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불교인드라망
 
 
 
 

친구 카페

 
등록된 친구카페가 없습니다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불교영어Buddhist Sutra 스크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5월 15일 후기/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 (2)
호암산 추천 0 조회 11 14.05.16 12:08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5월 15일 후기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 (2)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5월 15일 후기.hwp

 

서울경기강원지역방 2914번 글 http://cafe.daum.net/altlovebuddha/PEK/2914

의 후속타입니다.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를 두 번째로 읽었습니다. 오늘 불서읽기에는 효주 법우, 환희장엄 법우, 저 관문 이렇게 3명이 참석했습니다.

오늘도 지난번에 모였던 장소 ‘Cafe 57th’에서 모임을 가졌습니다. 이곳은 지하철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에서 나와 80 미터 가량 직진하신 후 풍문여고를 오른 쪽에 끼고 돌아서 약 60 미터 가면 보이는 곳입니다. 모이는 때는 매주 목요일 오후 7시입니다.

 

오늘은 우리의 교재 <The Dalai Lama and Howard C. Cutler, The Art of Happiness> Part I The Purpose of Life: Chapter 1 The Right to HappinessChapter 2 The Sources of Happiness 앞부분을 읽었습니다. 관문이 가지고 있는 책으로 11 페이지 처음부터 26 페이지 밑에서 9째 줄까지입니다.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를 읽는 동안의 후기는 저희가 그 날 읽은 내용 중에서 감명 깊은 부분을 발췌해서 영어와 저희가 시도해 본 번역을 올리겠습니다. 번역본으로 <달라이 라마 & 하워드 커틀러/류시화 옮김,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김영사> 를 가끔씩 참고하겠습니다.

 

Part I The Purpose of Life

제1부 인생의 목적

 

Chapter 1 The Right to Happiness

제1장 행복할 권리

"I believe that the very purpose of our life is to seek happiness. That is clear. Whether one believes in religion or not, whether one believes in this religion or that religion, we all are seeking something better in life. So, I think, the very motion of our life is towards happiness..."

“나는 우리 인생의 목적이 바로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것은 확실합니다. 사람이 종교를 믿거나 믿지 않거나 간에, 이 종교를 믿든지 저 종교를 믿든지 간에, 우리 모두는 인생에서 더 나은 것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나는 우리 인생의 동기는 바로 행복을 향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With these words, spoken before a large audience in Arizona, the Dalai Lama cut to the heart of his message. But his claim that the purpose of life was happiness raised a question in my mind. Later, when we were alone, I asked, "Are you happy?"

이런 말로써, 아리조나의 많은 청중들 앞에서, 존자님은 그가 전하려는 내용의 핵심에 파고 들었다. 그러나 인생의 목적이 행복이라는 그의 주장은 내 마음 속에 의문을 제기했다. 나중에 우리들만 있을 때, 나는 물었다, “존자님은 행복하십니까?”

 

"Yes," he said. He paused, then added, "Yes ... definitely." There was a quiet sincerity in his voice that left no doubt ? a sincerity that was reflected in his expression‎ and in his eyes.

“그래요,”라고 존자님은 말했다. 존자님은 잠시 멈추었다가 덧붙여 말했다, “예, 확실히요.” 전혀 의심할 바 없는 성실함이 그의 목소리에 묻어 있었다. 그의 표정과 그의 두 눈에 비친 성실함이.

 

"But is happiness a reasonable goal for most of us?" I asked. "Is it really possible?"

“하지만 행복이 우리 모두에게 합리적인 목표인가요?” 나는 물었다. “행복이 정말로 가능할까요?”

 

"Yes. I believe that happiness can be achieved through training the mind."

