏祥)을 도우며 선교사 영입에 필요한 자금 마련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1832년 남편이 유배에서 풀려나자 남편과 함께 유방제(劉方濟) 신부를 돌보며 공소를 세우고, 교회와 교우들을 위하여 열심히 봉사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남편을 이천으로 피신시킨 뒤 자신은 체포되었다. 남이관을 잡으려는 형리들로부터 가혹한 형벌을 받았으나 조금도 굴하지 않았다. 12월 29일 6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고 순교하였으며, 그 때 나이 58세였다.
7. 조화서 베드로 (농부, 1866.12.13, 전주 숲정이)
경기도 수원(水原)에서 태어난 조화서는 1839년 기해 박해 때에 아버지 조 안드레아가 순교하자 충청도 신창으로 이사한 뒤 한 막달레나와 혼인하여 아들 윤호를 두었으며, 한때 최양업(崔良業) 신부의 복사 일을 맡았다. 1864년에 전주 지역의 교우촌인 성지동으로 이사하였고, 아내가 죽은 뒤 김 수산나와 재혼하였다.
1866년 병인박해가 일어나자 12월 5일 아들 윤호, 이명서, 정원지 등과 함께 체포되어 전주 감영 전면옥에 갇혔는데, 부자가 옥에서 순교를 다짐하며 서로 격려하였다. 아들과 함께 예닐곱 차례의 신문을 받은 조화서는 후손이 끊기는 것을 염려하는 척하며 배교를 권유하는 관장의 유혹을 뿌리치고, 12월 13일 5명의 교우와 함께 전주 서문 밖 숲정이에서 참수형을 받아 52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103위 성인 : [차]
73. 최경환 프란치스코 (회장, 1839.09.12, 옥사)
최경환은 충청도 홍주(洪州) 지방 다랫골에서 6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는데 그의 집안은 한국 교회의 창설 시대 때부터 천주교를 믿어 온 집안이었다. 어려서부터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였고, 성장해서는 신앙생활에 도움이 되는 곳을 찾아다니다가 가족들을 설득하여 서울로 이사하여 살았다.
그러나 외교인들의 탄압 때문에 서울을 떠나 강원도 금성(金城), 경기도 부천을 거쳐 과천(果川)의 수리산에 정착하여 교우촌을 건설하였다. 1836년 아들 최양업(崔良業)을 나(모방) 신부에게 보내어 마카오에서 신학 공부를 하게 했다.
1839년 초에 회장으로 임명되었고, 이어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순교자의 유해를 거두어 안장하고 교우들을 위로하고 격려하며 돌보던 중 7월 31일 서울에서 내려온 포졸들에게 동리 교우와 가족 등 40여 명과 함께 체포되었다. 수리산에서 서울의 포청까지 끌려간 최경환은 2개월 동안 하루걸러 형벌과 고문을 당하여 태장 340대, 곤장 110대를 맞았다. 9월 11일 최후로 곤장 25대를 맞고는 그 이튿날 옥사, 35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34. 최영이 바르바라 (부인, 1840.02.01, 당고개)
서울에서 태어난 최영이는 어려서 아버지 최창흡과 어머니 손소벽의 모범을 따라 입교한 뒤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다가 20세 때 조신철과 혼인하여 아들 하나를 두었다.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친정에 피신해 있다가 6월에 친정 식구들과 함께 체포되었는데, 어린 아들을 생각하는 모정으로 배교할까 두려워 아들을 친척에게 맡겼다.
