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아미타파 (광명의 물결)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정토경전 논서 / 사경 [불교의 비전] 추분별집착상을 버려야 함 (해설). 24
제일시네마 추천 1 조회 46 23.05.28 08:03 댓글 10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3.05.28 09:54

    첫댓글 [해설]

    정정취는 추분별집착상을 버려야 한다.
    추분별은 자아와 경계를 실재로 오인하여 분별하는 것이며,
    집착상은 분별한 현상에 대해 집착하는 것이다.
    추분별집착상은 탐욕. 성냄. 어리석음이 대표적이다.
    [원인론]에서 이와 같이 설하였다.
    "탐욕은 명예와 이익을 가져서
    자기만을 영화롭게 하려는 것이다.
    성냄은 뜻에 어긋나는 경계가
    나를 침해할까 두려워하는 것이다.
    어리석음은 일마다 잘못 알아 서
    도리로서 헤아리지 않는 것이다."
    도리는 인과. 연기. 일심의 법을 말한다.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지용보살마하살()()()

  • 23.05.28 10:13

    <추분별집착상을 버려야 함>
    도리(道理)는 인과. 연기. 일심의 법을 말한다.

    감사합니다.^ㅡ^
    제일시네마님.
    일심 광명 화신 아미타
    나무아미타불_(())_

  • 23.05.28 10:36

    추분별집착상을 버리면 정정취
    추분별집착상은 탐진치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 23.05.28 18:05

    추분별집착상을 버리면 정정취
    추분별집착상은 탐진치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

  • 23.05.28 21:34

    인과 연기 일심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 23.05.28 21:43

    정정취는 추분집착상을 버려야 한다
    추분집착상은 탐진치이다
    일심 광명 화신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23.05.28 22:42

    [불교의 비전] 추분별집착상을 버려야 함 (해설). 24

    [해설]
    정정취는 추분별집착상을 버려야 한다.
    추분별은 자아와 경계를 실재로 오인하여 분별하는 것이며,
    집착상은 분별한 현상에 대해 집착하는 것이다.
    추분별집착상은 탐욕. 성냄. 어리석음이 대표적이다.
    [원인론]에서 이와 같이 설하였다.
    "탐욕[貪]은 명예와 이익을 가져서
    자기만을 영화롭게 하려는 것이다.
    성냄[嗔]은 뜻에 어긋나는 경계가
    나를 침해할까 두려워하는 것이다.
    어리석음[痴]은 일마다 잘못 알아서
    도리로서 헤아리지 않는 것이다 ."
    * 도리(道理)는 인과. 연기. 일심의 법을 말한다.

    ( 제4장 일심정토를 논함 105 쪽)

    제일시네마님, 한구절 잘 읽고 쓰고 생각해 봅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지용보살마하살
    _()()()_

  • 23.05.29 19:05

    <불교의 비전> 추분별집착상을 버려야함(해설)24

    (해설)
    정정취는 추분별집착상을 버려야 한다

    추분별은 자아와 경계를 실제로 오인하여 분별하는 것이며
    집착상은 분별한 현상에 대해 잡착하는 것이다.
    추분별잡착상은 탐욕. 성냄. 어리석음이 대표적이다.
    (원인론)에서 이와 같이 설하였다.
    "탐욕(貪)은 명예와 이익을 가져서
    자기만을 영화롭게 하려는 것이다
    성냄(嗔)은 뜻에 어긋나는 경계가 나를 침해할까 두려워하는 것이다.
    어리석음(痴)은 일마다 잘못 알아서
    도리로서 헤아리지 않는 것이다
    *도리(道理)는 인과. 연기. 일심의 법을 말한다.
    (제4장 일심정토를 논함)

    감사합니다
    제일시네마님

    일체경계 본래일심
    일체가 아미타불의 화신이다
    모든 인연의 은혜에 감사하고 회향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지용보살마하살

  • 23.05.30 11:00

    감사합니다
    일체경계 본래일심
    일체가 아미타불의 화신이다
    모든 인연의 은헤에 감사하고 회향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지용보살마하살()()()

  • 23.05.30 15:58

    제일시네마 화신님 감사합니다.

    [원인론]에서 이와 같이 설하였다.
    "탐욕(貪)은 명예와 이익을 가져서 자기만을 영화롭게 하려는 것이다.
    성냄(嗔)은 뜻에 어긋나는 경계가 나를 침해할까 두려워 하는 것이다.
    어리석음(痴)은 일마다 잘못 알아서 도리로서 헤아리지 않는 것이다."
    *도리(道理)는 인과 ㆍ연기ㆍ일심의 법을 말한다.
    (제4장 일심정토를 논함 105쪽)

    일심정토
    나무아미타불
    나무지용보살마하살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