“예. 나는 마음을 훈련함으로써 행복은 성취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On a basic human level, I couldn't help but respond to the idea of happiness as an achievable goal. As a psychiatrist, however, I had been burdened by notions such as Freud's belief that "one feels inclined to say that the intention that man should be 'happy' is not included in the plan of 'Creation.'" This type of training had led many in my profession to the grim conclusion that the most one could hope for was "the transformation of hysteric misery into common unhappiness." From that standpoint, the claim that there was a clearly defined path to happiness seemed like quite a radical idea. As I looked back over my years of psychiatric training, I could rarely recall having heard the word "happiness" even mentioned as a therapeutic objective. Of course, there was plenty of talk about relieving the patient's symptoms of depression or anxiety, of resolving internal conflicts or relationship problems, but never with the expressly stated goal of becoming happy.

기본적인 인간의 차원에서, 나는 행복이라는 생각이 성취 가능한 목표라고 반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정신과 의사로서는, 그러나, 프로이드의 “인간은 ‘행복’해야 한다는 의도는 신의 ‘창조’ 계획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다, 라고 말하고 싶은 생각이 든다는” 신념과 같은 관념에 짓눌려왔다. 이런 유형의 훈련은 우리 직업에 속한 많은 사람들을 사람이 기대할 수 있는 최상의 것은 “광적인 비참함을 보편적인 불행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라는 끔찍한 결론에 이르게 만들었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행복에 이르는 명백하게 정의된 길이 있다는 주장은 아주 급진적인 생각으로 여겨졌다. 나의 정신과 의사 수련의 오랜 기간을 되돌아보면, 정신 치료의 목적으로서 언급된 경우조차 “행복”이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이 거의 생각나지 않았다. 물론, 환자의 절망 혹은 불안 증세를 감소에 대한 이야기와, 내적 갈등과 인간관계 문제를 해결한다는 많은 이야기는 있지만, 행복해진다는 명백히 언급된 목표는 한 번도 만나보지 못했다.

 

The concept of achieving true happiness has, in the West, always seemed ill defined, elusive, ungraspable. Even the word "happy" is derived from the Icelandic word happ, meaning luck or chance. Most of us, it seems, share this view of the mysterious nature of happiness. In those moments of joy that life brings, happiness feels like something that comes out of the blue. To my Western mind, it didn't seem the sort of thing that one could develop, and sustain, simply by "training the mind."

서양에서, 진전한 행복의 성취라는 개념은, 항상 잘못 정의되었고, 알기 어렵고, 붙잡을 수 없는 듯이 보였다. “행복한”이라는 단어조차 아이슬랜드어 햅happ에 어원을 두고 있는데, 이 단어는 운 혹은 기회라는 뜻이다. 우리 모두는 행복의 이 신비스러운 성질이라는 견해를 공유하고 있는 것 같다. 삶이 가져오는 기쁨의 순간들에도, 행복은 느닷없이 찾아오는 어떤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나의 서양적 사고로는, 행복은 단순히 “마음을 훈련함으로써” 개발하고, 유지할 수 있는 종류의 것으로는 보이지 않았다.

 

When I raised that objection, the Dalai Lama was quick to explain. "When I say 'training the mind,' in this context I'm not referring to 'mind' merely as one's cognitive ability or intellect. Rather, I'm using the term in the sense of the Tibetan word Sem, which has a much broader meaning closer to 'psyche' or 'spirit'; it includes intellect and feeling, heart and mind. By bringing about a certain inner discipline, we can undergo a transformation of our attitude, our entire outlook and approach to living.

내가 이런 이의를 제기했을 때, 존자님은 재빨리 설명을 했다. “내가 ‘마음을 훈련하기’라고 할 때, 이 상황에서 나는 ‘마음’을 단순히 인간의 인지적 능력이나 지성을 가리키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나는 그 용어를 티벳어 Sem 의 의미로 쓰고 있는데, 그 단어는 ‘정신’ 또는 ‘영혼’에 가까운 훨씬 더 넓은 의미가 있습니다. 어떠한 내적 훈련을 일으킴으로써, 우리는 우리의 태도, 우리의 견해 전체와 삶에 대한 접근 방법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When we speak of this inner discipline, it can of course involve many things, many methods. But generally speaking, one begins by identifying those factors which lead to happiness and those factors which lead to suffering. Having done this, one then sets about gradually eliminating those factors which lead to suffering and cultivating those which lead to happiness. That is the way."