남편이 중국에서 가져온 교회 서적과 성물 때문에 포청에서 주리 두 차례, 태장 260대의 혹형을 당하였지만 조금도 굴복하지 않았고, 형조에서도 세 차례의 형문을 이겨 냈다. 1840년 2월 1일 홍영주, 이문우와 함께 당고개에서 22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54. 최창흡 베드로 (회장, 1839.12.29, 서소문 밖)
서울의 중인 집안에서 태어난 최창흡은 어려서 교리를 배워 입교하였으나 1801년 신유박해 때 형 최창현(崔昌顯)이 순교한 뒤로는 외교인과 다름없는 냉담한 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서른 살쯤 교우인 손소벽(孫小碧)과 혼인한 뒤로는 다시 교리를 배우기 시작하였고, 1821년 전국에 콜레라가 퍼졌을 때 아내와 함께 대세를 받고 이때부터 열심한 신앙생활을 하게 되었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최창흡은 순교를 결심하였고, 6월 친정으로 피신해 온 딸 최영이(崔榮伊)의 가족과 함께 체포되었다. 사위 조신철(趙信喆)이 맡겨 둔 교회 서적과 성물 때문에 포청에서 혹형을 받았으나 잘 참아 냈다. 형조에서도 여러 차례의 고문을 이겨 내고 12월 29일 6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고 53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17. 최형 베드로 (회장, 1866.03.09, 서소문 밖)
일명 ‘치장’으로도 불리는 최형은 충청도 홍주(洪州)에서 태어나 14세 때 부모의 권면으로 입교하였는데, 그의 가족은 모두 열심한 신자였다. 1836년 마카오 유학길에 올랐던 신학생들 가운데 병사한 최방제(崔方濟)가 그의 동생이다. 큰누이는 평생 동정이었으며 형 최수(崔燧)는 병인박해 때에 절두산에서 참수되었다.
이렇게 독실한 교우 가정에서 자란 최형은 1836년 나 신부의 복사로 교회 일에 헌신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 때 체포되었다가 석방된 뒤 목수 일과 묵주 제작, 교회 서적 출판에 참여하였고, 장 주교가 입국한 뒤 교회 서적 출판의 책임자가 되어 큰 공로를 남겼다. 1866년 장 주교가 체포되면서 교회 서적들이 적발되자 전장운과 함께 체포되어 3월 9일 서소문 밖 형장에서 53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103위 성인 : [하]
94. 한아기 바르바라 (과부, 1839.05.24, 서소문 밖)
한아기는 어릴 때부터 어머니에게 교리를 배웠으나 성장하면서 세속의 일에 마음이 빠져 어머니의 모범과 권면을 무시하고 외교인과 혼인하였다. 그러나 우연히 친정에서 만난 김업이(金業伊)에게 교리를 다시 배우게 되었고, 30세에 남편과 세 자녀를 모두 여의고 친정으로 돌아와 신앙생활에 전념하였다.
그러던 중 1836년 10월 김아기, 김업이 등과 함께 천주교 서적을 숨긴 죄로 체포되었다. 포청과 형조에서 혹형과 고문을 당하면서도 형관에게 천주 십계를 강론하고 의연히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형 집행의 유예로 3년을 옥살이한 후 1839년 5월 24일 8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그 때 나이 48세였다.
52. 한영이 막달레나 (과부, 1839.12.29, 서소문 밖)
외교인 가정에서 태어난 한영이는 혼기에 이르러 권 진사(進士)라는 양반의 후처로 들어가 딸 권진이(權珍伊)를 두었고, 남편이 대세를 받고 죽으면서 천주교를 믿으라는 유언을 남기자 딸과 함께 입교하였다. 그 뒤 신앙생활을 하고자 딸과 함께 집을 나와 교우들 집에 몸 붙여 살다가 1839년 7월 17일 딸과 딸의 친구인 이경이(李瓊伊)와 함께 체포되었다. 12월 29일 6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으로 순교하였다. 그의 나이 56세였다.
