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증류탑
1. 증류탑 : 증발하기 쉬운 차이(비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액체혼합물의 성분을 분리 하기 위한 장치이다.
2. 운전상의 주의 사항
① 원액의 농도와 공급단
② 환류량의 증감
③ 온도구배
④ 압력구배
⑤ 증류탑의 적정운전 부하
3. 특수 증류 방법
(1) 감압증류(진공증류): 다음 물질을 취급하는 경우에는 비점을 낮추어 처리하기 위해 감압 또는 진공으로 할 필요가 있다.
① 취급물질의 비점이 높아 적당한 가열매체가 없는 경우
② 가열에 의해 분해를 일으키기 쉬운 물질을 취급하는 경우
(2) 추출증류 : 분리하려고 하는 물질의 비점이 거의 다르지 않는 경우에는 용매라고 하는 제3성분을 넣어서 추출증류를 한다.
(3) 공비증류 : 비점차이가 상당히 큰(10℃ 이상) 물질의 혼합물 증류 시 단수를 증가하거나 환류를 증가하여도 어느 한도 이상으로는 분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혼합물을 공비혼합물이라 한다.
① 2성분계가 공비혼합물인 경우 분리방법은 추출증류와 같이 제3의 성분을 첨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② 공비증류는 알코올-물계와 같이 상호 용해하고 있는 혼합물에서 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첨가물로 벤젠을 사용한다.
(4) 수증기 증류 : 물에 거의 용해되지 않는 휘발성 액체에 직접 수증기를 불어 넣으면서 가열하면 그 액체는 본래의 비점보다는 상당히 낮은 온도에서 유출하는데, 이것이 수증기 증류의 원리이며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된다.
① 물질의 비점이 높고 사압에서 증류하면 분해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② 열원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원액이 증류온도에 도달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
4. 증류탑의 점검사항
(1) 일상점검 항목(운전 중에 점검 가능한 항목)
① 보온재 및 보냉재의 파손 상황
② 도장의 열화상황
③ 플랜지부, 맨홀부, 용접부에서의 외부누출 여부
④ 기초 볼트의 헐거움 여부
⑤ 증기배관에 열팽창에 의한 무리한 힘이 가해지고 있는지의 여부와 부식 등
(2) 개방시 점검해야 할 항목
① 트레이의 부식상태, 정도, 범위
② 폴리머등의 생성물, 녹 등으로 인하여 포종의 막힘 여부와 다공판의 bading은 없느지, 바라스트 유닛트는 고정되어 있는지의 여부
③ 넘쳐 흐르는 둑의 높이가 설계와 같은 지의 여부
④ 용접선의 상황과 포종이 단(선반)에 고정되어 있는지의 여부
⑤ 누출이 원인이 되는 균열, 손상여부
⑥ 라이닝, 코팅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