“이러한 내적 훈련이라고 말할 때, 물론 많은 것과 많은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우리는 행복으로 이끄는 요소와 괴로움으로 이끄는 요소를 식별함으로써 시작한다. 이렇게 하고나서 우리는 점차적으로 괴로움으로 이끄는 요소를 없애고 행복으로 이끄는 요소를 배양하기를 시작한다. 그것이 바로 그 방법이다.”

 

The Dalai Lama claims to have found some measure of personal happiness. And throughout the week he spent in Arizona, I often witnessed how this personal happiness can manifest as a simple willingness to reach out to others, to create a feeling of affinity and goodwill, even in the briefest of encounters.

존자님은 개인적 행복의 몇 가지 기준을 발견했다고 주장한다. 존자님이 아리조나에 머무는 한 주 동안 내내, 나는 이 개인적인 행복이, 아주 짧은 만남의 순간에도, 어떻게 남들에게 도움을 주려하고, 친밀함과 호의의 감정을 만들어내는 순박한 자진해서 하는 마음으로서 나타나는지를 종종 목격했다.

 

One morning after his public lecture the Dalai Lama was walking along an outside patio on the way back to his hotel room, surrounded by his usual retinue. Noticing one of the hotel housekeeping staff standing by the elevators, he paused to ask her, "Where are you from?" For a moment she appeared taken aback by this foreign-looking man in the maroon robes and seemed puzzled by the deference of the entourage. Then she smiled and answered shyly, "Mexico." He paused briefly to chat with her a few moments and then walked on, leaving her with a look of excitement and pleasure on her face. The next morning at the same time, she appeared at the same spot with another of the housekeeping staff, and the two of them greeted him warmly as he got into the elevator. The interaction was brief, but the two of them appeared flushed with happiness as they returned to work. Every day after that. they were joined by a few more of the housekeeping staff at the designated time and place, until the end of the week there were dozens of maids in their crisp gray-and-white uniforms forming a receiving line that stretched along the length of the path that led to the elevators.

어느 날 오전 대중 강연을 마치고 존자님은 그의 평상 수행원들에게 둘러싸여 호텔 방으로 돌아오는 길에 외부 테라스를 따라 걸어가고 있었다. 호텔 관리 여직원 한 명이 엘리베이터 옆에 서 있는 것을 보시고는, 존자님은 걸음을 멈추고 그녀에게 물었다, “어느 나라에서 오셨어요?” 잠시 동안 그녀는 깜짝 놀란 표정이었다. 적갈색 승복을 입은 외국인처럼 보이는 남자와 수행원들의 경의를 표하는 모습에 당혹스러워 하는 듯이 보였다. 그리고는 수줍어하면서, “멕시코요.”하고 그녀가 대답했다. 존자님은 잠시 2, 3분 동안 그녀와 잡담을 나누려고 멈추어 섰다가, 계속 걸어갔다. 그 여직원의 얼굴에 흥분과 즐거움의 표정을 남겨 두고서....다음 날 오전 같은 시간에, 그 여직원은 다른 관리 여직원과 함께 같은 장소에 나타났다. 그 두 직원은 존자님이 엘리베이터에 탈 때 따뜻한 인사를 존자님께 올렸다. 이들 간의 상호 작용은 잠깐이었지만, 그 두 직원은 일터로 돌아갈 때, 기뻐서 홍조를 띠고 있는 듯 했다. 그날 이후 날마다,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 더 많은 관리 직원들이 합류했고, 마침내 일주일이 끝날 무렵에는 수 십 명의 여직원들이 빳빳한 회색과 흰색 제복을 입고 엘리베이터까지 연결된 통로를 따라 환영의 줄을 이루고 서 있었다.

