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빠알리공부모임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선사상 Re: 名色(論) (7)
아위자 추천 0 조회 127 22.08.02 14:02 댓글 38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2.08.02 15:34

    첫댓글 참으로 주옥같은 말씀을 일일이 숙고하면서 살펴보더라도 그 본의가 명확하게 담아갈 만한 실력을 갖추지 못한점에 먼저 죄송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상세하고 친절한 가르침에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_()_

    포탓빠(촉)에 대한 제 사견에는 대상으로 받아 들여지는 아람마라들에 대한 관계(태도) 여부로 보았는데요. 이는 촉의 사용여부의 활용적 측면
    곧 여리작의의 유무에 따라 촉을 진행혹은 폐기가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촉에 대하여 아따와 오온의 관계의 집으로 합수관하면 연기 과정을 거쳐오취온이 되면서 괴로움이 집한다는 측면을 강조하는 온상윳따(SN22)의 지적들을 확인하면서 유신이 자리잡게 되는 것으로 보는데요.
    이 고온의 집은 당연하게도 바와가 전재가 되는 것이겠지요…

    오온에서 오취온(유신)의 집기로 나아가는 측면에서 촉에 대하여 분명하게 파악하게되면 미래의 존재에 대하여 여탈권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데요… ㅎ
    안으로 밖으로의 갈애(이는 심행과 직접적인 영향에서)의 사기임을 알고 속지 않는 실질적인 행위는 의행이 하는 것이 아는가 하는 점입니다.

  • 22.08.02 16:33

    물자체(Ding an sich-현상 이전의 자체 거의 거울이라 할 수 있다고 봅니다.)은도 제 사견이란 스코프를 씌운 불교적 관점으로 볼 때 사기라는 점인데 이는 현상과 거울은 상응관계에 놓여 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촉은

    바로 이 상응관계에서 현현하게 되는 것을 아따-오온의 오취온하는 합수관으로-유신이 확립되면서 미래의 존재가 연기되기 때문에 존재의 탄생, 곧 자아의 탄생이 선언되는 것이 아닌지 합니다 .

    거의 동어 반복인데요 ㅎㅎㅎㅎ

  • 작성자 22.08.04 09:07

    '물마'님.

    '물마'님에게 .............말해주고자 하는 '이야기'가 ............너무 많습니다.

  • 작성자 22.08.04 09:10

    '아위자'가 생각하기로는 ............ 너무 <중요하고, 중요한> ........핵심적인 이야기.........가 너무 많아서..........

    '댓글'을 못 드리고 있는 것.

    --------------------------------------------------

    특히..............

  • 작성자 22.08.04 09:14

    @아위자 <界(dhātu)에 대한 이야기, 處(āyatana)에 대한 이야기, 연기에 데한 이야기>[=三觀] ........ 중에서 ‘處(āyatana)에 대한 이야기’는 ......... 우리 불교학계에서 ....... 아마도 ..... ‘아위자’가 <처음으로 제기하는 것>일 것입니다.

  • 작성자 22.08.04 09:23

    @아위자
    실수실참 하시는 분들은 .........어느 정도 ........ 경험하고 있는 바.......이지만.......

    <이론가>들은......... 엄두도 못 내고 있는 ........ 일체(一切).
    즉...... <‘12처’라고 부르는 處(āyatana)>.

  • 작성자 22.08.04 09:33

    @아위자
    돌아가신 고익진교수가 ..... 세계 불교 역사상 처음 제기한 ‘육육(六六)법’ .....
    그 ‘육육(六六)법’이 ........ ‘處(āyatana)에 대한 이야기’라는 점.

  • 작성자 22.08.04 09:37

    우리가 흔히......... <‘phoṭṭabba’라고 부르는 處(āyatana)>를 시작으로 ,,,,,,, ‘處(āyatana)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려는 '아위자'.

  • 작성자 22.08.04 09:46

    <신(身) →수(受), 심(心)→법(法)>의 순서에 따라 ........
    <身處라는 處(āyatana)에 대응하는 處(āyatana)인 ‘phoṭṭabba’라고 부르는 處(āyatana)>부터 ........... ‘處(āyatana)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려는 ‘아위자’

  • 작성자 22.08.04 09:54

    부처님 말씀은 ....... 아무리 사소한 것에 대한 말씀을 하시더라도....... 모조리 ‘法(dhamma)에 대한 말씀’이시기 때문에....... 하나를 들면 전체가 딸려오는 ‘말씀’이어서 ......

    ‘아위자’도 겁이 납니다.

  • 작성자 22.08.04 09:55


    당연히........... <界(dhātu)에 대한 이야기, 處(āyatana)에 대한 이야기, 연기에 데한 이야기>[=三觀] .도 ........... 모조리 ‘法(dhamma)에 대한 말씀’입니다.

  • 작성자 22.08.04 10:02

    @아위자
    <삼계라는 界(dhātu)>는 ‘두 개의 處(āyatana)’라고 부처님께서는 지적하십니다.
    그러한 지적이 ‘7識住 2處’.