30. 한이형 라우렌시오 (회장, 1846.09.20, 포청옥)충청도 덕산(德山)의 양반 집안에서 태어난 한이형은 14세 때 교리를 배워 입교하였다. 21세 때 혼인한 뒤 경기도 양지(陽智)의 은이 마을로 이사하였고, 정직하고 헌신적인 성격과 뛰어난 덕행, 모범적인 신앙생활을 인정받아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1846년 7월 말에 포졸들이 은이 마을을 습격하리라는 소문을 듣고 가족들을 피신시킨 뒤 혼자 집을 지키다가 체포되어 그 자리에서 포졸들에게 심하게 매를 맞고 서울로 압송되었다. 압송될 때 이미 상처투성이의 몸이어서 포졸들이 그를 말에 태워 가려 하였으나 거절하고, 십자가를 지고 골고타에 오르신 예수님을 본받고자 백 리가 넘는 길을 맨발로 끌려갔다. 포청에서도 심한 형벌을 이겨 내고, 9월 20일 마지막으로 곤장 70대를 맞은 뒤 6명의 교우와 함께 교수형을 받아 48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4. 한재권 요셉 (회장, 1866.12.13, 전주 숲정이)
한때 ‘원서’라고도 알려졌던 한재권은 충청도 진잠(鎭岑)의 교우 집안에서 태어나 부모를 본받아 독실한 신앙생활을 하였고 진잠 지역 회장이 되었다. 박해를 피해 전주 대성동으로 이사한 다음에는 직책 없이 교회 일을 하였다.
1866년 12월 5일 손선지, 정문호 등과 함께 체포되자 그의 아버지는 친구를 통해 아들이 석방되도록 교섭하는 한편 감옥을 찾아와 배교하라고 간청하였지만, 한재권은 끝내 아버지의 간청을 거절하고 12월 13일 숲정이에서 31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68. 허계임 막달레나 (부인, 1839.09.26, 서소문 밖)
경기도 용인(龍仁)에서 태어난 허계임은 시누이 이매임(李梅任)을 통하여 천주교를 알게 되어 이정희(李貞喜)와 영희(英喜) 두 딸과 함께 입교하였다. 1839년 3월, 남명혁(南明赫)과 이광헌(李光獻)의 어린 자녀들이 혹형과 고문에도 굴하지 않고 신앙을 지켰다는 이야기를 전해 듣고 시누이와 두 딸 그리고 김성임(金成任), 김 루치아 등과 순교를 결심하고 4월 11일 남명혁의 집을 지키던 포졸에게 묵주를 내보이며 자수하였다. 허계임은 포청과 형조에서 배교를 강요하는 여러 차례의 형문을 당하였으나 다 이겨 내고, 9월 26일 67세의 나이로 8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되어 순교하였다.
43. 허협 바오로 (군인, 1840.01.30, 옥사)
독실한 교우 가정에서 태어난 허협은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그 해 8월에 체포되어 포청에서 매우 혹독한 형벌과 고문을 받았다. 처음엔 잘 참다가 형벌을 이겨 내지 못하고 배교의 뜻을 밝혔으나 곧바로 배교를 취소하였다. 형리가 배교 취소의 표시로 인분 한 사발을 마시라고 하자 아무 거리낌 없이 인분 한 사발을 다 마심으로써 자신의 배교 취소를 증명해 보였다. 그 뒤 허협은 여러 달 동안 포청옥에서 치도곤 130대 이상을 맞으며 형벌과 고문을 받았으나 끝까지 신앙을 지켜 내고 1840년 1월 30일 포청에서 옥사하여 순교하였다. 그의 나이 45세였다.
51. 현경련 베네딕타 (여회장, 1839.12.29, 서소문 밖)
서울의 역관(譯官) 집안에서 태어난 현경련은 어려서 세례성사를 받았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아버지 현계흠(玄啓欽)이 황사영(黃嗣永)의 백서(帛書) 사건과 관련되어 순교한 뒤 어머니를 따라 자주 이사 다니며 살았다. 17세 때 최창현(崔昌顯)의 아들과 혼인하였으나 3년 만에 남편을 여의고는 친정으로 돌아와 살았다. 규칙적인 독서와 기도 생활을 하였고, 여회장직을 맡아 보며 교회 일에 적극 헌신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현경련은 잠시 피신했었으나 6월에 체포되었다. 포청에서 주교의 피신처를 알아 내려는 형리들로부터 동생 현석문(玄錫文)과 함께 혹형을 당하였으나 모두 참아 냈다. 옥중에서 동생에게 신망애(信望愛) 삼덕에 관한 편지를 써 보내 교우들을 감동시켰다. 12월 29일 현경련은 6명의 교우와 함께 46세의 나이로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32. 현석문 가롤로 (회장, 1846.09.19, 새남터)
현석문은 서울 중인 계급의 독실한 교우 집안에서 태어났는데 가족이 모두 순교자가 되었다. 1839년에 회장으로 임명된 현석문은 박해가 끝난 뒤 순교자들의 기록을 정리한 「기해일기」를 펴내었고, 포졸들에게 쫓기면서도 이름을 바꾸어 가며 각지에 흩어진 교우들을 찾아가 격려하였다.