 

Our days are numbered. At this very moment, many thousands are born into the world, some destined to live only a few days or weeks, and then tragically succumb to illness or other misfortune. Others are destined to push through to the century mark, perhaps even a bit beyond, and savor every taste life has to offer: triumph, despair, joy, hatred, and love. We never know. But whether we live a day or a century, a central question always remains: What is the purpose of our life? What makes our lives meaningful?

우리가 살아갈 날은 정해져 있다. 바로 이 순간에도, 수 천 명의 아이들이 이 세상에 태어나는데, 어떤 아이는 2, 3일 혹은 몇 주를 살다가 질병이나 다른 불행한 일로 비극적으로 죽을 운명이다. 다른 아이들은 한 세기가 넘도록 살 운명이기도 하다. 그들은 살면서, 인생이 주는 모든 맛을 볼 것이다. 승리, 절망, 기쁨, 사랑 등. 우리는 아무 것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가 하루를 살든 백년을 살든, 중요한 질문은 언제나 남아 있다. 즉 우리 인생의 목적은 무엇인가? 무엇이 우리 삶을 의미 있게 만드는가?

The purpose of our existence is to seek happiness. It seems like common sense, and Western thinkers from Aristotle to William James have agreed with this idea. But isn't a life based on seeking personal happiness by nature self-centered, even self-indulgent? Not necessarily. In fact, survey after survey has shown that it is unhappy people who tend to be most self-focused and are often socially withdrawn, brooding, and even antagonistic. Happy people, in contrast, are generally found to be more sociable, flexible, and creative and are able to tolerate life's daily frustrations more easily than unhappy people. And, most important, they are found to be more loving and forgiving than unhappy people.

우리 존재의 목적은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 말은 상식처럼 보이기도 하고,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윌리엄 제임스에 이르기까지 서양의 사상가들이 이 생각에 동의해 왔다. 하지만 삶이란 본질적으로 자기중심적으로, 심지어 제멋대로 개인적인 행복을 추구하는 데에 기초를 두고 있는 것은 아닌가? 꼭 그렇지는 않다. 사실은, 조사 연구마다 가장 자기중심적이고 종종 사교적으로 위축되어있고, 골똘히 생각하고, 심지어 적대적이기도 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들은 바로 불행한 사람들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행복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더 사교적이고, 유연하고, 창조적이며, 불행한 사람들보다 삶의 일상적인 갈등을 더 쉽게 견디어낼 수 있다. 또, 가장 중요한 것은, 그들은 불행한 사람들보다 남을 더 사랑하고, 용서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Researchers have devised some interesting experiments demonstrating that happy people exhibit a certain quality of openness, a willingness to reach out and help others. They managed, for instance, to induce a happy mood in a test subject by arranging to have the person unexpectedly find money in a phone booth. Posing as a stranger, one of the experimenters then walked by and "accidentally" dropped a load of papers. The investigators wanted to see whether the subject would stop to help the stranger. In another scenario, the subjects' spirits were lifted by listening to a comedy album, and then they were approached by someone in need (also in cahoots with the experimenter) wanting to borrow money. The investigators discovered that the subjects who were feeling happy were more likely to help someone to lend money than another "control group" of individuals who were presented with the same opportunity to help but whose mood had not been boosted ahead of time.

연구자들은 행복한 사람들이 남들에게 손을 내밀고 도와주려고 하는 열린 마음과 기꺼이 하려는 어떤 성질을 보여주는 사실을 증명해주는 몇 가지 흥미로운 실험을 고안해 냈다. 예컨대 그 연구자들은 피실험자가 예기치 않게 공중전화 박스에서 돈을 줍도록 함으로써 기분 좋은 분위기를 자아내게 했다. 낯선 사람으로 가장하고서, 실험자 중 한 명이 지나가다가 “우연히” 한 뭉치의 서류를 떨어뜨린다. 조사자들은 피실험자가 그 낯선 사람을 도와주려고 걸음을 멈추는지를 보고자 했다. 또 다른 시나리오에서는, 피실험자의 기분이 코메디 앨범을 듣고서 고양되고 난 후, 돈을 빌리려고 하는 (역시 실험자와 한 패거리인) 누군가를 피실험자에게 접근시켰다. 연구자들은 행복감을 느끼는 피실험자들이 다른 실험 집단보다 훨씬 쉽게 돈을 빌려준다는 것을 발견했다. 실험 전에 기분이 좋아져 있지 않은 실험 집단은 남을 도와줄 기회가 똑같이 주어졌지만 행복한 사람보다 도와주는 경우가 적었다.

