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속초아끼기.
 
 
 
 

자주가는 링크

 
등록된 링크가 없습니다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속초시정행사/정보소식 스크랩 속초시 동명동 "속초리 성지" 출토기와
다우니 추천 0 조회 101 09.05.11 18:19 댓글 2
게시글 본문내용

 

 

속초라는 지명이 문헌상 공식적으로 확인된 곳은 세종실록지리이다.

 

"태조6년 정축에..수군만호수어처가 6이니 월송포가 평해....

"속초포가 양양북쪽에 있고, 배가 3척 군사가 2백 단 10명이다"

 

속초의 향토사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수군만호의 본영은 현재 속초시 노학동 척산온천장 앞쪽이라고 한다.

 

양양부 지도. 오른쪽끝부분이 속초 청초호다

 

 

 

 

위 사진은 영금정쪽에서 바라본 속초시 동명동 전경이다(출처:속초감리교회)

화살표가 표시된 원 안의 주위를 보면 높이 약 20~30의 구릉이다. 언뜻보아도 토성의 흔적이 남아있다.

 

구릉의 안쪽마을을 이 지방사람들은 장골, 장안골, 장안동이라 부른다.

 

무릇 이름에서 보아 알수 있듯이 "장안"이라는 말은 '성안쪽의 마을'이라는 뜻이다.

 

이 언덕이 성지(성터의 흔적)라고 처음 제기된 것은 일제시대 때 편찬된 '조선 보물고적보고서'라는 보고서이다.

애 보고서의 강원도편 37페이지를 보면 양양군의 24개 보물,고적가운데 맨마지막인 24번? 실려있다.

 

번호 : 24

종별 : 성지

장소 : 도천면 속초리

소유 : 사유

적요 : 속초리부락 서쪽 인근지역에 있는데, 작은언덕으로 되어있으며, 주위둘레가 약 삼백간정도되며 흙으로 쌓여있다. 약간 완전하다(完全)

 

즉 수복탑 삼거리의 오성식당 뒤쪽 산기슭에서 시작하여 속초감리교회를 휘감아돌아 속초지원과 검찰청을 휘돌아 kbs방송국과 구속초성결교회(지금의 시외버스터미널 건너편)까지 연결되는 구역이다.

 

문헌상 속초를 포함한 동해안 지역은 고려 현종 2년(1011년)부터 숙종2년(1097년)까지 약 80여년동안 여진족이  20여 차례나 침입을 받았다.

왜구의 침입도 만만치 않았다. 왜구의 침입기록은 무려 471회나 되는데 고려 우왕 9년(1383년)에 왜구가 동산현(구 혈산현, 양양군 현북면 동산리)에 침입한 기록이 있다.

 

 

 

 

 

 위의 위 사진에 화살표가 표시되었던 원안의 지점이 바로 지금의 속초감리교회 자리이다.

사진찍은 위치는 바로 속초리성지로 추정되는 동쪽자락의 중간지점이다.

 

 사진 찍은 위치 부근에는 많은 기와파편들이 널려있다.

 

 본인의 한문실력이 좋지않아, 해석까지는 훌륭하지는 못하지만, 어렸을 적 조부께서(1913년 생, 1998년 작고,전 속초리 3구장),  생존해 계실 때 한문 한 자를 외울 때마다 50원씩 받았던 실력(^*^)으로 풀이해보면

 

위 기와는 순수 흙으로 빚은 토기인것 같다. 표층 20cm정도 밑에서 발견

3글자가 보이는데 "팔부원(八부員)"같다.(고개를 왼쪽으로 숙여 좌에서 우로 읽어야함 ^*^)

'팔'자와 '원'자는 확실한데 '부'자는 아들 子 와 여덜 八을 합친글자인것 같다. 옥편에는 나오지 않는 것 같은데...

 

'양개0'라는 글자가 뒤집혀 새겨져 있는 명문기와

양개(良?)

세번째 깨져있는 글자는 정확하지는 않으나, '소우는 모(牟)자인것 같다

'양개'만의 뜻은 제사때 쓰는 좋은 그룻?

그런데 "개"자에 왕'王'자가 있는 이 토성이 고려시대의 토성이라면  사람이름에 왕'王'자를 쓰비는 않았을 것이다 . 고려 왕의 성을 이름에 함부로 쓸 수 없었던 시대인데...

 

 

완쪽 상단부부터 '관동'이라는 명문이 있다.

 

 

 

양쪽 빗살무늬 사이로 관사(官舍)라는 글자가 확실히 보이고 한자가 깨져있다 "오"자 같기두 하고...

 

 

 

 

 

원형, 사선등의 여러가지 무늬가 있는데,언제것인지는 모르겠다

고려때의 기와는 고기비늘무늬나 사선무늬가 많다던데.. 

 

 

 

불에 탄 기와이다. 불에 탔다는 것은 언제인가는 모르지만 방화가 아니고서는 전쟁의 흔적이라는 것이다.

기와의 무늬는 가로선과 세로선을 좁은간격으로 그어놓았으며, 중간중간에 영어의 "T"나가 한자의 "丁"같은 무늬가 보인다

 

 일관동 (一官仝)?, 일관사(一官舍)?

 이관동 (二官仝)? 이관사(二官舍)?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