한편 중국 교회에 밀사를 보내고, 1845년에는 김대건 신부와 함께 상해(上海)에 다녀오기도 하였다. 1846년 김대건 신부가 체포된 뒤 김 신부의 집에 남아 있던 여교우들을 새로 마련한 집에 피신시키고 자신도 그 집에 숨어 있다가 7월 11일에 교우들과 함께 체포되었다. 체포된 뒤에도 함께 갇힌 교우들을 위로하고 권면하며 지내다가 마침내 9월 19일 50세의 나이로 새남터에서 군문효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61. 홍금주 페르페투아 (과부, 1839.09.26, 서소문 밖)
서울 변두리에서 태어난 홍금주는 10세 때 입교하였고, 15세 때 외교인과 혼인한 뒤 냉담하였다. 그러나 남편을 잃은 뒤 교우들의 권면으로 신앙을 다시 찾고 집을 나와 교우들의 집에 살면서 가장 천한 일을 맡아 하고 또 병약자들을 돌보았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났을 때 홍금주는 최 필립보라는 교우의 집에 있다가 그의 제수와 함께 체포되었다. 포청과 형조에서 고문을 받은 뒤 사형을 선고받았다. 옥살이 중 서너 차례 염병에 걸려 고생하였으나 조금이라도 낫기만 하면 다른 교우들의 상처를 닦아 주는 등 많은 도움을 주어 갇힌 교우들은 홍금주를 친누이처럼 생각하였다. 이렇게 옥중에서도 사랑과 봉사를 실천하던 홍금주는 옥살이 6개월 만인 9월 26일 36세의 나이로 8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41. 홍병주 베드로 (회장, 1840.01.31, 당고개)
서울 명문 양반가에서 태어난 홍병주는 1801년 신유박해로 할아버지 홍낙민(洪樂敏)이 순교하자 아버지를 따라 충청도 서산으로 이사하여 그 곳에서 자랐다. 조상부터 지켜 온 신앙을 물려받아 독실한 신앙생활을 하였으며, 동생 홍영주(洪永周)와 함께 충청도 내포 지방의 회장이 되었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9월말 동생과 함께 체포되어 포청에서 몇 차례의 고문을 당한 뒤 형조로 이송되었는데, 친척인 형조판서는 인정상 직접 신문하지 않고 하관(下官)에게 모든 수단을 다 써서 홍병주, 영주 형제를 배교시키라고 명령하였다. 이에 홍병주는 가장 지독한 형벌을 받아야 했다. 그러나 끝까지 버티어 냈고 결국 1840년 1월 31일 5명의 교우와 함께 당고개에서 참수형을 받아 42세의 나이로 동생보다 하루 먼저 순교하였다.