 

While these kinds of experiments contradict the notion that the pursuit and achievement of personal happiness somehow lead to selfishness and self-absorption, we can all conduct our own experiment in the laboratory of our own daily lives. Suppose, for instance, we're stuck in traffic. After twenty minutes it finally begins moving again, at parade speed. We see someone in another car signaling that she wants to pull into our lane ahead of us. If we're in a good mood, we are more likely to slow down and wave them on ahead. If we're feeling miserable, our response may be simply to speed up and close the gap. "Well, I've been stuck here waiting all this time; why shouldn't they?"

이런 종류의 실험들이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고 달성하는 것이 어쨌든 이기심과 자아도취로 이끈다는 관념에 모순되지만, 우리는 모두 우리 자신들의 삶이라는 실험실에서 우리 자신의 실험을 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가 교통 체증 상태에 있다고 가정해 보자. 20분이나 꼼짝하지 않다가, 차가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했다. 그런데 다른 차를 몰고 오는 사람이 우리 앞서 우리 차선으로 들어오겠다고 신호를 보내고 있는 것을 본다. 만일 우리가 기분이 좋은 상태라면, 우리는 속도를 늦추고 먼저 가라고 손짓할 것이다. 우리가 만약 몹시 기분이 불쾌한 상태라면, 우리의 반응은 그저 속력을 내서 앞차와의 간격을 좁혀버릴 것이다. “아니, 난 여기서 여태까지 꼼짝 못하고 갇혀 있었는데 당신도 그래야 되는 거 아냐?”

 

We begin, then, with the basic premise that the purpose of our life is to seek happiness. It is a vision of happiness as a real objective, one that we can take positive steps toward achieving. And as we begin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lead to a happier life, we will learn how the search for happiness offers benefits not only for the individual but for the individual's family and for society at large as well.

그렇다면, 우리 삶의 목적이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라는 기본적인 전제로부터 우리는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것은 행복을 삶의 실제적인 목적으로 보는 것이며, 행복을 얻기 위해 우리가 취하는 적극적인 발걸음이다. 더 행복한 삶으로 이끄는 요소들을 확인하기 시작할 때, 우리는 행복의 추구가 개인뿐만 아니라 그 가족과 사회 전체에도 이익을 가져온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Chapter 2 The Sources of Happiness

제2장 행복의 근원

 

Both these people illustrate the essential point that happiness is determined more by one's state of mind than external events. Success may result in a temporary feeling of elation, or tragedy may send us into a period of depression, but sooner or later our overall level of happiness tends to migrate back to a certain baseline. Psychologists call this process adaptation, and we can see how this principle operates in our everyday life; a pay raise, a new car, or recognition from our peers may lift our mood for a while, but we soon return to our customary level of happiness. In the same way, an argument with a friend, a car in the repair shop, or a minor injury may put us in a foul mood, but within a matter of days our spirits rebound.

이 두 사람의 예는 행복이 외부적인 사건보다는 사람의 마음의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는 본질적인 점을 설명해준다. 성공이 일시적인 들뜨는 기분을 가져오고, 비극적인 일이 우리를 일정 기간의 우울증에 빠지도록 하겠지만, 조만간 전반적인 행복의 수준은 어떤 기본선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이 있다. 심리학자들은 이것을 적응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이 원칙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잘 알 수 있다. 봉급 인상, 새 자동차, 동료들에게 인정받기 등은 잠시 동안 우리 기분을 좋아지게 하지만, 곧 우리는 일상적인 행복 수준으로 돌아간다. 똑같은 식으로, 친구와의 말다툼, 자동차 사고, 사소한 부상 등은 더러운 기분이 들도록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리 기분은 원상태로 돌아온다.