  • 작성자 22.08.04 10:10

    @아위자
    그러한 ....... ‘7識住 2處’를 이해하려면......... 일단 먼저 .......
    <‘法界’라는 界(dhātu)>와 <‘法(dhamma)’ 자체>를 구분해야 합니다.

    <‘法(dhamma)’ 자체>는 無見無對여서 ...... 아뇩다라삼막삼보리를 얻기 전까지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부처님께서 지적하십니다. 그 대신 ......... ‘法界, 法處, 연이생의 법’이 제시되는 것.

  • 작성자 22.08.04 10:19

    @아위자
    그 중에서 ...... <法處라는 處(āyatana)>를 이해하려면....... 일단 먼저.........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 작성자 22.08.04 10:21

    @아위자
    '물마'님! ...........아시겠지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아위자'의 작전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일단 이야기를 멈추고.......... 다른 '댓글'로 시작할 예정.

  • 22.08.04 14:02

    선생님 말씀 감사합니다. _()_
    그렇지만 어려워요- ~_~

    우선 일체(12처)의 지적은 개인적 경험에서 많은 공감하는 바입니다…

    제가 몹시 어렵게 다가오는 것은
    7식주 2처가 두 개의 처라는 점입니다.

    7식주는 법계와 2처는 법처와 관계되는 것으로…. 모두다 연이생의 법 관련된 것들이라는 의미로 추정합니다…

    일체(12처)의 조화가 부리는 요술같은 법이라는 말씀같은데요…

    폿타빠가 그 요술을 사실(현실)화 하는 주범이라는 말씀인것 같은데요 ㅎㅎㅎ
    허나 이 폿타빠 자체도 원인과 조건을 충족하면서 집하는 점이라는 것!
    그것이 일체와 유관하다는 점에서
    명신과 색신의 신에 주목을 하면서 우파다나가 부상한다는 말같은데요…
    곧 오취온: 유신: 고온… 은
    바로 이 일체가 부리는 조화의 요술이다…
    괴로움이 알려지거든 잘 보아서 그것이 어떻게 집하고 멸하는 똑똑이 알로 보아서…. 그 길에 들어서야 하지 않겠는가 하는 점입니다…

  • 작성자 22.08.04 15:14


    <7식주는 법계와 2처는 법처와 관계>!

    ----------------------------------------------

    OK! OK! OK!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정답.

  • 작성자 22.08.04 15:14

    @아위자
    그렇다면...........

  • 작성자 22.08.04 15:14

    @아위자
    다음 이야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작성자 22.08.04 15:15

    ‘물마’님

    <界(dhātu)에 대한 이야기, 處(āyatana)에 대한 이야기, 연기에 대한 이야기>[=三觀] ........에서 ........ 일단 먼저 ‘대충’ <전체적인 이야기>를 해보면............

  • 작성자 22.08.04 15:16


    원래는 <界(dhātu), 處(āyatana), 緣起(paṭicca-sam-uppāda)>가 ‘法(dhamma)을 관찰하는 3가지 觀’입니다만....... ‘아위자’가 임의로 ..... <연기>를 <연이생의 법>으로 바꾸어 말하는데요......

  • 작성자 22.08.04 15:17

    @아위자
    <界(dhātu)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면 ...... 대표적으로 <無明界(avijjā-dhātu, ☜유전문)와 明界(vijjā-dhātu, ☜환멸문)>으로 크게 분류하여 ....... 중간에 ‘苦(dukkha)’를 넣으면 ..... ‘두 界(dhātu)’가 이어집니다.

    어려운 설명인데 ........ <無明界(avijjā-dhātu, ☜유전문)와 明界(vijjā-dhātu, ☜환멸문)>의 중간에 <‘苦(dukkha)’라고 부르는 ‘극단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는 邪見’>을 넣으라는 말이 아니라.......

    -----------------------------------------

  • 작성자 22.08.04 15:17

    @아위자
    ‘界(dhātu)’라는 표현에 대하여 ......... 아시는 분은 ........ <無明界(avijjā-dhātu)>라는 표현이 나오면 ........ 곧바로 ...... 그 표현이 <‘12연기’ 전체를 지칭하는 표현>이라는 것을 압니다. 부처님께서 ........ 대상에 대하여 .......‘界(dhātu)라는 표현’을 하신 경우에는 ........ <대상인 法(dhamma)을 ‘識(viññāṇa)의 관점이나 六識의 관점’에서 표현하신 것>이어서 .......

  • 작성자 22.08.04 15:18

    @아위자
    ‘眼界나 色界’처럼 .......... 광범위한 집단[=그룹]을 지칭한 것인데 ....... 그러한 ‘界(dhātu)’가 ‘근(根, indriya, 능력)’으로 전락하는 것은........ ‘識(viññāṇa)의 탓[=허물]’도 있겠지만..... 근원적으로는....... ‘意(manas, mano)가 sati를 잃어버린 탓’이 더 큽니다.