36. 홍영주 바오로 (회장, 1840.02.01, 당고개)
명문 양반의 후예로 서울에서 태어난 홍영주는 충청도 내포(內浦) 지방의 여사울에서 자랐다. 대대로 이어온 신앙을 이어받아 독실한 신앙생활을 하였고, 형 홍병주(洪秉周)와 함께 충청도 내포 지방의 회장으로 교회 일에 헌신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고 서양 신부들이 체포된 뒤 9월 말에 이르러 홍영주는 형과 함께 서양 신부들에게 은신처를 제공한 죄로 체포되었다. 1840년 2월 1일, 하루 먼저 순교한 형의 뒤를 따라 2명의 교우와 함께 당고개에서 39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10. 황석두 루가 (회장, 1866.03.30, 갈매못)
‘재건’이라고도 불렸던 황석두는 충청도 연풍(延豊)의 양반 가문에서 자라나 부친의 뜻에 따라 과거 시험을 치르러 상경하다가, 한 주막에서 천주교인과 사귀게 되어 입교하였다. 부친의 반대를 무릅쓰고 3년 동안 벙어리 행세를 하며 교리서를 탐독하였고, 이에 감동한 부친과 가족들도 입교하게 되었다.
그는 덕행이 뛰어나고 교리 지식이 풍부하여 주교와 신부들의 복사로,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고 주교에게 금욕과 절제를 위하여 아내와 별거할 것을 허락받고 독신 생활을 하였으며, 안 주교를 도와 교리서 번역과 교회 서적 출판에도 참여하였다. 1866년 3월에 먼저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되던 안 주교를 몇십 리나 따라간 황석두는 결국 함께 체포되어, 3월 30일 충남 보령군 갈매못에서 54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시성(諡聖, Canonization)
목차
1. 개요
2. 역사
3. 과정
4. 한국의 시성
5. 창작물
1. 개요
가톨릭에서 복자를 성인의 명단에 올리고 전세계 교회로 하여금 그를 공경할 수 있도록 하는 선언을 말한다. 여기서 시(諡)란 죽은 사람에게 올리는 어떤 호칭을 뜻한다. 따라서 '시성(諡聖)'이란 '죽은 사람에게 성인(聖人)이란 칭호를 올리는 것'을 말한다.
2. 역사
교회역사 초기에 신자들의 공경을 받았던 인물은 주로 순교자로서 이들은 자신의 고통과 죽음을 통해 영생(永生)을 얻고 예수 그리스도와 완전히 하나되었으며 그리스도와 지상의 교회를 중계한다고 생각하였다.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박해가 종결되면서 신자들의 이러한 신앙은 신앙의 증거자(confessores fidei), 교리의 탁월한 수호자(교회학자), 사도적 열성과 자선 및 복음 정신이 뛰어난 자, 참회와 엄격성으로 신자로서 모범적 삶을 영위한 자 등으로 확대되었다.
6~10세기에 사후 성인으로 공경되는 사람이 크게 늘어나자 처음에는 지역 주교가, 후에는 교황이 최고의 권위를 가지고 이를 인가하는 관습이 생겼다. 기록에 남은 바로 최초로 교황이 인가한 성인은 성 우달리코(St. Udalicus)였는데(973년), 이후로 차츰 시성 관련 관습과 절차가 체계화되고 법률적으로 정비되었다.
그레고리오 9세는 1234년에 합법적 조사 방식을 책정하였고, 식스토 5세는 1588년에 시성을 위한 교황청 업무를 유기적으로 분할하였으며 이를 전담할 예부성성(禮部聖省)을 설립하였다. 우르바노 8세는 1642년에 시성에 관한 모든 법령과 해석을 실은 발표문을 냈었고 18세기에 베네딕토 14세는 예부성성의 경험들을 집대성하였다. 현재는 교황청 시성성에서 이를 담당한다.
3. 과정
시성은 이미 시복되어진 복자(福者)에 한해서 행한다. 시복에 이어 그 복자의 전구로 말미암아 발생했다고 판단한 기적사례가 2가지 이상 보고되면 심사는 재개되고 시복과정이 시성을 위해 반복된다. 시성이 결정되면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엄숙한 시성식이 열리고 교황은 시성선언을 통해 그 대상자가 영원한 광명 속에 있으며 세계 교회는 그에게 성인에게 합당한 공적 공경을 바칠 것을 명한다.