 

So, if we tend to return to our characteristic baseline level of happiness no matter what our external conditions are, what determines this baseline? And more important, can it be modified, set at a higher level? Some researchers have recently argued that an individual's characteristic level of happiness or well-being is genetically determined, at least to some degree. Studies such as one that found that identical twins (sharing the same genetic constitution) tend to have very similar levels of well-being ? regardless of whether they were raised together or apart ? have led these investigators to postulate a biological set point for happiness, wired into the brain at birth.

우리의 외부적인 조건이 무엇이든 우리가 특징적인 기본선으로 돌아오는 경향이 있다면, 무엇이 이 기본선을 결정하는가? 더 중요한 것은, 좀 더 높은 수준으로 이 기본선을 수정할 수 있는가? 어떤 연구자들은 최근에 개인의 행복이나 안녕의 특징적인 수준은 적어도 어느 정도는 유전적으로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똑같은 유전 요인을 가지고 있는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처럼, 함께 자라거나 떨어져 성장하거나 관계없이 행복의 아주 비슷한 수준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는 태어나면서 행복이 두뇌 속에 내장되어 있는 생물학적인 정해진 지점에 있다고 하는 가정을 내세우도록 했다.

 

But even if genetic makeup plays a role in happiness ? and the verdict is still out on how large that role is ? there is general agreement among psychologists that no matter what level of happiness we are endowed with by nature, there are steps we can take to work with the "mind factor," to enhance our feelings of happiness. This is because our moment-to-moment happiness is largely determines by our outlook. In fact, whether we are feeling happy or unhappy at any given moment often has very little to do with our absolute conditions but, rather it is a function of how we perceive our situation, how satisfied we are with what we have.

그러나 유전적 구성이 행복에 ? 그 역할이 얼마나 큰 범위인지 아직 확실한 것은 아니지만 ? 역할을 한다 하더라도, 다음과 같이 심리학자들 사이에 일반적 동의는 이루어져 있다. 즉, 우리가 자연적으로 어떤 수준의 행복을 부여받았다고 할지라도, 행복감을 더 높이기 위해 우리가 “마음 요인”을 가지고 작업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조치들이 있다. 이 사실은 우리의 순간순간의 행복은 주로 우리의 견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사실, 어떤 주어진 순간에 행복을 느끼거나 불행을 느끼는 것은 절대적인 조건과는 별 관계가 없고, 오히려 우리가 우리의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우리가 가진 것에 얼마나 만족하느냐와 함수 관계에 있다.

 

THE COMPARING MIND

비교하는 마음

 

These experiments, which show that we can increase or decrease our sense of life satisfaction by changing our perspective, clearly point to the supremacy of one’s mental outlook in living a happy life.

이런 실험들은 우리의 관점을 바꿈으로써 삶의 만족도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데,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데 정신적 견해가 우월함을 분명하게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The Dalai Lama explains: ‘Although it is possible to achieve happiness, happiness is not a simple thing. There are many levels. In Buddhism, for instance, there is a reference to the four factors of fulfillment, or happiness: wealth, worldly satisfaction, spirituality, and enlightenment. Together they embrace the totality of an individual’s quest for happiness.

존자님은 이렇게 설명하신다. ‘행복을 성취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행복은 그렇게 단순한 것이 아닙니다. 많은 수준이 있습니다. 예컨대 불교에서는 성공이나 행복에 네 가지 요인이 있다고 말합니다. 즉 재산, 세속적 만족, 영성(靈性), 깨달음입니다. 이것들이 함께 개인의 행복 추구의 전체를 구성합니다.’

 

‘Let us leave aside for a moment ultimate religious or spiritual aspirations like perfection and enlightenment and deal with joy and happiness as we understand them in an everyday or worldly sense. Within this context, there are certain key elements that we conventionally acknowledge as contributing to joy and happiness. For example, good health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necessary factors for a happy life. Another factor that we regard as a source of happiness is our material facilities, or the wealth that we accumulate. An additional factor is to have friendship, or companions. We all recognize that in order to enjoy a fulfilled life, we need a circle of friends with whom we can relate emotionally and trust.