  • 작성자 22.08.04 15:27

    @아위자

    ‘識(viññāṇa)의 관점에서도 원래는 界(dhātu)인 <眼界와 色界>’가 ........ ‘안근이나 색경’으로 전락하게 되는 원인과 이유가 되는......... ‘意(manas, mano)가 sati를 잃어버리는 영역’이 바로 ‘處(āyatana)’입니다. 이 말은...... 반대로 ...... ‘意(manas, mano)가 sati를 되찾게 되는 영역’도 ‘處(āyatana)’라는 이야기.

    비유하면 ...... 들어오는 문(門, dvāra. =cha dvārā, =cha ajjhattikāni āyatanāni, 감각의 문 ☜dvāra-pāla, dvārika 문지기)이나 나가는 門이 같기에......... 門이라고 하는 것이고 ...... 法門이라고 하는 것.

  • 작성자 22.08.04 15:33

    @아위자
    원래대로라면 ......... 부처님께서 ‘處(āyatana)라고 표현하신 영역’은 .......... 한결같이 ....... <色(처)와 意(처)가 혼합된 영역>인데요..... 간단하게 다시 말하면 모조리 ‘名色인 것’이 處(āyatana)입니다.

  • 작성자 22.08.04 15:36

    @아위자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 작성자 22.08.04 15:48

    六入(saḷāyatana, ☜단수형)은 <명색→육입→촉......>이거든요..........
    그러할 때......... 어떤 분께서는 ....... 육입에서 처음으로 ‘意(manas, mano)’가 거론되는 것을 보시고 <‘심→의→식’의 순서>가 사실은 ‘심→식→의’라고 여기시는데........

  • 작성자 22.08.04 15:52


    아니고요........... 아니다는 이야기가 <명색(론)>입니다.
    그 <명색(론)>의 결론이 ........ 바로 ....... "아닙니다."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22.08.04 15:57

    @아위자 ㅎㅎㅎ 너무 어려워서 어질 어질 합니다현미경으로 들여다 보면서 마이크로 핀셋을 가지고 차근차근 발라 먹어야 겠어요 ㅎㅎㅎ

    그런데,
    “아닙니다” 를 제 식으론
    “속지마라” 인 것 같은데요.. ㅎㅎㅎ

  • 작성자 22.08.04 16:04

    @아위자

    ‘물마’님! .........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六入(saḷāyatana, ☜단수형)은 <명색→육입→촉......>이거든요..........
    그러할 때......... 어떤 분께서는 ....... 육입에서 처음으로 ‘意(manas, mano)’가 거론되는 것을 보시고 <‘심→의→식’의 순서>가 사실은 ‘심→식→의’라고 여기시는데........

  • 작성자 22.08.04 16:05

    @아위자
    名色(nāma-rūpa)의 ‘名(nāma)’에는 ......... 作意(manasikāra)라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 作意라는 것이 ‘올바른 作意(yoniso manasikāra)’일 경우에는 ...... 界(dhātu)가 ‘明界(vijjādhātu)’이고요......... ‘올바르지 않은 作意(ayoniso manasikāra)’일 경우에는 ...... 界(dhātu)가 ‘無明界(avijjādhātu)’가 되는 것일 뿐....................이라는 지적.

  • 작성자 22.08.04 16:06

    @아위자
    그래서..........

    (1)意(manas, mano)가 자신의 의지처인 ‘sati’를 ...... 잃어 버렸나? ...... 와 ...... 되찾았느냐? ........가 중요한 것..
    (2)되찾았을 경우가 <‘올바른 作意(yoniso manasikāra)’→明界(vijjādhātu)>임.

    그래서 .........

  • 작성자 22.08.04 16:06

    @아위자
    Atthi bhikkhave mano atthi dhammā atthi vijjādhātu.
    비구들이여, 意(mano)가 있고 法들(dhammā)이 있고 明界(vijjādhātu)가 있다.

    ......라는 경문에 ....... ‘아위자’가 <개씹에 좆을 박을 놈들>이라는 막말을 서슴치 않고 하는 것.

  • 22.08.04 16:06

    @아위자 이 말씀은 아주 잘 이해됩니다.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 작성자 22.08.04 16:13

    @아위자
    한 마디로......... <界(dhātu)와 處(āyatana)의 관계>를 지적하면 ‘알 수 있는 이야기’인데..........

    界(dhātu)도 모르고........ 處(āyatana)도 모르고....... 좆도 모르면서 ‘좆’을 보고서 ‘탱자, 탱자’하는 놈들이 ........ 너무 많은 ‘衆生界라는 이 三界’에는 .......... 부처님께서 올바른 지적을 하셔도......... 뜯어 고치기 바빠서 ........ ‘아위자’에게 ...... “이 빠삐만의 자식들.”이라는 저주를 받거나 ....... “동서남북을 분간하지 못하는 자.”라는 비아냥을 받는 것.

  • 작성자 22.08.04 16:14

    @아위자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 작성자 22.08.04 16:22

    @아위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일단 이야기를 멈추고.......... 다른 '댓글'로 시작할 예정이 아니라.......
    지금 시작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