성인은 복자와는 달리 전세계 가톨릭 교회에서 공경받고, 또 공경받을 수 있다. 그에게 바치는 공적 공경이란 미사 경본과 성무일도에 기도문이 삽입되고 전례력에 축일이 도입되며 성체 행렬에서 그 유해를 공경하는 일 등을 말한다. 성인은 하느님께 지상의 신자들을 위해 전구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완전성의 모범을 보이기 위해서 시성된다. 또한 시성은 교황만이 할 수 있는 무류성을 가진 행위다.
한국에서는 1984년 한국 천주교 창설 200주년을 기념하여 사목방문차 내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한국 순교복자 103위가 시성되었는데, 이 시성수속에서 기적 심사가 면제되었고 아비뇽 교황 시대를 제외하면 역사상 처음으로 바티칸이 아닌 곳에서 시성식이 거행되었다.
한편, 동방 정교회와 오리엔트 정교회 등도 시성하는 절차 등이 서방 가톨릭교회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다만 서방교회는 교황의 주관으로 이루어지는 데에 반해, 동방 교회들은 총대주교가 중심이 되는 지역별로 독자적으로 이루어지는 점에 차이가 있다.
4. 한국의 시성
한국에는 한 번의 축일로 기념되는 103위의 성인과 역시 한 번의 축일로 기념되는 124위의 복자가 있다.
복자 124위에 대해선 시성까지 다시 추진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한국 천주교 차원에서 진행하는 여러 시복 청원 절차와 공론화 작업 중인 시복건이 있다.
김대건 안드레아, 정하상 바오로와 101위 동료 순교자
1984년 5월 6일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가 시성. 79위는 1925년 7월 5일 교황 비오 11세가 시복, 24위는 1968년 10월 6일 교황 성 바오로 6세 시복. 이를 합쳐 한국의 순교자들로 시성
5. 창작물
-심슨 에피소드 중에서는 헨리 8세(호머 심슨)가 성공회를 만든 뒤, 이에 반대하던 토머스 모어(네드 플랜더스)를 시성(canonize)하겠다고 하고 대포(cannon)로 쏴버리는 에피소드도 있었다.
-의외로 희대의 병맛 게임세인츠 로우 시리즈에서도 3번가 세인츠의 입단식으로써 등장한다. 물론 누가 병맛 아니랄까봐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정상적인 시성이 아닌, 집단 린치(...)의 형식으로 시성해주신다... 1편에서 처음 나오고, 2편에서는 꽈찌쭈 쟈니 겟이 신생 세인츠에 입단한 말단들을 상대로 시전했다(...). 그 뒤에는 등장은 커녕, 언급도 없는데, 얼터 코퍼레이션과의 합병 이후, 동네 깡패 성향을 희석하는 과정에서 사라진 걸지도?물론 겟은 비공식적으로(...) 진행했을지도 모른다.
-중세 유럽을 잘 반영한 것으로 유명한 늑대와 향신료에서 시성과 관련된 짤막한 대목이 등장한다. "카테리나 루치"라는 수녀가 죽고 난 이후 교황에게 시성되려는 이야기로, 중세시대 성유물에 집착하는 분위기를 반영한 장면이기도 하다.
시성되어 성녀로 인정되면 그 인물과 관련된 물품들은 성유물이 되어 그 어떤 것이든 믿어지지 않을 만큼 비싼 값에 팔려 나간다. 거기에 기적을 일으킨다는 평판까지 나면 순례자들이 몰려들어, 교회뿐 아니라 주변 일대까지 윤택해진다. 그러니 자기 영토 내의 성직자를 성인으로 만들고 싶어 애를 쓰는 귀족들이 수두룩한데, 그러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든다고 한다.
귀족들 입장에서도 자신이 죽은 후의 행복과 살아 있는 동안의 이익이 걸린 일대 도박이다.
그러다 파산하는 자가 하나둘이 아니면서도 줄을 잇는 것은, 일단 성공만 하면 막대한 보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늑대와 향신료』 12권 205p
103위 성인 명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