‘잠시 완벽이나 깨달음 같은 궁극적인 종교적 혹은 영적인 열망은 제쳐두고 일상적 혹은 세속적 의미에서 이해하는대로 기쁨과 행복을 다루도록 합시다. 이 상황 안에는 우리가 관습적으로 기쁨과 행복에 공헌하고 있다고 인정하는 어떤 중요한 요소들이 있습니다. 예컨대, 건강은 행복한 삶을 위한 필수 요소 중의 하나라고 간주됩니다. 우리가 행복의 원천이라고 여기는 또 하나의 요소는 물질적 편의 시설, 또는 우리가 축적하는 재산입니다. 더 추가할 수 있는 것은 우정 혹은 동료입니다. 충족한 삶을 즐기기 위해 정서적으로 관계 맺고 믿을 수 있는 친구 집단이 필요하다는 것은 우리 모두 인정합니다.’

‘Now, all of these factors are, in fact, sources of happiness. But in order for an individual to be able to fully utilize them towards the goal of enjoying a happy and fulfilled life, your state of mind is key. It’s crucial.

‘자, 이제 이 모든 요소들이 사실은 행복의 원천입니다. 그런데 개인이 그것들을 행복하고 충족한 삶을 즐기기 위해 활용할 수 있으려면, 마음 상태가 열쇠입니다. 그것이 결정적이지요.’

 

‘If we utilize our favorable circumstances, such as our good health or wealth, in positive ways, in helping others, they can be contributory factors in achieving a happier life. And of course we enjoy these things ? our material facilities, success, and so on. But without the right mental attitude, without attention to the mental factor, these things have very little impact on our long-term feelings of happiness.

‘건강이나 재산과 같은 우리의 유리한 상황을 남을 돕는 데 적극적인 방식으로 잘 이용하면, 더 행복한 삶을 성취하는 데 공헌하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우리는 물질적 편의 시설, 성공 등등을 향유합니다. 그러나 올바른 정신적 태도가 없이, 정신적 요소에 대한 관심이 없이는, 이러한 것들이 우리의 장기적인 행복감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못합니다.

 

For example, if you harbor hateful thoughts or intense anger somewhere deep down within yourself, then it ruins your health; thus it destroys one of the factors. Also, if you are mentally unhappy or frustrated, then physical comfort is not of much help.

‘예를 들어, 당신의 마음 속 깊은 곳에 미워하는 생각과 강렬한 분노를 품고 있다면, 그것이 당신의 건강을 해칠 것입니다. 그것은 행복의 한 요소를 파괴하는 것입니다. 또한, 정신적으로 불행하거나 갈등을 겪고 있다면, 육체적인 안락함도 별로 도움이 안 됩니다.

 

On the other hand, if you can maintain a calm, peaceful state of mind, then you can be a very happy person even if you have poor health. Or, even if you have wonderful possessions, when you are in an intense moment of anger or hatred, you feel like throwing them, breaking them. At that moment your possessions mean nothing. Today there are societies that are very developed materially, yet among them there are many people who are not very happy. Just underneath the beautiful surface of affluence there is a kind of mental unrest, leading to frustration, unnecessary quarrels, reliance on drugs or alcohol, and in the worst case, suicide.

‘반면에, 당신이 고요하고 평화로운 마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 비록 건강이 좋지 못하더라도 매우 행복한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또 당신이 멋진 물건을 가지고 있다하더라도, 강렬한 증오나 분노의 순간에 처해 있다면, 그 물건을 던져서 박살내고 싶을 것입니다. 그 순간에 당신의 멋진 물건은 아무 의미도 없습니다. 오늘날 물질적으로는 아주 발달했지만 그 가운데에는 그다지 행복하지 않은 사람들이 많이 있는 사회가 있습니다. 풍요로움의 아름다운 표면 바로 아래에 갈등, 불필요한 다툼, 마약이나 술에 의존하기, 최악의 경우 자살로 이끄는 일종의 정신적 불안이 있습니다.

 

So there is no guarantee that wealth alone can give you the joy or fulfillment that you are seeking. The same can be said of your friends too. When you are in an intense state of anger or hatred, even a very close friend appears to you as somehow sort of frosty, or cold, distant, and quite annoying.

‘그러므로 재산만이 당신이 추구하는 기쁨이나 만족을 줄 수 잇다는 어떤 보장도 없습니다. 똑같은 말을 친구의 경우에도 할 수 있습니다. 당신이 강렬한 분노나 증오에 빠져 있을 때, 아주 친한 친구라도 서리 같고, 냉정하고 소원(疎遠)한, 매우 귀찮은 존재로 보일 것입니다.

 

‘All of this indicates the tremendous influence that the mental state, the mind factor, has on our experience of daily life. Naturally, then, we have to take that factor very seriously.

이 모든 사실이 정신적 상태, 정신적 요인이 일상생활이라는 우리의 경험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당연히 우리는 그러한 요인을 매우 진지하게 다루어야 합니다.

 

‘So, leaving aside the perspective of spiritual practice, even in worldly terms, in terms of our enjoying a happy day-to-day existence, the greater the level of calmness of our mind, the greater our peace of mind, the greater our ability to enjoy a happy and joyful life.’

따라서 영적인 수행이라는 관점은 제쳐놓고, 세속적 견지에서 행복한 일상적 생활을 즐긴다는 면에서 볼 때에도, 우리의 마음이 차분할수록, 마음의 평화와 행복하고 즐거움에 넘치는 삶을 즐길 수 있는 우리의 능력은 더 커집니다.

 

The Dalai Lama paused for a moment as if to let that idea settle, then added, ‘I should mention that when we speak of a calm state of mind or peace of mind we shouldn’t confuse that with a totally insensitive, apathetic state of mind. Having a calm or peaceful state of mind doesn’t mean being totally spaced out or completely empty. Peace of mind or a calm state of mind is rooted in affection and compassion. There is a very high level of sensitivity and feeling there.’

존자님은 그 생각이 머무르도록 하려는 듯이 잠시 말을 멈추었다. 그리고 덧붙여 말했다. ‘이 말은 꼭 해야겠군요. 우리가 고요한 마음의 상태 혹은 마음의 평화라고 할 때, 그것을 완전히 무감각하고 냉정한 마음 상태와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 고요하고 평화로운 마음 상태를 가진다는 것은 완전히 멍한 상태에 있거나 공허한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마음의 평화 혹은 고요한 마음의 상태는 애정과 연민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그곳에는 매우 높은 수준의 감수성과 감정이 있습니다.’

 

Summarizing, he said, ‘As long as there is a lack of the inner discipline that brings calmness of mind, no matter what external facilities or conditions you have, they will never give you the feeling of joy and happiness that you are seeking. on the other hand, if you possess this inner quality, a calmness of mind, a degree of stability within, then even if you lack various external facilities that you would normally consider necessary for happiness, it is still possible to live a happy and joyful life.’

결론적으로 존자님은 말했다. ‘마음의 고요함을 가져오는 내적인 훈련이 결여되어 있는 한, 어떤 외부적인 시설과 조건을 가지고 있더라도, 그것들이 절대로 당신이 추구하고 있는 기쁨과 행복을 주지 않을 겁니다. 반대로, 이 내적인 훈련, 즉 마음의 고요함, 마음 안의 어느 정도의 안정을 갖추고 있으면, 일반적으로 행복에 꼭 필요하다고 간주되는 여러 가지 외부적인 편의 시설이 부족하더라도, 행복하고 즐거움 넘치는 삶을 사는 것이 여전히 가능합니다.’

 

 
다음검색
댓글
  • 14.05.16 15:28

    첫댓글 나무관세음보살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